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중심 여가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현대사회에서 여가는 일과 함께 삶의 한 부분을 차지 할 만큼 중요한 이슈이자 국민의 기본적 권리로 일 중심 으로 부터 여가중심 사회로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Kim, 2018b; Heintzman & Mannell, 2003). 개인· 사회·국가 차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여가활동의 참 여는 생활의 질, 복지, 자아실현, 재생산을 강조하고(Yeo & Kim, 2005), 신체적 건강과 단조롭고 무료한 일상생 활, 소외, 스트레스, 자존감 등의 심리적 기능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효과를 이끈다(Kim, 2016). 장애 인도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여가활동을 접하고 즐김 으로써 자기방어적 태도를 개선하고 사회적 역할 부재로 인한 고립, 스트레스 등을 해소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 켜야 한다(Activities Daily of Living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2017).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대상자의 유연한 선택적 활동을 기반으로 구성되기에 타 인에 의한 수동적인 여가활동에 비해 진정한 의미와 가 치가 있으며,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문제 및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자신의 기능, 역할, 위치의 변화를 재정립하여 즉각적인 반응과 인식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발한다(Choi, 2001; Hong & Kim, 2015). 개인의 영 구적인 장애에 주안점을 두기 보다는 자기가치와 치료관 계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재활과정에서 능동적 인 참여와 장기간의 재활의지, 건강에 대한 신념, 타인에 대한 인정욕구, 정신적 만족감 등을 우선적으로 강조한 다(Choi, Lee, Kim, Choi, & Lee, 2006; Kim, 2008; Lee, 2018). 또한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복귀를 도모 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에 장애인의 여가활 동에 대한 인식개선과 이동성 및 접근성 제고 등 사회 적·물리적 환경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촉구가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는 질병 후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기능 등의 복합적이며 만성적인 장애로 인한 의존적인 성향과 대인 및 사회적 관계에서의 심리적 부담감으로 삶의 질 의 저하를 보인다(Suh, 2010; Lee & Choi, 2014). 다 양한 측면에서의 영구적 기능장애는 여가활동의 참여와 선택을 제한하고 잠재능력의 개발 및 창조적 표현의 기 회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결속력의 저하와 소외감 등을 겪게 한다(Amarshi, Artero, & Reid, 2006; Im, 2006). 여가활동은 단순히 시간을 즐기는 것 이외의 체 력 및 운동능력, 신체기능, 규칙, 타인과의 존재, 관계형 성 등을 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인·가족·사회적 배경 안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여가활동의 내재적 가 능성을 확대시키고 긍정적인 태도 및 지지로 참여를 촉 진해야 한다(Nam, Kim, & Oh, 20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4)에 따르면 장애인의 문화 및 여가활동은 TV시청(96.00%), 가사(58.50%), 사교(56.10%) 순으로 높았고, 여행(9.80%), 스포츠 (9.50%), 취미생활(4.00%) 등의 순으로 낮았으며, 만 족도는 42.90%, 불만족은 57.10%이었다. 대부분 신체 적 제약, 사회적 편견, 경제적 부담 등으로 가정과 근접한 환경에서 소극적인 여가활동의 참여는 높은 반면, 적극 적인 여가활동 참여는 부정적이며 비활동적이었다. 장애 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 자유로운 선택, 활동참여의 중요성, 신체적 자극, 기능성 추구, 자아실현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가활동의 참여 수준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었다(Activities Daily of Living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2017; Blacker, Broadhurst, & Teixeira, 2008). 뇌졸중 환자의 성공적인 여가활동 을 위해서는 신체구조 및 기능의 손상과 제한적 활동에 대한 부정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대상자가 원하는 활 동에 대한 흥미, 중요도, 만족도를 핵심으로 하는 고객중 심 접근법을 통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뇌졸중 환자의 여가활동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 보면, 환자가 선택한 스포츠 활동(축구, 탁구 등), 창의적 활동(악기연주, 그림그리기 등), 생산적 활동(요리), 이 외 활동(퍼즐 맞추기, 영화보기 등)의 작업적 참여 중재 프로그램은 사회적 참여를 향상시켰다고 하였다(Kim, 2015). 