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손상 환자를 위한 한국판 크레이그 핸디캡 평가(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Korean: CHART-K)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서 론

최근 척수손상 환자를 위한 의료기술(medical), 과학 기술(technologic), 약물 관리(pharmacologic management) 와 같은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Donovan, 2006). 그 결과, 척수손상 환자들의 수명은 길어지며, 더욱 기능적인 독립을 획득하게 된다(Magasi, Heinemann, & Whiteneck, 2007). 늘어난 평균 수명으로 재활과 중재의 초점은 급 성기 상태의 의료 관리에서 삶의 질과 지역사회 참여의 질 에 영향을 주는 문제로 변화되었다(Magasi et al., 2007).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는 재활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며,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척수손상 환자의 삶의 만족과도 관련이 있다(Fuhrer, Rintala, Hart, Clearman, & Young, 1992; McColl, Davies, Carlson, Johnston, & Minnes, 2001; Ostir, Ottenbacher, Fried, & Guralnik, 2007).

사회 참여의 재통합을 위한 재활에서 보건의료 전문분야 인 작업치료는 장애인이 가정과 직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최대한 독립성을 성취하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 에서의 참여를 목표로 한다(Stalker, Jones, & Ritchie, 1996). 또한 환자가 지역사회에 참여하여, 한정적인 사회 참여를 높이고, 일반적 사회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업치료에서의 궁극적 치료목표이다(Watson & Wilson, 2003). 이와 같이 작업치료는 환자가 지역사회로 통합되 는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필수 인력이다(Kim & Colantonio, 2010; Stalker et al, 1996).

작업치료사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할 때 환경적인 요소 중 방해가 되는 장애물의 식별, 평가, 제거를 해야 한다(Kim, 2007; Newman, 2010). 하지만 국내 작업치료 영역에서는 지역사회의 참여 제한 또는 통합의 영역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일상생활, 인 지 및 지각, 직업 및 작업수행, 감각통합, 이학적 검사, 운동적합성 등의 평가도구 및 검사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Yoo, Jung, Park, & Choi, 2006).

척수손상 환자의 참여 정도는 재활 이후 중요한 결과이기 때문에 참여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Noonan, Miller, & Noreau, 2009; Perenboom & Chorus, 2003; Reinhardt & Stucki, 2007). 그러나 참여 정도가 평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평가도구의 속성이 참여 정도를 확인하기 보다는 특정 건강 상태에 대한 점수의 의미에 관한 결과만을 제공한다(Hall, Dijkers, Whiteneck, Brooks, & Stuart Krause, 1998; Messick, 1995; Streiner & Norman, 2006). 이에 참여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평가할 필요 성이 있다(Noonan et al., 2009).

척수손상 환자의 사회 참여 제한에 관한 평가도구 중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HART)는 척수손상 환자들의 참여 정도, 지역사회 재 통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빈번히 사용되며, 척수손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평가도구라 제시하고 있다 (Kennedy, Lude, & Taylor, 2006; Magasi et al., 2007; Noonan et al., 2009; Wood-Dauphinee et al., 2002). 또한 삶의 질 측정과 재활과 관련된 연구를 위해 사 용되고 있다(Magasi et al., 2007; Wilson, Hashimoto, Dettori, & Fehlings, 2011).

최근에는 척수손상 환자뿐만 아니라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절단, 다발성 경화증, 화상, 뇌성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 지역사회 재통합, 삶의 질을 측정 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Gontkovsky, Russum, & Stokic, 2009; Srinivasan et al., 2009; Tyler, Jensen, Engel, & Schwartz, 2002; Walker, Mellick, Brooks, & Whiteneck, 2003).

이처럼 다양한 연구에서 CHART를 사용하고 있지만,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 정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Golhasani-Keshtan, Ebrahimzadeh, Fattahi, Soltani-Moghaddas, & Omidi-Kashani, 2013; Hall et al., 1998).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일본어, 이란어, 터키어, 인도어 버전의 CHART가 개발되었다(Dijkers, Yavuzer, Ergin, Weitzenkamp, & Whiteneck, 2002; Golhasani-Keshtan et al., 2013; Samuelkamaleshkumar et al., 2010; Tozato et al., 2005).

