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최근 척수손상 환자를 위한 의료기술(medical), 과학 기술(technologic), 약물 관리(pharmacologic management) 와 같은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Donovan, 2006). 그 결과, 척수손상 환자들의 수명은 길어지며, 더욱 기능적인 독립을 획득하게 된다(Magasi, Heinemann, & Whiteneck, 2007). 늘어난 평균 수명으로 재활과 중재의 초점은 급 성기 상태의 의료 관리에서 삶의 질과 지역사회 참여의 질 에 영향을 주는 문제로 변화되었다(Magasi et al., 2007).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는 재활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며,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척수손상 환자의 삶의 만족과도 관련이 있다(Fuhrer, Rintala, Hart, Clearman, & Young, 1992; McColl, Davies, Carlson, Johnston, & Minnes, 2001; Ostir, Ottenbacher, Fried, & Guralnik, 2007).
사회 참여의 재통합을 위한 재활에서 보건의료 전문분야 인 작업치료는 장애인이 가정과 직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최대한 독립성을 성취하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 에서의 참여를 목표로 한다(Stalker, Jones, & Ritchie, 1996). 또한 환자가 지역사회에 참여하여, 한정적인 사회 참여를 높이고, 일반적 사회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업치료에서의 궁극적 치료목표이다(Watson & Wilson, 2003). 이와 같이 작업치료는 환자가 지역사회로 통합되 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필수 인력이다(Kim & Colantonio, 2010; Stalker et al, 1996).
작업치료사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할 때 환경적인 요소 중 방해가 되는 장애물의 식별, 평가, 제거를 해야 한다(Kim, 2007; Newman, 2010). 하지만 국내 작업치료 영역에서는 지역사회의 참여 제한 또는 통합의 영역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일상생활, 인 지 및 지각, 직업 및 작업수행, 감각통합, 이학적 검사, 운동적합성 등의 평가도구 및 검사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Yoo, Jung, Park, & Choi, 2006).
척수손상 환자의 참여 정도는 재활 이후 중요한 결과이기 때문에 참여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Noonan, Miller, & Noreau, 2009; Perenboom & Chorus, 2003; Reinhardt & Stucki, 2007). 그러나 참여 정도가 평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평가도구의 속성이 참여 정도를 확인하기 보다는 특정 건강 상태에 대한 점수의 의미에 관한 결과만을 제공한다(Hall, Dijkers, Whiteneck, Brooks, & Stuart Krause, 1998; Messick, 1995; Streiner & Norman, 2006). 이에 참여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평가할 필요 성이 있다(Noonan et al., 2009).
척수손상 환자의 사회 참여 제한에 관한 평가도구 중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HART)는 척수손상 환자들의 참여 정도, 지역사회 재 통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빈번히 사용되며, 척수손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평가도구라 제시하고 있다 (Kennedy, Lude, & Taylor, 2006; Magasi et al., 2007; Noonan et al., 2009; Wood-Dauphinee et al., 2002). 또한 삶의 질 측정과 재활과 관련된 연구를 위해 사 용되고 있다(Magasi et al., 2007; Wilson, Hashimoto, Dettori, & Fehlings, 2011).
최근에는 척수손상 환자뿐만 아니라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절단, 다발성 경화증, 화상, 뇌성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 지역사회 재통합, 삶의 질을 측정 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Gontkovsky, Russum, & Stokic, 2009; Srinivasan et al., 2009; Tyler, Jensen, Engel, & Schwartz, 2002; Walker, Mellick, Brooks, & Whiteneck, 2003).
이처럼 다양한 연구에서 CHART를 사용하고 있지만,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 정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Golhasani-Keshtan, Ebrahimzadeh, Fattahi, Soltani-Moghaddas, & Omidi-Kashani, 2013; Hall et al., 1998).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일본어, 이란어, 터키어, 인도어 버전의 CHART가 개발되었다(Dijkers, Yavuzer, Ergin, Weitzenkamp, & Whiteneck, 2002; Golhasani-Keshtan et al., 2013; Samuelkamaleshkumar et al., 2010; Tozato et al., 2005).
국내의 연구에서는 Park(2013)이 척수손상 환자 80 명을 대상으로 CHART short form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본래의 원 버전인 CHART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CHART 원 버전의 사용 시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HART를 번안하여 한국판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Korean(CHART-K)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연구 대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와 장애가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 준은 다음과 같다(Tozato et al., 2005). 본 연구는 건양 대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통과 후 진행 하였다(IRB File No. KYUH 2015-06-009-001). 연구 방법은 연구자와 설문을 진행할 조사자들과 대상자 들이 직접 접촉을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를 시행하기 전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 으며, 연구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자만 진행하였다. 선별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편의추출 하였다. 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척수손상환자 100명 일반인 100명이었 다. 척수손상 환자 중 남성은 72명(72.0%), 여성은 28 명(28.0%)이었고 손상의 종류에는 외상성으로 인한 환 자 62.0%와 비외상성으로 발병된 환자 38.0%의 비중으 로 나타났다. 비외상성 환자인 경우 척수염, 척수종양과 같은 질환으로 인한 발병이다(Table 1).
