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와 행복감에 대한 비교



Ⅰ. 서 론

역할(role)은 작업치료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Amini et al., 2014) 특정한 사회적 위치와 상황 안에서 나타나는 사람의 규범적인 행동으로 정의되고 있다 (Kielhofner, 2008). 사람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변화 되는 사회적인 모습에 맞추어 바뀌게 되며 아동기, 청소 년기, 성인기, 노년기에 따라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 하게 된다. 그 중 노년기는 자녀의 독립, 결혼 등에 의해 가족이 축소되고 배우자와의 사별, 은퇴 등에 따라 비자 발적으로 역할이 상실되는 시기이다(Kielhofner, 2002). 노인들의 역할 손실은 은퇴를 기점으로 급변하게 되며 이는 생애주기에서 전환기적 사건들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Kang, 2008). 은퇴에 따른 역할 변화는 노인들의 행복감에 큰 영향을 주게 되며 이는 노년기 은퇴에 대한 대비가 철저히 준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Choi & Chi, 2004; Hong, Jeung, & Yoo, 2016; Kang, 2008; Min, 2002).

행복감(happiness)이란 욕구가 충족되어 충분한 만 족과 기쁨을 느끼는 긍정적인 정서 상태로써 개인이 일 상에서 느끼는 주관적 상태를 뜻하며 노인들의 궁극적인 목표로 여겨지고 있다(Kwak, 2013). 노년기 삶의 행복 감을 유지하는데 역할(role)의 중요성을 활동이론에서 도 언급하고 있으며 노인에게 역할이 있느냐는 노년기에 적응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보고있다(Choi & Chi, 2004; Havinghurst & Albrecht, 1953). 즉 노년 기에 다양한 역할을 유지하며 자기실현 활동을 하는 것 은 노년기의 주관적인 정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 게 된다(Kim & Lee, 2013; Rho & Kim, 2007; Yi, 2005). 또한 노인들이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사회활동 을 통해 조직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근로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삶의 만 족감을 증진시켜 준다(Lee, 2013; Lee & Jeon, 2015; Yang, 2011).

이처럼 노년기 행복감에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고 있는 역할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로 역할의 중요도와 개인이 역할에 갖는 의미이다. 자신에게 중요 하지 않은 역할을 비자발적으로 하게 되거나 중요한 역 할을 상실하게 될 경우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며 이는 노 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Kielhofner, 2002; Kwon, 2000). 둘째로 역할의 수행도이다. 동일한 역할 을 수행하고 있더라도 수행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 그 역할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역 할의 종류이다. 노인이 수행하는 근로자, 자원봉사자, 여 가생활, 가족구성원과 관련한 역할은 삶의 만족도를 증 진시켜주며 양육자의 역할은 삶의 만족도를 낮춘다 (Eklund, 2001; Yu, 2016). 결과적으로 노인의 행복감 을 결정짓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역할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본인에게 의미있는 역 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역할과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역할을 통한 활동의 양, 의미, 능숙도가 높을수 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노인이 수행하는 역할의 수, 의미있는 역할 수행이 삶의 질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Duellman, Barris, & Kielhofner, 1986; Elliott & Barris, 1987; Kielhofner, 2008). 하 지만 국내 인간작업모델을 근거로 한 일부 연구는 역할 의 수를 확인하는데 국한되어 있다(Hyun, 2014; Lee, Chang, Jung, Ku, & Woo, 2014). 결과적으로 노인들 의 삶의 질과 행복감 증진을 위해 단순히 역할의 수만 고 려하는 것이 아닌 본인에게 중요하고 의미있는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고려하여야 하며(Kim & Moen, 2001; Smyer & Pitt-Catsouphes, 2007) 역할의 유형별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고려하여 행복감과 비교한 연구가 필 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역할이 노년기에 행복 감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개개인이 중요하 다고 생각하는 역할의 수행정도에 따라 행복감에 영향 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의 역할과 그 수행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구성하고 의미있는 역할 점수를 산출하여 역할의 유형별 수행 정 도에 따른 노인의 행복감을 비교하였다. 나아가 전체 역 할 중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와 행복감에 대해 비교하 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Yonsei University Wonju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 의(관리번호 1041849-201711-SB-137-01)를 거 쳐 진행되었으며 연구수행에 앞서 연구자가 연구대상자 들에게 수행동의를 얻은 뒤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집단을 모집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대전, 충청도의 복지관과 경로당을 통하여 60세 이상의 노인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역할 수행에 따른 노인의 행복감을 알 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은 세 종류 의 설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특성,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로 구성되었다. 일반 적인 특성은 인구학적 요인으로 총 9개의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는 각 역할의 유형별 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측정하여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 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는 역할체크리스트(role checklist)의 분류 기준을 근거로 하여 구성되었으며, 중요도와 수행도 두 파트로 구분되 고 총 10개의 역할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Dedding, Cardol, Eyssen, & Beelen, 2004; Scott, 2014). 주관 적 행복감 척도는 총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 체 설문 문항은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 기 위하여 인구학적 요인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인 구학적 요인은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별, 연령, 거주지역, 최종학력, 종교의 유무, 배우자의 유무, 동거인의 유무, 자녀의 유무, 경제적인 수준에 대한 정보 를 수집하였다.

