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목욕의자 개발 및 평가



Ⅰ. 서 론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뇌 혈관 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운 동, 감각, 언어, 지각, 인지장애 등의 다양한 신체장애를 유발한다(Chang, Tung, Wu, & Su, 2006). 주 증상은 마비 측 부위의 운동기능 장애로 비대칭적인 자세, 균형 감각 이상, 상지 및 손의 기능 장애가 나타나며, 이러한 운동기능 장애는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적 수행을 방해하는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졸중 환자 중 완전한 기능 회복을 보이는 5~20%를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영구적인 신체장애를 갖게 되므로, 일상생활에 불편함과 어려움을 겪으며 고통 속에 살아가게 된다 (Aze et al., 2016).

일상생활활동은 개인이 매일 수행해야 할 필수적인 활 동이며, 생활 속에 필요한 모든 동작으로서 옷 입고 벗기, 음식 먹기, 목욕하기, 개인위생관리와 같은 기본적인 활 동에서 전화하기, 금전관리, 외출 등 복잡한 활동으로 다 양하게 구성된다(AOTA, 2002). 기본적인 일상생활활 동 중 하나인 목욕하기는 신체의 청결을 목적으로 하는 인간에게 있어서 중요한 활동 중 하나이다. 또한 신체의 보온, 피로회복 등 위생적 측면과 기분전환, 휴식 등의 심리적인 측면의 효과도 있다(An, Kim, & Kim, 2004).

목욕하기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행해지는 활동으로 신 체적 능력이 저하된 뇌졸중 환자의 경우 항상 타인의 도 움을 받을 수는 없기 때문에 혼자서 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공간인 화장실 및 욕 실은 낙상사고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다양한 위험요소가 포함되어 재활과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Jung 등(2010)에 따르면, 낙상사고로 이어 지는 경우 장기간 치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 및 신체건강에 불편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였으며, Jang 과 Lee(1998)의 연구에서 목욕행위를 할 때, 목욕용품 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낙상의 위험과 그로 인 한 불안감에 대한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들 을 통해 그들이 독립적으로 목욕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 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에 따라 목욕활동 시 제한된 신체 기능을 보조하여 독립적인 목욕을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품으로 목 욕의자가 있으며, 쾌적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욕실용 의자로 정의 할 수 있다(Shin et al., 2009). 또한 목욕의자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나 장애인의 목욕을 보 조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갖출 수 있도록 하여 낙상과 같 은 위험에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하며 쾌적하게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목욕보조기기라고 할 수 있다 (KHIDI, 2013).

해외에서 개발한 목욕의자를 살펴보면, Liu(2015)는 기존 목욕의자에서 독립적으로 목욕을 수행하는 대상자 들이 장시간 앉은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기 위한 목적과 좌판에 물이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가 될 수 있도록 변형된 좌판을 적용한 목욕의자를 개발하였다. Fainberg (2001)의 피봇식 목욕의자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 제한 된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이 독립적으로 안전하 게 목욕을 할 수 있도록 샤워부스가 설치된 욕실 벽에 부 착되어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국내에서 목욕의자와 관련된 연구 및 개발에 대해 살 펴보면, Seo, Heo와 Cho(2015)는 장애인 교부사업에 등록된 6개의 목욕의자에 대한 품질테스트를 진행하였 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품질관리 및 점검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Jung 등(2010)은 고령자 를 대상으로 다양한 목욕의자에 대한 사용자 분석을 통 해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목욕의자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Lee(2017)의 샤워기거치대를 구비 한 목욕의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이 독립적 으로 목욕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Kwak 과 Lee(2017)의 연구는 신체가 제한된 고령자와 장애 인을 대상으로 목욕에 대한 행태를 관찰한 결과 샤워기 조작에 대한 제한점과 장시간 서 있기가 힘들어 간이 의 자에 앉아서 이용하는 등의 조사결과가 나와 대상자들이 쉽게 적용 할 수 있는 욕실환경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언 급하였고, Lee, Kim, Yoon, Hong과 Lee(2014)의 연구 는 뇌졸중 환자가 선호하는 욕실 환경에 대한 선호도 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목욕의자를 언급하는 등 환자들이 필요할 때 간편하게 적용 할 수 있는 목욕보조기기에 대 해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및 개발노력들은 기존 목욕의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거나 디자인을 제안하 는 수준이었으며 실제 프로토타입이나 시제품을 개발하 여 사용자의 만족도나 효과성 검증해 보는 시도는 이루 어지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제품들은 고령자를 대상 으로 개발되었으며, 활용성에 비해 비용이 높고,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사용하는데 제한점 이 있다. 하물며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 한 목욕의자 연구와 개발은 현재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목욕 활동의 효율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목욕 의자 개발과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 대상자로 2019년 현재 광역시에 소재한 재활 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 였다. 대상자는 모두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고 이에 동의한 자, 독립적으로 목욕이 가능한 뇌졸중환자 로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은 Table1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0)

