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Ⅰ. 서 론

인간의 일상생활활동 대부분은 손을 사용하여 이루어 진다. 셔츠를 입고 벗을 때 손을 이용하여 단추를 잠그고 풀고, 식사 시 수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세수 및 목욕을 할 때 비누칠하고 헹굴 수 있다. 이러한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할 때 손을 통해 사물을 만져서 느끼는 촉각과 고유 수용성 감각 등 감각적인 요소는 중요하다(Farrer, Franck, Paillard, & Jeannerod, 2003). 특히, 옷 뒤의 지퍼를 채우거나 주머니 속의 동전을 고르는 입체감각인 식은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할 수 있어 일상생활활동 시 없어서는 안 될 요소 중 하나다. 그뿐만 아니라 눈을 통해 사물 간의 유사점과 차이를 구 별하는 시각적 구별, 불완전한 형태에서 완전한 형태를 파악하는 시각적 폐쇄, 복잡한 배경에서 찾고자 하는 자 극을 찾는 전경배경 등의 복합적인 시지각적 요소도 사 물을 구별하거나 판단할 때 필수적인 요소이다(Warren, 2013). 이렇듯 감각과 시지각 요소들은 독립적인 작용 이 아닌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뇌졸중과 같은 질 병 등으로 문제가 생겨 일상생활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 다면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갖게 된 다(Kovic & Schultz-Krohn, 2013). 일상생활활동 수 행에 영향을 미치는 뇌졸중은 뇌로 공급되는 혈액의 차 단으로 뇌 조직의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관련된 영 역의 위치 및 손상 정도에 따라 편마비, 감각기능 손상, 시지각 소실, 인지결손 등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 난다(Trombly & Radomski, 2015; WHO, 2014).

Song, Cha와 Woo(2011)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 각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으로 고유수 용성 감각, 서화 감각, 통각 등이 개인위생, 용변처리, 옷 입기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뇌졸중 의 결과로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감각이 결여된 팔과 손에 대하여 훈련이 실시되지 않는다면 학 습된 미사용의 문제가 발생하여 감각 기능과 운동 능력 의 소실이 초래되며, 이를 위해 환자에게 촉각자극이 많 은 과제에 참여하도록 하고, 시야가 차단된 상태에서 물 체를 구별하는 훈련을 통해 감각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 여야 한다(Carr & Shepherd, 2010; Sabari & Lieberman, 2008). Byl, Archer와 McKenzie(2009) 는 뇌졸중 후 6개월 된 환자를 대상으로 작은 물건 집기, 퍼즐 맞추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각 과제 훈련을 적 용하여 감각구별과 감각운동 되먹임의 속도를 증진시키 고자 하였고, Carey, Macdonell과 Matyas(2011)는 뇌 졸중 후 6주 이상인 감각손상 환자에게 다양한 물체집기 등이 포함된 감각식별 훈련을 적용한 결과 촉각물체 인 식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Yeom (2013)은 손의 체감각이 손상된 뇌졸중 환자에게 촉각 감지 및 위치인식 훈련, 고유수용성 감각 훈련 등 과제 지향적인 운동 훈련을 적용한 결과 감각 회복뿐만 아니 라 운동 기능의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하 였고, Kim, Lee와 Kim(2012)은 발병 후 6개월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손과 손가락에 표면소재 인식, 압각 인 식, 거리 인식 훈련 등을 적용하여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일 상생활활동 점수의 향상이 있어 감각 인식 훈련이 일상 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감각기능 장애와 더불어 시지각 장애는 뇌졸중 환자에 게 나타나는 중요한 신경학적 증상으로 앞서 언급한 일상 생활활동 수행의 방해뿐만 아니라 편측무시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Rosenthal, Griffith, & Bond, 1983). Lee 등 (2002)은 시지각 정보의 적절한 해석과 반응이 안전한 운전과 관련 있다고 보고하였고, Lee, Lee와 Yook (2011)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 행력과 균형은 서로 상관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렇듯 일상 생활활동 수행 시 중요한 시지각에 대한 중재 및 훈련 연 구로 An, Lee, Byun, Park과 Cho(2011)는 뇌졸중 환자 를 대상으로 보조선 따라 선긋기, 점잇기, 같은 모양 찾기 등 48개 과제로 이루어진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시지각 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하였고, 그 결과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시지각 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영향을 미쳐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중요한 치료과정이라고 제시하였다. Kim (2016)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가상현실 운전프로그램 을 적용한 결과 시지각 기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하였고, Jo(2012)는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 (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시지각 기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감각과 시지각 기능 훈련에 각기 다른 도구를 활용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두 가지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개발에 대한 연 구 또한 미미하였다. 최근 컴퓨터와 각종 장비를 이용한 도구들이 개발되었으나 실제 임상에서 훈련도구로 활용 하기에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적용의 어려움이 뒤따를 수도 있다. 또한, 현재 병원 등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작업치료 훈련도구들은 해외제품으로 그에 따 른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 구는 저비용으로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는 다목적 암맹상자를 개발하여 뇌졸중 환자에 게 적용한 후 이의 효과성과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감각 과 시지각 기능에 손상을 입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훈련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선정기준

