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소에 관한 사전연구: 델파이 조사



Ⅰ. 서 론

전 세계적으로 고령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 데, 1980년부터 2010년까지 전 세계 노인 인구는 8.60%에서 11.00%로 2.40% 급격히 상승하였다. 또한, 2010년부터 2040년까지의 노인 인구 비율이 7.60% 증 가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노인 인구 비율이 급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 Population Division, 2013). 한국 또한 2018년도에는 노인 인구가 738만 1,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4.30%를 차지하여 고령사회 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했다(Statistic Korea, 2018) 더 불어 이러한 노인 인구는 2025년에는 1,050만 8,000명 으로 국내 전체 인구수의 약 20.0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인의 삶의 질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하 고 있다(Jung et al., 2017).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과거 에 단순히 오래 사는 방안에 학문적, 정책적 관심이 집중 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학계는 점점 은퇴한 노인들이 어떻 게 노후생활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보낼지에 대한 연구에 그 관심을 집중하였다(Kim, 2004; Na, 2004).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인간 수명 연장으로 인해 건강한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은 국가적 보건 과제가 될 정도로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Atallah et al., 2018).

기존 노인의 건강 관련 연구에서는 음주, 흡연, 운동, 영양, 스트레스 등을 라이프스타일의 요소로 인식하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습관의 유지가 각종 질환 및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 Joung, 2009; Won, Shin, Park, Han, & Park, 2019).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의 건강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인식 되어(WHO, 2004), 라이프스타일, 건강과 삶의 질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Wang, dong, Xing, Xiao-Hui, Wu, & Xian-Bo, 2012). 기존 연구들에서 식이, 신체적 활동, 흡연 및 음주 습관 등을 포함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은 당뇨와 심혈관계질환과 같은 만성질환 을 비롯하여 암과 같은 주요 질병의 유병률을 낮추고 사망 률도 줄인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Knoops, Kromhout, & Perrin, 2004; Kurth, Moore, Gaziano, & Kase, 2006; Haveman-Nies, Burema, Amorim Cruz, Osler, & Van Staveren, 2002; Van Dam, Li, Spiegelman, Franco, & Hu, 2008). 기존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 구에서는 주로 라이프스타일의 구성요소 및 지표로 식이, 신체적 활동 및 음주 및 흡연 습관 등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해 왔다(Knoops et al., 2004; Kurth et al., 2006; Van Dam et al., 2008). 또한, 연구자마다 라이 프스타일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를 다르게 보고 있어 라 이프스타일을 평가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노인 의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라이프스타일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더욱이, 기존 라이프스타일 연구는 주로 성인을 대상 으로 시행됐으며,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려는 시 도는 다른 대상의 라이프스타일 분석보다 상대적으로 많 이 연구되지 않았다(Yang & Choi, 2005). 이는 과거 노 년층이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경제적으로 위축되어 구 매력과 사회적 영향력이 낮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 나 최근 사회보장제도의 확대와 노인의 경제력 향상 및 인구급증과 같은 사회적 현상을 통해 경제적 영향력이 있고, 교육수준도 높은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노인계층 이 형성됨에 따라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자 하는 학계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Han & Kim, 2002). 따라서, 향후 건강한 고령사회를 준비하기에 앞서 노인 의 라이프스타일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매우 필수 적인 과제로 보인다(Yi, Kim, & Liu, 2001).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 프로 파일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분류하 고,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 라 이프스타일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노인 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고, 노인의 라이프스타 일과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외부요소들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 및 세부항목을 개발하여 향후 노인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 개발에 근거를 제 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기준은 노인의 라이프스타 일에 관한 연구경력과 노인 복지 및 보건 관련된 직종 에서 5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전문가로 구성하였 다. 전문가 패널들은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를 하였거나, 혹은 해당 분야에 이해도가 있는 노인 복지 및 건강 관련 분야의 연구경 력과 교육을 이수한 경험을 가진 13명의 작업치료 전 공 교수,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전공 교수, 영양사, 물 리치료 전공 교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전문가 집단 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 연구는 사전에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1041849-201901-BM-012-01)의 승 인을 받았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ert Panel (N=13)

../figures/KJOT-27-3-105_T1.jpg

2. 조사 과정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3차에 걸쳐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1~3차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집단의 응답률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Personnel Selection and Response Rate of Delphi

../figures/KJOT-27-3-105_T2.jpg

본 연구는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정의와 다면 적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의 개발을 위해 크게 3단계의 연구 과정으로 진행 하였다(Figure 1).