그러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객중심 여가활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한편에 불과하 였고, 신체적, 심리·사회적 기능 등의 효과를 다방면에 서 입증하지도 못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로 여가활동의 체계적 관심과 삶의 질 의 중요성을 강조한 여가활동 참여 실태, 여가활동의 높 은 참여도를 위한 여가동기 및 제약의 중요성,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조사를 위한 여가활 동유형과 참여 정도, 여가활동실태 및 재활로서의 가치 판단을 위한 여가인식과 참여도, 사회적 및 개인적 여가 형태에 따른 삶의 질 등이었다(Hong, Jeong, Park, & Kim, 2015; Hong & Kim, 2015; Jang, 2011; Ko, Kim, Lee, Son, & Bang, 2011; Lee, Yoo, & Yang, 2012; Nam, Kim, & Oh, 2016). 주로 뇌졸중 환자의 건강유지와 삶의 균형, 행복, 자기효능감, 우울 등을 변화 시키기 위해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사회적 기 능이 포함된 전인적 재활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특히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과 즐거움이 있는 사회적 여 가활동의 인식을 표명하였다(Hong et al., 2015; Yoo & Ahn, 2009). 또한 여가활동 관련 프로그램 개발의 중 요성, 삶의 질, 자기효능감, 발전 가능성 등에 대한 제안, 논의, 필요성 등을 분석하고 제시하였지만, 연구가 설문 조사에 그쳤고 자신이 선택한 여가활동을 통해 신체적 기능을 높이고 사회적 활동의 기회와 작업 참여를 촉진 시키어 건강뿐만이 아닌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여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Kim, 2015; Nam et al., 2017). 이에 뇌졸 중 환자가 가장 희망하는 활동이나 하고 싶은 또는 원하 는 활동을 스스로 선택하여 신체적·사회적 기능의 증진 뿐만 아니라 질병 이전에 느꼈던 기쁨, 자존감, 자신감, 희망을 되찾고 용기와 의지를 북돋아 장애에 대한 수용, 마음가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객중심 여 가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고객중심 여가활동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 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고객중심 여가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 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순수실험연구로 사전-사후 통제 집단설계를 적용 하였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8년 06월 08일부터 08월 01 일까지 G광역시 S기관에 입원중이며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한 뇌졸중 환자 35명으로, 선정된 대상자는 제비뽑기 를 통해 무작위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을 배정하였 다. 본 연구의 표본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검정력 분석 프 로그램 G*Power 3.1.9.2을 이용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 의 검증력(1-β). 80, 양측 유의수준(α). 05, 효과크기 (d). 80을 적용한 결과 최소 표본 수는 16명이었다(Faul, Erdfelder, Lang, & Buchner, 2007). 대상자의 탈락률 을 고려하여 35명을 편의추출 하였고, 제비에 적힌 숫자 의 의미는 설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숫자 1은 실험군(17 명), 숫자 2는 대조군(18명)으로 배치하였다. 본 연구기 간 중 중도탈락(개인사정)은 실험군 2명과 대조군 3명으 로, 최종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이었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뇌졸중 진단을 받은 지 6개월 이상 경과된 자,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K) 24점 이상인 자, 보조도구 사용여부와 상관 없이 보행이 가능한 자, 손상 측으로 공(지름 6.5cm)을 쥐고 놓기가 가능한 자, 시·청각적 문제가 없는 자, 연구 목적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 한 자로 하였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의 원활한 진행 및 구성을 위해 2018년 05월 01일부터 21일까지 여가활동 관련 교육경험, 현장경험 및 연구 실적이 있는 자문위원 3인(작업치료학과 교수 1인, 작업치료사 2인)과 함께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문헌의 고찰 및 세부적인 토론을 하였다.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7)의 연구를 기 반으로 문화·예술관람활동, 문화·예술참여활동, 스포 츠 관람 및 참여활동, 관광활동, 취미·오락활동, 휴식활 동, 사회 및 기타활동을 분류하였고, 여가활동의 의미 및 필요성, 활동의 특성, 적용가능성, 경제적 부담, 측정도 구, 보조진행자 등을 논의하였다. 2018년 05월 22일부 터 28일까지 S기관의 운영진(재활의학과 원장, 재활센 터 실장)을 만나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프로그램 구 성, 기대효과 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기관 내 여 가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활동의 내용 등을 파악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한 환자 들에게 실험 기간, 실험 절차, 환경 등의 과정을 설명하였 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들만을 선정하였다. 이후 연구 대상자들과 1:1 개별 인터뷰를 통해 여가활동 에 대한 생각, 필요성 및 의미, 좋아하고 희망하는 활동 등을 조사하였고, 우선순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프 로그램은 2018년 06월 04일부터 06일까지 실험군 15 명, 대조군 15명에게 사전평가를 실시한 후 2018년 06 월 08일부터 08월 01일까지 주 3회/60분씩, 9주간 총 24회 시행하였다.

