서 론
세계보건기구는 자살을 4대 사망의 원인으로 보고하 였고 전 인류의 정신건강을 위해 필히 해결해야할 과제 로 규정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2).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만 여명이 자살로 인해 사망하고 이 중 청소년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 며(WHO, 2011) 통계청(2014) 조사에 의하면 2013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청소년 308명이 자살로 목숨을 잃 었고 이는 10대 사망원인 1위에 해당한다. 우리 정부는 이러한 자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004년 제1차 자살예 방종합대책과 2009년 제2차 대책을 국가적 차원에서 시 행해 왔다(송인한, 2014). 또한 청소년 자살 문제에 대 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 한 체계적인 학급단위의 생명존중프로그램이 개발되었 고 전국으로 확대 되는 계기가 되었다(삼성사회정신건강 연구소, 한국생명의전화연맹 자살예방센터, 2008; 수원 시자살예방센터, 2004). 이러한 움직임을 토대로 학교 단위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지만 개별 대상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일회성 교육이나 특강에 그치는 경 우가 많아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Lee & Oh, 2014).
청소년기는 시기적으로 학업 성취, 부모로부터의 심리 적 독립, 자아정체감 및 가치관 형성, 진로 탐색 등의 발 달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한국청 소년상담원, 2007). 가정과 사회에서 기대되는 역할의 압박감으로 인해 소외감과 좌절감을 경험하고, 일탈행동 과 사회적, 심리적 부적응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커진다 (Kim, 2013). 특히 경쟁을 통한 성과를 중시하고, 학업 활동에서의 과도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청소년들은 압 박감과 실패, 그리고 좌절의 경험을 통해 우울과 불안을 겪게 된다(Kim & Jeon, 2012). 스트레스에 대한 성숙 한 대처능력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자살생각이나 자살시 도를 비롯한 심리적 장애, 학교부적응, 약물남용 등의 문 제행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인이 청소년 자살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Cha & Kang, 2010; Lim, 2004).
따라서 자살 위험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해결하려 는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근래 몇몇 연구들은 공통적으 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살을 시도하지 않고 스스로에게 힘이 되는 보호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라 고 보고하였다(Kim & Kim, 2007; Lee, 2009; Park, 2010; Yoon, Park, & Lim, 2010). 청소년 자살에 영향 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는 가족 관계에서 나타나는 가족 의 지지, 교사, 친구 등과의 관계에 따른 사회적지지, 개 개인에 따른 실존적 영성으로 보고되었다(Cheng & Chan, 2007; Fergusson, Woodward, & Horwood, 2000; Harris & Molock, 2000; Wagner, 1997). 실존 적 영성은 개인이 경험하는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이 겨낼 수 있도록 삶의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힘으로 설 명된다(Kim, 2008). 삶의 의미, 목적, 역할을 인식하고 향상시키는 능력으로 평소 실존적 영성이 높으면 자신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여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roll, 1997; Yoon et al., 2010).
정신과적 문제로 인해 자신의 의미 있는 작업을 잃은 사람들은 자살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Lewis & Sloggett, 1998), 청소년들의 자살문제도 같은 맥락 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에서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을 위한 학교중심, 가족중심, 지역사 회 중심의 연구들이 진행 되어왔다(Callahan, 1996; Hacker, Collins, Gross-Young, Almeida, & Burke, 2008; Hazell & Lewin, 1993; Murphy et al., 1998).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작업치료 중재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동기와 통찰을 이끌어내어 목표를 성취하도록 하는 결과를 얻어 작업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Custer & Wassink, 1991). 영국에서는 정신건강 문제 를 가지고 있는 자살 고위험군 대상자들의 재활 전략에 작업치료사가 참여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Davis & Rinaldi, 2004). 이 프로그램에서는 작업치료 사가 자살 예방을 위한 중재로 개인에게 의미 있는 과제 및 활동을 통해 다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시행하였다. 미국에서는 작업치료사가 자살 시 도 경험이 있는 대상에게 인간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이론을 적용하여 상호작 용, 여가생활에 대한 기술과 흥미를 개발하여 작업적 역 할을 찾도록 돕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작업치료사는 대 상자의 여가생활 목표, 흥미, 활동, 사회기술에 초점을 맞 추어 중재를 제공하였는데, 6개월 후 대상자의 직업, 여 가생활의 필요성, 작업적 역할에 대한 인식과 지지 향상 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Cubie & Kaplan, 1982). Courtney와 Escobedo (1990)의 연구 에서는 자살시도 후 병원에 입원하여 우울증 진단을 받 은 환자에게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작업치료사가 작업 과제, 자기주장 훈련 그룹, 휴식, 운 동, 스트레스 관리를 제공하였다. 대상자들은 6개월 후 병원에서의 적응도가 향상되었고, 자존감과 스트레스 관 리 프로그램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성공적인 재활을 통해 집으로 복귀하였다.