국내의 연구에서는 Park(2013)이 척수손상 환자 80 명을 대상으로 CHART short form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본래의 원 버전인 CHART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CHART 원 버전의 사용 시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HART를 번안하여 한국판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Korean(CHART-K)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연구 대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와 장애가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 준은 다음과 같다(Tozato et al., 2005). 본 연구는 건양 대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통과 후 진행 하였다(IRB File No. KYUH 2015-06-009-001). 연구 방법은 연구자와 설문을 진행할 조사자들과 대상자 들이 직접 접촉을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를 시행하기 전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였 으며, 연구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자만 진행하였다. 선별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편의추출 하였다. 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척수손상환자 100명 일반인 100명이었 다. 척수손상 환자 중 남성은 72명(72.0%), 여성은 28 명(28.0%)이었고 손상의 종류에는 외상성으로 인한 환 자 62.0%와 비외상성으로 발병된 환자 38.0%의 비중으 로 나타났다. 비외상성 환자인 경우 척수염, 척수종양과 같은 질환으로 인한 발병이다(Table 1).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Discriminant Validity (N=200)

../figures/JKSOT-26-25_T1.jpg

척수손상 환자의 선정 기준

  • (1) 만 18세 이상 성인 척수손상 환자로, 발병기간이 1년 이상인 자

  • (2)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이지 않고, 가정에서 거주하는 자

  • (3)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의 참여하기를 동의하는 자

일반인의 선정 기준

  • (1) 장애가 없는 일반인 중 만 18세 이상인 자

  • (2)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2.연구 도구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HART)와 Korean-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 총 2가지 평가도구를 사용하 였다. 한글 번안 및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하기 위해 CHART 를 사용하였으며, CHART-K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K-CIQ를 사용하였다.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HART)는 척수손상 환자들의 사회 참여 제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Kennedy et al., 2006). 6개 의 영역, 32문항으로 간단하면서 객관적인 측정을 하도 록 개발되었다(Whiteneck, 2011; Whiteneck, Charlifue, Gerhart, Overholser, & Richardson, 1992): 신체적 독 립(physical independence), 인지적 독립(cognition independence), 이동성(mobility), 작업(occupation), 사회 통합(social integration), 경제력(economic self-sufficiency). 각 영역별 점수는 최소 0점에서 최 대 100점으로 영역별 총합은 600점으로 점수화되며, 점 수가 높을수록 참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Whiteneck et al., 1992).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CIQ)

CIQ는 Willer, Rosenthal, Kreutzer, Gordon, & Rempel(1993)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통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Song(2015)이 한 국판으로 번안하여 표준화하였다. 15개 항목으로 구성 되어져 있으며, 3개의 도메인에 따라서 지역사회 통합의 정도에 대해 측정한다: 가정통합(home integration), 사 회 통합(social integration), 생산적 활동(productive activity)(Willer et al, 1993). CIQ는 자가-보고식 설 문지 형태이며,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사회 활동에 친숙 한 가족 구성원이나 간병인의 도움으로도 완성될 수 있 다. 현재 CIQ는 척수손상환자들에게 사용되어질 수 있도 록 연구가 되었으며(Gontkovsky et al., 2009), 지역사 회의 통합과 참여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 어지는 도구이다(Ritchie, Wright-St Clair, Keogh, & Gray, 2014). 총 점수는 0~29점의 범위 내에서 계산되 어지며, 높은 점수는 더 큰 독립성과 지역사회 통합을 나 타내며, 낮은 점수는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Willer et al., 1993).

3.연구 과정

장애가 없는 일반인 및 척수손상 환자 대상으로 2015 년 6월부터 10월 총 5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치료사 5명에게 평가지의 작성 요령과 면담 방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였으며, CHART-K의 평가 방법을 모의 면접을 통해 숙지시켰다. 설문 조사는 여러 지역(서울, 인천/경 기, 충청, 경상)에서 실시되었다(Figure 1).