4. 실험 환경

1) 실험군의 환경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 장소는 활동내용에 따라 G길 산책로, S기관 내 옥상정원과 운동치료실이었다. G 길 산책로는 G광역시 시내를 관통하여 흐르는 도심 내 하천을 중심으로 양쪽에 푸른 길이 조성되어 있다. 옥상 정원은 환자와 보호자들이 가벼운 운동과 여가활동을 즐 길 수 있는 공간이다. 운동치료실은 고객의 건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다.

2) 대조군의 환경

본 연구의 기관중심 여가활동 장소는 활동내용에 따라 S기관 내 예향홀, 작업치료실, 병동로비 이었다. 예향홀 은 성인 100명의 수용이 가능한 곳으로 단상, 스크린, 원 형테이블과 의자 등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치료실은 높 낮이 조절 책상, 등받이가 있는 의자, 활동에 필요한 비품 및 재료 등이 구비되어 있다. 병동로비는 최대 8명이 앉 을 수 있는 테이블, 등받이 장의자가 구비되어 있다. 기관 중심 여가활동이 진행되는 요일 및 시간에는 이동을 통 제하였다.

5. 연구 도구

1)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MMSE-K)

Folstein, Folstein과 McHugh(1975)가 개발하고 Kwon과 Park(1989)이 한글로 번역하여 표준화한 것으 로, 뇌손상 환자의 인지손상을 판별하고 정량적으로 평 가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So & Kim, 2004). 검사영역 은 지남력(10점), 기억등록(3점), 주의집중 및 계산(5 점), 기억회상(3점), 언어기능(7점), 이해 및 판단(2점) 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학인 경우는 지남력(1점), 주의집 중 및 계산(2점), 언어기능(1점)의 가산점이 부여되며 각 영역의 최대점수를 초과할 수 없다. 측정은 0점(아니 오)에서 1점(예)으로, 총점은 30점이다. 24점 이상은 정 상, 20~23점 이하는 치매의심, 19점 이하는 확정적 치 매로 분류한다.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r=.99이었다 (Kwon & Park, 1989).

2) 버그 균형 검사(Berg Balance Scale; BBS)

Berg, Wood-Dauphinee와 Williams(1989)가 개발한 낙상(넘어짐)의 위험도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 뇌졸 중 환자의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Berg, Maki, Williams, Holliday, & Wood- Dauphinee, 1992; Harada et al., 1995; Kim, 2011; Park & Bae, 2012). 검사영역은 앉기, 서기, 자세변화 로 일상생활동작을 응용한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 다(Oh, 2014; Won & Kim, 2011). 점수는 최저 0점에 서 최고 4점으로, 총점은 56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균 형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검사자 내 신뢰도는 r=.99와 검사자간 신뢰도는 r=.98이었다(Berg, Wood- Dauphinee, & Williams, 1995). 본 연구의 검사-재검 사 신뢰도는 ICC=.91이었다.

3) 상지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일본 동북대학 의학부 리하연구소 명자분원에서 Moriyama(1987)가 개발하고 Kim(1994)이 한글로 번 역한 도구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동작능력을 검 사한다(Nam, 2012). 검사영역은 상지기능, 장악력, 손 가락 조작으로,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Song, Cha, & Woo, 2011). 점수는 0점(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1점(수행이 가능한 경우)으로, 총점은 32점이다. 도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환측 r=.99, 건측 r=.84이었다 (Miyamoto, Kondo, Suzukamo, Michimata, & Izumi, 2009). 본 연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우측 ICC=.92 이었고, 좌측 ICC=.92이었다.

4) 자기효능감 검사(Self-Efficacy Scale)

(1)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General Self-Efficacy Scale)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Kim과 Kim(2003)이 뇌졸중 환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로, 특정행위를 수 행해 낼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검사한다 (Bandura, 1986). 검사 영역 및 문항은 책임(7문항), 가 치관(7문항)이다. 점수는 최소 1점(전혀 자신 없다)에 서 최대 10점(완전히 자신 있다)의 리커트 척도이며, 최 저 14점에서 최고 14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간주한다(Lee, 2017). 본 도 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6이었고, Kim과 Kim (2003)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8이었다(Sherer et al., 1982).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4 이었다.

(2) 구체적 자기효능감 검사(General Self-Efficacy Scale)

Kim 등(2000)이 개발하고 Kim과 Kim(2003)이 뇌 졸중 환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로, 특정상황에서 특 정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검 사한다(Lee, 2015). 검사 영역 및 문항은 위생 및 보행 (4문항), 개인관리 및 이동(6문항)이다. 점수는 최소 1점 (전혀 자신 없다)에서 최대 10점(완전히 자신 있다)의 리커트 척도이며, 최저 10점에서 최고 100점이다(Lee, 2017). 점수가 높을수록 구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 으로 간주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2 이었고, Kim과 Kim(2003)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7이었다(Kim et al., 2000).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5이었다.

5) 삶의 만족도 척도(Life Satisfaction Index-Z; LSI-Z)

Wood, Wylie와 Sheafer(1969)가 개발하고 Gang (1995)이 수정보완한 도구로, 뇌졸중 환자와 노인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한다(Yoon, Park, Chae, & Shin, 1998). 검사 영역 및 문항은 보람(5문항), 감사(3문 항), 마음(4문항)이다. 점수는 최소 1점(그렇지 않다)에 서 최대 5점(매우 그렇다)의 리커트 척도이며, 최저 12 점에서 최고 60점이다. 부정문항(3번, 5번, 9번, 12번) 은 역환산하였다(Ryu, 2004; Yun, 2015). 점수가 높을 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 는 Cronbach’s α=.79이었고, Gang(1995)의 연구에 서는 Cronbach’s α=.88이었다(Wood et al., 1969).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0이었다.