Figure 1

Research Process

../figures/KJOT-27-3-105_F1.jpg

첫 번째 단계에서 본 연구는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14일까지 Google Scholar, MedLine, CINAHL 를 이용하여 원문을 수집하였다. 검색에는 “Elderly”, “Lifestyle”, “Lifestyle Factors”, “Quality of life”, “Assessment”, “Health”의 주제어가 사용하여 라이프 스타일에 관련된 정의 및 라이프스타일 평가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전문가 패널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로, 1차 델파이 설문지의 폐쇄형 질문은 참여자들이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따라 정의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7가지 정의에 대해 각각 적합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자 하였다. 개방형 질문으로는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영역,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하 는 영역,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받는 영역 으로 추출 및 재구조화하여 총 7개의 하위영역을 구성하 여 전문가 패널들의 추가적인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 록 하였다. 개방형은 특히 참여하는 전문가들이 문제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각자 나름대로 생각들을 먼저 고려 한 후 이를 토대로 의견의 수렴 시 적합한 방법으로 라이 프스타일의 각 요인의 구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패널의 자유로운 의견 수렴을 위해 사용하였다(Kang, 2001). 개방형 및 폐쇄형 질문이 혼합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차 델파이 조사하여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 설문 항목들을 재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를 통해 도출 및 재구조화된 27개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를 4점 리커트 척도로 제시하였고, 더불어 참여자들의 그 외 기타의견을 자유롭게 기술 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작성하여 배부하였다. 1차 조사를 한 13명의 전문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수행하 였으며, 13명 모두 2차 설문에 응답하였다. 2차 델파이 설문조사 종료 후 3차에서는 2차 설문 결과 기반으로 도 출된 통계 분석 결과에 따라 설문지를 작성한 후 전문가 들에게 배포하였다. 3차 설문지에는 2차 조사의 통계 결 과를 바탕으로 각 항목의 중요도와 적합성에 대한 전체 평균점수의 통계치, 표준점수와 본인이 기재했던 점수를 제시해 주어, 본인의 의견에 대해 수정할 기회를 제공하 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 답변을 보낸 전문가 참여자 13 명을 대상으로 3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전문가 집 단 모두 3차 델파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1차에서 3차까 지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고령자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각 영역 및 각 하위 구성요소들의 평균, 표준편차, 내용 타당도 비율, 안정도, 수렴도, 합의 도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도출된 델파이 설문 결과를 토대로 합의된 항목을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다 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파일 항목을 개발하였다.

3. 분석 방법

1차 델파이 결과는 전문가 참여 집단의 전체적인 의견 에서 공통된 주제들을 선정하고 분류하는 내용분석을 시 행하였다. 2차·3차 델파이 조사 분석은 선정된 각 항목 에 대해 중요도 및 적합도를 4점 리커트 척도로 산출하였 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 다. 각 항목의 내용 타당도는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로 분석하고, Lawshe(1975)가 제시한 기준을 근거에 따라 전문가 집단 13명에 따른 최 소값 .54를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델파이 기법에 서 전문가 패널의 의견의 일치성이 높음을 뜻하는 안정 도(stability)는 각 항목의 표준편차를 산술평균으로 나 눈 변이계수로 분석하였다. 변이계수가 0.5 이하면 추가 델파이 조사가 필요 없으며, 0.5~0.8인 경우 비교적 안 정적이고 0.8인 경우 추가 델파이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 단하였다(Sempik, Aldridge, & Becker, 2003). 수렴 도(convergence)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응답 결과 에 따른 수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초기 수렴도를 기 준으로 수렴도가 작을수록 4분 범위가 작은 것으로 전문 가의 의견이 수렴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Lee, 2001). 전문가 패널 사이의 합의 정도를 검증하는 합의도 (consensus)는 합의도 지수가 클수록 합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Lee, 2001).