Figure 1

Study Process

../figures/JKSOT-26-25_F1.jpg

번안 과정

번역에 앞서 CHART의 원저자에게 한국판 버전으로 의 제작과 연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World Health Organization(2008)과 Brislin(1970) 의 번역 과정 및 역번역 방법을 통해 번안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한글 번역에는 연구자 외 2명이 참석하였다. 적합성 검증을 위해서 2개 국어 사용이 가능한 작업치료 학과 전공 교수 2명이 평가하였다. 두 번째로 이해도 검 증위해 작업치료 전공 대학원생 5명, 성인 작업치료사 5 명,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5명, 총 15 명을 대상으로 검증을 시행하였다. 세 번째로 작업치료 학과 교수 1명, 연구자 외 대학원생 2명, 2개 국어 가능 한 작업치료사 1명, 총 4명이 참여하여 검증 위원회의 회의를 통해 최종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CHART 원문 을 보지 못한 번역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최종으로 완성 된 한글 번역본을 영어로 역번역 하였다. 영어를 모국어 로 하는 1명, 2개 국어가 가능한 작업치료사 1명, 언어학 자 1명, 총 3명에게 5점 척도를 사용해 원문과 역번역본 간에 문장구조의 유사성과 의미전달의 유사성에서 최소 한 ‘보통’(3점) 이상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예비 검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40명을 대 상으로 완성된 평가지의 예비 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고, 하 위 영역들이 동일한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는지 확인하 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1로 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1)타당도 검증

평가 적절성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content validity)를 수립하기 위해 문항 이해도 검증과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산출을 시행하였다. 문항이해도 검증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 하였고, 응답자 중 80% 이상이 3점 이상으로 표시한 문 항은 수정에서 제외하였고, 80%를 넘지 않을 경우 검증 위원회에 회부하기로 하였다(Park & Yoo, 2009).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산출하기 위해 작업치료학과 교수 2명, 임상 경력 3년 이상의 작업 치료사 5명,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3 명으로 총 10명에게 각 문항에 대하여 적합성을 묻는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적합성은 5점 리커 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척수손상 환자 100명에게 CHART-K를 실시하여 측정한 후, 장애가 없는 일반인 대상자 100명과의 차이를 영역별로 비교하였다. 척수손 상 환자는 현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유병기간이 1년 이 상인 자로 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CHART-K와 비슷한 개념을 측정하는 K-CIQ를 동시 에 측정하여 각 문항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2)신뢰도 검증

내적일치도(internal consistency)검증은 수렴타당 도 검증에 참여한 동일한 척수손상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검증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20명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초기 검사는 수렴타당도 검증 이 이루어지는 기간과 동일하게 실시되었으며, 재검사는 2주 후 반복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4.자료분석

SPSS(win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항 이해도 검증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시용하였 다. 내용타당도 지수 산출은 5점 척도로 1점은 0점, 2점은 .25점, 3점은 .5점, 4점은 .75점, 5점은 1점으로 나누어 각 문항별로 산술평균을 산출하였다(Polit & Beck, 2006). 판별타당도는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해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사용해 검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여 문항별 내적일치도를 산출하였으며, 검사-재 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1.예비검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40명을 대 상으로 완성된 평가지의 예비 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적 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Cronbach’s α값은 .73으로 확인 되었다. 각 하위 영역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신체적 독립과 인지적 독립에서 .59, 인지적 독립과 이동성에서 .67, 이동성과 사회 통합에서 .67, 사회 통합과 작업에서 .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2.CHART-K의 타당도 검증

내용타당도

(1)문항 이해도 검증

문항 이해도 검증 결과 모든 문항이 3~4점대로 3.80±.99에서 4.80±.61 사이에 점수가 분포하고 있었 다. 따라서 응답자가 3점 이하의 점수로 표시한 항목이 없었기에 수정하지 않았다.

(2)내용타당도 지수

산출 결과 32항목에 대한 문항별 점수가 .85에서 1.00사 이로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CHART-K의 내용타당도 지수는 .97로 높게 나타나 내용타당도를 수립하였다.

판별타당도 검증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CHART-K의 총점수와 영역별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척수손상 환자의 CHART-K 총점수의 평균은 286.07±87.82이고, 일반 인 대상자는 538.76±47.5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영역별 점수 평균에서는 척수손 상 환자가 신체적 독립, 인지적 독립, 이동성, 작업, 사회 통합, 경제력 6가지 영역 모두 일반인 대상자보다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Table 2).