현재 국내 자살예방 관련 선행연구들은 인지행동적 측 면의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Kim, 2009; Lee, Choi, & Kim, 2005; Park, 2011). 인지행동적 측면의 중재 는 자기통제를 통한 자기 효능감 향상과 타인에게 피해 를 주지 않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요법, 자살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또래 도우미가 위 험감지 시 교사나 상담사에게 의뢰하는 게이트 키퍼 (gate keeper)를 활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Kim, 2007; Son, 2011). 하지만 자살 에 대한 예방적 접근에 서 대상자 개인의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에 초점을 맞춰 보호요인 강화를 목적으로 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연 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자살 위험군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소외감 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작업수행에 어떠 한 변화가 생기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1.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여 학생 다섯 명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보 호자의 동의하에 중부지방 A시 소재의 아동·청소년 센 터에 의뢰되었다. 이들은 모두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이었 으며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자살 위험군으로 등록되어 관리되고 있었다. 참여자들 모두 약물은 복용하고 있지 않았으나 이들 중 두 명은 자살시도 경험을 갖고 있었다.
2.연구 과정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연구 자들이 기존의 주간 정신과 작업치료 프로그램과 자살예 방 관련 시청각 교육 자료를 응용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기획한 후 제1저자가 학교 에 방문하여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참여자들이 다 니고 있는 학교 상담실에서 진행되었다. 첫 회기에 본 프 로그램의 목표와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 의를 받은 후 사전 평가를 하였다. 증상관련 평가는 소그 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전과 후에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한국판 Beck 우울 척도(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한국판 Beck 불안 척 도(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K-BAI), 학생 소외감 검사(Student Alienation Scale; SAS), 자살 생 각 검사(Suicide Ideation Scale; SIS)는 설문지 형식으 로 참여자들이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다. 개인 목표 설정을 통해 자살생각에 대한 보호요인을 강화하기 위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의 초기 평가는 참여자들과 제1저자 와의 라포(rapport)가 어느 정도 형성된 회기 인 제5회 기 ‘삶의 의미 찾기’프로그램과 접목하여 실시하였고 재 평가는 다른 증상관련 평가와 함께 10회기에 진행하였 다. 전체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평가 2회, 소그룹 프로 그램 8회, 총 10회기로 구성하였고 주 1회(금요일 6교 시) 약 50분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구성
본 연구에 사용된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세계보 건기구가 권고하는 자살예방 핵심요소(WHO, 2012),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낮병원(2004)의 정신사회 재활 프 로그램과 자살 예방 시청각 교육을 근거로 설계되었다 (Gask, Morris, Battersby, Jordan, & Wyatt, 1999). 전반적인 프로그램은 자살에 대한 인식 변화와 내적인 안정감을 경험하는 과정을 강조하였고, 참여자들의 삶속 에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을 탐색하고 수행함으로써 자 살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신체적, 정신적 대처능력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들로 구성하였다. 또한 작 업치료사들이 개별 목표 설정을 통해 작업 수행에 대한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널 리 사용하는 COPM을 프로그램에 접목하여 총 10회기 의 클라이언트 중심의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기획 하였다(Table 1).
