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영유아기는 신경기능의 분화와 신경로의 확립에 있어 서 결정적이고 민감한 시기로, 생애 초기의 경험과 두뇌 및 생물학적 발달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행동을 결정 한다(Mustard, 2006). 따라서, 이 시기 발달에 대한 적 절한 평가와 개입은 생애 전반의 건강과 안녕감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Andersen et al., 2003). 보건복지부는 2010년부터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진단비 지원사업을 도입해 발달장애 의심 영유아에 정밀진단비용을 지원하 는 사업을 이어오고 있는데, 이는 영유아기 발달검진 및 조기 개입의 중요성이 사회 제도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한 예라고 볼 수 있다.
영유아 발달 영역 중 특히 초기 대근육 운동발달은 이 후 대근육, 소근육, 인지, 언어 및 사회-정서 발달을 예 측할 수 있는 주요 영역으로 강조되고 있다(Biringen, Emde, Campos, & Appelbaun, 1995; Bushnell & Boudreau, 1993; Iverson, 2010; Piek, Dawson, Smith, & Gasson, 2008; Saigal, Pinelli, Hoult, Kim, & Boyle, 2003). 주요장애나 의료적 합병증이 없는 건 강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Wijnroks와 van Veldhoven (2003)의 연구에 따르면, 교정 연령 6개월에 목과 몸통 의 과신장(hyperextension of neck and trunk)이나 팔꿈치 신장(elbow extension)등의 문제를 보인 영아 들은 자세조절능력이 좋았던 영아들에 비해 12개월과 24개월에 평가된 BSID-Ⅱ(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의 인지척도와 문제해결 능력 및 주 의력을 알아보는 과제들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Extreme Low Birth Weight; ELBW)를 대상으로 한 Burns, O'Callaghan, McDonell과 Rogers(2004)의 연 구에서도 교정 12개월 경 운동발달이 생물학적, 사회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4세 시기의 인지발달 수준 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근육 운동발 달과 인지발달 간의 관련성은 이외 많은 연구들을 통해 서 지지되고 있다(Murray et al., 2006; Piek et al., 2008; Roth et al., 1994).
한편, 새로운 운동기술의 출현은 사물과 사람에 대한 유아의 경험을 변화시키게 되고, 이는 일반적인 의사소 통 발달 및 언어획득으로 연결된다(Iverson, 2010). 실 제 초기 운동발달과 언어발달 간의 관련성이 여러 연구 들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운동발달에 대한 조기 개입이 언 어발달 위험집단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강조되어 왔다 (Lee, 2011; Viholainen, Ahonen, Cantell, Lyytinen, & Lyytinen, 2002; Viholainen, Ahonen, Lyytinen, Cantell, Tolvanen, & Lyytinen, 2006). 또한, Piek, Barrett, Smith, Rigoli와 Gasson(2010)은 4개월에서 40개월까지의 대근육 운동점수의 안정성이 6세에서 12 세의 불안 및 우울 증상의 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한 종단 결과를 제시하면서, 아동기 정서적 문제를 조기에 확인 함에 있어 대근육 운동발달의 평가가 중요한 함의를 가 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영유아 시기 대근육 운동능력은 이후 발달을 위한 기반적 역할(supporting frame)을 하기 때문에, 여 러 발달 영역의 위험을 예측하고 조기에 개입하기 위해서 는 대근육 운동발달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 다(Campos et al., 2000).
