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상담욕구 조사



Ⅰ. 서 론

상담이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가 전문적 훈련을 받은 상담자와의 대면관계에서 생활과제의 해결과 사고, 행동 및 감정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 과정을 말한다(이장호, 2005). 그 중에서도 장애아동 부 모상담은 아동이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문가가 아동의 부모와 함께 협조하는 과정으로 치료목적 과 방법을 공유하여 아동의 성장과 발달의 향상을 지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이상복, 2001).

장애아동을 둔 부모는 자녀의 장애를 받아들이고 적응 하는 정서적인 면에서부터 양육할 때 필요한 정보획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한다(박지연, 2004). 장애아동의 부모상담은 전문가가 장애아동에 대한 적절 한 정보 및 발달 향상 방법을 제시하는 동시에 부모의 심 리적 불안을 감소시켜주며, 이를 통해 부모와 장애아동 에게 안정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이상복, 2001).

또한 상담은 장애아동의 치료를 담당하는 전문가에게 도 중재방법을 가정과 연계하기 위해 부모와 협력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다(Ju, 2002). Carrigan, Rodger와 Copley (2001)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과정을 위해서 부모와 치료사 간 의사소통이 중요함 을 피력하였고, 부모에게서 정보를 받아 그에 따른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부모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장애아동 부모상담은 아동에게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부모가 치료사에게 제공해줄 뿐 아 니라, 상담을 통해 부모가 치료목적을 이해하고 적극적 으로 동참하게 하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Jo, 2008).

유미숙(1997)은 장애아동 부모가 재활치료과정에 있 어서 조력자의 역할과 내담자의 역할 모두를 포괄해야함 을 강조하였으며 또한 Cohn, Miller와 Degnen (2000) 은 치료과정에서 부모가 치료사로부터 배운 전략을 활용 하게 되면 가정 내에서 장애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 원할 수 있다고 하였다. 신숙재, 이영미와 한정원(2000) 은 장애아동의 부모가 부모상담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얻게 되면 아동을 대하는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치료의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Liberman (1979)Choi 및 Kim (2005)도 부모의 치료협조 여부에 따라서 치료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음을 피력하였으며, Arnold (1978) 도 부모와 치료사 간 동맹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하 였다. 이처럼 많은 연구에서 아동의 치료적 효과와 더불 어 상담을 통한 부모의 심리적 지원은 물론 치료의 대상 인 장애아동의 주요 문제와 치료방향을 부모와 함께 공 유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강혜경, 2004).

장애아동 재활치료 분야에서의 부모상담 선행연구들 을 살펴보면 놀이치료와 언어치료분야에서 부모와 치료 사 간 상담인식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이들 연구에서의 부모상담의 인식 및 차이를 살펴보면 놀이 및 언어치료 연구 모두에서 부모상담이 긍정적이고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언어치료에서 부모상담 시 다루는 내용에서 는 아동의 발달과 장애문제, 치료과정 등의 정보를 제공 하고 있었고 부모들의 상담욕구도 이와 일치하였다 (Sim, 2012). 놀이치료에서도 부모상담 시 다루는 내용 에 있어서는 아동의 발달과 장애문제를 제공하고 있었으 나 욕구에서는 이 외에 아동의 문제행동 및 부모의 역할 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싶다고 응답하였다(Ju, 2002).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상담은 주요 중재방법 중 한 가 지로 꼽히는데, 이는 작업치료사가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내담자인 부모와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 을 시도하여 최상의 치료효과를 이끌어가는 중재방법이 라고 정의하고 있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08). 특히 아동작업치료 분야 에서는 가족을 대상으로 한 중재를 강조하는데 이는 작 업치료사가 가족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협력 정도에 따라 아동치료의 성공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하였 다(Case-Smith, 2001).