3.연구 도구
한국판 Beck 우울 척도(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는 Beck, Ward, Mendelson, Mock와 Erbaugh (1961)가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 보고식 측정도구이며 본 연 구에서는 Lee (1993)가 한국판으로 번역한 것을 사용 하였다. 총 문항수는 21문항이며 4점 리커트 척도를 사 용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 다. 우울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은 16점이다(An, 2004). Hahn 등(1986)의 연구에서 반분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를 통하여 정상집단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는 .88 이었고, 우울증 집단에서의 신뢰도는 .94 이었다. 연구결과 우울증 집단은 정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 은 점수를 보여 예측타당도가 검증되었다. Lee (1993) 의 연구에서 보고된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74이 었다.
한국판 Beck 불안 척도(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K-BAI)
Beck Anxiety Inventory (BAI) Beck, Epstein, Brown과 Steer (1988)가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 해 개발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Kwon과 Oei (1992) 가 한국판으로 번안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Han, Cho, Park, Kim과 Kim (2003)의 연구에서 K-BAI의 번안 상 오류를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현재 정신과 환자 뿐 아니라 내과 환자, 일반 성인, 대학생, 청소년 및 노인을 대상으로 불안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 고 있다(Han et al., 2003). 총 문항 수는 21 문항이며 4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Kim과 Yook (1997)의 연구에서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신뢰도는 .91이었다. Lee (2013)의 연구에서 산출된 내적일치도 Cronbach’s α 는 .88이였고, Kwon과 Oei (1992)의 연구에서 K-BAI 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94였고, 반분신뢰도는 .90로 보고되었다.
학생 소외감 검사(Student Alienation Scale; SAS)
본 연구에서는 Mau (1992)가 개발한 SAS와 Kang (2000)의 소외감 도구를 근거로 Lee (2002)의 연구 에서 수정·보완 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SAS는 학교 환경에서 학생들이 많이 경험하는 무력감, 무의미, 규범 상실, 사회적 고립을 중심으로 4점 척도의 24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Lee (2002)의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 을 대상으로 적절한 문항들을 선택하여 수정·보완하 였다. 하부유형별 문항 수는 각각 7문항이며, 총 28문 항으로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각 하는 소외감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Kang (2000)의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 타당도와 신 뢰도를 검증하였다. Lee (2002)의 연구에서 도구의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는 .81이였고, Lim (2006) 의 연구에서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는 .90이 었다.
자살 생각 검사(Suicide Ideation Scale; SIS)
자살생각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Harlow, Newcomb과 Bentler (1986)가 고안한 SIS를 Jo (1990) 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Petrie와 Chamberlain (1983)의 Suicide Behavior Subscale (SBS)에서 자살 생각에 대한 검사 3문항을 채택하고, 2문항은 Harlow 등 (1986)이 직접 개발하여 총 5문항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완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5 종류의 자살관련 평가도구의 항목 간 경로분석을 근거로 SIS 5문항 모두 다른 자살관련 도구들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SBS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규명된 기존 Zung Depression Scale과의 상관 계수를 구해 수렴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이다. Jo (1990)의 연구에서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82이었고, Lim (2006)의 연구에서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83이 었다.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COPM은 네 단계의 반 구조화된 개별 면접 평가도구 로 자기관리, 생산적 활동 및 여가 활동 중 참여자가 원하 고 기대하는데 수행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가려내어 중요 도에 따라(1점=전혀 중요하지 않다, 10점=매우 중요하 다) 최대 5과제를 선택하여 수행도와 만족도를 10점 척 도로 참여자가 점수화 한다.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재 평가를 통해 2점 이상 변화가 있으면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Carpenter, Baker & Tyldesley, 2001). Kang (2012)은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성과 평가를 위한 COPM 유용성 연구에서 COPM이 정신과 대상자에게도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인 식하고 목표를 세우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로 보 고 하였다. COPM의 수행도 및 만족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각 .63~.89로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타당도 및 기준관련 타당도, 구성타당도가 검증 된 작업치료 분야 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이다(Law et al., 1998).