현재 국내에서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 수준을 측정 할 수 있는 검사를 크게 선별검사와 표준화된 발달진단 검사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 는 선별검사로는 한국형 덴버 발달선별검사-Ⅱ(Korean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 KDDST- II), 한국형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orean Child Development Review; K-CDR), 한국형 영유아 발달선 별검사(Korean Development Screening Test; K-DST) 등이 있다(Eun & Chung, 2014; Shin, Han, Oh, Oh, & Ha, 2002; Shin & Kim, 2006). 그리고 표준화된 종 합 발달진단검사로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2판(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Ⅱ; K-BSID-Ⅱ)이 유일하다(Cho & Park, 2004). 정확 한 조기 진단 및 개입을 위해서는 선별검사가 아닌 정밀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국내에서 표준화되어 사용되 고 있는 발달정밀검사는 현재까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K-BSID-Ⅱ는 여러 연구들을 통해 임상적 유용성이 입증되어 왔지만, 1993년에 개발된 검사이기 때문에 영 유아 발달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검사의 하위영역이 인지척도과 동작척도로만 나 뉘어져 있고, 동작척도에 소근육과 대근육 문항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대근육 운동발달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 렵다는 제한점들이 있다(Kwon, 2003; Li, 2005; Lim & Jang, 2006).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제 3판(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Bayley-Ⅲ)은 BSID-Ⅱ와 달리 인지, 언어(수용언어, 표현언어), 운동 (소근육 운동, 대근육 운동), 사회-정서 및 적응 행동의 다섯 가지 하위 영역으로 세분화 하였다(Bayley, 2006) (Table 1). 이를 통해 다양한 발달 영역을 정밀하게 평가 하고 영역 간 상대적 강점 및 약점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 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BSID-Ⅱ에 비해 신뢰 도 및 타당도를 높이고, 여러 임상 집단(조산아, 전반적 발 달장애, 다운증후군, 뇌성마비 등)을 대상으로 표준화 연 구를 실시하여 Bayley-Ⅲ의 임상적 타당성을 뒷받침 하 고자 하였다(Bayley, 2006).
Table 1
Bayley-Ⅲ의 대근육 운동척도는 BSID-Ⅱ의 운동척 도에서 대근육 발달과 관련된 문항들을 분리하고, 새로 운 문항을 추가하여 총 72항목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이들 문항들은 고개 조절, 체간 조절, 이동 및 운동계 획 등을 측정한다(Bayley, 2006).
Table 2
Items | |
---|---|
5 | Turns head to sides |
21 | Elevates trunk while prone series: Extended arms |
36 | Bounces while standing |
71 | Walks heel to toe |
Bayley-Ⅲ가 출판된 후, 국내에서 Kim(2008)이 16 개월~38개월의 유아 54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타당 도 검증을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전 월령 범주를 포함 시키지 않아 전체 문항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 고, 표집이 서울 및 경기지역으로 제한되어 있어 국내 영 유아 집단을 대표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검사 집단의 특성에 따라 문항 특성이 다르게 추정될 수 있는 고전검사이론에 기반한 문항분석을 했다는 연구방법론 상의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Korean-Bayley-Ⅲ;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표준화연구본을 만들어 문항반응이론(logistic Item Response Theory; IRT)에 근거한 문항분석, 척 도의 타당화 및 신뢰도 검증을 통해 K-Bayley-Ⅲ의 국 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연구 대상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R&D ‘한국형 영유 아 발달검사 서비스 개발’ 2차년도 연구를 위해 표집 된 서울(32%), 경기(15%), 강원(8%), 충청(10%), 호남 (13%), 영남(22%) 지역에 거주하는 생후 16일부터 42 개월 15일에 해당하는 영유아 1,754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원판과 동일하게 아동 월령을 A~Q의 17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월령별 및 성별 분포 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Table 3
한편, 참여자의 지역 및 모의 학력 수준은 통계청의 인 구통계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층화 표집하였으며, 표집의 구성은 Table 4와 같다.
2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 서비스 개발’ 1차년도 예비연구를 거쳐 완성된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K-Bayley-Ⅲ)의 표준화연구본을 사 용하였다.
본 척도는 생후 16일부터 42개월 15일까지의 영유아 를 대상으로 하며, 72개의 문항을 통해 고개와 체간 조 절, 상하지의 움직임을 평가하고, 정적인 자세(앉기, 서 기)에서부터 역동적인 움직임(이동, 협응, 균형, 운동계 획)까지 다양하게 측정한다.
검사 실시는 17개 월령 단계의 시작점을 기저선 문항 으로 하여 시작규칙 및 중지규칙에 따라 시행한다. 시작 규칙이란 시작문항부터 3문항을 연속적으로 통과해야 각 월령의 기저선 능력을 획득한 것으로 간주하는 규칙 으로, 만일 어떤 아동이 시작문항으로부터 연속 3개 문항 중 한 항목이라도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 그 이전 월령의 시작문항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중지규칙이란 연속해 5개 문항을 실패하면 검사를 종료 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시리즈 문항’은 실시 지침이 동 일하나 발달 수준에 따라 적용하는 채점 기준이 다른 문 항들을 의미하며, 이들 문항들은 한 번 시행 후에 동시에 채점하면 된다.