Table 2

Total and Subscale Score Average of SCI Group and Normal Group (N=200)

../figures/JKSOT-26-25_T2.jpg

수렴타당도 검증

CHART-K와 비슷한 개념을 측정하는 K-CIQ를 동시 에 측정하여 각 문항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총점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Table 3). 평가도구의 총점 간 상관계수는 .52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 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p<.01). CHART-K의 총점과 K-CIQ의 영역 간 상관계수는 가정통합 영역에서 .23, 사회 통합 영역에서 .31, 생산적 활동영역에서 .58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Table 3

Convergent Validity of CHART-K (N=100)

../figures/JKSOT-26-25_T3.jpg

3.CHART-K의 신뢰도 검증

내적일치도 검증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였다. CHART-K의 전체 문항에 대한 내적일치도는 .63을 나타내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초기 검사는 수렴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는 기간과 동 일하게 실시되었으며, 재검사는 2주 후 반복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Table 4). 각 영역별로 Pearson 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적 독립(r=.74), 인지적 독립(r=.73), 이동성(r=.93), 작업(r=.86), 사회 통합 (r=.91), 경제적 독립(r=.99)의 6가지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

Table 4

Test-retest Reliability of CHART-K (N=20)

../figures/JKSOT-26-25_T4.jpg

고 찰

최근 재활과 중재의 초점은 급성기 상태의 의료 관리 에서 삶의 질과 지역사회 참여의 질에 영향을 주는 문제 로 변화되었다(Magasi et al., 2007). 국내의 선행 연구 에서는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CHART를 사용하여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 다(이범석, 2006; Kim, 2012; Rah et al., 2002). 따라 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HART를 번안하 여 한국판 CHART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 증하였다.

타 문화권에 맞추어 개발되어진 CHART를 번안하기 위해서는 원문이 내포하고 있는 내용적 동등성을 유지하 여야하며,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줄여 모국어에 적합하 게 번안해야 한다(Regmi, Naidoo, & Pilkington, 2010). 따라서 CHART의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은 World Health Organization(2008)과 Brislin(1970)이 제안한 번역 검증 위원회 접근과 역번역 방법을 바탕으로 한글 번역 및 번역 적합성 검증, 이해도 검증, 번역검증 위원회, 역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번안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CHART-K 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시행하였 다. 내적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Cronbach’s α값이 .73으 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이란어로 번안하여 표준화된 CHART-SF의 연구 결과 .61으로 나타났다 (Golhasani-Keshtan et al., 2013). 선행연구와 비교 해 볼 때 동등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수용할 만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문항 이해도 검증 결과 모든 문항이 3~4점대로 3.80±.99에서 4.80±.61 사이 에 점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3점 이하로 표시된 문항이 없었기에 수정이 필요하지 않았다. 척수손상 환자들이 CHART-K의 문항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는 것 을 확인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의 산출하기 위해 문항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결과 32항목에 대한 문항별 점 수가 .85에서 1.00 사이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CHART-K 의 내용타당도 지수는 .97로 높은 내용타당도를 수립하 였으며, 삭제된 문항은 없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에서 척수손상 환자의 총 점수 평균은 286.07±87.82이고, 일반인 대상자는 538.76±47.58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영역별 점수 평균에서는 척수손상 환자가 신체적 독립, 인지적 독립, 이동성, 작업, 사회 통합, 경제력 6가지 영역 모두 일반인 대상자보다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따라서 CHART-K는 장애가 없는 일반 인과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 회 참여 정도를 명확히 판별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에서 CHART와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 는 선별도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CHART와 CIQ는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고 있으며, 선행연구에서 CHART와 CIQ의 각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Golhasani –Keshtan et al., 2013; Hall et al,. 1998). 이에 본 연구에 서도 CIQ를 사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점 간 r= .52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 으로도 유의미하였다(p<.01). CHART –K의 총점과 K-CIQ의 영역 간 상관계수는 r=.23~r=.58의 상관관계 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CHART와 CIQ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선행연구의 결과 에서 상관계수는 r=.39~r=.77의 높은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미하게 일치하였다(Gontkovsky et al., 2009).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 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평가도구의 전체 문항에 대한 α 값이 .40이 최저허용 수준으로(Sung, 2011), .60 이 상이면 충분히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하였 다(Ware & Gandek, 1998). 본 연구 결과 총 32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는 .628로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로 나타 냈다. 아직까지 원문인 CHART의 내적일치도를 확인한 연 구는 없으며,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Short Form(CHART-SF)의 이란어 버전 연구에서는 .61으로 확인되었다(Golhasani-Keshtan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 CHART원문의 내적 일치도를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 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 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r=.73~r=.99로 6가지 영역 모 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상관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50~ .75의 값은 중간정도에서 높은 신뢰도, .75 이상은 매우 높은 신뢰도라 판단된다(Portney & Watkins, 2009). 척수 손상 환자 이외에도 외상성 뇌손상, 다발성 경화증, 뇌졸 중, 절단, 화상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2주 간격으로 확인한 결과 .70~.99로 높은 신뢰도가 확 인되었다(Walker et al., 2003). 본래의 원문 CHART 는 .93을 나타냈다(Whitenec, et al., 1992). 본 연구 결 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같이 6영역 모두 .7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갖는 도구로 해석된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적절한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CHART-K가 척수손상 환자의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 로 기존의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도구이며, 터키, 이란, 일본, 인도어 버전으로 선행되어진 신뢰도 및 타당 도를 입증한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Dijkers et al., 2002; Golhasani-Keshtan et al., 2013; Gontkovsky et al., 2009; Samuelkamaleshkumar et al., 2010; Tozato et al., 2005; Walker et al., 2003). 또한 척수 손상 환자 이외의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절단, 화상, 뇌성마비 등의 다양한 질환군의 지역사회 참 여도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 한 유용성을 갖춘 도구라 사료된다(Gontkovsky et al., 2009; Srinivasan et al., 2009; Tyler et al., 2002; Walker et al., 2003).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 대상자의 편의추출을 사용하여 연구의 대상자가 특정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연구 결과를 전국의 척수손상 환자에게 일반화하는 것에 어려 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래의 원문의 CHART의 개발 이후 항목을 수정 보완하여 총 19개의 항목으로 CHART-SF가 개발되어, 간결함을 위해 수정 보완이 이 루어져 편리성과 시간 단축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Mellick, 2000). 하지만 본래의 원문은 한국어 버전으 로 연구가 되어있지 않았다. 또한 세부적인 지역사회 통 합 및 참여를 확인하는 것에 부족하며, 척수손상, 외상성 뇌손상 질환을 제외한 다른 질환을 가진 대상군들의 검 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Gontkovsky et al., 2009; Hall, Bushnik, Lakisic-Kazazic, Wright, & Cantagallo, 2001; Tozato et al., 2005).