국내의 아동 작업치료분야에서도 장애아동 부모의 치 료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치료사와 장애아동 부모와의 효 율적인 상담 및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 다. 이와 같은 부모의 욕구를 반영하여 작업치료분야에 서도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나 주로 작업치료 서비 스 인식 정도, 만족도, 서비스 이용실태 등의 연구에만 국한되어 있어 장애아동 부모상담의 전반적 실태 및 욕 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Ahn, 2011; Chang, 2012; Jeon & Lee, 2006; Lee & Choi, 2006; Park, 2008; Park, 2010). 일부 부모재활상담에 대한 작업치 료 선행연구가 진행된 바 있는데 Chung과 Yoo (2003) 는 발달장애아 부모를 대상으로 7개월간 1,459명의 인 터넷 재활상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연 구결과에 따르면 70.0%의 응답자가 상담 서비스를 통해 부모 자신의 정서 및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장애아동 에 대한 이해 및 지도방법을 습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 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Chung과 Yoo (2005)의 인터 넷을 통한 발달장애 영유아 재활상담의 분석 및 효용도 연구에 따르면 이용자가 원하는 1,380건의 상담내용 중 교육 및 치료 관련 상담이 51.0%에 달했으며 그 외의 정보제공, 진단과 평가에 관련된 내용, 가족갈등에 대한 상담 욕구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온라인을 이 용한 재활상담으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이들 연구는 작업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어 작업치료 분야의 부모상담 욕구와 실태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이 언어치료, 놀이치료 등의 장애아동을 치료 하는 인접분야에서는 장애아동 부모상담의 현황 및 인식 에 대한 연구가 시행된 바 있으나,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상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장애아동 부모상담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의 욕구에 대한 기초정보가 부족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 모상담 실태와 부모의 상담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서울, 경기에 소재한 소아정신과 의원, 복지 관, 사설 센터의 작업치료실을 이용하며 주 1회 이상 작 업치료사와 상담을 받은 주 상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총 177명으로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 은 아래와 같다(Table 1). 응답자는 아동의 어머니가 90.4%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는 30세 이상 40세 미만 (56.5%)의 응답률이 높았다. 작업치료에 대한 관심 정 도에서는 48.0%가 매우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48.6%가 높다고 응답하여 전체의 96.6%가 작업치료에 대한 관심 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Background Information for Parents or Family (N=177)

Factor Sort n (%)
Gender Male 12 (6.8)
Female 165(93.2)
Relationship with child Father 8 (4.5)
Mother 160(90.4)
Grandfather 2 (1.1)
Grandmother 4 (2.3)
Other 3 (1.7)
Age < 30 2 (1.1)
30~40 100(56.5)
40~50 65(36.7)
50~60 4 (2.3)
> 60 4 (2.3)
Non response 2 (1.1)
Main rearer Father 8 (4.5)
Mother 155(87.6)
Grandfather 1 (0.6)
Grandmother 9 (5.1)
Other 4 (2.3)
Amount of interest in occupational therapy Very high 85(48.0)
High 86(48.6)
Normal 6 (3.4)
None 0 (0.0)

장애아동의 일반적 정보는 Table 2에 제시되어있다. 성별을 보면 남아(72.9%)가 여아(27.1%)보다 많았고 연령에서는 3세 이상 6세 미만 아동이 39.5%로 가장 많 았다. 중복체크 문항인 진단명은 발달 지연(27.8%)이 가장 많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27.3%)와 뇌성마비 (19.5%)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작업치료 횟수에 있어 서는 주 2회로 치료하는 아동이 46.3%로 가장 많았다.

Table 2

Background Inform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y (N=177)

Factor Sort n (%)
Gender Boy 129(72.9)
Girl 48(27.1)
Age < 3 11 (6.2)
3~6 70(39.5)
6~9 54(30.5)
9~12 32(18.1)
12~15 6 (3.4)
> 15 4 (2.3)
Diagnosis (Multiple choice) Mental Retardation (MR) 21(10.2)
Cerebral Palsy (CP) 40(19.5)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56(27.3)
Delayed Development (DD) 57(27.8)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RAD) 2 (1.0)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5 (2.4)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8 (3.9)
Other 16 (7.8)
Therapy frequency (In a week) 1 time 49(27.7)
2 times 82(46.3)
3 times 31(17.5)
4 times 2 (1.1)
≥ 5 times 13 (7.3)