6. 중재 프로그램

1) 고객중심 여가활동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뇌졸중 환자 개인의 선호·가 치·욕구의 정도에 따라 스스로 우선순위를 매겨 선택한 자발적인 활동으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기능을 증 진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함이다. 본 연 구자는 15명의 실험군을 대상으로 캐나다 작업수행 평 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하였고, 중요도의 우선순위에 따라 중복 또는 유 사활동을 제외한 22개 활동(목욕/사우나, 쇼핑, 요리하 기, 여행, 수영, 필라테스, 라켓활동(배드민턴, 탁구, 테니 스, 커롤링), 구기활동(볼링, 정구, 피구, 배구), 헬스, 등 산, 골프, 댄스스포츠, 노래방가기, 컴퓨터 사용, 산책, 야 구관람)을 나열하였다. 활동 중 물리적 환경 및 경제적 부담으로 수행이 불가한 활동을 제외하였고, 대상자의 신체적 기능·낙상 예방·효율적인 참여 증진을 위해 필 요한 활동으로 산책(20.00%), 커롤링(20.00%), 탁구 (13.30%), 볼링(13.30%), 풍선배구(13.30%), 피구 (6.70%), 배드민턴(6.70%), 피칭타켓(6.70%)을 최종 적인 고객중심 여가활동으로 하였다. 활동은 신체적 움 직임을 유도하여 체력 및 운동능력을 향상시켰고, 팀으 로 진행함으로써 구성원과의 언어적·신체적 상호작용 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즐거움, 성취 감, 만족감 등의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하였다. 본 프로그 램의 진행시간은 매주 월, 수, 금, 오후 5시 40분부터 6시 40분까지었고, 실험군은 병원에서 제공하는 재활프로그 램과 고객중심 여가활동 프로그램에만 참여하였다. 프로 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연구자와 보조진행자(작업치 료사 4인)는 회기마다 활동명, 활동내용, 절차, 역할분담, 돌발상황 대처, 환경통제 등을 확인하며 운영 및 관리하 였다. 매회기 활동시작 전에는 건강체조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신체적 이완과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였고, 활동의 구체적인 절차 및 방법, 유의사항 등을 설명하며 시범하였다.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들의 컨디션 저하나 피로감, 신체적 제한으로 참여에 어려움을 보일 때는 잠깐의 휴식시간과 핸디캡 적용 및 신체적 보조를 제공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활동에 대한 만족감 및 힘들었던 점 등을 이야기하며 서로 공감하고 지지하였다 (Table 1).

Table 1

Client-Centered Leisure Activities Program

../figures/KJOT-27-3-15_T1.jpg

2) 기관중심 여가활동

기관중심 여가활동은 질병으로 인한 환자 및 보호자의 지친 심신을 위로하고, 병원생활의 활력과 자존감을 지 지·격려하기 위해 S기관 사회사업실에서 기획 및 주관 하였다. 기관중심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성경공부, 노래연습, 소고연습, 하모니카연습, 영화감상, 미술활동, 점토활동, 윷놀이이었고, 이외 생신잔치(월 1회), 명절잔 치(설날, 추석), 팝 오케스트라 공연관람, 네일아트 등이 었다(Table 2). 프로그램의 진행시간은 매주 월, 수, 금, 오후 2시부터 3시까지이었고, 대조군은 병원에서 제공 하는 재활프로그램과 기관중심 여가활동 프로그램에만 참여하였다. 보조진행자는 사회복지사(2인)와 근로장학 생(5인)이었으며, 진행 전 실험군과 동일하게 건강체조 를 실시하여 마음의 안정과 여유를 가졌다. 진행방법은 성경공부의 경우 기관 내 목사님의 설교를 경청한 후 구 절을 낭독하고 내용을 요약정리 하였다. 노래, 소고, 하모 니카 활동은 관련된 초청강사를 초빙하여 각 활동의 특 성에 따라 익숙하도록 되풀이하며 익혔다. 영화감상은 과거에 흥행하였던 작품을 중심으로 관람하였다. 미술 및 점토활동은 주제에 맞게 작품을 그리고, 꾸미고, 만들 었으며, 윷놀이는 팀을 나누어 승부를 겨루었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여가활동의 소감을 간략하게 이야기 나눈 후 박수로 끝을 맺었다(Table 2).

Table 2

Institution-Centered Leisure Activities Program

../figures/KJOT-27-3-15_T2.jpg

7. 분석 방법

본 연구는 SPSS/WIN 19.0을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하였다. 실험군과 대 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카이제곱, 피셔의 정확 검정, 독립표본 t 검정을 하였다.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는 신뢰도 분석 으로 실시하였다. 각 집단 내 활동 전·후의 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변화량 을 검정하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로 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대상자의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발병원인, 마비 측, 발병기간, 발병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Table 3).

Table 3

Homogeneity Test on General Characteristics

../figures/KJOT-27-3-15_T3.jpg

Exp.= Experimental, Cont.= Control

2.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대상자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Table 4).

Table 4

Homogeneity Test on Dependent Variables

../figures/KJOT-27-3-15_T4.jpg

3. 중재 전·후 신체기능 비교

실험군의 균형, 우측 상지기능은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통계적으로는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신체기능의 그룹 간 변화량 검정에서 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5)(Table 5).

Table 5

Comparison of the Change in Physical Function

../figures/KJOT-27-3-15_T5.jpg

4.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비교

실험군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구체적 자기효능감, 총 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기효능감 의 그룹 간 변화량 검정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 구체적 자기효능감,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 다(p<.05)(Table 6).

Table 6

Comparison of the Change in Self-Efficacy Scale

../figures/KJOT-27-3-15_T6.jpg

5. 중재 전·후 삶의 만족도 비교

실험군의 삶의 만족도의 중재 전·후를 비교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삶의 만족도의 그 룹 간 변화량 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었다(p<.05)(Table 7).