../figures/JKSOT-27-4-141_T1.jpg

2. 연구 도구

1) 전문가 대상 델파이조사 및 뇌졸중환자 대상 개 선요구사항 설문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 한 목욕의자를 개발하기 위해 고려사항과 개선안을 도출 하는 방법으로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였다. 델파이기법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분석보다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현실을 고려할 때, 그 어떤 방법보다도 객관적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수 행하고, 수차례에 걸쳐 피드백 시킴으로써 다수의 전문 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보다 체계화, 객관화시킬 수 있 는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기법의 기본 논리를 이용 하여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 선정된 전문 가(작업치료 및 인간공학 전공 교수, 대학원생, 임상가) 28명을 대상으로 총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1회차는 개 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패널을 통해 주어 진 주제(현재 사용되고 있는 목욕의자의 문제점, 뇌졸중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편의성 측면의 개선사항, 뇌졸중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성 측면의 개선사항)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모두 도출하였다. 2회차는 1회차 설문 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문항에 대해 중요도를 측정하였으 며, 전혀 아님 ‘1점’, 약간 아님 ‘2점’, 중요 ‘3점’, 약간 중 요 ‘4점’, 매우 중요 ‘5점’으로 구성하여 동일 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해낸 문항 및 결과 는 다음과 같다

Table 2는 현재 사용되는 목욕의자의 문제점에 대한 결과로 낙상, 엉덩이 씻기 어려움, 내구성, 좌판 재질 순 서로 나타났다. Table 3은 뇌졸중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편의성 측면의 개선사항에 대한 결과로 샤워기 거치대 설치, 내구성, 수납공간, 등받이 조절 순서로 나타났다. Table 4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성 측면의 개선사항에 대한 결과로 안정성, 안전바 & 스트랩 설치, 좌판 재질, 발판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2

Problems of Currently Using Bath Chairs (N=28)

../figures/JKSOT-27-4-141_T2.jpg
Table 3

Improvement Requests in Convenience Aspects for Considering Stroke Patients (N=28)

../figures/JKSOT-27-4-141_T3.jpg
Table 4

Improvement Requests in Safety Aspects for Considering Stroke Patients (N=28)

../figures/JKSOT-27-4-141_T4.jpg

연구 대상자들에게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존 목욕의자 에 대한 불편사항과 개선사항에 대한 개방형 설문( “기존 목욕의자를 사용 후 불편한점과 개선점에 대해 적어주시 오”)를 실시하였으며, “의자 좌판 및 등받이 높이가 조절 되면 좋겠다”, “목욕용품과 샤워기를 사용하는데 많은 어 려움이 있다”, “체위를 변경할 때 낙상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등과 같은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제시된 전문가 대상 델파이조사와 뇌졸중환자의 개선요구사항 을 고려하여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2)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욕의자의 개발목적은 뇌졸중 환 자가 목욕 활동을 수행 시 편의성과 안전성을 통해 목욕 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은 대상자들에게 목욕의자를 사용하면서 불편사항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얻은 정보와 작업치료 및 인간공학 전 공 교수 6인, 작업치료 전공 대학원생 5인, 임상가(작업 치료사, 인간공학전문가, 요양보호사 등)로 구성된 전문 가 집단의 델파이 조사 및 뇌졸중환자 대상 개선요구사 항 설문을 통한 의견 수렴을 토대로 하여 목욕의자 프로 토타입을 개발하였다.