2.연구 도구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HART)와 Korean-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 총 2가지 평가도구를 사용하 였다. 한글 번안 및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하기 위해 CHART 를 사용하였으며, CHART-K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K-CIQ를 사용하였다.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HART)는 척수손상 환자들의 사회 참여 제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Kennedy et al., 2006). 6개 의 영역, 32문항으로 간단하면서 객관적인 측정을 하도 록 개발되었다(Whiteneck, 2011; Whiteneck, Charlifue, Gerhart, Overholser, & Richardson, 1992): 신체적 독 립(physical independence), 인지적 독립(cognition independence), 이동성(mobility), 작업(occupation), 사회 통합(social integration), 경제력(economic self-sufficiency). 각 영역별 점수는 최소 0점에서 최 대 100점으로 영역별 총합은 600점으로 점수화되며, 점 수가 높을수록 참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Whiteneck et al., 1992).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CIQ)
CIQ는 Willer, Rosenthal, Kreutzer, Gordon, & Rempel(1993)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통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Song(2015)이 한 국판으로 번안하여 표준화하였다. 15개 항목으로 구성 되어져 있으며, 3개의 도메인에 따라서 지역사회 통합의 정도에 대해 측정한다: 가정통합(home integration), 사 회 통합(social integration), 생산적 활동(productive activity)(Willer et al, 1993). CIQ는 자가-보고식 설 문지 형태이며,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사회 활동에 친숙 한 가족 구성원이나 간병인의 도움으로도 완성될 수 있 다. 현재 CIQ는 척수손상환자들에게 사용되어질 수 있도 록 연구가 되었으며(Gontkovsky et al., 2009), 지역사 회의 통합과 참여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 어지는 도구이다(Ritchie, Wright-St Clair, Keogh, & Gray, 2014). 총 점수는 0~29점의 범위 내에서 계산되 어지며, 높은 점수는 더 큰 독립성과 지역사회 통합을 나 타내며, 낮은 점수는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Willer et al., 1993).
3.연구 과정
장애가 없는 일반인 및 척수손상 환자 대상으로 2015 년 6월부터 10월 총 5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치료사 5명에게 평가지의 작성 요령과 면담 방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였으며, CHART-K의 평가 방법을 모의 면접을 통해 숙지시켰다. 설문 조사는 여러 지역(서울, 인천/경 기, 충청, 경상)에서 실시되었다(Figure 1).
번안 과정
번역에 앞서 CHART의 원저자에게 한국판 버전으로 의 제작과 연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World Health Organization(2008)과 Brislin(1970) 의 번역 과정 및 역번역 방법을 통해 번안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한글 번역에는 연구자 외 2명이 참석하였다. 적합성 검증을 위해서 2개 국어 사용이 가능한 작업치료 학과 전공 교수 2명이 평가하였다. 두 번째로 이해도 검 증위해 작업치료 전공 대학원생 5명, 성인 작업치료사 5 명,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5명, 총 15 명을 대상으로 검증을 시행하였다. 세 번째로 작업치료 학과 교수 1명, 연구자 외 대학원생 2명, 2개 국어 가능 한 작업치료사 1명, 총 4명이 참여하여 검증 위원회의 회의를 통해 최종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CHART 원문 을 보지 못한 번역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최종으로 완성 된 한글 번역본을 영어로 역번역 하였다. 영어를 모국어 로 하는 1명, 2개 국어가 가능한 작업치료사 1명, 언어학 자 1명, 총 3명에게 5점 척도를 사용해 원문과 역번역본 간에 문장구조의 유사성과 의미전달의 유사성에서 최소 한 ‘보통’(3점) 이상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예비 검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40명을 대 상으로 완성된 평가지의 예비 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고, 하 위 영역들이 동일한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는지 확인하 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1로 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1)타당도 검증
평가 적절성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content validity)를 수립하기 위해 문항 이해도 검증과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산출을 시행하였다. 문항이해도 검증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 하였고, 응답자 중 80% 이상이 3점 이상으로 표시한 문 항은 수정에서 제외하였고, 80%를 넘지 않을 경우 검증 위원회에 회부하기로 하였다(Park & Yoo, 2009).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산출하기 위해 작업치료학과 교수 2명, 임상 경력 3년 이상의 작업 치료사 5명,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3 명으로 총 10명에게 각 문항에 대하여 적합성을 묻는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적합성은 5점 리커 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척수손상 환자 100명에게 CHART-K를 실시하여 측정한 후, 장애가 없는 일반인 대상자 100명과의 차이를 영역별로 비교하였다. 척수손 상 환자는 현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유병기간이 1년 이 상인 자로 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CHART-K와 비슷한 개념을 측정하는 K-CIQ를 동시 에 측정하여 각 문항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4.자료분석