Table 7

Comparison of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figures/KJOT-27-3-15_T7.jpg

Ⅳ. 고 찰

최근 임상현장은 장애의 증상을 제거 및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의 목표보다는 장애인의 생의 의미와 삶의 질 에 초점을 맞춘다(Im, 2006). 여가활동은 현대인의 주 요 관심사로 스포츠 및 신체활동, 문화, 예술, 여행, 오락 및 놀이 등을 통해 즐겁고 의미 있는 삶을 선택하고 실현 하고자 한다(Lee, 2018).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대상자 의 흥미 및 관심을 기반으로 스스로 선택한 활동을 통해 내적동기를 유발하여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신체적, 정 신·사회적 건강과 긍정적인 자존감 및 자기효능감, 그리고 우울을 감소시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Blacker et al., 2008; Desrosiers et al., 2007). 또한 자기표현 및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사회참여의 기회 를 제공하여 기존의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성향에서 벗어 나 고독을 해소하고 만족과 성취감을 얻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중심 여가활동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신 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실험군의 균형을 향상 시켰고, 대조군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균형은 앉기, 일 어서기, 걷기의 필수요소로 이동시 평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외부의 자극에 자세를 적절히 반응하여 조절하 는 복합적인 과정이다(Song & Park, 2016; Yavuzer, Geler-Kulcu, Sonel-Tur, Kutlay, Ergin, & Stam, 2006).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는 편마비장애로 인한 신 체의 비대칭적인 자세, 안정성 저하, 움직임 제한, 자세의 흔들림 증가, 마비 측 다리에 체중지지 감소 등의 문제를 나타내기에, 균형능력은 재활영역에서 중요한 요소로 다 룬다(Pohl & Mehrholz, 2006; Wang, Chen, Chen, & Yang, 2005).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내적동기에 의해 의무감 없이 스스로 참여하는 고객중심 여가활동으로, 피구, 탁구, 볼링, 풍선배구, 배드민턴, 커롤링, 피칭타켓 등에서 요구하는 반복적 움직임과 운동조절을 통해 신체 의 무게중심 이동을 안정화시키어 평형능력을 향상시키 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체간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높이의 변화에 따 라 자세를 조절하였고, 팔·다리의 복합적 움직임의 역 동적 타이밍에 적응하며 즐거워하였다. 활동하는 도중에 는 예상치 못한 즉각적인 위치 선정이나 자세변화 등으 로 ‘넘어질 것 같다’고 머뭇거리거나 소극적일 때도 있었 지만, 상황에 따른 규칙 수정, 핸디캡의 적용, 최소한의 신체적 도움으로 안정감과 자신감을 되찾아 활동에 참여 함으로써 균형능력을 증진시켰다고 사료된다. Krefting 과 Krefting(1991)의 여가생활을 주안점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대상자들이 “무엇을 하는 가”가 아니라 “어떻게 여가생활을 하며, 그것의 의미가 무엇인지가” 더 중요하 다고 강조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여가활동 참여는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0).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대상자들이 원 하는 활동에 자발적인 참여와 몰입을 증가시켰고, 다양 한 방법적·도구적·환경적 감각자극으로 신체의 자세 및 움직임을 조절하게 함으로써 균형능력을 향상시켰기 에, 재활치료의 중재전략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일반적, 구체적)을 향상시켰고, 대조군과는 차이를 나 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은 성공적인 과제수행에 필요한 자 신의 신념이자 의지로, 일상생활은 물론 삶의 만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Na, 2017; Son, 2016).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은 재활과정에서 자신의 능력을 지각 하고 판단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 차원을 넘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삶을 위한 생각과 태도의 변화 를 이끈다(Jung, 2002; Lee, 1998; Pender, Murdagh, & Parsons, 2015).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이 스스로 선택한 활동에 뇌졸중의 특성을 부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즐거움과 재미뿐만 아니라 주도적인 참여를 촉진 시킴으로써 활동수행에 적응력과 성공의 경험을 통해 긍 정적인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Pendleton & Schultz Krohn, 2018). 대상자들이 활동하는 동안 실수가 잦을 때는 활동의 형태와 레벨을 낮추고, 진행방법을 수정 및 변형시키어 쉽고 빠른 수행을 하도록 지지하였다. 활동 에 대한 도전의식, 승부욕, 성취감 등을 최대한 자극하고 자신 있는 움직임과 행동을 지각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높였다고 사료된다. Nour, Desrosiers, Gauthier과 Carbonneau(2002)Graven, Brock, Hill과 Jourbert (2011)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가활동 은 신체적·심리적 기능 재활에 의미 있는 매개체라 하 였고, 균형감각과 운동기능의 회복은 자기효능감의 향상 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Shin, Koh, & Kim, 2002). Mitchell, Veithch와 Passey(2014)은 골프, 낚 시, 테니스, 탁구, 배구, 축구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뇌 손상 환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고 하였고, Hong 과 Kim(2015)도 성인을 대상으로 한 능동적 여가활동은 수동적 여가활동보다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하여, 본 연 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 은 자신이 선택한 활동을 적절한 도전과 성취 가능한 능 력으로 성공함으로써 장애를 수용하고 스스로의 가치를 높이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기에, 변화되어 가는 자신 의 역할을 재정립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실험군의 삶의 만족도 를 향상시켰고, 대조군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삶의 만 족도는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기쁨, 성취감, 자아상, 낙천 적 태도 등의 주관적인 만족감으로, 스스로 설정한 삶에 대한 기대감의 충족 정도에 따라 심리적 안녕, 삶의 의미 및 가치, 건강수준 등의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Baek & Park, 2016; Kim, 2018a; Kim, Park, & Park, 2015). 뇌졸중 환자의 삶의 만족도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 능의 복합적 문제로 통제력을 상실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의존성과 가족 및 사회적 관계에서 화합, 어울림, 참여 등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전반적인 삶의 영역에 부정적이 거나 저하를 나타낸다(Shin, Oh, Chung, & Kim, 2017).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이 원하는 활동 을 위해 구조화 되어 있는 단조로운 일상 환경을 벗어나 자연스럽고 활동적인 환경에서 선택한 활동을 수행하고 성취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뇌졸중의 특성 및 개인적 상황을 고려하여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기능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상호교류적 여가활동을 구성하였고, 활동 의 도전레벨을 조정하여 팀 내의 구성원들과 소통하고 배려하며 성취감 등을 공유하도록 지지하였다. 대상자들 의 태도는 의욕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하였고 활동은 자 신감 있고 주체적이었으며, 팀워크뿐만 아니라 팀 간의 경쟁도 즐기며 화합하였기에,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Kim(2015)의 연구에 따르 면 인간작업 모델에 의한 환경의 중요성과 개인의 흥미 를 바탕으로 한 역동적인 프로그램의 설계는 활동프로그 램의 선택과 진행 그리고 의미 창출에 큰 의미가 있다고 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Yun, 2015). Mitchell 등(2014) 은 뇌손상 환자의 여가활동은 여가의 만족도, 자아존중 감,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하였고, 수동적 여가보다는 능동적인 여가활동이 활동의 참여를 촉진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고립감 및 소외감을 감소시키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 였다.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대상자가 선택한 활동과 어울리는 자연스럽고 활동적인 환경에서 도전 가 능한 활동의 성취를 통해 자신감 있는 신체적 움직임과 만족스런 타인과의 상호교류 및 역량 발휘로 삶의 만족 도를 향상시켰기에, 뇌졸중 환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 는 프로그램으로써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Danial & Manigandan, 2005; Desrosiers et al., 2007).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표본 수 제한으로 모든 뇌졸중 환자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둘째 중재가 1:1 맞춤형으로 진행되지 않았기에 대상자들이 1, 2순위로 선택하지 않은 활동들도 참여하 였다. 셋째 중재 적용에 따른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추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추후 다양한 팔·다리의 기 능평가를 적용한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대부분 동적 움직임의 활동이었고, 기관중심 여가활동은 정적 움직임 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기에 이후 대조군의 활동도 신체적 활동으로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은 대상자들의 흥미 및 취미를 고려하여 선택된 활동으로써 내적동기 및 의지를 유발시키며 참여 의사를 적극적으로 변화시켰기에, 뇌졸 중 환자의 균형,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더불어 자연스럽고 활동적인 환경에서 개인의 흥미를 바 탕으로 한 역동적인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자 신감, 만족감, 성취감,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 등의 신체 적·심리적·정서적·사회적 기능을 증진시켰다. 따라 서 본 연구의 고객중심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 자의 복합적인 기능장애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자신의 기능, 역할, 가치를 재정립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질 을 향상시킬 수 있었기에,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치료 의 중재전략으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References