Ⅲ. 연구 결과

1.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차 델파이 설문조사는 크게 2가지 영역으로 구성되 었다. 첫 번째 영역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마련한 다양 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고 현대적인 관점 에서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적합한 정의에 관해 물었다. 그 결과, 총 7가지 라이프스타일 정의에서 전문 가 패널이 선정한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정의하기에 가장 적합한 정의로 라이프스타일이란, 사람이 살아가면 서 시간과 돈을 소비해 나가는 유형으로, 행위자의 생활 양식이나 가치관, 성격 등의 복합적으로 반영된 산물을 말하며. 이는 노년층의 행동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는 외부의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는 지속적이며 일관성 있는 생활양식으로 정의 되었다(Engel, Blackwell, & Miniard, 1990; Moschis, 1987)(Table 3).

Table 3

1st Delphi Result of Definition of Elderly’s Lifestyle

../figures/KJOT-27-3-105_T3.jpg

두 번째 영역에서는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할 수 있는 요인과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받는 요인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2개의 요인, 노인의 라이 프스타일을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3개의 요인, 라이 프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받는 2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영역별로 개방형 질문을 통해 나타난 하위 구성요소는 총66 항목이다(Table 4).

Table 4

1st Delphi Result

../figures/KJOT-27-3-105_T4.jpg

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를 토대로 개 방형 질문에서 도출된 66개의 항목을 구성요소별로 중 복 항목 삭제 및 재구조화를 통해 기능 수준영역에서 4항 목, 환경영역에서 4항목, 신체적 활동에서 6항목, 식이 영역에서 6항목, 활동참여 영역에서 7항목으로 총 27개 의 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설문지를 통해 각 항목의 적합도와 중요도, 기타의견을 조사하였다. 1차 델 파이 패널 13명 중 총 13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패널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CVR값의 최소값 .54 이하로 분석된 5가지 항목이 도출되었다. 연구자 간의 논 의를 거쳐 이중 ‘디지털 환경’과 ‘알콜 섭취’ 항목은 유지 하고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 ‘고강도 운동’ 항목을 삭제하였다.

또한, 전문가 패널들의 추가 의견에 따라 신체적 활동 과 활동참여의 ‘활동’의 의미가 중복되는 것으로 해석됨 에 따라 활동참여의 ‘활동’을 보다 포괄적인 의미의 ‘작 업’으로 수정하였다. 또한 ‘건강’영역과 ‘삶의 질’ 영역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결과적인 요소로 기존 에 개발된 관련 평가도구의 사용을 통해 측정하기로 하 여 연구자 간 합의에 따라 2차 설문지에서는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2차 델파이 결과 총 2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 다 (Table 5).

Table 5

2nd Delphi Result

../figures/KJOT-27-3-105_T5.jpg

3.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24개의 항목 중 CVR 최소값 .54 이하로 분석된 항목 은 총 3 항목(중등도 신체활동, 지방섭취, 알코올 섭취) 을 제외하고는 없었다(Table 6). 3차 델파이 결과, 2차 와 비교하여 항목의 적합도 및 중요도 평균이 높게 나타 났으며,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 결과에 대한 비교적 높은 수렵도와 합의도가 확인 되었다(Table 7). 24개의 항목 중 CVR 값이 최소값 .54 이하였던 3항목은 기존의 문헌 고찰에서 고령자의 건강 및 삶의 질을 예측하는 주요 인 자로 연구되었으므로, 3항목을 최종 항목으로 포함하였 고, 그 외 항목은 모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에 관한 평가항목으로 최종 24개 의 항목을 선정하였다(Table 8).

Table 6

3rd Delphi Result

../figures/KJOT-27-3-105_T6.jpg
Table 7

Average Opinion of the Expert Panel Agreement

../figures/KJOT-27-3-105_T7.jpg
Table 8

The Final Selection of Items

../figures/KJOT-27-3-105_T8.jpg

Ⅳ. 고 찰

노인은 일상적 건강관리와 더불어 각종 노인성 질환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연령층보다도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Choi, 2000). 이러한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하여 노 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측정이 요구됨에 반해 우리나 라에서는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중요도가 상대적 으로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어 이는 향후 노인 인구의 심각한 건강상의 폐해를 가져올 수도 있다(Bae & Park, 2006).