2. 연구 절차

연구를 위한 설문지 배포는 사전에 기관의 담당자에게 연구에 대한 설명을 하고 전화 통화 및 방문을 통해 협조 를 요청하였으며, 설문배포 시 담당 작업치료사가 연구 의 목적을 설명한 뒤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장애아동의 부모 및 가족에 한해 설문이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2014년 3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총 274부 설문지를 배포(서울: 소아정신과 의원 1개소, 경 기: 장애인 복지관 3개소, 사설센터 10개소)하여 186부 (67.8%)가 회수되었고, 이 중에서 미완성된 설문지 9부 는 제외하고 177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 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Ju (2002)가 제작한 부 모상담 인식의 설문 문항을 참고로 작업치료 실정에 맞 게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이후 작업치료 임상 경 험 10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3명 및 작업치료학과 교수 2명에게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을 검토 받은 후 최종 완 성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작업치료에서의 장애 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장애아동 부모상담 욕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는 부모상담 실시형 태와 빈도, 부모상담의 대상, 시간, 시점, 장소, 부모상담 내용, 부모상담의 효과로 구성하였다. 이 중 부모상담 내 용과 부모상담의 효과는 매우 그렇다(4), 그렇다(3), 그 렇지 않다(2), 매우 그렇지 않다(1)인 4점 척도를 이용 하였다. 장애아동 부모의 상담욕구는 부모가 원하는 상 담 내용, 부모상담 대상, 시간, 시점의 욕구, 효과적인 부 모상담이 되기 위한 제언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 부모 가 원하는 장애아동 부모상담 내용 역시 4점 척도 질문을 이용하였다.

4. 분석 방법

설문지의 각 문항을 부호화(coding)한 후 윈도우용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일반 적 정보에 대해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고 부모상 담 실태와 욕구에 대해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

1) 부모상담 실시형태와 빈도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시형태와 빈도 응답 결과 정기적으로 실시한다는 응답이 91.5%로 대부 분 부모상담이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횟수 는 작업치료 매 회마다 실시하는 경우가 89.5%로 나타 났다. 비정기적으로 실시한다는 응답은 8.5%였고 부모 의 요구로 실시하는 경우가 그 중 35.7%로 나타났으며, 치료사의 요구로 실시하는 경우가 42.9%로 나타났다 (Table 3).

Table 3

Type and Frequency of Parent Consultation (N=177)

Consultation type Frequency n (%)
Regularly Every time 145(89.5)
Every 2~3 times 14 (8.6)
Every 4~6 times 1 (0.6)
Every 7~10 times 1 (0.6)
Every more than 10 times 1 (0.6)
Occasionally Parent’s request 5(35.7)
Therapist’s request 6(42.9)
Other 4(21.4)

2) 부모상담 대상, 시간, 시점, 장소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을 받는 대상에 대 한 응답 결과 상담 대상자는 아동의 어머니가 9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상담 시간은 5분 이상 10분 미 만으로 이루어진다고 응답한 경우가 70.6%로 가장 많았 고 10분 이상 20분 미만으로 이루어진다고 응답한 경우 가 13.6%, 5분 미만으로 이루어진다고 응답한 경우가 12.4%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상담 시점은 작업치료 후 에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97.2%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 료 상담 장소는 작업치료실 54.2%, 대기실 33.3% 순으 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Participant, Length, Time, and Place for Parent Consultation (N=177)

Factor Sort n (%)
Participant Father 4 (2.3)
Mother 160(90.4)
Both 5 (2.8)
Main rearer(non-parent) 6 (3.4)
Other 2 (1.1)
Length < 5 mins 22(12.4)
5~10 mins 125(70.6)
10~20 mins 24(13.6)
20~30 mins 1 (0.6)
> 30 mins 5 (2.8)
Time Before therapy 2 (1.1)
After therapy 172(97.2)
Separate time 3 (1.7)
Place Parent consultation room 17 (9.6)
Occupational therapy room 96(54.2)
Waiting room 59(33.3)
Other 5 (2.8)

3) 부모상담 내용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 자녀가 받고 있는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를 제 공한다는 응답이 3.46점으로 가장 높았고 행동특성 및 대처방법을 제공한다는 응답이 3.45점으로 그 뒤를 이었 다. 이에 반해 작업치료사가 부모상담 시 부모의 심리를 다루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2.62점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Table 5).