2) 의미있는 역할 수행 척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 를 알아보기 위하여 역할의 유형과 수행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의미있는 역할 수행 정도는 개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할의 수행정도 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역할의 유형은 총 10개로 분류 되어 있으며 학생, 직장인, 자원봉사자, 양육자, 가정관리 자, 친구, 가족구성원, 종교인, 취미인, 조직구성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요도 및 수행도의 측정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과 Role Checklist version 2를 참고하여 중요도와 수행도 두 개의 파트 나 누었으며, 수행정도에 대한 가중치를 정량화하여 척도로 개발하였다. 역할 중요도는 역할에 대한 보편적인 가치 와 상관없이 본인에게 중요하거나 가치가 있는지 여부, 역할 수행도는 현재 본인이 느끼는 역할 수행에 대한 주 관적인 충분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총 10개의 역할에 대해 3점 척도로 평가하며, 의미있 는 역할 수행정도는 적게 하는 군, 보통으로 하는 군, 충 분하거나 많이 하는 군으로 분류된다.

3) 주관적 행복 척도 (Subjective Happiness Scale ; SHS)

주관적 행복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는 Lyubomirsky와 Lepper(1999)에 의해 개발되었고 Lim(2004)에 의해 번역된 것을 사용하였다. 개인의 행복 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4가지 항목을 7점 척도로 평가 한다. 부정적 문항은 역 채점하여 점수를 산출하며 최고점수 는 28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Lyubomirsky와 Lepper(1999)에 의한 Chronbach’s α는 .86,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2이 다. Lim(2004)에 의한 Chronbach’s α는 .76이다.

3. 설문지 개발

노인이 수행하는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를 개발하였다. 역할의 유형은 작업치료 실행체계 3판(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3rd; OTPF 3rd)과, 인간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사회학과 노년학에서 분류한 역할을 참고하여 국내 노인에게 적합한 열 가지 역할유형으로 분류하였다(Amini et al., 2014; Jong, Lee, & Yoon, 2009; Jung, 2005; Keilhofner, 2008; Kim, 2006; Klumb & Baltes, 1999; Rowe & Kahn, 1997).

이후 의미있는 역할수행 척도가 연구목적에 적절하 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치료학 분야의 전문가 3인에게 자문을 받았다. 전문가는 작업치료학 분야에서 10년 이상 임상경험 혹은 5년 이상 연구경험 이 있는 전문가로 선정되었다. 자문을 통해 의미있는 역할 수행 척도 중 역할의 분류가 국내 노인에게 적절 한지 여부와 역할 중요도 및 수행도의 점수체계의 적절 성을 확인하였다.

자문 결과 기존 역할체크리스트의 역할 정의 중 국내 실정에 적합하지 않은 내용을 국내 노인이 수행하는 역할 의 종류에 맞게 재정립하였다. 국외에서는 마당이 있는 가옥에서 거주하지만 국내에서는 마당이 없는 경우가 많 아 마당 관리를 집수리 항목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단체 생활에 대한 예시에서 정치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은 국내 노인의 실정을 감안하여 반상회 및 계모임과 같은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를 단체생활의 예시로 변경하였다.