1. 

Activities Daily of Living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2017). Living environmental and leisure activity (3th ed.). Seoul, KR: Hyunmoon.

2. 

Amarshi, F., Artero, L., & Reid, D. (2006). Exploring social and leisure participation among stroke survivors: Part I.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y and Rehabilitation, 13(4), 166-170. doi:10.12968/ijtr.2006.13.4.21370 10.12968/ijtr.2006.13.4.21370

3. 

Baek, D. S., & Park, C. S. (2016). The impact of economic shock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 Journal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11(12), 23-57.

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 

Berg, K. O., Maki, B. E., Williams, J. I., Holliday, P. J., & Wood-Dauphinee, S. L. (1992).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11), 1073-1080.

6. 

Berg, K. O., Wood-Dauphinee, S. L., & Williams, J. I. (1989).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41(6), 304-311. 10.3138/ptc.41.6.304

7. 

Berg, K. O., Wood-Dauphinee, S. L., & Williams, J. I. (1995).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7(1), 27-36.

8. 

Blacker, D., Broadhurst, L., & Teixeira, L. (2008).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leisure adaptation with complex neurological disability: A discussion using two case study examples. Neurorehabilitation, 23(4), 313-319.

9. 

Choi, H. J. (2001). Research about the plan for activating of seriously handicapped people’s activities during leisure time (Master’ thesis). Busan University, Busan, KR.

10. 

Choi, Y. S., Lee, G. M., Kim, G. S., Choi, S. N., & Lee, M. O. (2006). Art therapy to share mind. Seoul, KR: Hakji.

11. 

Danial, A., & Manigandan, C. (2005). Efficacy of leisure intervention groups and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8(1), 43-48. 10.1097/00004356-200503000-0000615729096

12. 