Table 5

Contents of Parent Consultation (N=177)

Contents M ± SD
Information provision for therapy process and program of child 3.460 ± .500
Behavior characteristic of child and counter measure provision 3.450 ± .521
Information provision about occupational therapy goal 3.440 ± .520
Information provision about child’s development 3.440 ± .508
Learning how to educate skills for daily life in home 3.260 ± .666
Information provision about end of the therapy and future guidance 3.230 ± .626
Learning about how to adapt to other environments (Educational and local community) 3.180 ± .664
Information provision about other connected-treatment 3.150 ± .640
Learning how to deal with child among same age group and siblings 3.080 ± .695
Psychological issues for parent 2.620 ± .729

4) 부모상담의 효과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과 양육과의 연관 성에 대한 응답 결과 양육을 위한 부모상담은 필요하다 는 응답이 3.6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발달수준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질문의 응답이 3.69점으 로 제일 높게 나타났고 가정 내에서 치료와 연계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질문의 응답이 3.54점으로 가장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6).

Table 6

Effect of Parent Consultation (N=177)

Effects M ± SD
Parent consultation is necessary 3.640 ± .503
Helps to understand child’s development level 3.690 ± .464
Helps to understand child’s occupational therapy 3.640 ± .480
Helps to keep child’s occupational therapy consistently 3.620 ± .498
Helps to understand child’s problematic behavior level 3.600 ± .490
Helps to change parent’s attitude for nurturing child 3.570 ± .519
Helps connected-treatment in home 3.540 ± .511

2. 장애아동 부모의 상담욕구

1) 부모가 원하는 상담 내용

부모가 원하는 상담 내용에 대한 응답 결과 장애아동 이 가지고 있는 행동 특성과 그에 따른 대처방법을 구체 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응답이 3.6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부모상담 시 부모의 심리를 다루어 야 한다는 질문은 2.84점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 다(Table 7).

Table 7

Consultation Contents Children with Disability’s Parent Want (N=177)

Contents M ± SD
Information provision for therapy process and program of child 3.630 ± .485
Behavior characteristic of child and countermeasure provision 3.610 ± .501
Information provision about occupational therapy goal 3.600 ± .492
Information provision about child’s development 3.590 ± .504
Learning how to educate skills for daily life in home 3.550 ± .532
Information provision about end of the therapy and future guidance 3.460 ± .594
Learning about how to adapt to other environments (Educational and local community) 3.440 ± .530
Information provision about other connected-treatment 3.430 ± .571
Learning how to deal with child among same age group and siblings 3.420 ± .599
Psychological issues for parent 2.840 ± .747

2) 부모상담 대상, 시간, 시점의 욕구

부모상담 시 대상, 시간, 시점의 욕구에 대한 응답 결 과, 시간에 있어서는 5분 이상 10분 미만으로 이루어지 기를 바라는 응답이 57.1%로 가장 많았다. 대상에 대한 부모의 욕구는 부모 함께 받아야 한다는 응답이 70.1% 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담 시점은 작업치료 후에 이루어 지길 바란다고 응답한 경우가 96.6%로 대부분을 차지하 였고, 다른 시간을 이용하기를 바라는 경우도 3.4%로 나 타났다(Table 8).

Table 8

Demand for Participation, Length, Time of Parent Consultation (N=177)

Factor Sort n (%)
Participant Father 1 (0.6)
Mother 46(26.0)
Both 124(70.1)
Main rearer (non-parent) 6 (3.4)
Length < 5 mins 0 (0.0)
5~10 mins 101(57.1)
10~20 mins 70(39.5)
20~30 mins 3 (1.7)
> 30 mins 3 (1.7)
Time Before therapy 0 (0.0)
After therapy 171(96.6)
Separate time 6 (3.4)

3) 효과적인 부모상담을 위한 제언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장애아동 부모상담에 방해가 되 는 요인 및 효과적인 장애아동 부모상담이 되기 위해 바라 는 점에 대한 서술형 설문을 각각 3가지씩 대답할 수 있도 록 하였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에 있어서는 177명 중 50(28.2%)명이 73개의 응답을 하였고, 효과적인 부모 상담이 되기 위해 바라는 점에 대해서는 177명 중 66(37.2%)명이 107개로 응답하였다. 상담에 방해가 되 는 요인을 많이 응답한 순으로 살펴보면 짧고 불규칙한 상담시간이 18명(24.6%), 아이와 함께하는 상담이 17명 (23.2%), 산만하고 시끄러운 상담환경이 8명(10.9%), 치료사와의 친밀도 및 소통 부족과 치료사의 마인드(냉담 한 태도, 편견, 부정적 시각) 등이 각각 5명(7.0%)이었다.