역할의 중요도는 기존 역할체크리스트의 분류체계가 적합하여 기존의 분류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총 10개의 역할에 대해 본인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정도를 중요하지 않다(0점), 조금 중요하다(1점), 많이 중요하다(2점)로 분류하였다. 역할의 수행도는 신체적 기능이 향상되기 어려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지임을 감안하여 기존 의 향상도에 대한 분류체계를 주관적으로 느끼는 충분도 에 대한 분류체계로 변경하였다. 수행정도는 부족하게 한다(1점), 보통으로 한다(2점), 충분하게 한다(3점)로 구성하였다. 즉 중요하지 않은 역할은 수행을 많이 하여 도 의미있는 역할에 포함되지 않도록 0점을 부여하였다.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는 역할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 를 곱하여 산출되며 0-6점의 점수범위를 갖게 된다. 전 체역할에 대한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는 0점을 제외하 여 1-60점의 점수범위를 갖게 되며, 적게 하는 군 (1-20점), 보통으로 하는 군(21-40점), 충분하거나 많이 하는 군(41-60점)으로 분류하였다.

4. 연구 설계

본 조사 시행에 앞서 3인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개발 된 의미있는 역할 수행 척도에 대한 반응검사를 위하여 본조사 대상인 노인을 연령별로 표본 추출하여 예비조사 를 시행하였다. 예비조사는 측정 문항의 이해도와 소요 시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장애가 없는 정상노인 3인(60 대 1명, 70대 1명, 80대 1명)을 대상으로 4일간 시행하 였다. 설문 작성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약 20분이었으며, 모든 대상자가 전반적으로 설문 문항을 잘 이해하여 바 로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5.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인구학적 요인, 역할의 중요 도 및 수행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빈도, 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각각의 역할 의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와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사용하였다. 셋째, 전체 역할의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 도를 세 군으로 나누어 행복감 점수와 비교하기 위해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룹 간의 유 의한 차이를 보인 경우 Mann-Whitney U test를 사용 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설문지 회수율

본 조사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부터 3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조사는 총 250부를 배포하 고 그 중 186부를 수거하여 설문지 회수율은 74.4% 이 다. 그 중 포함기준에 해당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고 내용이 누락되어있는 65부를 제외하고 121부만 본 연구 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응답자 탈락률은 34.9%이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대 상자는 남성 67명(55.4%), 여성 54명(44.6%)이었다. 연령은 65-69세가 44명(36.4%)으로 가장 많았다. 경 제수준은 나쁜 편이다 18명(14.9%), 보통이다 82명 (67.8%), 좋은 편이다 21명(17.3%)으로 경제수준이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21)

../figures/JKSOT-28-2-41_T1.jpg

3. 역할의 중요도 및 수행도

노인들의 역할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였다(Table 2). 역할 중요도에서 많이 중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역할은 여섯 가지로 직장인(55.4%), 가족구성원 (54.5%), 자원봉사자(50.4%), 가정관리자(50.4%), 취 미인(49.6%), 친구(48.8%)의 순서로 높게 응답하였다. 역할 수행도에서 보통으로 한다라고 응답한 역할은 가정 관리자(51.2%), 친구(47.9%), 가족구성원(47.9%), 직 장인(43.8%), 조직구성원(41.3%), 취미인(38.8%)의 순서로 높게 응답하였다.

Table 2

Scores of Role Value and Participant (N=121)

../figures/JKSOT-28-2-41_T2.jpg

4.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 수행정도에 따른 행복감 비교

역할 유형에 따라 노인의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 수행 정도와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3). 행복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역할은 여섯 가지 로 학생(p<0.01), 가족구성원(p<0.01), 친구(p<0.01), 조직구성원(p<0.01), 직장인(p<0.01), 취미인(p<0.01) 의 순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중 학생, 가족구성 원의 역할은 다른 역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취미인의 역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다른 역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able 3

Correlation Between Meaningful Role Types Performance and Happiness (N=121)

../figures/JKSOT-28-2-41_T3.jpg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를 적게 하는 군, 보통으로 하 는 군, 충분하거나 많이 하는 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행복 감과 비교한 결과(Table 4),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에 따라 행복감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사후 검정에서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20점과 41-60점(p<0.001), 1-20점과 21-40점 (p<0.01), 21-40점과 41-60점(p<0.05) 순으로 유의 수준이 높게 나왔다. 결과적으로 의미있는 역할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수록 행복감에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함 을 알 수 있다.