라이프스타일은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으로 여러 학자 에 의해 다양하게 개념규정이 이루어져 왔다(Joung & Kim, 2002). 본 연구에는 문헌고찰을 통해 다양한 학계 에서 정의한 라이프스타일을 전문가 패널의 합의를 통해 라이프스타일이란 사람이 생활하고 시간과 돈을 소비해 나가는 유형으로, 행위자의 생활의식이나 가치관, 성격 등의 복합물로서 노년층의 행동 전반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외부의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지속적이 며 일관성 있는 생활양식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기존에 단편적으로 정의되었던 라이프스타일을 외부 요인에 영 향을 주고받는, 더불어 개인이 참여한 작업에 따라 정의 되는 보다 다면적인 라이프스타일로 정의함에 따라 향후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 개발 시 고령자의 신체 적 활동, 식이, 작업참여를 포함한 라이프스타일 프로파 일 개발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다면적 라이프스 타일의 정의는 향후 고령자가 살아가고 있는 생활양식을 나타내고 이는 노후의 생활을 측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되며, 고령자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 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은 향후 노인 인구의 건강증진 및 질병과 장애 예방과 관련된 보건 정책 및 제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Moschis, Lee, & Mathur, 1997).

기존의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 보면, 라이프스타일을 6가지 영역(가족관계, 활동, 영양, 흡연, 음주, 수면, 기질, 인식 및 직업)으로 분류하여 항목 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 는지 평가 한 평가도구가 있다(Wilson & Ciliska, 1984). 그러나, 이러한 평가도구는 라이프스타일에 영 향을 미치는 기능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 아 다면적인 평가에 제한적이다. Walker, Sechrist와 Pender(1987) 개발한 건강증진 라이프스타일 프로파 일(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HELP-Ⅱ) 은 총 34개의 항목으로 건강 책임성, 신체적 활동, 영양 및 스트레스 관리의 4가지 항목으로 분류되었다. HELP-Ⅱ는 건강증진 모델에 기반을 두어 개발되고 사 용되고 있으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상자의 작 업참여에 대한 영역에 대해 자가응답만을 통해 측정 되 어 식이와 신체적 활동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누락 된 상 태이므로, 다면적인 평가 제한적이다(Park, Won, & Park, 2019; Pender, 2011).

국내의 경우,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평가와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는 그 수가 제한적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노 인의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식생활, 취미 생활, 일상생 활, 종교 생활, 가족관계, 동료 관계, 유료노인복지주택 선호 등으로 구분한 연구와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11개 의 요인으로 유형화한 연구, 혹은 중·장년 측의 라이프스 타일을 건강추구, 여가문화 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보수적 가족 추구, 동료 관계 추구, 종교 및 봉사활동 추구의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연구가 있다 (Choi, 2011; Shin, 2009; Woo, Choi, & Kim, 2009). 이러한 국내연구는 고령자의 건강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한 것이 아닌, 유형을 분류화 하는데 그쳤으며, 향후 고령자의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 일 평가도구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 된다.

더욱이, 기존의 연구에서는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영 향을 미치는 개인의 기능 수준 및 환경적 요인에 대한 고 려가 부족하며, 라이프스타일 안에 개인이 참여하는 ‘작 업’의 영역을 세분화하여 분류하지 않았기에 노인의 라 이프스타일을 다면적으로 판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을 측 정하기 위해 다면적인 요소와 하위항목들을 델파이 방법 을 사용해 전문가 패널 13명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 개발에 기초가 되는 영역 과 항목들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전문가 패널은 노인 및 라이프스타일 관련 분야의 임상 또는 교육 및 연구경력이 평균 8년 이상인 전문가들로 확인되었기에 이들의 전문가적 관점이 반영 된 본 연구결과는 신뢰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델파이 집단의 패널 수 또한 그 신뢰성이 0.80 이상이 보장되는 13명으로 하여 유용한 연구결과를 얻기에 부족 하지 않 으며 연구자와의 소통을 통해 1, 2, 3차 델파이 연구 진 행 시 패널의 탈락 없이 원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Murry & Hammons, 1995).