Desrosiers, J., Noreua, L., Rochette, A., Carbonneau, H., Fontaine, L., Viscogliosi, C., & Bravo, G. (2007). Effect of a home leisure education program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9), 1095-1100. doi:10.1016/j.apmr.2007.06.017 10.1016/j.apmr.2007.06.01717826452

13.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10.3758/BF03193146 10.3758/BF0319314617695343

14.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doi:10.1016/0022-3956(75)90026-6 10.1016/0022-3956(75)90026-6

15. 

Gang, S. H. (1995). A comparative study of the handicaps in and satisfaction with the ordinary life before and after the plastic operation for artificial joint replacement-centering around those who suffer from joint dise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R.

16. 

Graven, C., Brock, K., Hill, K., & Jourbert, L. (2011). Are rehabilitation and/or care co-ordination interventions delivered in the community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facilitating participatio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17-18), 1501-1520. doi:10.3109/09638288.2010.542874 10.3109/09638288.2010.54287421204742

17. 

Harada, N., Chiu, V., Damron-Rodriguez, J., Fowler, E., Siu, A., & Reuben, D. B. (1995). Screening for balance and mobility impairment in elderly individuals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Physical Therapy, 75(6), 462-469. doi:10.1093/ptj/75.6.462 10.1093/ptj/75.6.4627770493

18. 

Heintzman, P., & Mannell, R. C. (2003). Spiritual functions of leisure and spiritual well-being: Coping with time pressure. Leisure Sciences, 25(2-3), 207-230. doi:10.1080/01490400306563 10.1080/01490400306563

19. 

Hong, D. G., Jeong, H. Y., Park, J. H., & Kim, S. K. (2015). The effect of a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stroke patients on level of leisu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3), 15-24. doi:10.14519/jksot.2015.23.3.02 10.14519/jksot.2015.23.3.02

20. 

Hong, S. Y., & Kim, K. M. (2015). Correlation between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selfefficacy with chronic stroke pati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9(2), 277-296. doi:10. 16884/JRR.2015.19.2.277 10.16884/JRR.2015.19.2.277

21. 

Im, G. H. (2006).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disabled people with stroke in leisure programs and their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yeungsan, KR.

22. 

Jang, J. H. (2011). Influence of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by physical disabled on life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KR.

23. 

Jung, Y. S. (2002). Effects of phase I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R.

24. 

Kim, E. R., Park, J. K., & Park, L. E. (2015). Effects of recognition on discrimination on the life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Disability & Employment, 25(1), 27-54. 10.15707/disem.2015.25.1.002

25. 

Kim, H. S., & Kim, Y. S. (2003).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 111-130.

26. 

Kim, I. S. (2008).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iency of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R.

27. 

Kim, J. H. (2011).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s on strok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KR.

28. 

Kim, J. H. (2015). Effects of occupational engagement program using leisure on clients’ anxiety and community integration with stroke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29. 

Kim, J. S. (2016). A study on breathing method of healing as a health-oriented leisure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140-146. doi:10.5762/KAIS.2016.17.8.140 10.5762/KAIS.2016.17.8.140

30. 

Kim, K. S., Seo, H. M., Kim, E. J., Jung, I. S., Choe, E. J., & Jung, S. I. (2000). Effects of 5 weeks self-help management program on reducing depression and promoting activity of daily livings, grasping power, hope and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2), 196-211.

31. 

Kim, M. S. (2018a) .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ypes of care given by family and its transformation due to changes in the time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R.

32. 

Kim, M. Y. (1994). A study of manual functional test for C.V.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 19-26.

33. 

Kim, S. A. (2018b) . Understanding of leisure motivation construct and validation of scale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Seoul, KR.

3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14 Research on the disability. Retrieved from http://www.kihasa.re.kr

35. 

Ko, Y. K., Kim, H. Y., Lee, S. Y., Son, B. Y., & Bang, Y. S. (2011). Quality of life of elderly chronic stroke according to types of leisure.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5(1), 117-124.

36. 

Krefting, L., & Krefting, D. (1991). Leisure activities after a stroke: An ethnographic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5), 429-436. doi:10.5014/ajot.45.5.429 10.5014/ajot.45.5.4292048624

37.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38. 

Lee, E. J. (2018). The influence of elderly leisure activities on suicidal ide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R.

39. 

Lee, G. D. (2017). The effect of task oriented circuit training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a chronic stroke patient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KR.

40. 

Lee, H. J., Yoo, C. U., & Yang, Y. A. (2012). A study of stroke patients awareness and participation with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6(1), 11-17. doi:10.5854/JIAPTR.2014.10.31.764 10.5854/JIAPTR.2014.10.31.764

41. 

Lee, K. M. (2015). The effects of ocular training program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of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Gimhae,. KR.

42. 

Lee, K. S. (2018). The relationship of elderly’s social leisure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Focused on those in Namdong-Gu, Inch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Seoul, KR.

43. 

Lee, S. (1998). The correlation study of body image, self efficacy and self care on hemiplegia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hamyook University, Seoul, KR.

44. 

Lee, S. W., & Choi, H. J. (2014). Effects of wheelchair-based complex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postural contro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4), 575-585.

4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Retrieved from http://www.mcst.go.kr

46. 

