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참여와 환경 평가(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Children and Youth)의 평정척도 분석 연구



Ⅰ. 서 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국 제 기능·장애·건강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를 개발하 여 새로운 개념인 ‘참여’와 ‘환경적 요인’을 강조하면서, 아동의 활동 참여는 건강 및 웰빙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요 한 지표가 되었다(WHO, 2001). ICF에서는 ‘참여’를 “생활의 상황에 관여하는 것(p.10)”이라고 정의하였고, 이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WHO, 2001). 아동은 일상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필 요한 기술 및 역량 그리고 또래와의 관계를 증진시키고 자신의 삶에 좀 더 만족하며 살아간다(Law, 2002). 이 와 같이 활동 참여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쳐 장애아동을 위한 재활 서비스의 최종 목표는 활동에서의 참여 증진이 되었다(King et al., 2002; Palisano et al., 2012).

비장애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장애아동이 의미 있는 작업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 및 환경적 요소(예를 들어, 아동의 연령, 신체 및 인지적 기능, 가정의 연소득)에 영 향을 받아 더욱 어렵다(Coster et al., 2011; Law, Petrenchik, King, & Hurley, 2007). 장애아동의 성공 적인 활동참여를 돕는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활동참여 양상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이를 위해 평가도구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Coster et al., 2011; Khetani, Graham, Davies, Law, & Simeonsson, 2015; Law, King, Petrenchik, Kertoy, & Anaby, 2012; King et al., 2007; Noreau et al., 2007). 평가도구의 유형은 도구를 직접적으로 사 용하는 대상자(예를 들어, 학령전기 아동, 학령기 아동, 청소년) 및 활동이 수행되는 장소(예를 들어, 학교, 지역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Jeong, Law, Stratford, DeMatteo, & Kim, 2016).

국외에서 개발되고 한글판으로 개정된 Children’s Assessment of Participation and Enjoyment (CAPE) 는 6~21세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에서의 참여 및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고(Chang & Ryu, 2010),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는 7세~12세 학 령기 아동을 위한 학교활동에서의 참여 및 환경적 요인 을 평가하는 도구이다(Shin, Park, Lee, & Park, 2014). 또한, 국내 실정에 맞게 새롭게 개발된 학령기 아동을 위한 활동참여 평가도구(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APA)는 7세~12세 학령기 아동의 광범 위한 활동에서의 참여를 평가한다(Kim et al., 2013). 이 같은 도구들은 아동의 활동참여 양상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CAPE 및 SFA는 지역사회 또는 학교 환경과 같이 특정 환경에서 수행하는 활동에서의 참여만 평가할 수 있고, SFA 및 APA의 경우 특정 연령대(예를 들어, 학령기 아동)의 아 동의 참여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CAPE와 SFA와는 달리 APA는 활동에서의 단순 빈도만 측정하여 활동참여 양상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

북미에서는 이러한 제한점들을 보완하고 다차원적으 로 비장애아동 및 장애아동의 활동참여를 평가하기 위해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for Children and Youth (PEM-CY)를 개발하였다(Coster et al., 2011). PEM-CY는 부모체크리스트로 5~17세 아동의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활동참여 양상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 을 평가한다. 또한, 참여의 객관적인 측면(참여빈도, 몰 입도, 참여의 환경적 촉진 및 방해요소)뿐만 아니라 주관 적인 측면(아동 참여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한국판 PEM-CY는 국내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Jeong, Law, Stratford, DeMatteo와 Missiuna(2016)가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총 6단계인 1) 임상가의 PEM-CY 항목의 사전검토, 2) 번역, 3) 역 번역, 4) 전문위원회의 의미 정확성 검토, 5) cognitive interview를 통한 아동 양육자의 사전 검토, 6) 최종본의 검토를 통해 개발되었다. 이후 후속 연구를 통해 평가도 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되었다(Jeong et al., 2017).