SPSS(win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항 이해도 검증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용하였 다. 내용타당도 지수 산출은 5점 척도로 1점은 0점, 2점은 .25점, 3점은 .5점, 4점은 .75점, 5점은 1점으로 나누어 각 문항별로 산술평균을 산출하였다(Polit & Beck, 2006). 판별타당도는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해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사용해 검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여 문항별 내적일치도를 산출하였으며, 검사-재 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1.예비검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40명을 대 상으로 완성된 평가지의 예비 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적 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Cronbach’s α값은 .73으로 확인 되었다. 각 하위 영역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신체적 독립과 인지적 독립에서 .59, 인지적 독립과 이동성에서 .67, 이동성과 사회 통합에서 .67, 사회 통합과 작업에서 .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2.CHART-K의 타당도 검증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검증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CHART-K의 총점수와 영역별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척수손상 환자의 CHART-K 총점수의 평균은 286.07±87.82이고, 일반 인 대상자는 538.76±47.5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영역별 점수 평균에서는 척수손 상 환자가 신체적 독립, 인지적 독립, 이동성, 작업, 사회 통합, 경제력 6가지 영역 모두 일반인 대상자보다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Table 2).
수렴타당도 검증
CHART-K와 비슷한 개념을 측정하는 K-CIQ를 동시 에 측정하여 각 문항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총점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Table 3). 평가도구의 총점 간 상관계수는 .52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 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p<.01). CHART-K의 총점과 K-CIQ의 영역 간 상관계수는 가정통합 영역에서 .23, 사회 통합 영역에서 .31, 생산적 활동영역에서 .58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3.CHART-K의 신뢰도 검증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초기 검사는 수렴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는 기간과 동 일하게 실시되었으며, 재검사는 2주 후 반복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Table 4). 각 영역별로 Pearson 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적 독립(r=.74), 인지적 독립(r=.73), 이동성(r=.93), 작업(r=.86), 사회 통합 (r=.91), 경제적 독립(r=.99)의 6가지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
고 찰
최근 재활과 중재의 초점은 급성기 상태의 의료 관리 에서 삶의 질과 지역사회 참여의 질에 영향을 주는 문제 로 변화되었다(Magasi et al., 2007). 국내의 선행 연구 에서는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CHART를 사용하여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 다(이범석, 2006; Kim, 2012; Rah et al., 2002). 따라 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HART를 번안하 여 한국판 CHART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 증하였다.
타 문화권에 맞추어 개발되어진 CHART를 번안하기 위해서는 원문이 내포하고 있는 내용적 동등성을 유지하 여야하며,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줄여 모국어에 적합하 게 번안해야 한다(Regmi, Naidoo, & Pilkington, 2010). 따라서 CHART의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은 World Health Organization(2008)과 Brislin(1970)이 제안한 번역 검증 위원회 접근과 역번역 방법을 바탕으로 한글 번역 및 번역 적합성 검증, 이해도 검증, 번역검증 위원회, 역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번안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CHART-K 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시행하였 다. 내적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Cronbach’s α값이 .73으 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이란어로 번안하여 표준화된 CHART-SF의 연구 결과 .61으로 나타났다 (Golhasani-Keshtan et al., 2013). 선행연구와 비교 해 볼 때 동등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수용할 만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문항 이해도 검증 결과 모든 문항이 3~4점대로 3.80±.99에서 4.80±.61 사이 에 점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3점 이하로 표시된 문항이 없었기에 수정이 필요하지 않았다. 척수손상 환자들이 CHART-K의 문항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는 것 을 확인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의 산출하기 위해 문항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결과 32항목에 대한 문항별 점 수가 .85에서 1.00 사이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CHART-K 의 내용타당도 지수는 .97로 높은 내용타당도를 수립하 였으며, 삭제된 문항은 없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에서 척수손상 환자의 총 점수 평균은 286.07±87.82이고, 일반인 대상자는 538.76±47.58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영역별 점수 평균에서는 척수손상 환자가 신체적 독립, 인지적 독립, 이동성, 작업, 사회 통합, 경제력 6가지 영역 모두 일반인 대상자보다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따라서 CHART-K는 장애가 없는 일반 인과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 회 참여 정도를 명확히 판별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에서 CHART와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 는 선별도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CHART와 CIQ는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고 있으며, 선행연구에서 CHART와 CIQ의 각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Golhasani –Keshtan et al., 2013; Hall et al,. 1998). 이에 본 연구에 서도 CIQ를 사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점 간 r= .52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 으로도 유의미하였다(p<.01). CHART –K의 총점과 K-CIQ의 영역 간 상관계수는 r=.23~r=.58의 상관관계 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CHART와 CIQ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선행연구의 결과 에서 상관계수는 r=.39~r=.77의 높은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미하게 일치하였다(Gontkovsky et al., 2009).