4.분석 방법
본 연구결과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사용하였고(Portney & Watkins, 2009), 유의수준은 .05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1.우울, 불안, 소외감, 자살생각에 대한 참여자 개인별 점수 변화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 진행 후 참여자들의 개인별 우울(K-BDI) 점수는 최소 2점에서 최대 24점 감소를 보여 모두 우울감의 감소를 경험하였다. 불안(K-BAI) 점수는 참여자 C를 제외하고 최소 3점에서 최대 12점의 감소를 경험하였다. 소외감(SAS) 점수는 참여자 E의 경 우 25점의 큰 감소를 경험하였으나, 나머지 참여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자살생각(SIS) 점수는참여자 A 와 C를 제외하고 최소 1점에서 최대 9점의 감소를 경험 하였다(Table 2).
2.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 우울, 불안, 소외감, 자살생각의 변화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우울감의 중위값 (median)은 25점에서 20점으로 5점 감소하였고,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불안, 소외 감, 자살생각의 경우도 각각 5점, 2점, 5점씩 감소하였 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3).
3.참여자들의 COPM 점수 변화
COPM은 작업수행 평가도구인 동시에 치료 목표 설정 및 치료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용되므로 (Law et al., 1998)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 5회기에서 초기 평가 를 하고 10회기에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COPM을 통 한 참여자들의 개별 작업수행 점수와 프로그램 후 점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4).
Table 4.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 변 화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고(p<.05), 참여자 B를 제외한 모든 참 여자가 2점 이상의 향상을 보여 임상적으로도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5)(Table 6).
고 찰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중심의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 램이 자살 위험군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소외감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작업수행에 어떠한 변화 가 생기는지 확인하고자 예비연구로 진행되었다. 참여자 다섯 명에 대한 10회기의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살 위험군 청소년의 우울, 불안, 소외감, 자살생 각에 대한 증상의 감소와 작업수행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첫 회기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전반 적인 취지와 목표 설명에 대해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 을 보였다. 하지만 2회기, 3회기를 진행하면서 우울과 자 살 생각 같은 참여자들이 느끼고 있는 문제들을 적극적 으로 이야기하며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특히 가치관 설 정과 같은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4회기의 활동부터는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5회 기의 COPM 적용은 참여자들에게 중요한 작업이 무엇인 지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 아니라 그 작업 들을 성공적으로 성취 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여 개개 인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길잡이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우울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불안, 소외감, 자살생각 점수도 다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 중재에 초점을 맞춘 소그룹 프로 그램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해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 한 Yoo, Son과 Nam (2010)의 연구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Klingman과 Hochdorf (1993)는 총 12회기 의 소그룹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데 청소년들의 우울, 절망감과 외로움의 결과물로 자살생각과 자해 행동이 나 타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들이 사용한 프로그램은 교육적, 습득적, 실행적 훈련 단계로 이루어졌고 자살생 각 및 자해 행동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기술, 문제해결기 술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우울과 자살생각에 대한 변화는 확인하였으나, 외로움에 대한 변화는 확인 하지 못하였다. 이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소그룹 프로그 램 구성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 램 중재와 일맥상통하고 우울감과 자살생각의 감소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 점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총 10회기에 걸친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 램을 진행하여 참여자들 개인의 작업수행 문제에 근거한 개별 목표 설정과 동기 부여가 우울, 불안, 소외감, 자살 생각,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 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요인은 ‘우울’, ‘수행도’, ‘만족도’ 세 가지 요인이었고 나 머지 ‘불안’, ‘소외감’, ‘자살생각’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변화는 없었으나 사후평가 결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Table 2). McNulty와 Beplat (2008)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자 기 자신이 원하는 개별화된 작업수행 목표 설정 활동이 우울감의 감소를 이끌었고 우울감의 감소가 수행도와 만 족도를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COPM을 통해 파악 된 참여자들의 작업수행문제는 가족과의 관계, 다이어트, 집안일 돕기, 규칙적인 생활, 애완견 훈련, 용돈 절약, 아 르바이트, 교회생활, 학교공부 등 개별적인 내용이었으 나 ‘삶의 의미 찾기’, ‘대인관계기술’, ‘대처기술훈련’, ‘사 회기술훈련’, ‘긍정적인 자기 인식’과 같은 그룹 프로그램 이 각자의 목표 성취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 된다. 