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매뉴얼 개발 : 옹호중재 관점에서



서 론

보조기기서비스는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신체적 불 편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기능적 역량을 향상시켜 독 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공학적 접근방법으로 정의 한다(Oh, 2009). 이러한 보조기기서비스는 최적의 보조 기기를 신속하게 선택, 제공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 며 장애인에게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을 통 한 경제인으로서의 역할을 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다(Jun & Rhee, 2014).

미국, 영국, 호주, 독일, 스웨덴, 일본 등 복지선진국의 경우 보조기기서비스와 보조기기 지원에 대해 법적·제 도적 장치를 통합하여 운영함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보조 공학적 지원이 보다 적극적이며 체계적으로 실행되고 있 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국내 공공기관 의 보조기기서비스 제공시 행정기관에 따라 관련법령과 지원절차에 차이가 있으며 사용하는 용어 또한 각기 다 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Lee, & Lim, 2006). 또한 많은 행정기관과 법률들에서 지원품목과 대상을 규정하는 등 다양한 제도는 존재하지만 예산문제 로 인한 제한적인 품목과 지원 한도, 미흡한 조정으로 인 한 복지 사각지대나 중복성, 유통되는 보조기기에 대한 미흡한 품질 보장제도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고 통합 적인 보조기기서비스 지원시스템에 대한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n & Kong, 2011; Oh, 2009).

Jung 등(2009)에서 고용정보 시스템에 구인 등록한 사업체 121개를 대상으로 한 보조기기서비스의 실태에 대한 조사한 결과 보조기기서비스를 지원 받은 경험이 있는 사업주는 36.4%로 낮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중에서도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별도의 투 자를 하는 사업주는 단 6.6%에 불과하고 보조기기서비 스 센터 자체를 모르는 사람의 비율이 59.0%를 차지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현상은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심각하게 낮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보건복지부는 중앙보조기기 센터를 통해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정보안내서, 장애인보조기기 사례관리사업 및 보조기기 안내 리플릿 등을 발간함으로써 인식도와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KNATC], 2016c). 장애인보조기기 사례관리 사업 및 보조기기 안내 리플릿은 2013년 중앙보조기기센 터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었다(KNATC, 2013a). 이후 2014년, 중앙보조기기센터에서 공식 홈페이지에 통합 리 플릿을 게시함으로써 2015년과 2016년에 개정된 통합 리플릿을 발간하였다(KNATC, 2014a; 2015a; 2016a). 통합 리플릿은 2013년에 게시된 각 센터별 리플릿과 비 교한다면 정보제공이 보다 직관적이고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센터마다 다른 구성과 내용에 따른 혼란을 보완 할 수 있다. 한편,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정보안 내서는 2012년 보건복지부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교 부품목 정보안내(KNATC, 2012)가 홈페이지에 최초 게 시된 품목 정보 안내서이며 이후, 2013년에서 2016년 (KNATC, 2013b; 2014b; 2015b; 2016b)까지 매년 발 간하고 있다. 2012년의 초기 품목정보안내서를 보완하여 2016년까지 꾸준히 정보의 갱신을 통해 그 내용과 분류 가 체계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 외에도 연구자들은 보조기기서비스와 관련하여 뇌졸중 환자 및 장애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바 있지만 통합 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지원시스템을 개발함으 로써 현 보조기기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연 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An & Kong, 2011; Jun & Rhee, 2014; Jung, 2011; Park, Jung, & Chang, 2010; Yeum, 2013).