문항 채점은 해당 문항을 통과하면 1점, 실패하면 0점 으로 채점한다. 따라서, 대근육 하위척도 원점수(subtest raw score)는 월령별 시작문항부터 통과한 문항수와 시 작점 이전의 기저선 점수를 합하여 산출된다.
3연구 절차
대근육 운동척도 표준화연구본 제작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표준화연구본은 예비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 제작되었다. 예비연구는 대근육 운동척도 예비연구본 제작, 자료 수집, 연구결과 분석의 절차로 진행되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예비연구본은 번역 및 역번역, 전문가 자문, 현장검증 과정을 거쳐 제작 되었다. 영어로 된 대근육 운동척도를 한국어로 번역 후 기술적 동등성, 표현의 적절성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 국어-영어 이중 언어 전공자의 역번역과 국문학 전공자 의 검증을 거쳤다. 다음으로, 개념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자문(재활의학 교수, 작업치료 교수, 발 달전공 교수, 소아정신의학 교수 등)을 거쳐 각 문항의 의도를 파악하고 우리나라 전문용어에 맞게 일부 용어를 수정하였다. 다음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검사 지시 문을 아동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일부 수정한 후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예비연구본 을 제작하였다.
두 번째로,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예비연구 본을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생후 16일부터 42개 월 15일에 해당하는 영유아 367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 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원판의 예비연구 와 동일하게 총 17개 월령 집단으로 나누어서 각 월령별 로 남녀 각각 10명씩 구성되도록 표집하였으며, 어머니 의 학력을 고려한 층화 표집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대근육 운동척도의 일부 월령대에서 시작점 및 기저선 문항의 조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Table 5와 같이 시작점을 조정하여 표준화연구본을 제 작하였다.
4분석 방법
첫째, 연구 참여자의 월령 단계별, 성별에 따른 영유아 수행의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성별 및 모의 학력에 따라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실 시하였다.
둘째, 문항 난이도는 문항반응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Baysian EAP(Expected A-Posteriori) 방식으로 분 석하였다. 다음으로 고전검사이론을 기반으로 월령 단계 별 문항 통과율을 검토하여 각 단계의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 배치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신뢰도 검증을 위해 척도별, 연령대별로 원판의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 처리 방식과 동일하게 Nunnally 와 Bernstein(1994)에 의해 추천된 공식으로 산출하였 다. 신뢰도 계수의 평균은 Fisher z 변형을 이용하여 계 산하였다(Silver & Dunlap, 1987; Strube, 1988). 그 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 평정자간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급내상관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적 구조에 근거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K-Bayley-Ⅲ 운동척도 및 언어척도와의 상관계 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IBM SPSS Version 21.0과 BILOG-MG3, Mplus 2.14를 사용하였 다(Muthen & Muthen, 2003; Zimowski, Muraki, Mislevy, & Bock, 2003).
연구 결과
1기초통계분석
월령 단계별, 성별, 그리고 모의 학력에 따른 영유아 수행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K-Bayely-Ⅲ의 17개 월령 단계에 따른 영유아 수행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연령 증가에 따라 대근 육 운동척도 원점수의 평균점수도 함께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6). 이는 본 검사가 연령 증가에 따른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 능력을 적절하게 측정하 고 있음을 보여준다.
Table 6
두 번째로, 성별에 따른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남아(M=38.29, SD=3.58)와 여아(M=38.32, SD =3.21)간의 대근육 운동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각 월령 단계별 성차 를 확인한 결과, D, O, P단계를 제외하고 성별에 따른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D단계(3개월 16일~4개 월 15일)에서는 남아의 수행(M=16.78)이 여아의 수행 (M=14.82)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3.073, p<.01). 그러나, O단계(28개월 16일~32개 월 30일)에서는 여아의 수행(M=61.85)이 남아(M= 59.88)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고(t=-2.793, p<.01), P단계(33개월 0일~38개월 30일)에서도 여아의 수행 (M=64.58)이 남아(M=62.88)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 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2.975, p<.01).