효과적인 부모상담이 되기 위해 바라는 점에 있어서는 가정 내에서 연계활동 및 과제를 제시해야 하는 것이 25 명(23.3%)으로 가장 많았고 치료관련 정보(목표 및 과 정)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19명(17.7%)이었 으며, 부모와 치료사 간 소통이 잘 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도 13명(6.5%)으로 많았다. 그 외에 치료사가 아이 의 상태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해야한다는 것과 상담시간 동안 탁아가 가능해야 한다는 응답도 각각 7명(6.5%)이 었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받는 장애아동의 부모 및 가족 177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를 파악하고 부모의 상담욕구를 확인하고자 수행되 었다.

연구 결과 중 장애아동 부모상담의 실태를 살펴보면 작업치료에서의 부모상담은 정기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대부분 치료가 끝난 후 매 회마다 5분에서 10분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아동의 어머니와 함 께 작업치료실에서 수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주 상담자는 어머니임을 확인하였고 작업치료를 받고 있 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가정과 작 업치료 간 연계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른 재활치료 영역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에 대해 서는 Ju (2002)Sim (2012)이 부모와 치료사 간 인 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부모상담의 대상, 시간, 시점에서는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현 황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놀이치료의 경우 부모 상담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작업치료에 비해 부모상담의 환경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Ju (2002)는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상담의 효과에 영향을 주므로 상담상황에 서의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작업치 료의 경우 부모상담의 방해요인 및 바라는 점을 서술하 는 문항에서 일부 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를 보고하여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내용에 있어서 현 재 받고 있는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와 장애아동의 행동특성 및 대처방법 그리고 작업치료 목표와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반해 부모의 심리문제 접근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보고하 였다. 이는 Ju (2002)Sim (2012)의 연구결과와 일 치하는 것으로 부모의 심리문제가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 기 때문에 이를 다뤄주는 것이 중요하지만 주로 10분 이 내의 짧은 시간에 아동에 관한 상담이 대부분이므로 부 모의 문제까지 다루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 진다.

부모상담의 효과에 관해서는 장애아동의 양육을 위해 부모상담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었고 부모상담을 통해 자녀의 발달수준을 이해하고 작업치료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높은 편이었으나 부모의 양육태도 변화 및 가정 내 치료와 연계가 순위가 가장 낮았다. 이러 한 결과는 가정 내에서 치료를 연계하는 것은 전문성이 요구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모교육 및 가정연계 전문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이 필요함을 시 사한다고 하겠다.

또 다른 장애아동 부모상담 욕구를 살펴보면 부모상담 의 시간 및 시점은 현재 현황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주목 할 만한 점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 상담을 받고 싶다 는 욕구가 높았다는 것이다. 이는 장애아동의 가족 내에 서 아동 발달 및 어머니를 비롯한 가족 전체 기능에 영향 을 미치므로 아버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Jeon (2010)의 연구에서처럼 양육 시 아버지의 도움이 어머 니에게 지지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Anderson 과 Hinojosa (1984)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따라 장애자녀를 이해하고 부모역할 및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상담 참여를 유도하고 부모 모두 상담하는 시간을 따로 마련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치료에서 원하는 장애아동 부모상담 내용을 구체 적으로 살펴보면 자녀가 가지고 있는 행동특성과 대처방 법,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자녀의 발달에 대한 정보, 작업치료 목표에 대한 정보 등은 제공해야한 다고 보고하였으나 이에 반해 부모 자신의 심리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서는 보다 적은 욕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Ju (2002)Sim (2012)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언어치료사와 놀이치료사는 부모의 심리를 다루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나 정작 내담자인 부모 스스로는 그렇지 않다고 하여 인식에 차이를 보인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부모의 저항 및 방어에 기인하는 것으로 Ju (2002)는 부모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문제에 있어 방어적인 태도가 두드러져 아동에게만 초점을 맞추 려고 하며 부모상담에 있어 거부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지적하였으며 부모문제 접근 시 부담스럽고 불편하다고 느낀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에 대한 실태와 장애아동 부모상담 욕구를 알아봄으로써 작업치 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했 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치료의 협조자인 장애아 동 부모의 욕구를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장애아동 부 모상담을 계획하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과 경기에 한정되어 지역적 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점과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의 재활의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작업치 료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욕구 역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복지관, 소아정신과, 사설센터에 한정되었다는 점도 연구의 제한점으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지역 및 기관에서의 범위를 확대한 후속 연구 역시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 태를 파악하고, 부모상담의 욕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주 1회 이상 작업치료사와 상담을 받은 장애아동 부모 및 가족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는 작업치료 가 끝난 후에 매 회마다 5분 이상 10분 미만으로 아동의 어머니와 함께 작업치료실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장애아 동 부모상담 내용에 있어서는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 행 동특성과 대처방법, 작업치료 목표 및 자녀의 발달에 대 한 정보를 다룬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상담 욕구는 부모가 함께 상담을 받아야 하고 부 모가 원하는 상담내용에 있어서는 아동의 행동특성과 대 처방법,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 발달 및 작업치료 목표에 대한 정보는 제공받을 필요가 있지만 부모 자신 의 심리문제는 다룰 필요가 적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시 부모의 욕구를 반영하여 효과적인 부모상담을 계획하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강혜경. (2004). 장애학생 및 부모. 안산, 한국: 국립특수 교육원.