최근의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아직 우리나라의 보조기기서비스는 예산 마련에 대한 실질적 정책의 뒷받침과 각 지역 보조기기서비스의 전달체계에 부족한 면이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Nam, 2016). 이는 재활 보조기기서비스의 체계가 통합되지 않고 복잡 하게 얽혀있는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재활 보조기기서비스를 받아야하는 사용자 중 국가유공 자이면서 복합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 Disabled Welfare Act (2016)에 의해 장애인복지법의 적용에 제 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보조기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원체계와 법령 사이에서 재활 보조 기기서비스를 어디서 어떻게 제공받을 수 있는지 정확하 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조기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장애인 또는 노인의 경우 재활보조기기 전문가에 의해 정확한 정보를 전달받거나 그 권리를 찾기 위한 적극 적인 활동이 요구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전문가가 적극 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옹호중재(advocacy intervention) 라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 작업치 료사, 재활공학사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중 작 업치료사는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중재 하거나 자기옹호(self-advocacy)를 통해 고객 스스로 보조기기서비스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역할이 가능하다. Cho (2013)의 연구에서는 옹호를 간호사와 고객과의 사이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행위로 권익을 지향하고 대변 자 역할, 정보제공을 통한 스스로의 결정을 돕는 등의 적 극적으로 권익 향상 활동이라고 정의한다. 작업치료에서 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실행되는 중재기법인 옹호를 ‘작업 적 정의의 증진을 지향하는 노력 또는 일상적 삶의 작업 에 완전히 참여하기 위하여 자원을 찾거나 획득하는 등 의 권한 획득을 지향하는 노력’으로 정의한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14).

작업치료사가 할 수 있는 옹호중재는 의료와 진료와 관련되어 간호사가 제공할 수 있는 옹호 서비스와는 분 명히 다른 방식으로 제공된다. 재활 보조기기 제공, 선거 활동, 재난 상황의 대처 등 작업과 관련된 옹호중재가 포 함되어 있는 것이 한 예이다. 옹호중재를 실시하는 작업 치료사는 고객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옹호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 높은 지식과 도덕성이 요구된다. 또한 자기 옹호중재를 위해서는 고객이 사회제도와 과정에 대 한 지식과 권리에 대해 인지하여야 효과적인 옹호중재가 가능하다. 이처럼 재활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옹호중재 를 위해서는 작업치료사뿐만 아니라 고객도 신청절차와 과정, 제품정보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 내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옹호중재에 대한 연구 사례가 드문 실정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재활 보 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옹호중재의 측면에서 개인의 특성 에 따른 분류와 지원 절차 및 품목을 통합한 매뉴얼을 개 발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서비스 수요자뿐만 아 니라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재활공학사 등과 같은 제 공자들도 보조기기서비스 제공을 위한 절차와 세부사항 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 고자 한다.

연구 방법

1연구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목적인 재활 보조기기서비스의 통합매뉴얼 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의 보조기기센터와 행정기관에 서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후 정보를 분 류하였다. 자료수집의 대상이 되는 보조기기센터는 국립 재활원 중앙보조기기센터를 포함한 대전, 대구, 부산, 광 주, 인천광역시의 보조기기 센터와 경기도, 충청북도, 경 상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보조기기 센터 등 총 11개의 센터, 행정기관은 보조기기 제공과 관련이 있는 4개 기관 인 보건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 처로 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Busa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Chungcheong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Daegu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Daejeo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Gwangju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Gyeonggi-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Gyeongsangnam-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Incheo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Jeju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Jeolla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 KNATC, 2016c;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20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16;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of Korea, 2016;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6). 각 보조기기센터와 행정기관의 자료 수집방법은 각 기관의 동의를 얻은 후 방문, 전화, 홈페이지 자료를 활용하였고 자료수집의 대상은 옹호중재의 초점에 맞추 어 보조기기서비스 신청 절차와 자격, 제품종류, 보조기 기관련 법령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Figure 1).

Figure 1.

Flowchart for Research Procedure

../figures/JKSOT-25-29_F1.jpg

2재활 보조기기서비스 통합 매뉴얼 개발을 위한 서비스별 분류와 개발 방향

재활 보조기기서비스의 통합매뉴얼 개발을 위하여 각 보조기기센터와 행정기관에서 수집된 자료를 조사하고 분류를 실시하였다. 분류는 대, 중, 소로 분류하여 보조기 기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정보와 경로를 파악하였다 (Table 1). 대분류는 보조기기센터, 행정기관으로 분류 하고 각각 중분류 및 소분류를 실시하였다. 보조기기센 터는 소분류 없이 중분류로, 중앙, 대전광역시, 부산광역 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경상남 도, 충청북도, 제주도, 전라북도로 총 11개로 분류하였 다. 아울러 행정기관의 중분류는 보건복지부, 고용노동 부, 국가보훈처, 미래창조과학부로 총 4개의 중분류를 하 였고, 소분류에는 각 행정기관에서 보조기기 지급과 관 련되는 사회적 제도를 분류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Table 1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of Developing Integrat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Classification Development of integrated AT service manual
1st level 2nd level 3rd level Flowchart types AT information Integrated flowchart manual
AT Center KNATC - Establishing Integrated flowchart according to regional agency Providing Information for each regional AT center Developing Integrated flowchart according to the providing agency
Daejeon -
Busan -
Incheon -
Gwangju -
Daegu -
Gyeonggi-do -
Gyeongsangnam-do -
Chungcheongbuk-do -
Jeollabuk-do -
Jeju -
Ministry Health and welfare AT for disabled Establishing Integrated flowchart according to governmental administration Providing Information for each governmental administration
AT for health insurance
AT for medical benefits
AT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Employment and labor AT for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rovision of AT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rovision of prosthesis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T for telecommunications