본 연구는 광역시 및 지역 시·도 소재 병원에서 작업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자 선정기준으로 전문의로부터 뇌졸중 진단을 받고 6개 월이 지나지 않은 자의 경우 자연회복이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6개월 이상 경과된 자, 시야를 차단 한 상태에서 상자 안의 도형블록을 고르는 훈련을 수행 하기 때문에 보지 않고 물건을 조작할 수 있는 최소 촉각 역치인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 4.31 이하 로 분류되는 자, 손상측 손을 이용하여 물체를 쥘 수 있는 자, 기초 시각기술(시력, 시야, 눈 운동조절)의 결손이나 장애가 있을 경우 시각으로 입력되는 자극 정보를 수집, 조절, 판단 및 해석하여 적절한 수행을 이끌어 내는 시지 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각 장애가 없는 자, 본 연구 의 훈련 내용 및 지시를 따를 수 있는 자, 연구 참여에 자유의사를 동의한 자로 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연 구 대상자 33명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Table 1).

Table 1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figures/KJOT-27-3-33_T1.jpg

2. 연구 도구

1)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목적 암맹상자는 시야가 차단된 상태에서 손을 통해 올바른 도형블록(상자 안)을 고르기 위한 감각 기능과 도형판(상자 위)의 모양, 위치, 순서 및 배열을 확인하기 위한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 한 것으로 다목적 암맹 상자에 대한 설계와 구상은 이러 한 목적에 맞게 설정하였다. 도구 개발단계부터 작업치 료학과 교수 3명, 대학원생 4명, 작업치료사 4명과 인간 공학 전문가 1명으로 구성된 집단에게 총 2회의 자문회 의를 통해 의견을 청취하였다. 1회차 회의는 프로토타입 으로 개발된 도구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에 자유로운 의견제시를 하도록 하였다. 2회차 심층회의에서는 1회 차 회의에서 제안되었던 사항을 적용한 도구의 적정성, 개선사항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후 최종적으로 수 정·보완 하였다. 의견수렴 결과로 먼저 훈련시 인간공 학적 편의성 제공과 아래팔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안정 감과 무게부담 감소를 위한 구멍 밑부분 타원형태 제작, 휴대성을 위해 재질 및 무게 고려, 난이도 조절을 위해 도형(판)의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

다목적 암맹상자의 개발은 적은 경비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적은 비용으로 사용효과의 최대화를 고려하여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기본 디자인 방향으로 설정하 였다. 또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요건을 고려하여 개발하 였다.

  • (1) 모두가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universal design)

  • (2) 사용자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도형판 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디자인

  • (3) 휴대성과 견고성을 고려하여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한 디자인

  • (4) 쉬운 제작과 보급을 위해 낮은 비용으로 설계할 수 있는 디자인

  • (5)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놀이처럼 느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디자인