그러나 CHART 본래의 원문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지역 사회 재통합 및 참여 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며, 가장 빈 번히 사용되고 있다(Kennedy et al., 2006; Magasi et al., 2007; Noonan et al., 2009; Wood-Dauphinee et al., 2002), 또한 현재 다양한 질환군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의 광범위한 검증이 이루어졌다(Gontkovsky et al., 2009; Srinivasan et al., 2009; Tyler et al., 2002; Walker et al., 2003). 또한 CHART-SF가 개발 된 이후의 국내 선행연구들에 CHART의 원문을 사용하 였다(Kim, 2012; 이범석, 2006; Rah et al., 2002).

따라서 한국판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K)는 척수손상 환자 들의 지역사회 재통합 및 참여 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 하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척수손상 환자 이외의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유용하게 사 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Korean (CHART-K)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 고자 하였다.

척수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 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의 번역 및 역번역 검증과정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알맞은 설문 문항을 완 성하였고, 완성된 CHART-K 통해 예비 연구를 진행하 였다. 결과 신뢰할만한 수준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1).

본 연구를 통해 CHART-K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 인하였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적절한 타당도 검증이 이 루어지지 않아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따 라서 CHART-K가 척수손상 환자의 국내 재활의 결과 측정 및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 기존의 평가도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도구이며, 척수손상 환자 이외의 다양한 질환군의 참여도를 파악하 여 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유용성을 갖 춘 도구로 사용되어지길 기대한다.

References

1 

이범석. (2006). 전신마비 척수손상인의 삶과 컴퓨터 접 근 기술 이용 사례.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06, 2436-2483.