[i] AT: Assistive Technology,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KNATC: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인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통합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옹호중재의 관점에서 전문가와 고객 모두 전체적인 서비스 구조 및 과정을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로 분류한 후 통합하였다. 보조기 기센터별, 행정기관별 재활 보조기기서비스를 위한 흐름 도와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제품정보로 나누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먼저 흐름도를 통해 자신이 지원 받을 수 있는 지역별 보조기기 센터 또는 정부기관과 해당기관의 지원절차를 이해한 후 지원 가능한 행정적 제도를 확인하 여 지급받을 수 있으며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원체계 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흐름도에 따른 보조기기에 대한 세부적인 제품정보를 정확하게 확 인함으로써 법률적 과정과 지식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 고 이에 대한 정당한 보조기서비스 요구활동을 할 수 있도 록 자기옹호 또는 옹호중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1재활 보조기기서비스를 위한 흐름도 개발

재활 보조기기서비스를 위한 흐름도는 다양한 보조기 기센터와 복잡한 행정적 법률 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자 하는 자가 보조기기 정보와 제도적 지원 절차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흐름 도는 각 지역별 보조기기 센터, 개인적 특성, 사회 제도적 지원절차에 따라 보조기기 지급에 대한 정보 접근을 용 이하게 한다. 또한, 각 지역별 보조기기 센터의 통합 지원 절차, 사회 제도적 지원 절차를 각 법령에 맞추어 세부적 으로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흐름도는 보조기기센터, 지원제 도 등 재활 보조기기를 지급받을 수 있는 모든 과정을 통합한다(Appendix 1). 전국 보조기기 센터 통합 지원 절차, 장애인 복지법 지원 절차(장애인 보조기기, 노인 장기 요양보험 복지용구, 건강보험 보장구, 의료급여 보 장구), 국가보훈처 지원 절차(보철구), 고용 노동부 지 원절차(산재보험 급여 재활보조기기, 보조기기 지원),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절차(정보통신 보조기기) 등 총 10개를 개발하였다. 이들 중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보 조기기 교부’서비스지원 흐름도를 부록에 제시하였다 (Appendix 2).

통합 매뉴얼 흐름도는 먼저 거주지역에 따른 보조기기 센터를 방문 및 상담 하도록 되어있다. 상담 후 보조기기 센터에서 지급 가능한 경우에는 바로 적절한 보조기기 지급이 이루어지고 재활보조기기의 신청 절차가 완료된 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개인적 특성을 확인한 후 각 제도 별 지원 절차에 따라 보조기기를 지급하는 것과 사설업 체에서 보조기기를 직접 구입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개인적 특성은 8가지로 자신에게 해당되는 항목에 따라 재활보조기기를 지급받을 수 있는 각 행정 기관과 연결되어 있다(Appendix 1). 통합 매뉴얼 흐름 도를 통해 필요한 정보는 각 행정기관별 세부 흐름도를 확인하여 그 절차를 알아보거나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제 품 정보에서 필요한 제품과 가격 등에 대한 정보에 접근 할 수 있다.

2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제품 정보 제공

각기 다른 재활 보조기기서비스를 통합한 매뉴얼을 개 발하기 위하여 보조기기 센터와 행정기관에서 수집된 재 활보조기기관련 자료를 분석 및 분류하여 재활 보조기기 서비스 제품정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제품정보는 지역별 센터 보조기기 제품 목록과 행정기관 별 지급 가능한 보조기기 제품 목록으로 분류하여 제공 하였다. 모든 제품의 정보 내용은 품명, 제품의 사진, 제 품 설명, 지원금액 또는 제품금액, 내구연한, 제조회사를 기본적으로 표기하였다.