마지막으로, 모의 학력에 따른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문항분석
문항 난이도 분석
Bayley-Ⅲ는 능력검사로서 검사 문항들이 난이도 수 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이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 해 대근육 운동척도 문항의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문항반응이론은 문항특성 불변성(invariance concept of item characteristic)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문항 난이 도, 문항 별별도, 문항 추측도가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난이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문항 반응이론에서 문항 난이 도 지수는 일반적으로 –2.0 이하는 ‘매우 쉽다’, -2.0 ~-.5는 ‘쉽다’, -.5~+.5는 ‘중간이다’, +.5~+2.0은 ‘어 렵다’, +2.0 이상은 ‘매우 어렵다’로 해석한다(Seong, 2001). Baysian EAP로 분석한 문항 난이도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총 72개 문항에 대한 난 이도를 살펴보면, 난이도 지수는 ‘매우 쉽다(-3.11)’에 서 ‘매우 어렵다(2.28)’로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까 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문항 1번부터 72번까지 난이도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 다. 그러나, 문항 난이도에 따라 문항의 순서를 재배열하 였을 경우, 원척도보다 4문항 이상 차이가 나는 문항들이 일부 나타났다. 25번 ‘등에서 배로 뒤집기’는 난이도가 낮아서 원척도보다 5문항 앞으로 이동하였고, 48번 ‘뒤 로 2걸음 걷기’ 문항은 난이도가 높아져서 원척도보다 4 문항 뒤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이들 문항들에 대한 검사 실시 및 채점 기준에 대한 검토와 함께 문화차에 관한 선 행 연구 검토가 요구된다.
한편, K-Bayley-Ⅲ 표준화연구본에서 시리즈 문항 순서도 적절한 난이도로 배치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Table 8). 모든 시리즈 문항들이 문항 순서에 따라 난이 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K-Bayley- Ⅲ 표준화연구본의 시리즈 문항의 순서가 적절히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표준화연구본이 각 월령 단계별로 시작점 문항 및 기저선 문항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월령 단계별 시작점 문항 및 기저선 문항의 문항 통과율을 확인하였다(Table 9).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시작점 문항은 95% 이상, 기저선 문항은 90% 이상의 문항 통과율을 보여 시작점 과 기저선 문항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단계(2개월 16일~3개월 15일), I단계(11개월~13개 월15일), M단계(22개월16일~25개월15일), 그리고 N 단계(25개월16일~32개월30일)에서 일부 시작 및 기저 선 문항이 90% 이하의 통과율을 보여 이들 월령 단계의 기저선 문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와 H단계의 경우, 기저선 문항을 넘어서도 100% 의 통과율을 보여 검사의 효율성을 위해 시작점을 뒤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RT에 근거한 문항 난이도(b)와 구분하기 위하여, 고전 검사이론에 근거한 문항 난이도는 여기부터는 ‘문항통과 율(P)’로 지칭하였다.
Table 9
3신뢰도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 기 위하여 내적일관성(Cronbach's α), 검사-재검사 신 뢰도 및 평정자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내적일관성 신뢰도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내적일관성은 규 준 샘플의 반분검사신뢰도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대근육 운동척도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두 부 분간 점수의 상관계수를 계산한 후 Spearman-Brown 공식에 의해 신뢰도를 검정하였다(Crocker & Algina, 1986; Li, Rosenthal, & Rubin, 1996). K-Bayley-III 대근육 운동척도의 내적신뢰도 계수를 Table 10에 제시 하였다.
