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 및 장애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낙상사고는 노인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건강문제이 다(National Health Insurance, 2011). 낙상은 노인에 있어 자주 발생하는 문제로 조기사망, 신체손상 및 기능장 애는 물론이고 정신적 고통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Masud & Morris, 2001; Stevens, 2005). 미국에서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30.0~50.0%가 낙상을 경험하며 낙상으로 인한 의료비용이 190억 달러를 초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enz, Lord, & Fitzpatrick, 2006; Stevens, Corso, Finkelstein & Miller, 2006). 국내의 경우를 살펴보면 65세 이상 노인의 83.4%가 낙상 을 경험 하였고 이 중 41.8%가 최근 1년 이내 낙상한 경험이 있다고 하였다(Yoo, 2010). 또한 국내의료비 지 출이 2004년 5조 1364억 원에서 2011년 15조 3768억 원으로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중 낙 상으로 인한 비용이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National Health Insurance, 2011).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들은 낙상으로부터 회복되어도 일상생활 수행능력에서의 기능저하 문제를 겪게 되고, 자 신감 상실, 우울증, 낙상두려움 등 심리적 질병을 부수적 으로 갖게 되는 경향이 있다(Kim & Kim, 2011; Legter, 2002; Li et al., 2003; Mangione & Palombaro, 2005; Means et al., 2003; Tinetti, 2003). 또한 노인은 신체 활동을 제한하는 청력, 시력 등의 문제나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그 손상 정도가 커질 수 있으며 손상 후 정상적인 생활로의 복귀 기간도 오래 걸린다(Campbell & Robertson, 2006; Kessel, 2004). 노년기의 낙상경 험이 사망으로 이어지지는 않더라도 낙상 후 신체적 ․ 정 신적 건강을 저해하고 삶의 질이 감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예방해야 할 문제이다(Kim & Kim, 2011).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에 관련된 위험요인은 생물학적 위험요인, 행동적 위험요인, 환경적 위험요인과 사회경제 적 위험요인으로 구분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7). 환경적인 요인 중 주거 시설에서의 발생 이 61.5%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도로(20.0%), 상업시 설(18.5%) 순이며 주거시설에서 발생하는 낙상 중 95.0%는 가정에서 발생하였는데, 가정 내 미끄러운 바닥 이나 계단 등의 위험한 환경적 요인이 25.0~45.0%를 차 지한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09). 낙상의 이유로는 미끄러운 바닥 29.8%, 문턱 8.2%,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힘 5.7%, 급한 경사 3.4%, 어두운 조명 0.8% 등으로 보고되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2011). 이와 같은 낙상은 환경을 개선하면 30.0~50.0%까지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예방이 가능한 문 제일 것이다(조경환, 1997).
환경 위해요인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것은 여러 성공적 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에서 권유되고 있으며 이전 낙상 경험이 있거나 낙상의 위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집 안 환경을 평가, 추적 관찰,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Kenny et al., 2011).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적 중재는 물리적인 환경의 조절보다는 각 개인의 특이 상황과 환 경간의 적합성을 고려하고 기능적 제한에 근거한 환경 개조를 통해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 는 중재방법을 탐색하고 적용해야 한다(Choi & Lee, 2010; Iwarsson et al., 2009; Kim, 2012).
이러한 낙상 방지를 위해 국내에서 주로 사용된 낙상환경 위험 평가도구로는 가정환경 조사지(Home Environmental Checklist; HEC), 낙상위험에 대한 가정용 점검표인 주거 환경 위험평가(Checklist for Home Fall Hazard; CHFH) 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유형준, 2003; Beers et al., 1999; Choi & Lee, 2010; Jang & Kim, 2002; Jang & Kim, 2006; Josephson et al., 1991; Kim, 2009; Kim, 2011; Kim, 2012; Park, 2004; Tideiksaar1997). 또한 국외에서 출판된 낙상위험에 대한 평가 도구들은 Safe At Home: A Quick Home Safety Assessment, Falls Risk Assessment, Safe Living Guide: A Guide to Home Safety for Seniors 등이 있다(Flemming, 2006; Robnett, Hopkins, & Kimball, 2002;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11). 하지만 기존의 도구는 낙상의 위험 요인들을 평가하지만 검사자격이 제한되거나 환경의 다양성이 부족 하였고 평가와 함께 해결책을 동시에 제공하 는 도구는 없었다(Tomita, Saharan, Rajendran, Nochajski, & Schweitzer, 2014).