다양한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 하기 위해 총 66개의 항목이 1차 델파이에서 도출되었 고, 본 연구저자들 간의 회의를 거쳐 본 항목을 중복 항목 을 삭제하고 및 관련 영역별로 분류하고 수정 및 재 조직 화하여 총 27개의 항목을 선택하였다. 2차 델파이 결과 CVR 최소값 .54 이하로 분석된 5가지 항목이 도출되었 다. 연구자 간의 합의를 통해 이중 ‘디지털 환경’과 ‘알콜 섭취’ 항목을 제외하고,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 ‘고 강도 운동’ 항목이 삭제되었다.

‘디지털 환경’ 문항이 CVR 값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삭제하지 않은 이유는 문헌고찰 결과, 급변해가는 정보 화 사회에서 휴대전화와 인터넷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환경은 노년층에서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관된 중요한 이슈로 보고되었기 때문이다(Hwang & Hwang, 2017; Hwang, Park, Lee, & Lee, 2012). 노년층에게 있어서 컴퓨터와 인터넷에 접근은 단순 기술사용의 능력으로 발 생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배제와 정보인프라를 통한 사회참여로 연관되어 궁극적으로 노년기 우울, 자 존감 향상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결 과로 인해 본 연구진에서는 논의를 통해 개인의 디지털 환경이 라이프스타일과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항목을 삭제하지 않았다(Lee, 2012; Yoo & Son, 2012).

또한, ‘알콜 섭취’ 항목은 기존의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서 알콜 섭취의 양은 심혈관계질환 및 간 질환을 일으키 는데 주요 위험 요인이며, 이는 향후 개인의 사망률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라이프스타일 패턴 중 하나로 그 인과관계가 입증된 기존 문헌고찰을 근거로 개인의 건강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주요항목 으로 판단되어 삭제하지 않았다(Hoffmeister, Schelp, Mensink, Dietz, & Bohning, 1999; Hwang, 2010; Lawler-Row & Elliott, 2009). 따라서, 최종적으로 2 차 델파이 결과 총 2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3차 델파 이 결과 CVR 최소값 .54 이하로 분석된 항목은 ‘중등도 신체활동’, ‘지방섭취’ 및 ‘알콜 섭취’로 보였는데, 연구에 따르면, 중등도의 신체활동 경우 중성지방 감소, HDL 콜 레스테롤 수치 증진, 체중관리 등을 적절히 유지시켜 전 반적인 신체 체성분을 증진 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면역 계를 강화시키는 등의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요소 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러한 중 등도의 신체활동을 라이프스타일에 적용하였을 시 스트 레스 감소, 불안 및 우울 감소로 인한 심리적 건강 및 심혈 관계질환의 예방과 만성질환 관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Adamopoulos et al., 2001; Blair, Goodyear, Gibbons, & Cooper, 1984; Dunn, Trivedi, & O’Neal, 2001; Warburton, Gledhill, & Quinney, 2001). 따라서, ‘중 등도 신체활동’ 항목은 CVR 값 .54임에도 불구하고 최 종적인 항목에는 포함을 시키는 것으로 최종 논의되었다. Mattisson, Wirfalt와 Berglund(2001) 연구에 따르면, 지방섭취는 라이프스타일의 특성을 나타내는 매우 강력 한 구성요소로 소개하고 있다. 또한, 지방의 섭취는 건강 과 신체적 건강 및 삶의 질에도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Hislop et al., 2006; Plaisted, Lin, Ard, McClure, & Svetkey, 1999; Pisinger, Toft, Aadahl, Glumer, & Jorgensen, 2009). 기존의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본 연 구진 또한 개인의 식이와 관련된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서는 지방섭취 또한 고령자의 건강에 관련된 매우 중요 한 요소로 보고 본 항목 또한 최종 항목에 포함 시키기로 합의하였다.