이와 같이 한국판 PEM-CY의 표준화 연구가 이뤄졌 으나, 평가영역 항목마다 다양한 서열척도로 구성되어 있어 평가자인 부모가 선택해야 할 척도 범위가 크고 각 척도 간 차이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서열척 도의 단점인 척도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척도 간의 독립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척도의 독립성은 측정하 고자하는 현상을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측 정의 기초가 된다(Bond & Fox, 2007; Linacre, 2002). 최근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항반응 이론에 근거한 라쉬모델(Rasch model)이 적용되고 있 다(Hobart, Cano, Zajicek, & Thompson, 2007). 라쉬 모델은 피험자의 능력을 각 검사 항목 난이도와의 관계 에 의해 확률적 반응을 추정하는 검사이론이다(Bond & Fox, 2007). 또한 라쉬모델을 이용한 평정척도 분석은 척도 간의 독립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여 등간척도로 조정 이 가능하고, 척도 범주 분포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여 척 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쉽게 분석할 수 있다(Bond & Fox,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쉬모델을 이용해 한국판 PEM-CY의 서열척도로 이루어진 참여빈도, 몰입도, 그 리고 환경적 촉진 및 방해요인의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한국판 아동 및 청소년을 위 한 참여와 환경 평가(Korean version of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for Children and Youth; KPEM-CY) 개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서 수집하 였다(Jeong et al., 2016; Jeong et al., 2017). 대상자 는 5~13세 비장애 및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84명 으로, 자료 수집 시 대전광역시에 거주 중이였으며 한글 을 읽고 이해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figures/JKSOT-27-4-57_T1.jpg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한국판 PEM-CY 개정을 위한 연구는 캐나다에 있는 McMaster University의 Hamilton Integrated Research Ethics Board의 승인을 받아(13-319-S) 2014년 5 월~2015년 5월까지 1년 동안 대전광역시 지역의 5~13 세 장애 및 비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재활 관련 기관의 전문가를 통하여 아동의 부모에게 연 구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경우, 한 국판 PEM-CY 평가지 및 기타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설 문지는 총 290부를 배부하였고, 회수되지 않거나 표기 내용이 부정확한 106부를 제외한 184부를 최종 자료 분 석에 사용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5~13세 아동의 참여 및 환경 평 가도구는 국내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내에서 보편적으로 할 수 있는 활동에서의 참여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 인을 평가하는 도구이다(Jeong et al., 2016). 아동의 참 여양상은 참여빈도, 몰입도, 그리고 부모 만족도로 평가 되고, 환경적 요인은 촉진 및 방해 요인으로 평가된다. 한국판 PEM-CY는 가정에서 수행되는 10가지 활동 항 목과 영향을 미치는 12가지 환경 항목, 학교에서 수행되 는 5가지 활동 항목과 영향을 미치는 17가지 환경 항목,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수행되는 10가지 활동 항목과 영 향을 미치는 16가지 환경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점수 체계는 참여양상과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른 리커트 척 도를 사용하고 있다(Table 2).

Table 2

Scal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M-CY

../figures/JKSOT-27-4-57_T2.jpg

PEM-CY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참여 빈도 및 몰 입도에서 급간내 상관계수가 0.75 이상이며, 모든 척도 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0.67~0.92이 었다(Jeong et al., 2016). 한국판 PEM-CY의 구성타 당도 연구에서는 아동의 참여 양상 및 환경적 요인이 아 동의 장애 유무 및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Jeong et al., 2017).

4. 분석방법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SPSS 21.0을 사용하 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쉬모델은 Winsteps 4.0.1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평정척도 분석을 실 시하였다. 평정척도의 적합성 판정은 1) 외적합(outfit) 지수의 평균자승잔차(mean squares residual)가 2.0 이하, 2) 평균 측정치(observed average)의 수직적인 순서배열, 3) 단계 교정치(step calibration) 간격이 1.0~5.0 로짓 안에 포함될 경우를 적합한 척도범주로 판 단하였다(Linacre, 2002). 부적합한 척도는 관찰 누적 치(observed count)와 각 척도간의 교정치 간격의 균형 을 고려하여 근접한 이전 또는 이후 척도와 통합하여 조 정하였다(Bond & Fox, 2007).