사용자가 기존의 보조기기 제품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서는 지역마다 다른 보조기기뿐만 아니라 각 정부기관에 서 제공하고 있는 보조기기관련 자료를 직접 찾아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전국의 보조기기 센터에서 취급하고 있는 보조기기 제품정보와 각 행정기관에서 제공하는 보조기 기 제품정보를 모두 취합한 후 보조기기 센터별 제품정 보와 행정기관별 제품정보로 구분지어 통합 제품정보로 구성하였다. 보조기기 센터별 보조기기 제품정보에는 각 보조기기 센터 이름과 주소, 전담지역, 전화번호, 홈페이 지주소, 연락처를 기재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였고 행정기관별 제품 정보에는 각 법령의 목적과 보조기기 신청방법 및 절차, 서비스대상, 서비스내용, 지원품목 목 록, 문의사항, 지원횟수 및 금액 등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서비스 제품정보는 부록에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Appendix 3).

위에 서술한 내용에 대해서 책자형태의 매뉴얼로 정리 하였으며 이는 총 4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장은 재활 보조기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매뉴얼에 대한 정의, 필요성, 제작목적, 매뉴얼 내용구성, 매뉴얼의 기대효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 합 매뉴얼 흐름도를 소개하고 개인적 특성을 검토함으로 써 전국의 보조기기 센터와 행정기관을 서비스를 통합한 매뉴얼 흐름도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 3장에는 전국 의 보조기기센터별과 행정기관별 지원절차 및 지원내용 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제 4장에는 보조기기센터와 행정 기관에서 제공하는 보조기기 제품 상세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고 찰

미국작업치료사협회는 주기적으로 작업치료사의 전 문성, 범위 등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작업치료학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AOTA, 2014). AOTA (2014)에 서는 옹호는 작업치료 중재방법 중 하나로 치료사의 도 움과 함께 수행되기도 하지만 고객 스스로 이를 수행할 수 있다고도 정의하는데 이를 자기 옹호라 한다. 이러한 구분은 간호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Cho (2013)의 간호대상자 옹호이론에 따르면 대상자옹호 (client advocacy)에서 자기옹호로 그 개념이 발달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작업치료학에서 제안하 고 있는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간 호 분야의 옹호이론은 의료 및 진료에 관한 옹호역할을 크게 강조하는 반면 작업치료에서는 인간이 참여하는 작 업과 관련하여 옹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점 이 있다(Cho, 1996; 2013). 옹호는 제공자의 지식과 윤 리적, 도덕적, 신념에 따라 그 옹호 서비스의 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옹호중재를 적용하는 데 있어 작업치료 사뿐만 아니라 보조기기를 제공받는 고객 또한 보조기기 를 제공받는 법과 제도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활보조 기기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매뉴얼의 이론적 관점은 AOTA (2014)에서 설명하고 있는 옹호와 자기옹호 중 재를 토대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직접적으로 재활 보조기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와 고객 모 두 관련된 지식에 대해 인지하기 쉽게 설명하고자 노력 하였다.

본 연구의 제품정보는 KNATC(2016c)에서 정기적 으로 발간하는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 정보 안내 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 정보 안내서는 매년 발간되는 것으로 중앙보조기기 센터 웹 게시판에 게시하여 보조기기서비스를 이용하고 자 하는 모든 이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한다. 장애인 보조 기기 교부사업 품목 정보 안내서에 다양한 행정기관과 지원 가능한 제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지만 통합 적인 정보를 일반인이 접근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보조기기가 각 보조기 기센터나 행정기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보조기기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보조기기가 지역과 행정기관마다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정 보조기기 를 원하는 경우 각 지역의 보조기기 센터나 행정부처에 일일이 찾아보며 정보를 획득해야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제품정보는 각 지역의 보조기기 센터와 행정기관의 제품정보를 한 매뉴얼에 통합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는 흐름도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정보접근 방법에 차별성 을 두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흐름 도는 기존의 행정기관이나 학술연구에서도 없었던 방식 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보조기기서비스 지원을 받지 못한 열악한 환경에 있는 장애인들에게 보조기기의 혜택이 제공될 수 있도록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 정부와 공공기관의 지원과 함께 민간부문의 참여의지가 어울러짐으로써 보조기기 서비스를 실제적인 사용자의 인식과 접근성 전환 측면에 서 개선이 요구된다.