기존의 도구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가정 안전 자가 평가 도구(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HSSAT)는 가정에서의 낙상 위험인자를 식별하 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도구이다(Tomita et al., 2009). 많은 노인은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가정환경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으며 개선에 대한 해결책 과 지원이 있을 경우 직접적인 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Tomita et al., 2014). 실제로 HSSAT를 평가한 후 해 결책을 제시한 결과 가정 안전 개선의 절반 이상이 1개월 이내에 수정되었고 3개월 후에는 주택 개량의 약 78.0% 가 이루어졌다고 보고되었다(Tomita & Rajendran, 2010). 기존의 임상 도구와 대조적으로 클라이언트가 도구 제작과정에 직접 참여하였으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비전문적인 언어와 그림을 통해 직접 환경 문제 를 식별하고 가정에서의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평가 후 각 항목마다 제시된 해결책을 통하여 개별화 된 계획 을 수립할 수 있다(Horowitz et al., 2013). 최근 국내에 서도 작업치료사들의 주거안전에 대한 선별 평가와 포괄 적 지원 서비스 연계를 위한 케어메니저로서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Chang et al., 2016).
이에 본 연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HSSAT를 번안한 후 번안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평가 후 낙상 환경 위험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동시에 제시하는 평가도구를 통해 노인들의 낙상예방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연구 대상자
연구는 2016년 10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평가를 진행 하였다. 충청, 전라, 경상지역의 지역사회에 거주하 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 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227명을 대상으로 실 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평가에 앞서 조사자들은 임상 경력 3년 이상의 작업치료 사 5명과 연구자 1명 총 6명이 진행 하였으며 사전에 연 구자에게 도구에 관한 교육과 설명을 듣고 평가를 실시 하도록 하였다. 연구자 및 조사자들은 각 지역의 노인정 및 마을회관을 사전연락 후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사전 면담을 통하여 뇌졸중 및 척수손상, 치매 등의 신경학적 진단을 받은 노인은 제외하였다. 모든 자료의 수집은 건 양대학교 IRB의 승인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IRB 과제번 호 2016-028).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Table 1
2.연구 도구
가정안전 자가 평가 도구(Home Safety Self- Assessment Tool: HSSAT)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HSSAT)는 가정 안에 낙상 위험 인자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평 가도구이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의견을 반영하였고 클라 이언트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비전문적인 언어와 그 림을 사용한다(Horowitz et al., 2013). 출입구 및 복도 등의 외부위험요인 20문항, 거실, 주방, 침실, 욕실 등의 내부위험요인 47개 문항으로 총 67개 문항으로 구성되 어있다. 도구는 그림과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험하다’는 1점, ‘위험하지 않다’는 0점으로 구 성된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되어있다. 대상자는 그림을 보고 자신의 집에서 위험하다고 해당하는 항목에 체크를 하며 존재하지 않는 구조물이나 환경은 체크하지 않는다. 이 도구의 내용타당도는 .98,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97 이며, 평가자간 신뢰도는 .89, 미국 질병대책 센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의 가정안전 예방 점검표와의 수렴 타당도는 .65로 보고되었다(Tomita et al., 2014)(Table 2).
주거환경위험평가(Checklist for Home Fall Hazard; CHFH)
주거환경위험평가는 내부위험요인 19문항과 외부위 험요인 10문항, 총 29문항으로 ‘위험하다’는 1점, ‘위험 하지 않다’는 0점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되어 있다. 구조적위험, 방과 부엌, 욕실과 화장실, 집 밖 으로 장소를 구분하고 각 영역마다 위험요인에 대한 점수가 높을수록 낙상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낸다. 구조적 위 험요인은 6점 만점 중에 3점 이상, 방과 부엌의 위험요인 점수는 7점 중 2점 이상, 욕실과 화장실의 위험요인 점수 는 6점 중 3점 이상이면 낙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각 장소를 모두 합한 총점이 9점 이상일 경우 낙상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다고 해석한다. 주거환경위험 평가의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집안 측정 시 .63, 집 밖 측정 시 .62이다(Choi & Lee, 2010; Josephson et al., 1991)(Table 3).
