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작업치료 실행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에 의하면 여가는 일, 자기 관리 또 는 수면과 같은 의무적인 작업 참여 이외의 자유 시간에 참여하는 비강제적이고, 내적동기가 있는 활동을 말한다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노년기의 여가는 고유한 자신의 여가를 선택하 고, 참여함으로써 만족감과 자아존중감을 느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의 증진, 사회접촉의 기회 그리 고 의미 있고 즐거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Kim & Ko, 2013; Leitner & Leitner, 1985). 우리나라에서는 국 민의 생활방식과 시간사용을 측정할 수 있는 ‘생활시간조 사’가 1999년부터 5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통계청 자료는 노인들의 여가시간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Kim, Hong 과 Park(2017)은 2004, 2009,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인의 작업영역 별 시 간사용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로 60대, 70대, 8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여가 시간이 연차가 지남에 따 라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은퇴 이후의 삶이 여가 시간으로 대체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러나 노인들의 여가 참여 선행연구들을 정리하면, 노인 들의 여가 시간이 증가하였지만 TV 시청과 같은 정적인 활동으로 여가의 대부분인 3시간 이상을 소비하는 것으 로 나타나 의미 있는 여가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 임을 알 수 있다(Kim, 2008; Kim, Hong, & Park, 2017; Park, 2009; Na, 2004).
한국 노인들은 노후 여가 시간과 관련해서 준비되지 않은 비율이 49.2% 절반 수준으로 나타나 여가에 대한 인식과 참여도가 낮은 실정이다(Chun et al., 2011). 이 는 은퇴 전까지 여가를 즐기지 못하고 근로에만 치중되 었던 일 중심적인 삶을 살았기 때문에 여가의 탐색과 여 가 시간 활용 방법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해 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치료적 관점으로, 노인의 여가 참여 평가를 통해 노인 개개인의 흥미, 신체적 기능, 환경 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여가활동을 찾아 선택하 는 여가 탐색이 필요하며, 적절한 여가활동의 계획과 참 여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로 노인 신체활동척도(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는 노인의 신체 활동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며 참여하는 여 가 활동과 수행도를 평가하여 노인의 활동 수준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가참여를 포함한 평가로 1995년 미국에 서 최초로 개발한 활동분류카드(Activity Card Sort; ACS)는 클라이언트에게 그림카드를 제시하고 자신의 활 동 수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여 클라이언트 의 전반적인 작업 참여 수준을 알 수 있다(Baum & Edwards, 2001; Woo, Lee, Kim, Kang, & Park, 2017). 국내에서도 한국의 문화를 반영하여 한국 노인들 의 활동 수행 수준을 평가하는 한국형 활동분류카드 (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를 개발하였다 (Lee, Yoo, Jung, Park, Lee, & Lee, 2010). 또한 여가 평가와 관련하여 고령자와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하고 싶은 여 가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흥미 체크리스트(Interest Checklist: IC)가 여가활동 평가로 사용되었다(Paik & Lee, 2013).
노인의 여가 관련 선행 연구들은 노인의 생활시간을 다룬 연구에서 여가 시간을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거나, 여가의 역할과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여가 참여 여부, 만 족도, 효과, 영향 요인 등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증가하는 여가 시간을 양적, 질적 측면으로 판단하고, 계 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가 참여 평가에 대한 조 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여가참 여 평가도구를 고찰하여 여가참여 평가의 동향, 평가 항 목 및 측정 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논문 검색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의 논문 검색은 Scopus, PubMed, NDSL, Ris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대상 논문의 범위는 2001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로 하였으며, 주요 검 색용어는 “Older adults” OR “Older people” AND “Leisure” AND “Assessments” OR “Measurement” 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선정기준 및 배제 기준 은 다음과 같다.
배제 기준
이와 같은 기준으로 논문 검색 결과 1차로 총 170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연구는 제목 및 초록을 검토 하였고, 필요 시 원문 확인을 통해 선정하였다. 중복 검색 되었거나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논문은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 선정된 논문은 14편이었고 자료 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Figure 1).
2.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분석
본 연구에서 분석된 연구 14편의 특성 및 질적 평가는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에 따라 분류하였다(Arbesman, Scheer, & Lieberman, 2008). 가장 높은 수준인 수준 I은 체계적 고찰, 메타 분석, 무작위 대조연구가 해당되 고, 수준 II는 코호트 연구 또는 비무작위 연구, 수준 III 은 사전-사후 연구.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 등이 해당 되며, 수준 IV는 개별실험연구 및 조사 연구, 수준V는 사 례 연구, 질적 연구를 포함하는 가장 낮은 수준의 연구에 해당한다.