Ⅲ. 연구 결과

1. 참여빈도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

참여빈도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 결과는 Table 3에 제 시하였다. 가정 영역의 참여빈도는 모든 단계 교정치 간 격이 1.0 로짓 이하로 분석되어 부적합한 범주로 나타났 다. 단계 교정치 및 측정치 값을 기준으로 인접 척도와 통합을 통해 1점(1+2+3+4), 2점(5+6), 3점(7) 척도 로 조정하였다. 학교 영역의 참여빈도에서는 3~7점 척 도 간 단계 교정치 간격이 1.0 로짓 이하로 분석되어 부 적합한 범주를 보여 1점(1+2), 2점(3+4), 3점(5+6), 4점(7) 척도로 조정하였다. 지역사회 영역의 참여빈도 는 2~7점 척도 간 단계 교정치 간격이 1.0 로짓 이하로 부적합한 범주로 분석되어 1점(1+2), 2점(3+4), 3점 (5+6), 4점(7) 척도로 조정하였다.

Table 3

Rating Scale Analysis of Participation Frequency

../figures/JKSOT-27-4-57_T3.jpg

2. 몰입도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

몰입도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결과는 Table 4에 제시 하였다.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의 몰입도의 대부분 척도에서 단계 교정치 간격이 1.0 로짓 이하로 분석되어 5점 척도가 부적합한 범주로 나타났다. 단계 교정치 및 측정치 값을 기준으로 인접 척도와 통합을 통해 1점 (1+2), 2점(3), 3점(4+5) 척도로 조정하였다.

Table 4

Rating Scale Analysis of Level of Involvement

../figures/JKSOT-27-4-57_T4.jpg

3. 환경적 요인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

환경적 요인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가정 영역의 환경 1~8번 항목(4점 척도)에 서는 1-2, 3-4 척도 간 단계 교정치 간격이 1.0 로짓 이하로 분석되어 부적합한 척도범주로 나타났다. 단계 교정치 및 측정치 값을 기준으로 인접 척도와 통합을 통 해 1점(1), 2점(2+3), 3점(4) 척도로 조정하였다. 또한 환경 9~12번 항목(3점 척도)은 적합한 척도범주를 보 였다. 학교 영역의 환경 1~13번 항목(4점 척도)과 14~17번 항목(3점 척도) 모두 기준을 충족시켜 적합한 척도범주로 분석되었다. 지역사회 영역의 환경 1~12번 문항(4점 척도)에서는 3-4점 척도 사이의 단계 교정치 간격이 1.0 로짓 이하로 분석되어 부적합한 척도범주로 분석되어 1점(1), 2점(2+3), 3점(4) 척도로 조정하였 다. 또한 13~16번 문항(3점 척도)는 적합한 척도범주를 보였다.

Table 5

Rating Scal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figures/JKSOT-27-4-57_T5.jpg

Ⅳ. 고 찰

활동참여는 장애 아동이 직면하는 정신건강, 학업 및 관계형성과 같은 문제를 감소시키고, 성취감, 즐거움, 그 리고 기술 발달을 촉진하여 사회·교육적으로 적응하도 록 돕는다(Benjamin, Lucas-Thompson, Little, Davies, & Khetani, 2017; Eccles, Barber, Stone, & Hunt, 2003).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아동이 가진 개인적 요인 및 활동을 수행하는 환경 내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 (Bedell, Khetani, Cousins, Coster, & Law, 2011). 임 상에서 장애아동 재활의 궁극적 목표인 활동참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객관적이고 측정가능 한 평가도구는 필수적이다(Jeong et al., 2016). PEMCY는 북미 5세~17세 장애 및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내 참여와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Coster et al., 2011). 한국 판 PEM-CY는 Jeong 등(2016)에 의해 국내 문화를 반 영하여 개정된 후 표준화 연구가 진행되었다(Jeong et al., 2017). 그러나 평가도구의 척도가 서열척도로 구성 되어 임상적 효용성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 쉬모델을 사용하여 한국판 PEM-CY의 평정척도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한국판 PEM-CY의 참여빈도는 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며, 평정척도 분석결과 7점에서 3점 또는 4점 리 커트 척도로 변경되었다. 가정환경의 경우, 1점, 2점, 3 점, 4점 척도를 통합(한 달 동안 1-3회)하고, 5점과 6점 척도(일주일 동안 1-3회)를 통합하여 3점 척도로 재수 정 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학교 및 지역사회 환경의 경우, 1점과 2점을 통합(4달 동안 1-3회), 3점과 4점을 통합 (한 달 동안 1-3회), 그리고 5점과 6점(일주일 동안 1-3회)을 통합하여 4점 척도로 변경하였다. 이러한 결 과는 가정과 학교 및 지역사회 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결 과라고 사료되어 진다(Coster et al., 2012; Whiteneck & Dijkers, 2009). 본 평가도구는 부모가 평가하는 부모 체크리스트로 양육자는 비교적 가정에서 아동과 보내는 시간이 학교 및 지역사회보다 많고(Kyoung & Jung, 2008), 가정 활동의 경우 특정 기간에 행해지는 것보다 는 일과로써 행해지는 것이 대부분이라 활동참여의 빈도 측정 시 보다 짧은 기간 내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반면 학교 및 지역사회 활동 참여는 부모가 직접 아동의 활동 참여 빈도를 관찰하는데 제한이 있고(Bedell et al., 2013; Benjamin et al., 2017), 환경에 따라 활동(예를 들어, 현장학습 및 학교행사, 지역사회 행사)들이 특정 기간에 의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아서(Coster et al., 2013; Jeong, 2019) 빈도 측정 시 가정환경에서의 한 달보다 긴 4개월 범주까지 늘어난 것이라고 사료된다.