3.연구 과정
HSSAT의 한국어 번안 과정
HSSAT의 연구에 대한 모든 과정은 원 저자의 동의를 받아 진행 하였으며 번역 과정과 역 번역 방법을 사용하 여 번안을 실시하였다(Beaton et al., 2000). HSSAT의 번안을 위해 전문 영문 번역가 2명이 참여하였다. 번역 후 전문가들로 구성된 번역검증 위원회를 통하여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번역 적합성 검증 후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10명과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5명에게 한국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 (Korean-translated Version of Home Safety Self- Assessment Tool; K-HSSAT)의 문항 이해도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항 이해도 검증은 5점 Likert척도를 사용 하여 응답자 중 80.0% 이상이 ‘보통’(3점), ‘대부분 이해 됨’(4점), ‘매우 이해 잘됨’(5점)으로 표시한 문항은 수정 에서 제외하였고 80.0%를 넘지 않을 경우 검증 위원회 에 회부하였다(Park & Yoo, 2009).
문항 이해도 검증을 통과한 후 작업치료학과 교수 1 명, 작업치료사 3명이 참여하여 검증위원회의 회의를 통 하여 최종 점검 하였다. 그 후 번역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최종 한글 번역본을 영어로 역 번역 하였다. 2개 국어가 가능한 언어학자 1명, 작업치료학과 교수 1명,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3명 총 5명이 5점 척도를 사용하 여 원문과 역 번역본 간에 문장구조의 유사성 및 의미전 달의 유사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Figure 1).
한국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Koreantranslated Version of Home Safety Self- Assessment Tool(K-HSSAT)의 타당도 검증
(1)내용타당도 지수 산출(Content Validity Index; CVI)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각 문항의 적합성에 대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평가도구의 문항 구성이 측정하고자 하는 계념을 얼마나 적절히 포함하고 있는가 에 관한 정도를 의미하는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작업치료학과 교수 1명과 임상 5년 이상 작업치료사 6 명, 대졸이상의 지역사회 거주노인 3명이 우리나라의 낙 상환경평가로 타당한지 조사 하였다. 각 문항의 타당도 정도는 ‘매우 타당하다’ 5점, ‘대체로 타당하다’ 4점, ‘보 통’ 3점, ‘별로 타당하지 않다’ 2점, ‘전혀 타당하지 않다’ 1점으로 된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CVI를 산출하 였다.
(2)수렴타당도 검증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K-HSSAT와 Josephson 등이(1991)이 개발한 CHFH를 번안한 도구를 대상자들에 게 평가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Choi & Lee, 2010).
4.분석 방법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 였다. 내용타당도 지수 산출은 5점 척도로 모인 자료를 1점은 0, 2점은 0.25, 3점은 0.5, 4점은 0.75, 5점은 1.0 으로 할당하여 각 문항별로 산술평균을 산출하였다(Polit & Beck, 2006).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Pearson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 검증은 Pearson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은 Pearson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결책을 적용한 전후비교를 위하여 대응표 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 수준 α는 0.05로 한다.
연구 결과
1.번안 과정
2.K-HSSAT의 타당도 검증
수렴타당도 검증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K-HSSAT와 CHFH 간 의 총점 간 상관계수와, K-HSSAT의 9가지 영역과 CHFH의 4가지 영역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평가 도구의 총점 간 상관계수는 .58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 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p<.01). K-HSSAT의 총점과 CHFH의 각 영역 간 상관계수는 .23~.52의 범위를 보였고 CHFH의 총 4개 영역에서 구 조적 문제영역 .232, 방과 부엌영역 .520, 화장실과 욕실 영역 .418, 집 주변영역 .271로 모두 의미 있는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p<.01)(Table 4).