Figure 1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이다. 목욕의자의 기본 프레임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 가장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목욕의자 를 구입하여 이를 설문조사결과에 부합하도록 개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목욕의자 좌판의 재질은 물이 젖 은 상태의 신체와 접촉 시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non-slip 재질을 부착하였으며, 좌판의 물고임 현상을 대비해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하였다. 목욕의자에 착석 시 나타나는 흔들림과 움직임으로 인한 불안요소에 대해서 는 면적이 넓은 고무발굽을 부착하여 움직임에 대해 최 소화하여 안전성을 높였으며, 목욕 수행 중 낙상에 대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스트랩(strap)을 부착하여 체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

Prototype of Bath Chair Used for Experimentation

../figures/JKSOT-27-4-141_F1.jpg

특히 샴푸와 비누 등 목욕용품을 보관 할 수 있는 바구 니와 샤워기를 거치 할 수 있는 일체형 거치대를 부착하 였으며, 신체에 맞게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목욕용품을 보관 할 수 있는 바구니는 목욕 의자 양쪽의 팔걸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뇌 졸중 환자의 편의에 따라 좌우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바구니 및 샤워기걸이 일체형 거 치대는 목욕의자에 착석하여 목욕 수행시 나타나는 흔들 림과 같은 불안정성을 감소하는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하 였다.

3) 평가 도구

(1) 작업자세 분석(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REBA는 신체부위를 분할하여 작업자의 움직임 단계 를 관찰한 후 각 신체부위별 점수를 부과하고 코드 체계 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도구이다. 작업자세, 사용된 힘의 정도와 부하량, 취급하는 대상의 손잡이 조건, 작업 시 관찰된 활동의 정도를 평가하여 A, B, C 점수를 구하고 최종적으로 작업자세의 활동정도에 따라 1~15점 사이 에 분포하며, 이를 5단계 위험도로 표시한다. 수준 0은 최종점수 1점이며 위험도가 무시할 단계이고, 수준 1은 최종점수 2~3점이며 낮은 작업, 수준 2는 최종점수 4~7 점으로 보통 작업을 나타내고 수준 3은 최종점수 8~10 점으로 높은 작업, 수준 4는 최종점수 11~15점으로 매 우 높은 작업을 나타내며 바로 인간공학적 개선이 필요 한 단계를 의미한다(Hignett & McAtamney, 2000).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가 목욕 수행 시 나타나는 신 체 부담 정도를 알아보고자 REBA를 도입하였다. 작업자 세를 분석하기 위해 대상자를 통해 목욕 수행 시 가장 불 편하다고 생각하는 작업자세에 대한 설문을 통해 목욕용 품 사용과 샤워기 사용 작업자세를 선정하였다. 이후 Figure 2에서 제시된 두 가지 작업자세에 대한 영상을 작업치료사 3인이 시뮬레이션으로 촬영하여 REBA점수 를 기록하였다. 치료사간 불일치한 평가점수는 합의에 따라 결정하였다.

Figure 2

Simulation Scene Using Bathware(Left Parts) and Showerhead(Right Parts) Before(Upper Parts) and After(Lower Parts) for REBA Measurements

../figures/JKSOT-27-4-141_F2.jpg

(2) 한국어 번역판 퀘백 보조공학 사용자 만족도 평가 2.0(Korea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K-QUEST 2.0)

K-QUEST 2.0은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조기구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8개의 항목(규격, 무게, 조절, 안전성, 내구성, 용이성, 편안함, 효과성)과 서비스 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4개의 항목(서비스 전달, 수리 및 유지관리, 전문서비스, 사후서비스)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의 점수는 5점 척도를 사용하고 항목의 변수들에 대한 개인 만족도 평가에서 매우 불만족한 경우 ‘1점’, 매 우 만족한 경우 ‘5점’을 나타낸다. 또한 ‘매우 만족’에 선택 하지 않은 경우, 구체적인 이유를 의견란에 기록하도록 되어있다(An & Kong 2009). 본 연구에서는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의 사용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와 관 련 있는 만족도 8개 항목(규격, 무게, 조절, 안전성, 내구 성, 용이성, 편의성, 효과성)을 선정하여 시행하였다.

(3) 사용자 의견 설문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목욕의자 사용과 목욕의자 프로토 타입을 사용한 모든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과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폐쇄형 설문은 사용 성 평가로 실시하였으며, 규격(목욕의자, 좌판, 등받이, 팔걸이), 안전성(목욕의자로 이동, 목욕의자에서 이동, 체위변경), 편리성(목욕용품 사용)등 8개 항목으로 구성 하였고 각 항목에 대한 응답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 여 ‘매우 부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 적절’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은 개방형 설 문으로 실시하였으며, 개선점(“목욕의자 사용 후 개선해 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에 대해 서술형식으로 응답 하도록 하였다.