Table 4

Comparison Between Meaningful Roles Performance Groups and Happiness (N=121)

../figures/JKSOT-28-2-41_T4.jpg

Ⅳ. 고 찰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를 분석하고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를 행복감 점수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노인의 행복감과 관련된 의미있는 역할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60 세 이상인 일반노인 12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요인,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 행복감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행복감과 관련이 있는 의미있 는 역할은 학생, 직장인, 친구, 가족구성원, 조직구성원의 역할이었으며, 행복감과 관련이 적거나 없는 역할은 취 미인, 종교인, 자원봉사자, 양육ᆞ간병인, 가정관리자의 역할이었다. 의미있는 역할을 많이 수행하는 경우 적게 수행하는 경우보다 행복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역할과 행복감을 분석하기 위해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를 구성하였다. 작업치료사는 대상자들의 가치 를 고려하여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하며 연령에 따라 역할이 변화하는 것을 이해하고 특히 노년기에는 가족과 친구의 역할이 중요함을 고려하여야 한다(Amini et al., 2014; Keilhofner, 2008). 사회학과 노년학에서는 노인 들이 수행하는 자원봉사, 종교, 취미, 친목모임, 가사노 동, 가족 돌봄 노동과 같은 다양한 활동들을 성공적인 노 화의 구성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Jung, 2005; Jong, Lee, & Yoon, 2009; Kim, 2006; Klumb & Baltes, 1999; Rowe & Kahn, 199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 행연구를 토대로 역할유형을 10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국 내노인에 적합하게 역할의 정의와 예시를 정하였다. 또 한 기존의 활동과 역할 평가도구에서 개인이 갖는 중요 도에 따라 활동을 정하고 역할의 가치와 수행의 질을 측 정하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도 역할의 중요도와 수행도 두 개의 파트로 구성하였다(Dedding et al., 2004; Scott, 2014). 이처럼 노인에게 중요한 활동을 분 석하여 역할의 유형을 분류하고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 를 알아보는 것은 기존 역할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독창적인 방식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를 정량적으 로 측정하여 행복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역할 수 행정도에 따라 세 개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인에게 적합한 역 할과 활동을 많이 수행할수록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증진된다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Funaki, Kaneko, & Okamura, 2005; Gregory, 1983; Nilsson & Fisher, 2006). 또한 의미있는 역할 의 수행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 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의 정량 적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기초연구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의미있는 역할수행정도에 대한 표 준화된 평가도구가 개발된다면 추후 작업치료사들이 노 인을 대상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작업치료사들은 역할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으 며 본인에게 의미있는 활동 및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가지 고 연구하고 있다(Funaki et al., 2005; Lee et al., 2009; Nilsson & Fisher, 2006). 역할 체크리스트는 과 거와 현재의 건강상태의 변화를 고려한 평가방식으로 장 애전후, 질환전후의 수행정도를 비교하는 평가도구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행중인 역할의 수행도 조 사를 통해 현재 느끼는 행복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 행연구에 따르면 노인들의 경우 미래에 얻게 될 보상과 상관없이 현재 본인에게 중요하지 않거나 의미가 없는 역할을 수행할 경우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Suh, Lee, & Yang, 2012; Yang, 2011). 이에 따 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의미있는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 아보고자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0점을 부여하였 다. 이처럼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역할 설문지의 점 수를 구성한 점은 노인들의 역할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역할 설문지를 활용 하여 노인들의 우울감, 삶의 질과 같은 다양한 심리상태 에 대해 분석하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행복감과 관련이 있는 의미있는 역할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상관관계에서 rho값이 0.9이상인 경우 매우 높은 상관관계, 0.7-0.9인 경우 높은 상관관계, 0.5-0.7인 경우 보통의 상관관계, 0.3-0.5인 경우 낮은 상관관계, 0.3이하인 경우 매우 낮은 상관관계 를 보인다고 분석한다(Rovai, Baker, & Ponton, 2013). 본 연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고 rho값이 0.3이상인 역할은 학생, 가족구성원의 역할이며, 통계학 적으로 유의하나 rho값이 0.3미만인 역할은 직장인, 친 구, 조직구성원, 취미인의 역할이다. 하지만 대상자의 수 가 적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rho값이 가장 낮은 취미인의 역할을 제외한 5개의 역할을 행복감과 유 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역할로 분류하였다. 이는 사람들 과의 교류를 촉진시키거나 자발적인 활동에 해당하는 역 할로 학생, 직장인, 친구, 가족구성원, 조직구성원의 역할 이다. 이와 반대로 사람들과의 교류를 저해하거나 비자 발적인 역할은 행복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거 나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취미인, 자원봉사자, 양 육·간병인, 가정관리자, 종교인의 역할이다. 