Table 10
A | B | C | D | E | F | G | H | I |
---|---|---|---|---|---|---|---|---|
0.91 | 0.91 | 0.92 | 0.94 | 0.94 | 0.95 | 0.97 | 0.94 | 0.95 |
J | K | L | M | N | O | P | Q | Total |
0.92 | 0.9 | 0.84 | 0.95 | 0.95 | 0.96 | 0.93 | 0.9 | 0.93 |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월령 단계별 내적 일관성은 .84~.97, 전체 문항의 내적일관성 계수는 .93 으로 대근육 운동척도 문항이 매우 동질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검사 신뢰도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시간에 따른 안정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집 아동의 약 14%인 243명을 선출하였고, 본 검사 이후 1~2주일 간격으로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산출한 대근육 운 동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8로 시간에 따라 안정 적으로 측정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1). 재검사 신뢰도 및 평정자간 신뢰도의 표집은 17개의 월령 단계를 4개의 범주(A~E, F~I, J~M, N~Q)로 묶어서 월령 단계 에 걸쳐 고르게 표집도록 하였지만 각 범주 내에서는 무작 위로 선발되었다(알파벳에 해당하는 월령은 Table 3 참 조).
평정자간 일치도
평정자간 일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표본의 약 7%인 64명을 대상으로 평정자 간 일치도를 산출하였 다. 제 1 검사자가 검사를 실시하는 동안 제 2 검사자가 관찰을 통해 독립적으로 채점을 진행하였으며, 두 검사 자의 평정에 대한 급내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대근육 운동척도의 평정자간 일치도는 .74로 적절한 수준인 것 으로 확인되었다(Table 12).
4타당도
본 연구에서는 K-Bayley-Ⅲ의 대근육 운동척도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호상관검증을 하였다. 상호상관검증은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에 대한 증거 를 제공한다. 즉, 이론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검사와는 높 은 상호상관을(수렴타당도), 이론적으로 관련성이 적은 검사와는 낮은 상호상관을(변별타당도) 통해 타당도의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 Bayley-III 미국 표준화 연구에 따르면, 하위 척도 간의 관계에 다음의 2가지 가정을 제 시하였다(Bayley, 2006). 첫째, 한 영역의 발달은 다른 영역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구인들은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모든 하위 척도들은 적어도 낮거나 중간 정도의 상관을 가질 것으로 예측하 였다. 둘째, 상위 척도(예, 운동척도)와 그에 속한 하위 검사(소근육 운동척도 또는 대근육 운동척도)는 이론적 으로 유사한 구인을 측정하기 때문에 높은 상관을 보일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을 토대로 K-Bayley-III 하위 척도 간의 상호상관을 4가지 연령집단(0~6개월, 7~12개월, 13~25개월, 26~42개월)으로 묶어서 알아 보았다(Table 13). 표에 제시된 것처럼, 대근육 운동척 도는 상위 구인인 운동척도와는 .89~.97의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언어척도와는 .63~.73의 중간정도의 상관을 보였다. 즉, 이론적으로 관령성이 있는 검사와는 높은 상 호상관을(수렴타당도), 이론적으로 관련성이 적은 검사 와는 중간수준의 상호상관(변별타당도) 패턴을 보이고 있어 내적 구조에 근거한 구인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고 찰
본 연구는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타당화 연구로서 K-Bayle-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문항 구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점 은 다음과 같다.
첫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기초 자료를 분석하고 문항의 편파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기초자 료분석 결과, 17개 월령 단계의 증가에 따라 대근육 운동 척도 원점수의 평균점수도 함께 증가해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능력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모의 학력 수준 및 성별에 따라 대근육 운동 척도 문항의 편파가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모의 학력 수준에 따른 평균점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 별에 따른 차이도 대부분의 월령 단계에서 나타나지 않 았다. 