Yeum (2013)은 사용자에게 보조기기를 신청하기 전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지원 초기에 전문적이고 면밀한 초기평가, 보조기기 지원 후 서비스 강화를 통해 보조기기 지원제도와 서비스의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취지인 옹호중재 의 관점과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와 지원 후 서비스의 강화만을 이룬다하여 현재 발생하고 있는 문제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Oh (2009), Nam (2016)의 연구에 따르면 해외의 경우, 국 가차원에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복지연구 개발, 보급, 교육, 직업, 재활 분야 등 한 광범위 한 지원과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보조기기서비스가 제공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편의 증진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어 각 부문의 전문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 겨진다. 따라서 기존의 보조기기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서는 국가차원에서 정보, 보조기기의 개발 및 생산, 판매, 좋은 품질의 보조기기 유치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다각 적인 지원활동을 제언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흐름도와 제품정보에 대한 활용성은 정책의 변화에 민감하다. 즉, 본 연구의 조사시 점인 2015년에서 2016년까지의 재활보조기기에 대한 지원 정책을 토대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향후 정부 기관 인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미래창조과학 부 등에서 보조기기에 대한 지원법률 및 제도가 어떻게 변하는가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고 정 부의 관심사가 어디에 있는지는 불확실한 특성을 보이므 로 본 매뉴얼의 활용성 또한 불확실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매뉴얼은 향후 정부정책 및 사회제도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수정 보완을 거치면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기존 공공기관마다 제공하는 보조기기서비 스가 각각 다르거나, 중복되거나 또는 사각지대가 존재 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각 보조기기 센 터 및 정부기관의 정보를 통합한 통합매뉴얼을 개발하여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요구자가 자신의 개인적 특성에 적 합한 서비스에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하여 원하는 서비 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매뉴얼은 국내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지원절차 와 제품정보를 통합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이 가능하며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수요자 관점뿐만 아니 라 제공자들이 소모하는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향후 개발된 매뉴얼이 작업치료 관점에서 보조기 기서비스에 대한 독립적 옹호중재의 역할을 기대하며 웹 페이지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한 활용성 확대 방안에 대 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ppendices

Appendix

Appendix 1. Flowchart of Integrate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igures/JKSOT-25-29_A1-F1.jpg

Appendix 2. Flowchart of Assistive Device Provision Procedure for Disabl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figures/JKSOT-25-29_A2-F1.jpg

Appendix

Appendix 3

An Example of Product Information for AT Services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품목 대상 제품설명
../figures/JKSOT-25-29_A3-F1.jpg ../figures/JKSOT-25-29_A3-F2.jpg 스스로 자세를 바꾸지 못하고 장시간 앉아 있는 분 지체, 뇌병변, 심장 장애 1~2급중 욕창방지용 보조기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장애인 체압분산 및 습기를 경감하여 좌석면의 욕창 방지
욕창 예방용 방석 및 커버 금액 : 350천원/인 내구연한 : 2년
../figures/JKSOT-25-29_A3-F3.jpg ../figures/JKSOT-25-29_A3-F4.jpg 스스로 자세를 바꾸지 못하고 장시간 앉아 있는 분 체압분산 및 습기를 경감하여 등받이면의 욕창 방지
와상용 욕창 예방 보조기기 금액 : 350천원/인 내구연한 : 2년
../figures/JKSOT-25-29_A3-F5.jpg ../figures/JKSOT-25-29_A3-F6.jpg 소리를 통해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시각장애인용 음성 유도기 및 음향신호기를 무선으로 작동시킴
음성유도장치 (음향신호기 리모컨) 금액 : 20천원/인 내구연한 : 2년
../figures/JKSOT-25-29_A3-F7.jpg ../figures/JKSOT-25-29_A3-F8.jpg 소리를 통해 정보 인지가 가능한 분 버튼을 눌러 시간을 청각신호로 나타냄
음성시계 금액 : 20천원/인 내구연한 : 2년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468Suppl. 1S1S48

2 

N. Y. An J. Y. Kong A survey on need and demands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service of people with disability: Focusing on Chungnam area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2011504121142