Mitchell, E. J., Veitch, C., & Passy, M. (2014). Efficacy of leisure intervention groups in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an acquired brain injury. Disability Rehabilitation, 36(17), 1474-1482. doi:10.3109/09638288.2013.845259 10.3109/09638288.2013.84525924160857

47. 

Miyamoto, S., Kondo, T., Suzukamo, Y., Michimata, A., & Izumi, S. I.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8(3), 247-255. doi:10.1097 /PHM.0b013e3181951133 10.1097/PHM.0b013e318195113319106794

48. 

Moriyama, S. (1987).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rehabilitation with reference to early stage program. Proceedings of the Joint Japanese- China Stroke Conference, Ikari Gaseki, JP.

49. 

Na, S. Y. (2017).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family health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KR.

50. 

Nam, Y. O. (2012). A comparative stud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leisure activities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KR.

51. 

Nam, Y. O., Kim, J. J., & Oh, M. H. (2016). Leisur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for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0(2), 201-207. doi:10.21184/jkeia.2016.04.10..2.201 10.21184/jkeia.2016.04.10.2.201

52. 

Nam, Y. O., Kim, J. J., & Oh, M. H. (2017).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on leisure activities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8), 289-296. doi:10.21184/jkeia.2017.12.11.8.289 10.21184/jkeia.2017.12.11.8.289

53.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10). Explaining stroke. Retrieved from http://www.stroke.org

54. 

Nour, K., Desrosiers, J., Gauthier, P., & Carbonneau, H. (2002). Impact of a home leisure educational program for older adults who have had a stroke(home leisure educational program).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36(1), 48-64.

55. 

Oh, B. K. (2014). The comparison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and general gait training on the quality of life, gait ability, and the balance ability for stroke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R.

56. 

Park, S. J., & Bae, S. Y. (2012).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ADL performance, balance and satisfa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1-11.

57. 

Pender, N. J., Murdaugh, C. L, & Parsons, M. A. (2015).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58. 

Pendleton, H. M., & Schultz-Krohn, W. (2018).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8th ed.). St. Lousi, MO: Mosby.

59. 

Pohl, M., & Mehrholz, J. (2006). Immediate effects of an individually designed functional ankle-foot orthosis on stance and gait in hemiparetic patients. Clinical Rehabilitation, 20(4), 324-354. doi:10.1191/0269215506cr951oa 10.1191/0269215506cr951oa16719030

60. 

Ryu, H. K. (2004). The effect of an ADL education on ADL performance,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R.

61.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doi:10.2466/pr0.1982.51.2.663 10.2466/pr0.1982.51.2.663

62. 

Shin, K. E., Oh, M. H., Chung, H. A., & Kim, H. D. (2017). Effect of virtual reality game on old patients depression,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1(4), 101-118. doi:10.16884/JRR.2017.21.4.101 10.16884/JRR.2017.21.4.101

63. 

Shin, S. H., Koh, M. H., & Kim, Y. H. (2002).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rain injury.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1), 1-8.

64. 

So, H. Y., & Kim, H. Y. (2004). Measurement of cognitive functions of elderl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7(1), 7-14.

65. 

Son, S. W. (2016). Effects of driving rehabilitation using a driving simulator is on the self-efficacy and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stroke inju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on University, Gumi, KR.

66. 

Song, G. B., & Park, E. C. (201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balance ability,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1(1), 115-125. doi:10.13066/kspm.2016.11.1.115 10.13066/kspm.2016.11.1.115

67. 

Song, W. I., Cha, T. H., & Woo, H. S. (2011). The influence of 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2), 5731-5740. doi:10.5762/KAIS.2011.12.12.5731 10.5762/KAIS.2011.12.12.5731

68. 

Suh, S. G. (2010). The effect of strok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and upper extremity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R.

69. 

Wang, R. Y., Chen, H. I., Chen, C. Y., & Yang, Y. R. (2005). Efficacy of bobath versus orthopaedic approach on impairment and function at different motor recovery stage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9(2), 155-164. doi:10.1191/0269215505cr8 50oa 10.1191/0269215505cr850oa15759530

70. 

Wood, V., Wylie, M. L., & Sheafer, B. (1969). An analysis of a short self-report measure of life satisfaction: Correlation with rater judgments. Journal of Gerontology, 24(4), 465-469. doi:10.1093/geronj/24.4.465 10.1093/geronj/24.4.4655362358

71. 

Won, J. I., & Kim, K. S. (2011). Concurrent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berg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18(2), 43-51.

72. 

Yavuzer, G., Geler-Kulcu, D., Sonel-Tur, B., Kutlay, S., Ergin, S., & Stam, H. J. (2006). Neuromuscular electric stimulation effect on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gait kinematics of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4), 536-540. doi:10.1016/j.apmr.2005.12. 041 10.1016/j.apmr.2005.12.04116571394

73. 

Yeo, H. K., & Kim, D. H.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 Focused on the residen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 Women’s Studies, 68(1), 77-106.

74. 

Yoo, Y. Y., & Ahn, C. S. (2009).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 - 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2), 1-16.

75. 

Yoon, J. S., Park, C. I., Chae, Y. M., & Shin, J. C. (1998). The influence of social role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6(1), 14-35.

76. 

Yun, B. R. (2015).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activity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stroke survivors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R.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