2차와 비교해 항목의 적합도와 중요도 평균이 높았고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에 대한 수렴과 합의가 확인되었다. 도출된 22개의 평균 내용 타당도 비율은 .87, 안정도는 .12, 수렴도는 .16, 합의도는 .90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고령자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파 일에 관한 최종 24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국내의 인구변화 추이를 고려해 불 때, 한국의 베이비 붐 세대의 본격적 은퇴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노인 인구 는 향후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할 그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부담 또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일 것이며 그에 따른 사회문제의 확대 가속화가 예상 된다 (Statistic Korea, 2018). 노인들은 노년기에 접어들며 이전의 삶보다는 비교적 많은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되지 만, 갑작스러운 은퇴로 인해 대부분 노인은 의미 없는 시 간을 보내며 삶의 의미에 혼란을 겪는다(Yang, 2007). 은퇴 후 오랜 시간 반복되고 유지됨으로써 습관으로 굳 어진 라이프스타일은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노년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결정 되므로, 노인이 어떠한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하는 지를 측정하는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은 노인에게 있어 매우 중요하다(Chang, 2012; Lee & Gi, 2009). 최근 국외에서는 개인 특히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대표적인 비 약물학적 건강 중재 방법으로 사용하여, 개인의 생활 양식이나 생활환경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질병의 예방 및 치료,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연구결과 가 보고되고 있다(Clark, et al., 2012; Dunn, Andersen, & Jakicic, 1998; Johansson, & Bjorklund, 2016). 그 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을 증진하 기 위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고 활용한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 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 인 구 누구에게나 적용 가능하며, 평가 결과를 통해 노인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의 과학적 진단이 가능하게 될 평가 도구가 개발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 직 면한 우리나라의 현시점에서 노인 건강문제 해결을 라이 프스타일의 진단을 통한 예방적 건강관리를 이루게 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라이프스타 일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고령자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의 항목들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고령사회를 살 아가는 노인들의 예방적 건강관리를 위한 대안적인 방안 을 마련했다는 관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노인 의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 프로 파일에 관한 평가항목에서 내용 타당도만을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건강과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가 진행되어 평가도구로서 그 유용성을 검증 할 필요가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노인의 다면적 라 이프스타일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파일 개발을 위해 관 련 평가항목들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에 선 정된 13명의 전문가 패널들은 노인과 라이프스타일에 관련된 학계 종사자 및 연구 경험이 있거나, 관련 전문지 식이 있는 자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3차에 걸 쳐 진행되었으며, 전문가 응답 비율은 1, 2, 3차에 걸쳐 100.00%로 높은 수준의 설문 회수율을 유지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 도출된 총 66개의 항목은 2차와 3차 델 파이 조사를 통해 삭제, 통합 및 수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4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개발을 시도한 첫 연구로써 앞으로 고령 인구의 증가를 고려해 보았을 때 향후 노인의 다면적 라 이프스타일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파일을 개 발함으로써 건강 증진 및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효과 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Adamopoulos, S., Parissis, J., Kroupis, C., Georgiadis, M., Karatzas, D., Karavolias, G., ... Kremastinos, D. T. (2001). Physical training reduces peripheral markers of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European Heart Journal, 22, 791-797. 10.1053/euhj.2000.2285

2. 

Adler, A. (1969). The science of living. New York, NY: Doubleday.

3. 

Atallah, N., Adjibade, M., Lelong, H., Hercberg, S., Galan, P., Assmann, K., & Kesse-Guyot, E. (2018). How healthy lifestyle factors at midlife relate to healthy aging. Nutrients, 10(7), 854-865. 10.3390/nu1007085429966372PMC6073192

4. 

Bae, J. Y., & Park, H. S. (200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lderly risk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6(4), 785-800.

5. 

Bernard, J. (1975). Notes on changing life styl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Relations, 37(3), 582-583. 10.2307/350522

6. 

Blair, S. N., Goodyear, N. N., Gibbons, L. W., & Cooper, K. H. (1984). Physical fitness and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healthy normotensive men and women. JAMA, 252(4), 487-490. 10.1001/jama.252.4.4876737638

7. 

Chang, M. O. (2012). The study of leisure time use of older adults: Based on the case of older adults in west area in Canada.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5(3), 91-114.

8. 

Choi, H. (2011). Influence of the middle aged adults’ lifestyle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preparation of life in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R.

9. 

Choi, H. (2000). Elderly and health. Seoul, KR: Hyunmoon.

10. 

Clark, F., Jackson, J., Carlson, M., Chou, C., Cherry, B., Jordan-Marsh, M., ... Azen, S. P. (2012).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independently living older people: Results of the well elderly 2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6(9), 782-790. 10.1136/jech.2009.09975421636614PMC3412049

11. 