3. 연구 절차

모든 대상자는 먼저 일반적 특성에 응답하였으며, 사 전평가로서 기존 목욕의자 사용에 따른 REBA와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평가 실시 후 2회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통해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으며, 대상자들에 게 개발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제공한 다음 REBA, K-QUEST 2.0,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 대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디자인 을 개발하였다(Figure 3).

Figure 3

Flow Diagram of Research Procedure

../figures/JKSOT-27-4-141_F3.jpg

4.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 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해낸 결과와 프로토타 입 사용 후 만족도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욕의자 프로로타입의 사용 전과 후의 작업자세 분석과 사용성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 였다. 그리고 개방형 설문에 대한 결과는 응답내용에 따 른 빈도를 제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전·후 작업자세 분석

Table 5는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전·후에 대한 작업자세 분석결과이다. 분석결과, 목욕용품사용에서 목 을 제외한 항목과, 샤워기사용의 모든 항목에서 REBA 점수가 낮아졌으며, 최종점수에서 목욕용품사용은 ‘8.50 점’에서 ‘4.10점’으로, 샤워기사용은 ‘8.90점’에서 ‘2.65 점’으로 위험수준 ‘높음’에서 ‘보통’과 ‘낮음’수준으로 변 경되었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 결과, 목욕용품사용과 샤 워기사용에서 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Table 5

Result of REBA Score Before and After Using Prototype Bath Chair (N=20)

../figures/JKSOT-27-4-141_T5.jpg

2.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후 만족도

Table 6은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후 만족도에 대 한 결과이다. 규격은 ‘3.50점’, 무게는 ‘3.35점’ 조절은 ‘3.60점’, 안전성은 ‘3.70점’, 내구성은 ‘3.20점’, 용이성 은 ‘3.80점’, 편안함은 ‘3.75점’, 효과성은 ‘4.05점’으로 효과성은 ‘만족’, 이외의 항목에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을 보였으며, 평균점수 또한 ‘3.61점’으로 ‘보통’이라는 의 견을 보였다.

Table 6

Result of K-QUEST 2.0 After Using Prototype Bath Chair (N=20)

../figures/JKSOT-27-4-141_T6.jpg

3. 목욕의자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의견 설문 결과

Table 7은 기존 목욕의자 사용과 프로토타입 사용에 대한 폐쇄형 설문 결과이다. 분석결과, 기존 목욕의자에 서 안전성과 편리성이 ‘부적절’로 나왔으며, 그 외 항목에 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프로토타입에서 편리 성이 ‘적절’이라는 의견이 나왔으며, 그 외 항목에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 결과, 안전성, 편리성, 전체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기존 목욕의자 사용 후 개선사항에 대한 질문 에서는 “등받이가 조절이 되면 좋겠다.”, “목욕용품, 샤워 기를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체위를 변경할 때 낙상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와 같은 의견들을 제시하 였다.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후 개선 사항에 대한 질 문에서는 “목욕용품을 사용 할 때 보관함이 흔들린다.”, “목욕의자로 이동 시 흔들림이 있다.”, “좌판에 미끄럼방 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좋겠다.”, “샤워기가 한쪽에서만 나오니 위에서 물이 나오면 좋겠다.”와 같은 의견들을 제 시하였다.

Table 7

Result of Usability Assessment Between Before and After Using Prototype Bath Chair (N=20)

../figures/JKSOT-27-4-141_T7.jpg

4. 목욕의자 최종 디자인 제안

Figure 4는 목욕의자의 최종 디자인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목욕의자는 프로토타입을 사용한 뇌졸 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효과성 검증 및 사용자 의 견 설문과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수정 보완한 최종 결 과물이다. 제안된 목욕의자 좌판과 등받이의 재질은 미 끄럼방지 매트가 부착된 재질로 하였으며, 좌판의 구조 는 물 고임 방지와 앉은 자세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좌변기 모양으로 설계하였다. 목욕의자로 이동 시 나타 나는 흔들림과 움직임에 대한 불안요소에 대해서는 무거 운 무게추가 있는 고무발굽을 부착하였다. 또한 목욕용 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구니와 샤워기를 거치 할 수 있는 일체형 거치대를 목욕의자에 부착하였으며, 신체치수에 맞게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 러 뇌졸중 환자의 편의에 따라 좌우에 탈부착 할 수 있도 록 하였으며, 목욕 수행 시 거치대의 흔들림과 불안정성 에 대해 삼각 다리를 적용하였으며 목욕의자 좌판 아랫 부분과의 연결 암(arm)을 설치하여 거치대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목욕의자의 안정성을 높였다. 샤워기는 두 가 지 형태로 설치하였으며, 측면에서 사용 할 수 있는 기본 절수 샤워기와 위에서 물이 나오는 해바라기형 샤워기로 설계하였는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체형 거치대에 전환 레버를 부착하였다.