3.분석 내용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4편의 논문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노인 여가 평가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연도 별 노인 여가 참여 평가가 이루어진 연구의 수를 분석하고, 노인 여가 참여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종류와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평가도구의 특성을 분석 하기 위해 평가항목과 측정방법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 로 전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저자/연도, 평가도구, 평가 항목, 측정 방법, 결과 순으로 정리하였다 (Appendix 1).
연구 결과
1.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 연구 14편의 질적 수준을 분 석 한 결과 무작위통제연구 2편(14%), 수준 II는 4편 (29%), 수준 III은 2편(14%) 그리고 수준 IV에 해당하 는 조사연구가 6편(43%)이었다(Table 1).
3.노인 여가참여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총 14편의 논문에서 노인의 여가참여 평가를 위해 사 용된 평가도구의 종류와 사용 빈도를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의 종류는 5개로 구분되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 는 자체 개발문항을 사용한 논문이 8편(57%)로 가장 많 았다. 다음으로는 신체활동척도-노인(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과 활동분류카드(Activity Card Sort; ACS)가 각 2편(14%), 노팅엄 여가 설문 (Nottingham Leisure Questionnaire; NLQ),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 활동 모델 프로그램 설문지(Community Healthy Activities model Program for Seniors Questionnaire; CHAMPS Questionnaire)가 각 1편 (7%)로 나타났다(Table 3).
구분된 5개의 평가도구를 사용한 각 논문과 평가도구 의 항목 및 측정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Table 4). 자체 개발 평가도구는 신체활동 종류 및 강도, 취미, 문화 적 활동, 사회적 활동, 실내 활동, 실외 활동 등의 분류체 계를 통해 노인의 다양한 여가 활동을 제시하였고, 신체 활동척도-노인(PASE)은 운동과 레크레이션 활동을 강 도에 따라 분류한 여가 활동을 제시하였다. 활동분류카드 (ACS), 노팅엄 여가 설문(NLQ)와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 활동 모델 프로그램 설문지(CHAMPS Questionnaire) 은 기준이 되는 분류체계 없이 노인 여가 활동을 무작위 로 제시하였다. 측정 방법은 14편의 연구 중 13편의 연 구에서 참여여부 또는 빈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를 사용 하였고, 자체 개발 평가도구를 사용한 한 편의 연구에서 만 참여도와 만족도를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고 찰
본 연구는 노인 대상의 여가참여 평가가 이루어진 총 14편의 논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노인 여가 평가도구 사 용의 동향, 평가 항목 및 측정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 함으로써 작업치료 연구 분야를 확대하고 최적의 노인 여가 평가의 적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IV에 해당하는 조사연구가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노인 여가관련 연구 들은 주로 노인들의 여가 참여에 대한 실태조사 또는 시간 조사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인 대상의 여가 연구는 2000년대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노인인구 비율이 급증하면서 많이 등장하였다 (Unitied Nations, 2015). 노인 여가평가의 동향을 살펴 보면 2000년대에 3편(21%), 2010년대에 11편(79%) 으로 나타나 세계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의 여가시 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 여가활동에 대한 파악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대 의 흐름에 따라 2000년대에는 신체활동척도-노인 (PASE), 활동분류카드(ACS)와 같은 기존에 개발된 여 가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는데, 2010년대에는 대부분의 연 구에서 자체 개발한 평가도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대의 흐름과 관계없이 연구에 사용된 평가도구들은 참여여부와 빈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총 14편의 논문에서 노인의 여가참여 평 가를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의 종류는 5개로 구분되었고,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는 자체 개발문항을 사용한 논문 이 8편(57%)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자체 개발 평가 의 사용하는 것은 2011년대 이후부터 지속되고 있다. 기 존의 여가 평가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새롭게 문항을 개 발하는 것으로 가장 큰 요인은 표준화된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의 부재로 사료된다. 자체 개발 평가도구 항목 은 운동, 취미, 문화, 실내 활동, 실외 활동 등의 기준에 따른 여가 활동을 분류하였는데 국내 생활시간 조사 여 가 활동의 경우 크게 미디어, 문화 및 관광 그리고 스포츠 와 관련된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그 외 종교 활동과 교제 활동이 포함되어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OTPF) 기준의 ‘사회참여’ 활동이 여가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치료 용어 기 준의 여가 활동 분류 및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활동분류카드(Activity Card Sort; ACS)는 노인들의 활동 수준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노인의 포괄적인 작업 및 활동에 대한 참여를 평가하는 데 적용 이 용이한 평가도구이다(Lee et al, 2010). 하지만 노인 들이 수행하는 활동 영역 전반을 평가 대상으로 하기 때 문에 여가활동 중심의 평가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한국형활동분류카드(K-ACS)의 여 가활동 항목은 ‘텔레비전 보기’, ‘라디오 듣기’ 등의 수동 적인 활동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주로 저강도의 신체 활동을 필요로 하는 활동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여가활 동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여가참여 중심의 평가로 적용하 기에 제한점이 있었다(Lee et al, 2010). 이러한 제한점 은 다양한 여가활동이 포함된 평가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보완이 가능하다.