다만 D단계의 경우 남아의 수행이 여아에 비해 유 의하게 높았으며, O와 P단계에서는 여아의 수행이 남아 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Cho와 Park (2004)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부 일치하는 내용으로, K-BSID-Ⅱ를 이용한 표준화 연구에서도 30개월 여아 가 남아에 비해 동작척도에서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 이 러한 성차는 기본적인 운동기술을 배우는 맥락에서 여아 가 남아에 비해 좀 더 협동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검사자의 지시에 따라 운동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O와 P단계 유아의 수행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Garcia, 1994). 하지만 이 단계의 성차가 선행 연구의 논의처럼 과제 상황의 특성에 한정된 것인 지 아니면 운동능력 자체의 성차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72개 문항을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문항 난이도를 확인한 결과, 원척도와 유사하게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까지 비교 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하지만, 문항 난이도에 따라 문항 순서를 재배열하였을 때, 문항 배치가 원척도 에 비해 4문항 이상 차이가 나는 문항이 있어서 이들 문 항에 대한 검토 및 재배치가 요구되었다. 25번 ‘등에서 배로 뒤집기’는 원척도보다 난이도가 낮아져 5문항 앞으 로 이동하였으며, 48번 ‘뒤로 2걸음 걷기’ 문항은 원척도 보다 난이도가 높아져 4문항 뒤로 이동하였다. 먼저, 25 번 ‘등에서 배로 뒤집기’ 문항 배치는 최근에 개발된 K-DST의 5~6개월 대근육 운동문항 배치와 유사한 결 과이다. 즉, K-DST 대근육 운동척도의 5~6개월의 문 항 배치를 살펴보면, ‘등을 대고 누운 자세에서 엎드린 자 세로 뒤집는다’(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28번 문항과 동일) 문항은 ‘누워 있을 때 자기 발을 잡고 논 다’(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24번 문항과 동일), ‘앉혀주면 양손을 짚고 30초 이상 혼자 앉아 있는 다’(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26번 문항과 동일) 문항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한국 영아들의 경 우 ‘등에서 배로 뒤집기’ 행동이 미국 영아들에 비해 좀 더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행연 구 결과와 난이도 결과를 고려할 때, K- Bayley-Ⅲ 최 종본에서는 25번 문항을 20번 문항(등에서 옆으로 누운 자세로 뒤집기) 뒤인 21번에 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48번 ‘뒤로 2걸음 걷기’의 문항 난이도가 높아져 서 미국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Bayley-III 문항 순서보 다 4문항 뒤로 밀려 배치되었다. 이는 Shin 등(2002) 및 Lee(199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내용으로, DDST-II 를 이용한 수행에서도 한국 아동이 미국 아동에 비해 뒤 로 걷기가 늦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육 문화의 차이 로 인한 발달의 차이일 수도 있지만, 한국 영유아의 억제 적 성향이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즉, 본 문항은 M단계의 기저선 문항이나 N단계의 시작점 문 항으로 낯선 상황에서 낯선 검사자와 상호작용하며 과제 를 수행해야 하는 것이 아동의 과제 수행을 더욱 머뭇거 리게 만들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최종본에 서는 이 문항을 시작점 및 기저선 문항에 포함시키지 않 도록 하고, 검사자 훈련 시 충분한 라포 형성을 강조하며, 수줍음이나 낯가림이 심한 아동이라면 라포 형성 후에 이 문항을 시행할 것을 제안하다.
셋째, 시작점과 기저선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 해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을 확인한 결과, N단계를 제 외한 모든 월령 단계의 시작점 문항이 약 95% 이상의 문항 통과율을 보여 시작점 문항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 타났다. 다만 N단계(25개월 16일~28개월 15일) 시작 문항인 48번(뒤로 2걸음 걷기)은 87%의 통과율을 보여 시작점 문항의 조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48번 문항이 시작 및 기저선 문항에 포함되지 않도록 시작문항을 45 번(도움없이 쪼그려 앉기)으로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대부분의 기저선 문항들도 일부 월령단계를 제 외하고 약 90% 이상의 통과율을 보였다. 하지만, C단계 (2개월 16일~3개월 16일), I단계(11개월 0일~13개월 15일), M단계(22개월 16일~25개월 15일)의 일부 기 저선 문항의 통과율이 90% 이하로 나타나 이에 대한 재 검토가 확인되었다. 먼저, C단계의 경우, 두 번째 기저선 문항인 5번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기’의 통과율이 75% 로 나타났다.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기’문항은 아동이 엎 드린 자세에서 양 측면으로 고개를 돌릴 수 있어야 1점을 받을 수 있는데, 검사자가 아동의 시각적 흥미를 충분히 끌어내지 못한다면 1분 이내에 양 측면으로 모두 고개를 돌리는 행동이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5번 문항 의 통과율은 난이도의 영향보다 검사자의 능숙한 검사수 행과 관찰이 더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 다. 