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 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평가도구의 전체 문항에 대한 α 값이 .40이 최저허용 수준으로(Sung, 2011), .60 이 상이면 충분히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하였 다(Ware & Gandek, 1998). 본 연구 결과 총 32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는 .628로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로 나타 냈다. 아직까지 원문인 CHART의 내적일치도를 확인한 연 구는 없으며,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Short Form(CHART-SF)의 이란어 버전 연구에서는 .61으로 확인되었다(Golhasani-Keshtan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 CHART원문의 내적 일치도를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 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 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r=.73~r=.99로 6가지 영역 모 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상관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50~ .75의 값은 중간정도에서 높은 신뢰도, .75 이상은 매우 높은 신뢰도라 판단된다(Portney & Watkins, 2009). 척수 손상 환자 이외에도 외상성 뇌손상, 다발성 경화증, 뇌졸 중, 절단, 화상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2주 간격으로 확인한 결과 .70~.99로 높은 신뢰도가 확 인되었다(Walker et al., 2003). 본래의 원문 CHART 는 .93을 나타냈다(Whitenec, et al., 1992). 본 연구 결 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같이 6영역 모두 .7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갖는 도구로 해석된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적절한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CHART-K가 척수손상 환자의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 로 기존의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도구이며, 터키, 이란, 일본, 인도어 버전으로 선행되어진 신뢰도 및 타당 도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Dijkers et al., 2002; Golhasani-Keshtan et al., 2013; Gontkovsky et al., 2009; Samuelkamaleshkumar et al., 2010; Tozato et al., 2005; Walker et al., 2003). 또한 척수 손상 환자 이외의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절단, 화상, 뇌성마비 등의 다양한 질환군의 지역사회 참 여도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 한 유용성을 갖춘 도구라 사료된다(Gontkovsky et al., 2009; Srinivasan et al., 2009; Tyler et al., 2002; Walker et al., 2003).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 대상자의 편의추출을 사용하여 연구의 대상자가 특정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연구 결과를 전국의 척수손상 환자에게 일반화하는 것에 어려 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래의 원문의 CHART의 개발 이후 항목을 수정 보완하여 총 19개의 항목으로 CHART-SF가 개발되어, 간결함을 위해 수정 보완이 이 루어져 편리성과 시간 단축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Mellick, 2000). 하지만 본래의 원문은 한국어 버전으 로 연구가 되어있지 않았다. 또한 세부적인 지역사회 통 합 및 참여를 확인하는 것에 부족하며, 척수손상, 외상성 뇌손상 질환을 제외한 다른 질환을 가진 대상군들의 검 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Gontkovsky et al., 2009; Hall, Bushnik, Lakisic-Kazazic, Wright, & Cantagallo, 2001; Tozato et al., 2005).
그러나 CHART 본래의 원문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지역 사회 재통합 및 참여 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며, 가장 빈 번히 사용되고 있다(Kennedy et al., 2006; Magasi et al., 2007; Noonan et al., 2009; Wood-Dauphinee et al., 2002), 또한 현재 다양한 질환군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의 광범위한 검증이 이루어졌다(Gontkovsky et al., 2009; Srinivasan et al., 2009; Tyler et al., 2002; Walker et al., 2003). 또한 CHART-SF가 개발 된 이후의 국내 선행연구들에 CHART의 원문을 사용하 였다(Kim, 2012; 이범석, 2006; Rah et al., 2002).
따라서 한국판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K)는 척수손상 환자 들의 지역사회 재통합 및 참여 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 하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척수손상 환자 이외의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유용하게 사 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Korean (CHART-K)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 고자 하였다.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 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의 번역 및 역번역 검증과정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알맞은 설문 문항을 완 성하였고, 완성된 CHART-K 통해 예비 연구를 진행하 였다. 결과 신뢰할만한 수준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1).
본 연구를 통해 CHART-K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 인하였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적절한 타당도 검증이 이 루어지지 않아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 라서 CHART-K가 척수손상 환자의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 기존의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도구이며, 척수손상 환자 이외의 다양한 질환군의 참여도를 파악하 여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유용성을 갖 춘 도구로 사용되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