특히 참여자 다섯 명 중 세 명이 가족관계를 상대적 으로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가족관계 개선 및 향상을 위해 노력한 점은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 문제에 대한 보 호요인 중 가족의 지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예 방을 위해 또래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각각의 작업수행 의 목표 설정을 보다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그룹 프로 그램 진행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참여자 B의 경우 유일하게 COPM 점수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초기 평가 시 본인의 작업 수행문제에 대해 다른 클라이언트(평균 3점대) 보다 높 게(평균 7점대) 인식하여 상대적으로 변화의 폭이 적었 던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우울감(K-BDI)의 중위값 변 화(5점 감소)가 불안감(K-BAI) 및 자살생각의 중위값 변화(각 5점 감소)와 같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 의한 변화를 나타낸 이유는 우울감의 경우 참여자 모두 일관되게 점수가 감소한 반면, 불안감의 경우 참여자 C 가, 자살생각의 경우 참여자 A와 C가 점수의 증가를 보 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참여자 C의 경우 참여자 중 유일하게 소외감(SAS)과 자살 생각(SIS) 점수도 증 가되었는데 이는 COPM의 작업수행 문제 중 본인의 노 력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와 함께하는 시간이 감소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사례관리를 통한 적극 적인 개입이 필요한 경우라 하겠다. 반면에 참여자 E의 경우 우울감, 불안감, 소외감 및 자살생각 모두 감소하였 고, COPM의 수행도(3.75)와 만족도(4.50) 모두 다섯 명의 참여자 중 가장 큰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개별 목표 의 설정 및 성취도가 자살 생각의 감소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부모와 함께 시간 보내기’와 ‘언니와 잘 지내기’항목의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가 각각 5점, 7점씩 향상을 보인 것은 보호요인 중 가족의 지지와 자살 위험 요소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able 2)(Table 4)(Table 6).
본 연구의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자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적 요인을 기 준으로 구성하였고, 특히 개인적 요인에 중점을 두고 계 획하였다.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적합한 대처방안 을 고려하고, 일상생활에서 개인의 의미와 가치 있는 문 제들을 확인하여 수행함으로써 프로그램 전·후의 만족 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졸중 환자 와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작업치료사들의 우울 관련 연구와 더불어 정신과적 작업치료의 예방 효과를 입증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Kim et al., 2009; Kim, Lee, Kang, Kim, & Park, 2013; Lee, Park, Shin, & Heo, 1995; Shin, Lee, Kim, & Jeon, 2013).
본 연구의 제한점은 예비연구로 계획되어 참여자 수도 적고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전체 청소 년에게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연구 설계 시 소외 지역 현장 방문 프로그램의 특성상 참여자 수의 확보와 성비 균형을 맞추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참여자가 모두 고등학생으로 학사일정에 따라 프로그램 진행 기간이 정해져 있어 주당 50분, 총 10주에 불과한 시간의 제약도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심각성이 더해 지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소외감과 자살 문제에 대해 소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 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결 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정신사회적 관점에서 ‘자살 위 험군 청소년’을 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소그룹 작업치 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통된 이슈를 공유함과 동시에 개별화 된 목표를 수립하여 일상생활의 균형을 되찾는데 초점을 두었다. 참여자들은 소규모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작업치료의 궁극적인 목표인 자신의 삶속에서 의미와 가치 있는 일을 탐색하고 수행하면서 작업치료의 효과를 경험하였다. 이는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자살 위 험군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내적 대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청소년 관 련 정신과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화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정신사회 작업치료 프로그램에서 그룹 활동을 통한 개별화된 목표 설정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시사 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