2. 

박지연. (2004). 가족지원의 이론과 실제. 장애유아 통 합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 이화여 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3. 

신숙재, 이영미, 한정원. (2000). 아동중심놀이치료. 서 울, 한국: 동서문화원.

4. 

유미숙. (1997).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 상조사.

5. 

이상복. (2001). 유아특수교육. 대구, 한국: 대구대학교 출반부.

6. 

이장호. (2005). 상담심리학. 서울, 한국: 박영사.

7. 

Ahn, H. S. (2011). An investigation on the need of the home environmental skill‐building program for children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8.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2n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6), 625-683. 10.5014/ajot.62.6.625 19024744

9. 

Anderson, J., & Hinojosa, J. (1984). Parents and therapists in a professional partnership.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8(7), 452-461. 10.5014/ajot.38.7.452 6205590

10. 

Arnold, L. E. (1978). Helping parents help their children. New York, NY: Brunner/Mazel.

11. 

Carrigan, N., Rodger, S., & Copley, J. (2001). Parent satisfaction with a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A pilot investigation.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1(1), 51-76. 10.1300/J006v21n01_05 11715804

12. 

Case-Smith, J. (2001).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St.Louis, MO: Mosby.

13. 

Chang, E. J. (2012). The study of parentsrecognition and necessity about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depending on disability type of children (Master’s thesis). Kwangwon University, Seoul.

14. 

Choi, M. S., & Kim. K. W. (2005). Therapeutic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nd therapist in child counsel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3), 111-125.

15. 

Chung, B. I., & Yoo, E. Y. (2003). A consumer satisfaction study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ling program through interne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1(1), 19-31.

16. 

Chung, B. I., & Yoo, E. Y. (2005). A study of the efficiency of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nternet counse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2), 23-30.

17. 

Cohn, E., Miller, L. J., & Degnen, L. T. (2000). Parental hopes for therapy outcomes: Children with sensor modulation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1), 36- 43. 10.5014/ajot.54.1.36 10686625

18. 

Jeon, B. J., & Lee, J. Y. (2006). The study of need of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on the therapeutic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1), 71-79.

19. 

Jeon, Y. S. (2010). 장애아 아버지의 심리와 상담요구 분석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0. 

Jo, H. J. (2008). A study of parent counseling in play therapy for the children with Separation Anxiety Disorder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1. 

Ju, S. Y. (2002). A Study on the Parent Counseling in Play Therapy: Present condtion and the perceptions of counselors and parents (Master’s thesis). Su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2. 

Lee, S. A., & Choi, J. S. (2006).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to home-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child with sensory integrative dysfun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4(1), 1-8.

23. 

Liberman, F. (1979). Social work with children. New York, NY: Human Science Press.

24. 

Park, S. J. (2008). An analysis on factors to influence services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handicapped children of occupational therapy: On the basis of Kyeong-nam and Kyeong-buk area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5. 

Park, Y. H. (2010). Study of recognition and needs of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for occupational therapy: Focused on voucher service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6. 

Sim, Y. S. (2012). A study on counselors’ and mothersrecognition about parent counseling in speech language therapy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