2 

Brislin, R. W. (1970). Back-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 185-216. doi:10.1177/1359104570001003010022-0221

3 

Dijkers, M. P., Yavuzer, G., Ergin, S., Weitzenkamp, D., & Whiteneck, G. G. (2002). A tale of two countries: Environmental impacts on social particip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40, 351-362. doi:10.1038/sj.sc.3101310120804631362-4393

4 

Donovan, W. H. (2006). Donald munro lecture. Spinal cord injury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Spinal Cord Medicine, 30(2), 85-100. 10.1080/10790268.2007.11753918175912211079-0268

5 

Fuhrer, M. J., Rintala, D. H., Hart, K. A., Clearman, R., & Young, M. E. (1992).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to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amo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living in the commun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 552-557.16223040003-9993

6 

Golhasani-Keshtan, F., Ebrahimzadeh, M. H., Fattahi, A. S., Soltani-Moghaddas, S. H., & Omidi-Kashani, F. (2013). Valid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Persian version of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 short form.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5, 1909-1914. doi:10.3109/09638288.2013.768710234806470963-8288

7 

Gontkovsky, S. T., Russum, P., & Stokic, D. S. (2009). Comparison of the CIQ and CHART short form in assessing community integra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pinal cord injury: A pilot study. Neurorehabilitation, 24, 185-192.doi:10.3233/NRE-2009-0467193397571053-8135

8 

Hall, K. M., Bushnik, T., Lakisic-Kazazic, B., Wright, J., & Cantagallo, A. (2001). Assessing traumatic brain injury outcome measures for long-term follow-up of community-based individual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 367-374. doi:10.1053/apmr.2001.21525112457600003-9993

9 

Hall, K. M., Dijkers, M., Whiteneck, G., Brooks, C., & Stuart Krause, J. (1998). The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 Metric properties and scoring. Topics in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4(1), 16-30. doi: 10.1310/V5RU-FRFE-50E6-E2NA1082-0744

10 

Kennedy, P., Lude, P., & Taylor, N. (2006). Quality of life, social participation, appraisals and coping post spinal cord injury: A review of four community samples. Spinal Cord, 44(2), 95-105. doi:10.1038/sj.sc.3101787161300261362-4393

11 

Kim, H., & Colantonio, A. (2010).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in enhancing community integration after acute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709-719. doi:10.5014/ajot.2010.09188210731010272-9490

12 

Kim, W. H. (2012). The efects of activity and family support on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19(1). 76-85. doi:10.12674/ptk.2012.19.1.076

13 

Kim, Y. G. (2007). A search on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13-24. 10.14519/jksot.2017.25.3.02

14 

Magasi, S. R., Heinemann, A. W., & Whiteneck, G. G. (2007). Participation following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An evidence-based review for research. Journal of Spinal Cord Medicine, 31, 145-156. doi:10.1080/10790268.2008.11760705185816611079-0268

15 

McColl, M. A., Davies, D., Carlson, P., Johnston, J., & Minnes, P. (2001). The community integration measur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 429-434. doi:10.1053/apmr.2001.22195112950000003-9993

16 

Mellick, D. (2000). The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short form. Center for Outcome Measurement in Brain Injury, 1, 298-305.

17 

Messick, S. (1995). Validity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alidation of inferences from persons' responses and performances as scientific inquiry into score meaning. American Psychologist, 50, 741-749. doi:10.1037/0003-066X.50.9.7410003-066X

18 

Newman, S. D. (2010). Evidence‐based advocacy: Using photovoice to identify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community particip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Nursing, 35(2), 47-59. doi:10.1002/j.2048-7940.2010.tb00031.x203066120278-4807

19 

Noonan, V. K., Miller, W. C., & Noreau, L. (2009). A review of instruments assessing participation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47, 435-446. doi:10.1038/sc.2008.171192381631362-4393

20 

Ostir, G. V., Ottenbacher, K. J., Fried, L. P., & Guralnik, J. M. (2007). The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n the association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social particip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80, 379-392. 10.1007/s11205-005-6189-9173301500303-8300

21 

Park, K. Y., & Yoo, E. Y. (2009). A study on the readability and content validity of Koreantranslated version of the sensory profi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4), 89-98. 10.14519/jksot.2014.22.4.08

22 

Park, S. (201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Korean version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23 

Perenboom, R. J., & Chorus, A. M. (2003). Measur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 577-587. doi:10.1080/0963828031000137081129593310963-8288

24 

Polit, D. F., & Beck, C. 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 489-497. doi:10.1002/nur.20147169776460160-6891

25 

Rah, U. W., Kim, K. M., Lee, I. Y., Shim, D. S., Rhie, K. S., Im, I. D., & Ko, Y. D. (2002).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egistered disabled persons in Uiwang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 615-625.