활동에 참여시 얼마나 집중하는가를 측정하는 몰입도 의 경우, 세 가지 환경에서 모두 1점과 2점을 통합하고 4점과 5점을 통합하여 5점 척도에서 3점 척도로 재수정 하였다. 이는 1-2점과 4-5점 사이의 불명확한 척도 범 주가 부모에게 있어 몰입에 대한 특성을 구분 짓지 못하 게 하는 결과를 의미한다. 몰입은 개인이 인식할 수 있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아동 자신이 느끼는 몰입의 정도와 부모가 관찰하여 측정하는 몰입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Imms, Froude, Adair, & Shields, 2016). 또 한 이를 측정하는 서열척도의 범위가 많아 부모가 아동 의 몰입도를 측정할 때 혼란스러웠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몰입도의 평정척도는 5점 척도보다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환경적 요인은 활동참여 양상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참여 측정 시 환경적 요인 또한 고려해야하는 개념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Bedell et al., 2011; King, 2013). 한국판 PEM-CY는 환경 영역을 ‘촉진/방해 요 인 항목’과 ‘이용 가능한/충분한 환경적 요인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 4점 척도와 3점 척도로 평가한다. 환경 영역 에서도 참여빈도 척도와 마찬가지로, 활동이 수행되는 환경(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가 나 타났다. 가정 및 지역사회는 4점 및 3점 척도가 모두 3점 척도로 통합되었다. 2점(보통 도움이 됨/보통 그러함)과 3점(가끔 도움이 됨/가끔 그러함, 가끔 어려움을 줌/가끔 그렇지 않음)이 합쳐져 부모들이 보통과 가끔의 차이를 구분하는 데에 혼란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다 르게 학교 환경에서는 초기에 개발된 4점 및 3점 척도의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정 및 지역사회에 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가정과 지역사 회가 가진 특정 문화에 따라 다양하지만, 학교라는 교육 기관은 교육부의 지침을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일정한 시 간, 공간, 그리고 교육과정에 따라 활동들이 정해지고 환 경적 요인들이 제공된다(Coster et al., 2013; Jeong, 2019). 따라서 부모들은 학교 환경에서의 환경적 촉진 및 방해 요인 그리고 아동이 이용 가능한 서비스 등에 대 한 정보들을 좀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아동의 학교 활동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세부 적으로 고려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한국판 PEM-CY는 활동참여의 다차원적인 개념을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 항목(참여빈도, 몰입도, 환경적 촉 진 및 방해요인)과 주관적 항목(부모의 만족도)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Bedell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참 여 평가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관적 항목인 아동의 활동 참여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척도를 평정척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참여빈도 및 몰입도가 높다고 하여 아동의 참여양상을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자 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의 부모는 아동이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에서의 빈도 및 몰입도가 지나치게 높아 아동의 활동참여 양상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보고하였다 (Coster et al., 2012). 이처럼 만족도 척도는 장애진단 의 특징과 같은 개개인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되어야함으 로 단일구성개념이 가정되어야 하는 라쉬모델에서는 적 합하지 않다. 또한, 본 평가도구는 장애의 유무와 관계없 이 모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라쉬모델 적용 시 각 영역의 평가 항목에 대한 적합도 검정을 실시 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라쉬모델을 사용하여 한국판 PEM-CY의 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평가 시 불필요한 척도 범주를 조정함으로써 평가자의 직관적인 판단을 지지하며, 기존 의 서열척도를 등간척도로 변화시켜 결과를 해석하는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장애 및 비장 애 아동을 위한 참여 평가도구의 임상적 유용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아동의 특성(장애 유무, 장애 진단 및 심각 도, 연령) 및 환경적 요인(가정의 연수입, 거주 지역, 문 화, 국가)에 따른 참여 양상과 환경적 요인에 대한 데이 터베이스를 축적하고 이를 정책적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 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Di Marino, Tremblay, Khetani, & Anaby, 2018; Jeong et al., 2016). 본 연 구의 제한점으로는 PEM-CY가 5~17세 아동을 대상으 로 개발된 것과는 다르게 참여자 모집의 어려움으로 인 해 한국판은 5~13세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모든 연 령대의 자료가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대 전광역시로 제한되어 있어 국내 아동의 일반적 참여 특 성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 활동참여는 아동 및 환경 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를 고려하여 자 료를 분석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국내 다양한 지역의 14~17세 아동을 포함한 대상자들의 활 동참여 양상 및 환경적 요인이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어 떻게 다른지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라쉬모델을 사용하여 장애 및 비장 애 아동의 활동참여 및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개 발된 한국판 PEM-CY의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 다. 라쉬모델을 통해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활동의 참여빈도, 몰입도, 환경적 촉진 및 방해요인 척도의 변화 가 있었다. 가정 활동의 참여빈도 척도는 7점에서 3점으 로, 학교 및 지역사회 활동의 참여빈도 척도는 7점에서 4점으로 수정되었다. 세 가지 환경에서의 몰입도는 5점 척도보다 3점 척도가 더 적합하였다. 또한, 학교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의 평가 척도는 변화가 없었 지만 가정 및 지역사회는 4점 또는 3점 척도 모두 3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5~17 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개인 및 환경적 요 인이 활동참여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Bedell, G., Coster, W., Law, M., Liljenquist, K., Kao, Y. C., Teplicky, R., ... Khetani, M. A. (2013). Community participation, supports, and barriers of school-ag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4(2), 315-323. 10.1016/j.apmr.2012.09.024 23044364