Figure 12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목적 암맹 상자 를 보여준다. 다목적 암맹 상자는 포맥스 재질의 상자 형 태와 나무 도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기는 50(W)× 30(D)×20(H)cm, 중량은 3.5kg이다. 다목적 암맹 상 자의 앞면은 눈으로 보지 않고 손을 사용하여 상자 안에 있는 도형을 상자 위의 도형판에 알맞게 꺼내기 위해 밑 부분이 타원으로 되어있는 구멍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뒷면은 연구자가 대상자의 수행을 관찰하기 위해 모서리 가 둥근 직사각형의 구멍이 있으며, 대상자가 과제 수행 시 도형이 바깥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 시 상자 안의 내용물이 빠지지 않기 위해 앞면과 뒷면은 아크릴 판을 끼우고 뺄 수 있도록 하였다. 다목적 암맹상자의 도 형(판)은 동일한 크기의 48개 도형(판) 중 대체적으로 모양의 구별이 쉬운(난이도가 낮은) 도형(판) 24개와 상 대적으로 모양의 구별이 어려운(난이도가 높은) 도형 (판) 24개로 구성하였으며, 난이도에 따라 자유롭게 배 열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

Subject’s View of Multi-Purpose Blind Box

../figures/KJOT-27-3-33_F1.jpg
Figure 2

Experimenter’s View of Multi-Purpose Blind Box

../figures/KJOT-27-3-33_F2.jpg

3. 평가 도구

1)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피부의 가벼운 촉각, 압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다 목적 암맹상자의 도형블록을 잡고 구별할 수 있게 하는 촉각 인식을 평가를 위해 SWM을 실시하였다. SWM은 20가지 크기의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되어 있으 며, 모노필라멘트들을 피부와 수직이 되도록 한 후 굽어 질 때까지 적용한다. 대상자는 자극을 느끼면 “예” 또는 “닿았어요”라고 말한다. 측정값에 따라 정상(1.65∼ 2.83), 가벼운 촉각 감소(3.22∼3.61), 보호감각 감소 (3.84∼4.31), 보호감각 상실(4.56∼6.65)로 분류한다.

2)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피부의 수용체들의 밀도를 검사하기 위해 점과 점의 사이의 인식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도형 블록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 인식을 위한 두-점 구별력 을 평가하기 위해 Mackinnon-Dellon의 Disk-Criminator 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적 두-점 구별 검사 방 법을 적용하였으며, 손가락 패드의 피부가 창백해지는 순간까지 하나 또는 두 지점을 무작위 순서로 적용한다. 대상자는 자극에 따라 “하나”, “둘” 또는 “모르겠어요”라 고 말한다. 점수는 하나 또는 둘에 대해 인식을 하는 가장 적은 거리이며, 반응이 부정확하거나 주저할 때 3회 중 2회, 7회 중 4회, 10회 중 7회 반응을 필요로 한다. 측정 값에 따라 Normal(6mm 이하), Fair(6∼10mm), Poor (11∼15mm) 등으로 분류한다.

3) Modified Moberg Pickup Test(MPT)

정중신경이나 자신경 손상을 입은 환자의 입체감각인 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도형블록을 시야가 차단된 상태에서 올바르게 고를 수 있게 하는 입체감각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MPT를 실시하였다. MPT는 작은 상자와 12가지 표준 금속 물건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rt 2를 적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시야를 차 단한 상태에서 3-point pinch로 사물을 조작한 후 가능 한 빠르게 물체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 점수는 모든 사 물을 확인한 시간이다.

4)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Third Edition(MVPT-3)

눈을 통해 주어진 자극이나 정보를 수집하여 판단 및 해석하는 시지각을 평가하는 도구로 다목적 암맹상자의 도형판 모양, 위치, 순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시지 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MVPT-3를 실시하였다. MVPT-3는 총 65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 4∼10세는 1∼40번 항목까지, 11세 이상은 14∼65번 항목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시지각 능력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원점수(raw score)를 사용 하였다. 원점수는 실시한 항목에서 틀린 항목의 개수를 빼는 것으로 산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시지각 능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5)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2.0)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도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지 등에 대 한 사용성 평가를 위해 QUEST 2.0을 실시하였다. QUEST 2.0은 보조공학기기 관련 8개 항목(규격, 무게, 용의성 등), 보조공학서비스 관련 4개 항목(수리, 유지관 리서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타 당도를 높이기 위해 작업치료학과 교수 3명과 대학원생 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게 연구의 목적과 관련된 보조공학기기 항목 중 대상자가 간결하게 응답할 수 있 도록 그룹화 할 수 있는 항목, 추가할 내용에 대하여 의견 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여 수차 례의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쳐 평가지를 제작한 후 사용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응답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한다.