그러므로, 시작 및 기저선 문항의 변경보다는 검사 실시에 대한 주의를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다 음으로 I단계(11개월 0일~13개월 15일)의 경우에는 첫 번째 기저선인 36번 문항 (서있는동안 무릎을 굽혔다 폈 다하기)의 통과율이 84%로 나타나 기저선 문항으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작 문항을 33번(체중 지탱하기)으로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M단계 (22개월 16일~25개월 15일)에서도 두 번째 기저선 문 항인 48번(뒤로 2걸음 걷기)의 통과율이 76%로 기저선 에 문항에 대한 재검토가 제기되었다. N단계와 마찬가지 로 48번 문항이 시작 및 기저선 문항에 포함되지 않도록 시작 문항을 45번(도움없이 쪼그려 앉기)으로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E단계(4개월 16일~5개월 15일)와 H단계(9개 월 0일~10개월 30일)의 경우, 기저선 문항을 넘어서도 100%의 통과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검사 의 효율성 측면에서 시작 및 기저선 문항이 적절하지 않 을 것을 의미한다. K-DDST-Ⅱ의 대근육 영역에서도 생후 만 4개월 이전에 90%의 영아가 ‘머리를 45도 든 다’(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 12번 문항과 동일) 를 통과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의 문항 통과율과 선행 검사도구의 문항 배치를 함께 고 려해 E단계의 시작 문항을 11번(안겨서 이동하는 동안 목 가누기)으로 이동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H단계도 검 사의 효율성을 위해 시작 문항을 26번(도움 없이 앉기 시리즈: 30초)에서 28번(앉아서 몸 돌리기)으로 옮길 것을 제안한다. K-BSID-Ⅱ에서도 9개월의 시작 문항 이 49번 ‘혼자서 몸 돌리기’로 K-Bayley-Ⅲ 대근육 운 동척도 28번 문항과 동일하다.
넷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신뢰도를 검증 하기 위해 반분 신뢰도 방법을 이용한 내적 일관성 계수, 검사-재검사 신뢰도 그리고 평정자간 신뢰도를 확인하였 다.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전체 문항의 내적 일관성 계수는 .93으로 대근육 운동척도의 문항들이 상당 히 동질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월령별 내적 일관성 계수도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반분 신뢰도 수치는 미국의 자료와 유사하거나 약간 더 높은 수치로서, 반분된 문항간 내적 합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한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평정자가 신뢰 도도 적절한 수준으로 시간 및 평정자의 요인에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안정적인 검사임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론적으로 대근육 운동척도의 상위 구 인인 운동발달 영역과는 수렴타당도를 이론적으로 대근 육 운동척도와 다른 구인을 측정하는 언어발달 영역과는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대근육 운동척도는 운동발달 영역과는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언어발달 영역과는 중 간 수준의 상관을 보여 내적 구조에 근거한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미국의 표준화 연구에서도 소근육 운동척도와 운동발달영역과의 상호상관은 .70, 언어발 달 영역과는 .40으로 본 연구 결과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연구에서는 임상집단 분류와 관련되는 진 단기준점을 산출하여 임상적 타당성을 확보하기를 기대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원판과 난이도에서 차이가 났던 문항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관련 된 생태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차이가 한미 영유아의 운동발달 자체의 차이인지, 아니 면 한국 영유아의 기질적 특성으로 인해 나타난 검사 태 도의 차이인지에 대한 추후 탐색이 요구된다.
결 론
본 연구는 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Bayley-Ⅲ 대근육 운동 척도의 표준화연구본을 제작하고, 전국 표본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항분석 결 과, K-Bayley-Ⅲ 대근육 운동척도의 난이도와 월령 단 계별 시작 문항 및 기저선 문항의 통과율은 대부분 적절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문항에서 나타난 원척도와의 난이도 및 월령 단계별 문항 통과율의 차이를 바탕으로 문항 배열과 시작점 및 기저선 문항의 수정이 논의되었 다. 또한, 문항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 자 간 신뢰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도 모두 유의한 수준임 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K-Bayley-Ⅲ가 국내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영유아의 대근육 운동발달에 대한 규준 자료를 토대로 발달 지연을 조기에 확인하고 개입하고자 하는 여러 전문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