Dunn, A. L., Andersen, R. E., & Jakicic, J. M. (1998). Lifestyl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History, short-and long-term effects, and recommendation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5(4), 398-412. 10.1016/S0749-3797(98)00084-1

12. 

Dunn, A. L., Trivedi, M. H., & O’Neal, H. A. (2001). Physical activity dose-response effects on outcomes of depression and anxiet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3, 587-597. 10.1097/00005768-200106001-0002711427783

13. 

Engel, J. F., Balckwell, R. D., & Miniard, P. W. (1990). Consumer behavior (6th ed.). Chicago, IL: Dryden Press.

14. 

Han, S. J., & Kim, M. S. (2002). A study on the clothing buying motive and information source according to lifestyle type of women in their 50’s and 60’s.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2), 116-131.

15. 

Haveman-Nies, A., Burema, J., Amorim Cruz, J., Osler, M., & Van Staveren, W. (2002). Dietary quality and lifestyle factors in relation to 10-year mortality in older European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6(10), 962-968. 10.1093/aje/kwf14412419769

16. 

Hislop, T. G., Bajdik, C. D., Balneaves, L. G., Holmes, A., Chan, S., Wu, E., ... Butler, A. L. (2006).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effects and social consequence after participation in a low-fat, high-carbohydrate dietary trial for more than 5 year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4(15), 2311-2317. 10.1200/JCO.2005.04.304216710029

17. 

Hoffmeister, H., Schelp, F. P., Mensink, G. B., Dietz, E., & Bohning, D.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health indicators and mortality in the Germ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8(6), 1066-1072. 10.1093/ije/28.6.106610661649

18. 

Hwang, H. J., & Hwang, Y. S. (2017). Gaps and reasons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in Korea: Focusing on household composi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24(3), 359-386.

19. 

Hwang, J. E.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Health Enhancement Lifestyle Profile(HELP).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30(4), 158-168. 10.3928/15394492-20091225-01

20. 

Hwang, Y. S., Park, N. S., Lee, H. J., & Lee, W. T. (2012). Exploring digital literacy in convergent media environment: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generation gap.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6(2), 198-225.

21. 

Johansson, A., & Bjorklund, A. (2016). The impac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lifestyle interventions on older persons’ health, well-being, and occupational adaptation: A mixed-design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3(3), 207-219. 10.3109/11038128.2015.109354426442837

22. 

Joung, S. H., & Kim, H. J. (2002). A review of studies on lifestyle. Korean Consumption Culture Association, 5(2), 107-128.

23. 

Jung, K. H., Oh, Y. H., Hwang, N. H., Oh, M. A., Lee, S. H., & Kim, J. S.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for older persons. Seoul, K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4. 

Kang, S. J. (2001). Sport research method. Seoul, KR: 21st publishing.

25. 

Kim, H. O., & Joung, K. H. (2009). Comparison of health lifestyle among elder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Journal Korean Gerontology Nurse, 11(1), 16-28.

26. 

Kim, K. S. (2004).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sports’ activities, helplessn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ur of the elderly.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17(1), 17-31.

27. 

Knoops, K., Kromhout, D., & Perrin, A. (2004). Mediterranean diet, lifestyle factors, and 10-year mortality in elderly European men and women: The hale project. JAMA, 292(12), 1433. 10.1001/jama.292.12.143315383513

28. 

Kurth, T., Moore, S., Gaziano, M., & Kase, C. (2006). Healthy lifestyle and the risk of stroke in wome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13), 1403-1409. 10.1001/archinte.166.13.140316832006

29. 

Kwak, J. H. (2008). The effect of silver generation’s lifestyle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the health function foods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Asan, KR.

30.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0.1111/j.1744-6570.1975.tb01393.x

31. 

Lawler-Row, K. A., & Elliott, J. (2009). The role of religious activity and spirituality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43-52. 10.1177/135910530809794419129336

32. 

Lazear, W. (1963). Lifestyle concept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33. 

Lee, B. I., & Gi, Y. H. (2009).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5(1), 75-102.

34. 

Lee, C. S. (2001). Delphi method. Seoul, KR: Gyoyukgwahaksa.

35. 

Lee, Y. J. (2012).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single and the married couples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2(4), 1119-1135.