4. 훈련방법 및 연구절차

1)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훈련 방법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방법으로 먼저 대상자를 다목적 암맹상자의 앞면을 바라보도록 앉게 하였다. 이때, 지면 과 상자 간의 높이는 상자 안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아래팔을 다목적 암맹상자의 구멍에 넣었을 때 팔꿈치가 90도 구부러지는 높이로 설정하였다. 또한, 기능적인 앉 은 자세를 위해 엉덩이는 의자 뒤에 밀착시키고 발은 지 면에 붙여 무릎과 골반이 정렬되도록 하며, 몸통과 테이 블의 간격은 자신의 주먹이 들어갈 정도로 떨어진 상태 로 하였다.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시범을 보인 후 시작구 호와 함께 시야가 차단된 상자 안에서 도형블록을 꺼내 상자 위의 도형판에 올바르게 끼우도록 하였다. 대상자 의 양손을 이용하여 왼쪽 맨 위 도형판부터 오른쪽 맨 아 래 도형판까지 수행하도록 하였고 수행 정도에 따라 모 양의 구별이 쉬운 도형에서 어려운 도형으로 난이도를 높였다. 만약 수행 중 비손상측의 사용 빈도가 손상측에 비해 높을 경우 연구자의 언어적인 단서를 통해 양손을 함께 사용하도록 하였다. 주 1회기(30분) 동안 24개의 도형판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으며, 평균 2회 수행하였 다(Figure 3).

Figure 3

Training Scene of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figures/KJOT-27-3-33_F3.jpg

2) 연구 절차

연구 절차는 Figure 4와 같다. 대상자는 연구 목적, 절 차, 방법, 위험요소, 비밀보장 등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듣고 동의서를 작성 후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에 동의 한 대상자들은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 대조군으로 분류하였고, 실험군-대조군 상관없이 모든 대상자들에 게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연구 목적에 맞는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초기평가를 하였다. 그 후 실험군에게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을 1회당 30분, 주 3회, 총 6주간 총 18회 실시하였다. 이때,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은 연구자의 신 체적인 도움 없이 반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 대상자가 수행 시 어려움을 보이면 언어적인 도움을 제공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기간 동안 전통적인 작 업치료를 받도록 하였고, 감각볼(sensory ball)과 같은 감각 자극 물체, 치료용 고무찰흙(thera putty)을 이용 하여 감각을 입력해주거나 치료실 내에서 특정 물체 찾 기, 사진보고 물건 배치하기 등의 활동이 실시되었다. 실 험군-대조군 모두 6주 후 훈련을 종료하고 재평가를 실 시하였다.

Figure 4

Flow Diagram of Research Procedure

../figures/KJOT-27-3-33_F4.jpg

5.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실험 결과는 기술통계량을 제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 차이값을 비교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 실험군-대조군 각 종속변수가 초기 및 재평가 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성 평가는 기술통계분석 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에 대한 판단은 신뢰수준 .05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정 하였다.

Ⅲ. 결 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행점수 차이값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의 SWM, TD, MPT 및 MVPT-3 점수 차이값(재-초기평가)을 비교한 결과 SWM(Z=-2.080, p<.05), TD(Z=-2.578, p<.01), MPT(Z=-2.039, p<.05), MVPT-3(Z=-3.164, p<.01) 모두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점수 차이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Table 2).

Table 2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igures/KJOT-27-3-33_T2.jpg

2. 실험군의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수행점 수 비교

실험군을 대상으로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에 따 른 SWM, TD, MPT 및 MVPT-3의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SWM(Z=-2.913, p<.01), TD(Z=-3.035, p<.01), MPT(Z=-2.625, p<.01), MVPT-3(Z=-3.345, p<.001)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다목적 암 맹상자 훈련 전보다 후에 SWM 및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MVPT-3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Performance Score Before and After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for Train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N=17)

../figures/KJOT-27-3-33_T3.jpg

3. 대조군의 전통적인 작업치료 전·후 수행점수 비교

대조군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작업치료 전·후에 따른 SWM, TD, MPT 및 MVPT-3의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작업치료 전보다 후에 SWM 및 TD 수치 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MVPT-3 점수의 향상을 보 였지만,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p>.05)(Table 4).