3.K-HSSAT의 신뢰도 검증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K-HSSA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은 각 영역별 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출입문 및 앞뜰입구(r=.901), 뒷/옆문 출입구(r=.911), 복도 또는 현관(r=.777), 거실(r=.944), 주방(r=.958), 침 실(r=.427), 화장실(r=.536), 계단(r=.921), 세탁실/ 지하(r=.946)의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p<.05)(Table 5).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
K-HSSAT의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은 각 영역별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출입문 및 앞뜰입구(r=.921), 뒷/옆문 출입구(r=.852), 복도 또 는 현관(r=.757), 거실(r=.939), 주방(r=.795), 침실 (r=.899), 화장실(r=.926), 계단(r=.871), 세탁실/지 하(r=.955)의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Table 6).
4.K-HSSAT의 해결방안 적용
임의로 선정된 10명을 대상으로 K-HSSAT의 해결책 을 참고하여 스스로 환경수정을 하도록 하였다. 환경 수정 사항의 비교를 위하여 2주 간격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정 전 17.40±4.55, 수정 후 12.70±3.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Table 7).
고 찰
이전에 낙상경험이 있거나 현재 낙상의 위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집안 환경을 평가하고 추적 관찰 및 개 선하는 것은 성공적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에서 자주 권 유되고 있다(Kenny et al., 2011). 노인들은 낙상을 방 지하기 위해 자신의 가정환경을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개선에 대한 해결책과 지원이 있을 경우 직접적 인 개선이 가능 할 것이다(Tomita et al.,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환경을 개 선할 수 있는 HSSAT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번역 및 역 번역 검증 과정을 거쳐 HSSAT를 번안하여 K-HSSAT 를 개발하고, 노인을 대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 하였다.
HSSAT는 가정 내의 출입문 및 앞뜰입구, 뒷/옆문 출 입구, 복도 또는 현관, 거실, 주방, 침실, 화장실, 계단, 세 탁실/지하 9가지 영역에서 낙상 환경 위험을 평가하는 도구이다(Tomita et al., 2009). 다른 문화권에서 개발 된 HSSAT를 번안하려면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줄이고 모국어에 적합하게 번안해야하며 원문이 내포하고 있는 내용의 동등성을 유지해야 한다(Regmi, Naidoo, & Pilkington, 2010). 따라서 번역 검증 위원회의 접근 방 법과 역 번역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Brislin, 1970).
완성된 K-HSSAT의 타당도를 수립하기 위하여 내용 타당도와 수렴타당도의 2가지 타당도 연구를 실시하였 다. 내용타당도 지수 산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 시하였고 HSSAT와 유사한 계념을 측정하는 CHFH와 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 산출에서는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각 문항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7개 문항에 대한 문항별 점수가 .78~1.00에 분포하였다. 내 용타당도 지수의 결과 해석을 위해서는 9명 이상이 참여 했을 경우, 내용타당도 지수 값이 .78 이상일 경우에 적절 한 수준임을 권고한다(Polit, Beck, & Owen, 2007). 선 행연구에서는 .98의 내용타당도를 수립하였으며 본 연구 에서도 10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K- HSSAT의 내용타당 도 지수 값은 .94로 높은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Tomita et al., 2014).