26 

Regmi, K., Naidoo, J., & Pilkington, P. (2010).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translation and transliter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9(1), 16-26. doi:10.1177/1609406910009001031609-4069

27 

Reinhardt, J. D., & Stucki, G. (2007). Rheumatoid arthritis and participation the social animal revisited. Journal of Rheumatology, 34, 1214-1216.175520520315-162X

28 

Ritchie, L., Wright-St Clair, V. A., Keogh, J., & Gray, M. (2014). Community integrat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of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measurement and service provision for older adul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5(1), 163-174. doi:10.1016/j.apmr.2013.08.237240164010003-9993

29 

Samuelkamaleshkumar, S., Radhika, S., Cherian, B., Elango, A., Winrose, W., Suhany, B. T., & Prakash, M. H. (2010). Community reintegration in rehabilitated south India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1, 1117-1121. doi:10.1016/j.apmr.2010.04.005205990520003-9993

30 

Song, A. Y. (201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 for patients with stroke(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Daejeon.

31 

Srinivasan, L., Roberts, B., Bushnik, T., Englander, J., Spain, D. A., Steinberg, G. K., ... & Teraoka, J. (2009). The impact of hypopituitarism on function and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recent history of traumatic brain injury and aneurysmal subarachnoid haemorrhage. Brain Injury, 23, 639-648. doi:10.1080/02699050902970778195575670269-9052

32 

Stalker, K., Jones, C., & Ritchie, P. (1996). All change? The role and task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 in scotland.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0(1), 104-108. doi:10.1177/0308022696059003020308-0226

33 

Streiner, D. L., & Norman, G. R. (2006). Precision and Accuracy : Two terms that are neither.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9, 327-330. doi:10.1016/j.jclinepi.2005.09.005165492500895-4356

34 

Sung, T. J. (2011). Modern basic statistics. Seoul, Korea: Hakjisa.

35 

Tozato, F., Tobimatsu, Y., Wang, C. W., Iwaya, T., Kumamoto, K., & Ushiyama, T. (200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for Japanese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5, 357-366. doi:10.1620/tjem.205.357157503320040-8727

36 

Tyler, E. J., Jensen, M. P., Engel, J. M., & Schwartz, L. (200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in interference measures in persons with cerebral pals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 236-239. doi:10.1053/apmr.2002.27466118330280003-9993

37 

Walker, N., Mellick, D., Brooks, C., & Whiteneck, G. G. (2003). Measuring participation across impairment groups using the craig handicap assessment reporting techniqu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2, 936-941. doi:10.1097/01.PHM.0000098041.42394.9A146279300894-9115

38 

Ware, J. E., & Gandek, B. (1998). Methods for testing data quality, 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The IQOLA project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1, 945-952. doi:10.1016/S0895-4356(98)00085-798171110895-4356

39 

Watson, D. E., & Wilson, S. A. (2003). Task analysis: An individual and population approach (2nd ed.). Bethesda, MD: AOTA Press.

40 

Whiteneck, G. G. (2011).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Encyclopedia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11, 728-730. doi:10.1007/978-0-387-79948-3_1789

41 

Whiteneck, G. G., Charlifue, S. W., Gerhart, K. A., Overholser, J. D., & Richardson, G. N. (1992). Quantifying handicap: A new measure of longterm rehabilitation outcom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 519-526.16222990003-9993

42 

Willer, B., Rosenthal, M., Kreutzer, J. S., Gordon, W. A., & Rempel, R. (1993). Assessment of community integration following rehabilitation for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8(2), 75-87. doi:10.1097/00001199-199308020-000090885-9701

43 

Wilson, J. R., Hashimoto, R. E., Dettori, J. R., & Fehlings, M. G. (2011). Spinal cord injury an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of outcome measures. Evidence-based Spine-care Journal, 2(1), 37-44. doi:10.1055/s-0030-1267085229569351663-7976

44 

Wood-Dauphinee, S., Exner, G., Bostanci, B., Glass, C., Jochheim, K., Kluger, P., ... & Rommel, T. (2002).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basic issues,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0, 135-149.124543620922-6028

4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Retrieved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46 

Yoo, E. Y., Jung, M. Y., Park, S. Y., & Choi, E. H. (2006).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3), 27-37.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