36. 

Mattisson, I., Wirfalt, E., Gullberg, B., & Berglund, G. (2001). Fat intake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lifestyle factors than wi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energy adjustment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5(6), 452-461. 10.1038/sj.ejcn.160120511423922

37. 

Moschis, G. P. (1987). Consumer socialization: A life-cycle perspective. Lexington, KY: Lexington Books.

38. 

Moschis, G.P., Lee, E., & Mathur, A. (1997). Targeting the mature marke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4(4), 282-293. 10.1108/07363769710188536

39. 

Murry, J. W., & Hammons, J. O. (1995).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Review of Higher Education, 18(4), 423-436. 10.1353/rhe.1995.0008

40. 

Na, H. J. (2004). A Study on the role of leisure of the elderly for upgrading of the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1), 53-70.

41. 

Park, K. H., Won, K. A., & Park, J. H. (2019). A systematic study on multifaceted lifestyle assessment tools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Trend and application prospect.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8(3), 7-30. 10.22683/tsnr.2019.8.3.007

42. 

Pender, N. J. (2011). Heath promotion model manual. Retrieved from https://www.deepblue.lib.umich.edu/bitstream/handle/2027.42/85350/HEALTH_PROMOTION_MANUAL_Rev_5-2011.pdf.

43. 

Pisinger, C., Toft, U., Aadahl, M., Glumer, C., & Jorgensen, T.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elf-reported health in a general population: The Inter 99 study. Preventive Medicine, 49(5), 418-423. 10.1016/j.ypmed.2009.08.01119716843

44. 

Plaisted, C. S., Lin, P. H., Ard, J. D., McClure, M. L., & Svetkey, L. P. (1999). The effects of dietary patterns on quality of life: A substudy of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9(8), 84-89. 10.1016/S0002-8223(99)00421-6

45. 

Sempik, J., Aldridge, J., & Becker, S. (2003). Social and therapeutic horticulture: Evidence and messages from research. Loughborough, GB: Loughborough University.

46. 

Shin, M. H. (2009). Factors determining to use paid welfare facility for aged people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R.

47. 

Statistics Korea. (2018). 2018 elderly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

48.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and& (2013). World population ageing 2013. New York, NY: United Nations.

49. 

Van Dam, R., Li, T., Spiegelman, D., Franco, O., & Hu, F. (2008). Combined impact of lifestyle factors on mortality: Prospective cohort study in US women. British Medical Journal, 337(2), 742-745. 10.1136/bmj.a144018796495PMC2658866

50. 

Wang, Dong, Xing, Xiao-Hui, Wu, & Xian-Bo. (2012). The healthy lifestyl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Austral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18(4), 339-345. 10.1071/py1110722950906

51.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78. 10.1097/00006199-198703000-000023644262

52. 

Warburton D. E. R., Gledhill, N., & Quinney, A. (2001). Musculoskeletal fitness and health. Canadi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6(2), 217-237. 10.1139/h01-01311312417

53. 

Weber, M. (1978). Economy and socie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 

Wilson, D., & Ciliska, D. (1984). Lifestyle assessment. Canadian Family Physician, 30, 1527-1532.

55. 

Won, K. A., Shin, Y. C., Park, S. M., Han, A. R., & Park, J. H. (2019).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for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8(2), 7-30. 10.22683/tsnr.2019.8.2.007

56. 

Woo, J. T., Choi, S. B., & Kim, S. H. (2009). A study of the use pattern of paid senior residential welfare depending on the lifestyl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1(2), 1-17.

57.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04). The WHO cross-national study of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from 35 countries: Findings from 2001-2002. Journal of School Health, 74, 204-206. 10.1111/j.1746-1561.2004.tb07933.x1546852315468523

58. 

Yang, J. Y., & Choi, M. H. (2005). A study on leisur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4, 451-465.

59. 

Yang, Y. S. (2007). A study on time use and roles of the older adults in aging society.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6, 1-26.

60. 

Yi, Y. S., Kim, Y. S., & Liu, G.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style of elderly Koreans and elderly Chines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2), 53-69.

61. 

Yoo, Y. S., & Son, H. J. (2012).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4), 235-244. 10.5392/JKCA.2012.12.04.235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