Table 4

Comparison of Performance Score Before and After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of the Control Group (N=16)

../figures/KJOT-27-3-33_T4.jpg

4. 다목적 암맹상자 사용성 평가 분석

실험군을 대상으로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후 사용성 평가 점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과 표준편차는 3.78± 71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천 의도에서 4.06±.66점으 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Table 5).

Table 5

Analysis of Usability for Multi-Purpose Blind Box (N=17)

../figures/KJOT-27-3-33_T5.jpg

Ⅳ. 고 찰

감각 결손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경우 움직임을 피하 거나 둔하고 조화롭지 못한 움직임을 보이며, 시지각 손 상의 결과로 사물을 인식하고 그 사물의 유사점과 차이 점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일상생활활동에 제한을 줄 수 있다(Oh, Park, & Sim, 2015; Yu & Jung, 2006). 이와 같이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있어 감각과 시 지각 기능은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병원 등에서 입체감 각인식을 포함하여 감각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감각 자극 물체, 진동기 등을 이용한 감각 입력이나 치료 용 고무찰흙을 이용한 활동 등이 시행되고 있고, 시지각 기능 증진을 위해 물체의 일부분을 보고 전체 찾기, 공간 내에서 특정 물체 찾기 등의 활동들이 실시되고 있다. 하 지만 이러한 감각과 시지각 요소를 함께 사용하여 훈련 하는 연구는 미미하였고, 다목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도 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감각 과 시지각을 훈련할 수 있는 다목적 암맹상자를 개발하 고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후 수행 전·후 차이 분석,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손상을 입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선행 연구와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먼저, SWM, TD, MPT 및 MVPT-3에 대해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점수 차이값을 비교하여 본 결과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점수 차이가 더 높았다. 또한, 실험군에서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보 다 후에 SWM 및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MVPT-3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 상으로 체감각 자극 훈련을 실시한 결과 촉각 인식, 두- 점 구별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각 손상 후 체 계적인 감각 자극 훈련이 감각 회복에 중요하다는 Song(2012a)의 연구,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촉각적, 시각적인 과제 지향적 인지기능 프로그 램을 적용한 결과 감각인식력이 향상되었다는 Hwang과 Bang(2017)의 연구와 뇌졸중 환자에게 접촉 자극을 제 공하는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감각 기능과 손 기능에 긍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Song(2012b)의 연구를 지지한 다. 또한, 뇌졸중 환자에게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 훈련 을 적용한 결과 시지각 기능이 향상되었다는 Song, Seo, Lee와 Lee(2011)의 연구와 40개의 과제로 구성된 시 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시 지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An(2012)의 연구를 통해 다목적 암맹상자와 같은 과제 적인 활동이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 로 사료된다. 반면, 대조군의 전통적인 작업치료 전·후 수행점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으 며, 뇌졸중 환자의 병변부위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을 고 려하지 않아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다목적 암맹상자에 대한 사용성 평가 분석결과 평균 3.78±.71점으로 나타났다. 적정성 및 용이성, 내구성 및 안전성, 필요성 및 적합성, 추천의도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으며 특히, 추천의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하 여 훈련을 한 뇌졸중 환자들은 다목적 암맹상자가 감각 및 시지각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 적합하게 생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손상을 입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다목적 암맹상자를 개발하고 적용한 후 과 학적인 근거를 통해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 구 대상자의 수가 적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대상자를 통해 감 각·시지각 기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활동·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연구가 이루어질 기대한다. 또한, 다목적 암 맹상자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병변부위, 손상정도 등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하여 훈련 시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 용하여 감각 및 시지각 기능뿐만 아니라 상지의 기민성 을 포함한 운동 기능과 인지적 요소를 훈련하는 도구로 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목적 암맹상 자를 훈련도구뿐만 아니라 감각 기능, 시지각 요소, 상지 의 기민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연구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국내 작업치료 환경 내에서 폭넓은 대 상자를 위한 훈련 및 평가도구가 개발되고 이에 따른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n, T. G. (2012). Visual-perception training program having an effect on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strok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2. 