Figure 4

Proposed Design of Bath Chair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figures/JKSOT-27-4-141_F4.jpg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목욕의자를 개발하여 뇌졸중 환자의 편 의성과 안전성에 대한 문제해결을 통해 목욕의 효율성 증진과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독립적으로 목욕이 가능한 뇌졸중환자 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선행문헌 Krusen, Kottke와 Ellwood(1997), Min(2002)에 의하면 뇌졸중 환자의 90%가 재활치료의 도움으로 침대에서 벗어날 수 있고, 그 중 70%는 일상생활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 할 수 있 다고 하였으며, 목욕하기는 환자들이 독립적으로 수행하 는데 어려움을 겪는 활동 중 하나라고 언급하였다. Lee 등(2014)의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들이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목욕보조기기에 대해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선 행문헌 연구와 델파이설문 조사 및 사용자 의견 바탕으 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현 재 목욕자세에 대한 REBA 평가결과 목욕용품 사용의 전 체점수와 샤워기사용 점수는 ‘높은’작업으로 나타나 신 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나타 났으며, 이는 목욕의자를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 일 수 있는 효과적인 보조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사용 후 평가 결과, 목욕용품사용과 샤워기사용 작업에서 ‘보통’과 ‘낮 은’작업으로 낮아졌음을 보였다. Oh(2010)는 뇌졸중 환 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목욕보조도구가 마비 측의 손이 할 수 없는 고정 역할 및 관절가동범위를 보상해주는 디 자인과 기능만으로도 과제를 수행하는데 보상이 가능해 진다고 하였다. 이는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 으며, 기존 목욕의자를 사용하여 목욕을 수행 할 때, 많은 대상자들이 목욕용품이나 샤워기를 목욕의자 앞쪽 바닥 에 내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신체적 부 담이 높았을 것으로 생각되고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은 팔 걸이 옆에 목욕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 고, 샤워기거치대가 설치되어 있어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K-QUEST 2.0으로 실시하 였으며 분석결과, 효과성에서 ‘만족’을 보였고 그 외 항 목과 전체점수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 존 목욕의자와 프로토타입의 사용으로 인한 결과값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은 목욕의자에서 편의성과 안전성에 초점을 맞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기 때문에, 기존 목욕의자를 사용하고 있던 대상자들이 프로토타입을 사용했을 때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향상이 되기보다는 안전성, 편의 성, 효과성에서 ‘만족’과 가까운 점수가 나왔으리라 사료 된다.

목욕의자 사용전·후에 대한 사용성 평가결과, 사용 전에는 안전성과 편리성이 ‘부적절’로 나왔으며, 그 외 항 목에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는 Jang과 Lee(1998)의 연구에서 제시한 목욕 수행 시 바닥에 있는 목욕용품을 사용하기 위해 허리를 구부리는 과정에서 중심을 잃고 낙상을 할 수 있다는 불안감으로 다른 의자에 용품을 올려놓거나, 욕조 틀, 변기 위에 올려 서 사용하는 사례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사용 후에는 편리성이 ‘적절’로 나왔으며, 그 외 항목에서 ‘보통’이라 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사용 전·후의 비교 결과, 안전성 과 편리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는 몸 을 씻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체위변경을 할 때의 낙상에 대한 불안감을 스트랩 설치로 체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 원활하게 목욕을 수행 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 각되며, 필요한 용품들이 신체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최종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자문과 목욕 의자 프로토타입 사용자들의 개선사항 및 보완점에 대한 설문실시 결과, “목욕용품을 사용 할 때 보관함이 흔들린 다.”, “목욕의자로 이동 시 의자의 흔들림이 있다.”, “좌판 에 미끄럼방지 매트가 부착되어 있으면 좋겠다.”등과 같 은 의견들이 있었다. 이러한 의견들을 바탕으로 최종 제 안된 목욕의자(Figure 4)는 신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 해 좌판과 등받이에 미끄럼방지 매트를 부착하였으며, 좌변기 모양으로 설계하였다. 일체형 거치대는 목욕용품 보관함과 해바라기형 샤워기, 기본 절수 샤워기를 설치 하여, 목욕 수행 시 편의성을 높으며, 목욕의자의 전체적 인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일체형 거치대의 다리부분을 삼각대 모양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한정된 대상자와 기관을 대상으 로 진행했기 때문에 목욕의자를 사용하는 전체 대상자의 결과로 일반화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대상자와 여러 가지의 목욕 환경을 가진 기관에서 효과 검증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 울러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제안된 목욕의자에 대한 효과성 연구도 뒤따라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욕의자는 현재까지 뇌졸중환자 들이 목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적절한 목욕자세 및 목 욕용품 사용상의 불편함과 낙상과 같은 안전에 대한 문 제에 대해 샤워기와 목욕용품 보관함 설치, 목욕의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등을 통해 해소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 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용하기 쉽고 보편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으로서 이를 토대로 향후 더욱 다양하고 효과적인 목욕의자를 개발하는데 시금석이 될 것을 기대 한다.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02).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 609-639. 10.5014/ajot.56.6.609