2. 

Bedell, G. M., Khetani, M. A., Cousins, M. A., Coster, W. J., & Law, M. C. (2011). Parent perspectives to inform development of measures of children’s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5), 765-773. 10.1016/j.apmr.2010.12.029 21530724

3. 

Benjamin, T. E., Lucas-Thompson, R. G., Little, L. M., Davies, P. L., & Khetani, M. A. (2017).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lays: A mixed methods stud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37(1), 87-107. 10.3109/01942638.2015.1130007 26930134PMC5209297

4. 

Bond, T. G., & Fox, C. M. (2007).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 

Chang, K. Y., & Ryu, A. N. (2010). Study of play and leisure Participation (Out of school activitie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3), 37-51.

6. 

Coster, W., Bedell, G., Law, M., Khetani, M. A., Teplicky, R., Liljenquist, K., ... KAO, Y. C. (2011).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for children and youth.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53(11), 1030-1037. 10.1111/j.1469-8749.2011.04094.x 22014322

7. 

Coster, W., Law, M., Bedell, G., Khetani, M., Cousins, M., & Teplicky, R. (2012). Development of the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for children and youth: Conceptual ba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4(3), 238-246. 10.3109/09638288.2011.603017 21981404

8. 

Coster, W., Law, M., Bedell, G., Liljenquist, K., Kao, Y. C., Khetani, M., & Teplicky, R. (2013). School participation, supports and barrier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9(4), 535-543. 10.1111/cch.12046 23763254

9. 

Di Marino, E., Tremblay, S., Khetani, M., & Anaby, D. (2018). The effect of child, family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11(1), 36-42. 10.1016/j.dhjo.2017.05.005 28624289

10. 