3 

Busa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Busan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 Retrieved from http://www.bratc.or.kr/bbs/board.php?bo_table=sub03_04

4 

K. C. Cho A content analysis of the advocacy concept perceived by nurses at nursery room.Child Health Nursing Research21199613262287-9110

5 

K. C. Cho Review on the theory of nursing client advocacy and its applications in child healthcare.Child Health Nursing Research193201314915810.4094/chnr.2013.19.3.1492287-9110

6 

W. S. Choi S. K. Lee C. G. Lim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Seoul, Korea20063172

7 

Chungcheong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Chungcheong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www.cbat.or.kr/inc/sub_contents.html?SubID=00030001

8 

Dae-gu Assistive Technology Center Daegu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datc.daegu.ac.kr/sub02/main02.html

9 

Daejeo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Daegu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s://www.yeswecan.or.kr/community/aidin_list.jsp

10 

11 

Gwangju Assistive Technology Center Gwangju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www.gjat.or.kr/page/sub2_1

12 

Gyeonggi-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Gyeonggi-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atrac.or.kr/support/

13 

Gyeongsangnam-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Gyeongsangnam-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gnatc.or.kr/shop/list.php?ca_id=10

14 

Incheo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Incheon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icatc.or.kr/ajax/serv0105.php

15 

Jeju Assistive Technology Center Jeju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jejuat.or.kr/bbs/board.php?bo_table=3_4_1_1

16 

Jeolla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Jeolla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2016Retrieved from http://www.jbat.or.kr/2015/inner.php?sMenu=B4000

17 

D. H. Jung 2011A stud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satisfa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152129146

18 

M. Y. Jung H. Y. Park J. R. Kim N. Y. Yang I. G. Yoo H. Y. Yum 2009The actual demand and use pattern of assistive devices among employers hiring workers with disabilities.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1727989

19 

Y. H. Jun K. M. Rhee An analysis of satisfaction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vided by sector of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1822014127150

20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2Disability aid grant project item information guideRetrieved from http://knat.go.kr/home/board/brd_lst.php?tb_no=9&page_now=6

21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3aAssistive technology service guide leaflet s for case management project and assistive de viceRetrieved from http://knat.go.kr/home/board/brd_lst.php?tb_no=9&page_now=5

22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3bDisability aid grant project item informati on guideRetrieved from http://knat.go.kr/

23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4a2014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guide leaflets for case management project and assistive deviceRetrieved from http://www.knat.go.kr/depository/140011888190577.pdf

24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4b2014 Disability aid grant project item information guideRetrieved from http://www.knat .go.kr/depository/139815590465492.pdf

25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5a2015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guide leaflets for case management project and assistive deviceRetrieved from http://www.knat.go.kr/depository/142855159454682.pdf

26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5b2015 Disability aid grant project item information guideRetrieved from http://www.knat.go.kr/depository/142846877222256.pdf

27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a2016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guide leaflets for case management project and assistive deviceRetrieved from http://www.knat.go.kr/depository/146069542521352.pdf

28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b2016 Disability aid grant project item information guideRetrieved from http://www. knat.go.kr/depository/146011256181214.pdf

29 

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2016cKorea nat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Retrieved from http://www.knat.go.kr/index.php

3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2016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Retrieved from http://www.moel.go.kr/view.jsp?cate=3&sec=17&mode=view&pimSeq=1&piSeq=1&bbs_cd=OP1617&state=A&seq=14084360510 88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16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701&PAGE=4&topTitle=%C0%C7%B7%E1%C1%F6%BF%F8

32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of Korea 2016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Retrieved from http://www.mpva.go.kr/info/info220_view.asp?id=5800&ipp=50&sType=A&sText=%uBCF4%uCCA0%uAD6C

33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6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Retrieved from http://english.msip.go.kr /english/main/main.do

34 

S. H. Nam The study of meanings and follow-up tasks for enactment of assistive technology act in Korea.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1410201653554210.14400/JDC.2016.14.10.535

35 

D. Y. Oh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AT delivery systems.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1812009161189

36 

J. Y. Park H. Y. Jung M. Y. Chang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using mobility assistive device in stroke patients.Journal of Assistive Technologies42201085991754-9450

37 

H. Y. Yeum A survey of actual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 workers with disability.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233201327401052-2263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