2. 

An, N. Y., & Kong, J. Y. (2009). A study of translation and verification on the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2.0). Disability & Employment, 19(2), 99-116. 10.15707/disem.2009.19.2.005

3. 

An, O. H., Kim, H. M., & Kim, H. J. (2004). Bathing culture studies via historical literature - History of the three states, prehistory of the three states, histroy of Koryo, true records of Chosun dynasty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3(2), 301-316.

4. 

Aze, O., Odjardias, E’. Devillard, X., Akplogan, B., Calmels, P., & Giraux, P. (2016). Structural and physiological muscle changes after post-stroke hemiplegia: A systematic review. Annals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9, 67-79. 10.1016/j.rehab.2016.07.241

5. 

Chang, J. J., Tung, W. L., Wu, W. L., & Su, F. C. (2006). Effect of bilateral reaching on affected arm motor control in stroke-with and without loading on unaffected arm.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8(24), 1507-1516. 10.1080/0963828060064606017178614

6. 

Fainberg, A. (2011). U.S. Patent Application No. 13/136,399. Retrieved from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16/bd/cf/e1582bb72159d8/US20110283450A1.pdf

7. 

Hignett, S., & McAtamney, L. (2000).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Applied Ergonomics, 31(2), 201-205. 10.1016/S0003-6870(99)00039-3

8. 

Jung, K. T., Song, B. H., Shin, D. J., Chun, K. J., Won, B. H., & Hong, J. S. (2010). User analysis for shower chair desig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1), 93-100. 10.5143/JESK.2010.29.1.093

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press release. (2013. 3). Retrieved from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126103&menuId=MENU00319

10. 

Krusen, F. H., Kottke, F. J., & Ellwood, P. M. (1971).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iladelphia, PA: WB Saunders Company.

11. 

Kwak, B. C., & Lee, J. Y. (2017). The guidelines of universal design for the safe use of bathroom.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8), 385-394. 10.21184/jkeia.2017.12.11.8.385

12. 

Lee, H. B., & Jang, E. H. (1998). A field study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it to Korean bath cul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9(8), 3-11.

13. 

Lee, H. H. (2017. 10). Bath chair with shower supporting stand for the handicapped. Retrieved from https://doi.org/10.8080/1020170002765

14. 

Lee, K. M., Kim, Y. S., Yoon, S. J., Hong, K. H., & Lee, C. Y. (2014). Preference of stroke patients for bathroom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4(2), 31-40.

15. 

Liu, J. (2015). U.S. Patent Application No. 9,149,160. Retrieved from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de/3f/71/afdc9a8e6c41c0/US9149160.pdf

16. 

Min, D. L. (2002). Current status and future demand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after discharg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R.

17. 

Oh, E. Y. (2010). Application of assistive devic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an adult with hemiplegic stroke: A case report.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2(1), 1-6.

18. 

Seo, W. S., Heo, G. Y., & Cho, K. H. (2015). Quality test of shower chair for people with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15(4), 559-563.

19. 

Shin, D. J., Jung, K. T., Song, B. H., Shin, H. B., Chun, K. J., Won, B. H., Hong, J. S., & Kim, J. H. (2009). User analysis for improving shower chair desig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5, 453-457.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