Eccles, J. S., Barber, B. L., Stone, M., & Hunt, J. (2003).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59(4), 865-889. 10.1046/j.0022-4537.2003.00095.x

11. 

Hobart, J. C., Cano, S. J., Zajicek, J. P., & Thompson, A. J. (2007). Rating scales as outcome measures for clinical trials in neurology: Problems, solutions, and recommendations. Lancet Neurology, 6(12), 1094-1105. 10.1016/S1474-4422(07)70290-9

12. 

Imms, C., Froude, E., Adair, B., & Shields, N. (2016). A descriptive study of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ctivities outside school. BMC Pediatrics, 16(1), 84-95. 10.1186/s12887-016-0623-9 27391127PMC4939009

13. 

Jeong, Y. H. (2019). Participation, supports, and barrier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school environmen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 1-8. 10.1080/09638288.2019.1567836 30714425

14. 

Jeong, Y. H., Law, M., Stratford, P., DeMatteo, C., & Kim, H. (2016). Cross-cultural validation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for children and youth in Korea.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8(22), 2217-2228. 10.3109/09638288.2015.1123302 26728903

15. 

Jeong, Y., Law, M., Stratford, P., DeMatteo, C., & Missiuna, C. (2017). Measur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home, school, and in community: Construct validation of the Korean PEM-C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37(5), 541-554. 10.1080/01942638.2017.1280870 28266879

16. 

Khetani, M. A., Graham, J. E., Davies, P. L., Law, M. C., & Simeonsson, R. J. (2015).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6(2), 307-316. 10.1016/j.apmr.2014.09.031 25449189PMC4306635

17. 

Kim, S. Y., Yoo, E. Y., Jung, M. Y., Park, S. H., Lee, J. S., & Lee, J. Y. (2013). Development of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for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2), 13-23.

18. 

King, G. (2013). Perspectives on measuring participation: Going forward.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9(4), 466-469. 10.1111/cch.12083 23763246

19. 

King, G. A., Law, M., King, S., Hurley, P., Hanna, S., Kertoy, M. K., & Rosenbaum, P. (2007). Measuri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Construct validation of the CAPE and PAC.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3(1), 28-39. 10.1111/j.1365-2214.2006.00613.x 17181750

20. 

King, G., Tucker, M. A., Baldwin, P., Lowry, K., Laporta, J., & Martens, L. (2002). A life needs model of pediatric service delivery: Services to suppor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2(2), 53-77. 10.1080/j006v22n02_04

21. 

Kyoung, H. L., & Jung, H. K. (2008). Study on Influences of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leisure activities for handicapped children’s parents. Teacher Education Research, 47(3), 119-135.

22. 

Law, M. (2002). Participation in the occupations of everyday lif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6), 640-649. 10.5014/ajot.56.6.640 12458856

23. 

Law, M., King, G., Petrenchik, T., Kertoy, M., & Anaby, D. (2012). The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s particip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32(3), 272-287. 10.3109/01942638.2012.662584 22385259

24. 

Law, M., Petrenchik, T., King, G., & Hurley, P. (2007). Perceived environmental barriers to recreational, community, and school participation for children and youth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12), 1636-1642. 10.1016/j.apmr.2007.07.035 18047879

25. 

Linacre, J. M. (2002). Optimizing rating scale category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Measurement, 3(1), 85-106.

26. 

Noreau, L., Lepage, C., Boissiere, L., Picard, R., Fougeyrollas, P., Mathieu, J., ... Nadeau, L. (2007). Measuring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ssessment of life habit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9(9), 666-671. 10.1111/j.1469-8749.2007.00666.x 17718822

27. 

Palisano, R. J., Chiarello, L. A., King, G. A., Novak, I., Stoner, T., & Fiss, A. (2012). Participationbased therapy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4(12), 1041-1052. 10.3109/09638288.2011.628740 22080765

28. 

Shin, Y. N., Park, S. H., Lee, J. Y., & Park, J. H. (201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4), 27-37. 10.14519/jksot.2014.22.4.03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1).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CH: World Health Organization.

30. 

Whiteneck, G., & Dijkers, M. P. (2009). Difficult to measure construct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concerning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11), 22-35. 10.1016/j.apmr.2009.06.009 19892071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