An, T. G., Lee, S. R., Byun, M. G., Park, J. S., & Cho, Y. N. (2011). 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capacity and ADL(Activity of Daily Living) performance function of the strok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2), 51-60.

3. 

Byl, N. N., Archer, E. S., & McKenzie, A. (2009). Focal hand dystonia: Effectiveness of a home program of fitness and learning-based sensorimotor and memory training. Journal of Hand Therapy, 22, 183-198. doi:10.1016/j.jht.2008.12.003 10.1016/j.jht.2008.12.00319285832

4. 

Carey, L., Macdonell, R., & Matyas, T. A. (2011). Sens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neurorehabilitation on sen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 304-313. doi:10.1177/1545968310397705 10.1177/154596831039770521350049

5. 

Carr, J., & Shepherd, R. (2010).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2nd ed.). London, GB: Churchill Livingstone.

6. 

Farrer, C., Franck, N., Paillard, J., & Jeannerod, M. (2003).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action recognition.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2(4), 609-619. doi:10.1016/S1053-8100(03)00047-3 10.1016/S1053-8100(03)00047-3

7. 

Hwang, M. J., & Bang, Y. S. (2017). The effects of task-oriented cognitive program on sensory, cognitive, and motor functions for job competency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8), 305-315. doi:10.21184/jkeia.2017.12.11.8.305 10.21184/jkeia.2017.12.11.8.305

8. 

Jo, A. Y. (2012).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visual perception and ADL in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KR.

9. 

Kim, S. C. (2016). Effect of driving program using a virtual reality on the cognition and visual perception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10. 

Kim, Y. S., Lee, Y. J., & Kim, J. Y. (2012). Effect of sensory-cognition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on upper limb fun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4, 21-29.

11. 

Kovic, M., & Schultz-Krohn, W. (2013). Performance skills: Definitions and evaluation in the context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ed., pp. 450-460). St. Louis, MO: Elsevier.

12. 

Lee, E. S., Park, S. W., Lee, B. S., Shin, O. S., Lee, J. H., & Kim, B. S. (2002). Evaluating driving ability of brain damaged subjects with MMSE and MVPT.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3), 268-272.

13. 

Lee, H. S., Lee, D. J., & Yook, K. T. (2011). The effect of task-oriented program on the visual perception, stand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patients with stroke. Kinesiology, 13(2), 11-20.

14. 

Oh, D. W., Park, H. J., & Sim, S. M. (2015). Sensory training for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Fundamental basis of stroke rehabilitation. Korean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5(1), 45-68.

15. 

Rosenthal, M., Griffith, E. R., & Bond, M. R. (1983). Rehabilitation of the head injured adult. Philadelphia, PA: F. A. Davis.

16. 

Sabari, J. S., & Lieberman, D. (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guidelines for adults with stroke. Bethesda, MD: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Press.

17. 

Song, B. K. (2012a) .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in sensory, spatial neglect and body orientation within unilateral neglects after a strok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6(4), 204-210. doi:10.21184/jkeia.2012.12.6.4.204 10.21184/jkeia.2012.12.6.4.204

18. 

Song, B. K. (2012b) . The effect of tactile stimulation on two point discrimination, hand function, and ADL in impaired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7(4), 481-491. doi:10.0000/kspm.2012.7.4.481 10.13066/kspm.2012.7.4.481

19. 

Song, W. I., Cha, T. H., & Woo, H. S. (2011). The influence of 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 (12), 5731-5740. doi:10.5762/KAIS.2011.12.12.5731 10.5762/KAIS.2011.12.12.5731

20. 

Song, C. H., Seo, S. M., Lee, K. J., & Lee, Y. W. (2011). Video game-based exercise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strength,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1), 155-180.

21. 

Trombly, C. A., & Radomski, M. V. (2015).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2. 

Warren, M. (2013).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eficits following brain injury.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ed., pp. 590-630). St. Louis, MO: Elsevier.

23.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14). Health topics: Stroke, cerebrovascular accident. Retrieved from http://www.who.int/topics/cerebr ovascular_accident/en/

24. 

Yeom, S. W. (2013).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training on the sensory and motor functions of hand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KR.

25. 

Yu, B. K., & Jung, K. H. (2006). A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4(1), 47-55.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