노인 여가활동척도(Leisure Activity Scale-Senior; LAS-S)는 노인의 여가참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자체 개발된 도구로 72개의 여가 활동을 8개 영역으로 구분하 여 다양한 여가 활동 참여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평가도 구 이다. 하지만, 측정 방법이 참여에 대해서 전혀/가끔/ 자주의 3점 척도로 이루어져 활동에 대한 참여 패턴만을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의 여가참여와 탐색을 위한 후속 중재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데 제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총 14편의 연구 중 13편의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도구의 측정 방법은 여가활동에 참여 하는가 에 대한 참여여부 측정과 얼마나 자주 하는지에 대한 빈 도 측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여부와 참여빈도 의 측정은 실제적으로 노인들이 어느 정도 긍정적인 활 동에 참여하고 있는지 알 수 없고, 또한 어떤 여가활동에 흥미가 있는지/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전반적으로 파악하 기에 부족하다. 즉, 평가를 통해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여 가활동의 참여가 이루어지는지 여가의 질적 측면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2011년 휴먼뉴딜보고서에 따르면 노 후 여가시간에 대한 준비를 위해 자문서비스를 받을 의 향에 대해서 70%가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해 여가 탐색의 서비스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hun et al., 2011). 따라서 여가활동의 참여와 빈도를 넘어서 작업치료적 관점으로 노인의 여가 탐색과 참여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여가생활의 양적, 질적의 모든 측면을 측정할 수 있는 노인 여가참여 평가 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 결과 분석된 연구들의 여가활동 항목을 분류 해보면 1)신체활동, 취미와 관련된 활동, 사회참여와 관 련된 활동, 2)저강도, 고강도의 신체활동, 3)정적인 활 동, 동적인 활동으로 구분된다. 즉, 여가 평가항목들은 여 가 활동 수행의 주체와 여가활동의 목적에 따라 분류하 는 것으로 종합할 수 있다(Lee & Lee, 2016). 그러나 여가의 수행 주체와 목적을 넘어서 여가활동은 능동적이 고 의미 있고 목적 있는 활동이어야 하며, 특히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된 계획적인 여가생활이 강조되 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치료적 관점으로써 노년기 여가 활동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여가시간을 효율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여가활동 분류체계 및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 대상의 여가참여 평가도구에 대한 연 구를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가장 많은 연구에서 사용한 자체 개발 평가들은 문화적 차이와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객관성이 부족하여 제한점을 갖는다. 현재 한국은 고령 사회에 진입하였고, 작업치료 영역에서 노인들의 행복한 삶과 삶의 질이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의 하루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여가 시간을 의미 있 고 목적 있는 활동을 통해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여 가활동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아직까지 표 준화된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는 미비한 실정이다(Lee & Lee, 2016). 최근 작업치료영역에서는 지역사회에서 의 작업 참여와 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Kang & Park, 2017; Kim et al, 2014). 노인의 여가활동 활성화 에 앞서 개인에게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여가 활동을 탐색 하고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노인 여가 참여 평가가 마련되는 것이 중요하며, 한국 노인들 건강 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에 대한 양적, 질적인 평가와 효 율적인 활용을 위해 노인의 여가참여 평가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그 기초자료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2000년 초 반부터 연구된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에 대해 총 14편 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노인 여가참 여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가지의 여가참여 평가도구 중 자체 개발한 평가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주로 최근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노인 여가 평가 항목은 각 평 가도구 별 다양한 여가활동이 포함되었고, 크게 여가의 수행 주체와 수행 목적을 기준으로 활동이 구분되었다. 또한 측정은 주로 참여 여부와 빈도로 이루어졌다. 고령 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작업치료 영역에서는 노인들의 의 미 있고 목적 있는 여가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 나 아직까지 표준화된 노인 여가참여 평가도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 여가참여 평가 도구의 평가 항목, 측정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여가 탐색 및 참여를 평가 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 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