수렴타당도 검증에서는 K-HSSAT와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는 CHFH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Choi & Lee,, 2010). 선행연구에서의 CDC의 가정안전 예방 점 검표와의 수렴 타당도는 .65로 보고되었다(Tomita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각 영역과 총점간의 상관성을 측정하 였다. 평가도구의 총점 간 상관계수는 .58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p< .01). K-HSSAT의 총점과 CHFH의 각 영역 간 상관계 수는 r=.23에서 r=.52의 범위를 보였고, CHFH의 총 4 개 영역 모두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비록 선행연구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지는 않았 지만 비슷한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와 상관성을 측정하는 수렴타당도에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K-HSSAT의 신뢰도를 수립하기 위하여 내적일치도 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 였다.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 값을 이용하여 산출 하였다. 평가도구의 전체 문항에 대한 α 값이 .40이 최 저허용 수준이며 .60 이상이면 충분히 양호한 수준의 신 뢰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Ware & Gandek, 1998; 성 태제, 2014). 본 연구에서 총 67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는 .895로 매우 높은 수준의 내적일치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HSSAT의 내적일치도를 확인하 였고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재검사는 초기 검사와 1달 간 격을 두고 반복 실시하였다.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상관계수 값이 1에 가 까울수록 신뢰도 높은 도구로 간주하며 .75 이상의 값을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Portney & Watkins, 2009). 본 연구에서의 총점의 상관계수 값은 .96 이었고 선행연구에서의 상관계수 값은 .97 이었다 (Tomita et al., 2014).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 구의 결과를 지지하여 HSSAT가 높은 재검사 신뢰도를 갖는 도구로 해석된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확 인하였다. 검사자간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임의로 선정된 30명을 대상으로 K-HSSAT의 평가를 2회 실시 하였다. 평가 시 2명의 조사자들이 짝을 이루어 측정하도 록 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총점의 상관계수 값 은 .97로 선행연구에서의 .87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Tomita et al., 2014).
HSSAT의 특징 중 하나인 해결책에 대한 유용성을 알 아보기 위하여 임의로 선정된 1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도구의 낙상환경 위험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그 결 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해결책 제시 2주 후 낙상환경 위험에 대한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실제 로 HSSAT 평가 후 이를 바탕으로 해결책을 제시한 결 과 가정 안전 개선사항의 절반 이상이 1개월 이내에 개선 되었고 3개월 후에는 주택 개량의 약 78.0%가 이루어졌 다고 보고되었다(Tomita & Rajendran, 2010). 이는 선 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HSSAT의 낙상 환경에 대한 해결 책이 의미가 있음을 나타낸다(Tomita et al., 2014). 하 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처럼 낙상환경 개선에 대한 기간과 비용이 충분히 주어지지 못하여 주택계량에 대한 사항은 개선되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연구는 K-HSSAT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도구의 해결책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국 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가 노인의 낙상환경위험 측 정을 위한 평가도구로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도구임 이 입증되었다.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환경 위험 평가로 HSSAT가 유일한 평가도구는 아니다. 하지만 HSSAT 은 노인 가정 안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지식을 반영하 고 가정에서의 위험을 평가 후 노인의 가정환경 개선을 위해 노인과 보호자를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Tomita et al., 2014). K-HSSAT를 통하여 노인들은 직접 가정에 서의 위험성을 평가한 후 해결할 수 있고, 환경 위험에 대한 인식도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미국의 경우 처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제도가 뒷받침 된 다면 국내에서도 낙상환경위험에 대한 평가도구로서의 유용성과 노인의 낙상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결 론
본 연구는 노인들의 가정 낙상환경위험도 측정을 위해 K-HSSAT를 개발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 다. 또한, 제시된 해결책을 적용하여 낙상예방효과를 입 증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가정에서 낙상환경 위험과 그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미국에서 개발된 HSSAT의 번역 및 역 번역 검 증과정을 통하여 알맞은 설문 문항을 완성하였다. 총 227명의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K-HSSAT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국내 적 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인들이 낙 상에 대한 문제점을 직접 확인하고 해결책을 가정에 적 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연구의 제한점은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연구 대상의 편의추출을 위하여 대상자가 도시 지역에 편중되 어 있어 농촌이나 어촌 등의 지역에 일반화하기에는 어 려움이 있다. 둘째, 노인뿐만 아니라 같이 사는 동거인 및 가족들의 평가도 같이 진행되었다면 도구의 신뢰도가 더 강하게 입증되었을 것이다. 셋째, 노인들이 가정 환경 수정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있어 적극적으로 환경수정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만약 노인들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복지시설의 지원과 제도를 적극적으로 습 득하고 이용할 수 있다면 도구의 중요성을 보다 강력하 게 입증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노인의 가정 낙상환경 위험 평가와 낙상에 대한 환경적 예방을 위해 보다 많은 환경 수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