이러한 결 과는 타인과의 교류를 촉진하는 역할이 노인의 삶의 만 족도와 행복감을 높여주고 자발적인 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임을 알 수 있 다(Back, Kim, & Kim, 2010; Kim, 2007; Kim, 2009; Lee, 2007; Lee & Jeon, 2015). 결과적으로 타인과 교 류하고 본인이 원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 노년기의 행복 감 증진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으며 자발적 인 활동을 통해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류활동을 하는 것이 노년기에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하고 싶은 역할을 수행할 경우 행복감이 높아진다라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역할에 대한 중요도 점수를 반영하였으며 연구결과에서 도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가 높아질수록 행복감이 높아 졌다. 이는 노인들의 생산적인 활동의 수행 이유가 본인 의 선택에 의한 것이어야 하며 자발성이 고려되어야 삶 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Kim & Moen, 2001; Smyer & Pitt-Catsouphes, 2007). 또한 작업치료사들은 클라이 언트 중심 접근법(client-centered approach)을 작업 치료사의 핵심 역량으로 여기고 있으며 중재를 제공할 때 환자들의 니즈를 고려하여 중요하고 의미있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Jung & Chang, 2012; Ku et al., 2015; Park & Kim, 2015). 본 연구에서 노인들이 중요 한 역할을 많이 수행하는 것이 행복감을 증진시킨다는 결과는 작업치료사들이 환자 중심으로 중재를 시행하는 이유를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치료사들이 노인을 대상으로 중재를 제공할 때 환자 개개인이 역할에 느끼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중재를 제공 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를 편의 추출하였으며 대상자의 수가 충분히 많지 않아 모 든 노인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복 지관, 경로당 등 특정기관에 방문하여 활동에 참가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부 기관에 대한 특 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노인 역할 평가도구 가 없는 점을 감안하여 여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문 항을 구성하였으나 그에 따른 신뢰도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추후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국내 노인에게 적 합한 역할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의미있는 역 할 수행정도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을 통하여 노인의 행 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작업치료사가 노인을 대상으로 역할에 대한 중재를 시행할 때 역할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고려하여 장·단 기적인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결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를 행 복감 점수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노인의 행복감과 관 련된 의미있는 역할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60세 이상인 일반노인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룹 간 비교와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행복감과 관 련이 있는 의미있는 역할은 학생, 직장인, 친구, 가족구 성원, 조직구성원의 역할이었으며, 행복감과 관련이 없 는 역할은 종교인, 자원봉사자, 양육·간병인, 가정관 리자의 역할이었다. 이는 사회활동과 자발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노년기의 행복감 증진을 위하여 중요한 활동임을 알 수 있으며 타인과 교류하는 활동이 노년기 에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의미 있는 역할을 많이 수행하는 경우 적게 수행하는 경우보 다 행복감이 높았다. 이는 노인이 수행하는 역할의 중 요도를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의미있는 역할을 많 이 수행하는 것이 행복감 증진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전반적인 역할을 역할 유형별로 분 석하였으며 개개인이 느끼는 의미있는 역할의 수행정 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 고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에 따른 행복감을 알아보았 다는데 그 의미를 갖는다. 이는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내 작업치료 서비스 제공 시 역할의 중요 도를 고려한 수행도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 이며 노인의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여겨진다.

References

1. 

Amini, D. A., Kannenberg, K., Bodison, S., Chang, P., Colaianni, D., Goodrich, B., & Lieberman, D.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3th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S1-S48.

2. 

Back, J. U., Kim, S. W., & Kim, M. Y. (2010). Factor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life by the leisure activity of the users of the senior citizens’ leisure welfare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7(1), 37-58.

3. 

Choi, B. A., & Chi, Y. S. (2004). The development of a life planning program for retired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6), 47-61.

4. 

Dedding, C., Cardol, M., Eyssen, I. C., & Beelen, A. (2004).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 client-centred outcome measurement. Clinical Rehabilitation, 18(6), 660-667. 10.1191/0269215504cr746oa 15473118

5. 

Duellman, M. K., Barris, R., & Kielhofner, G. (1986). Organized activity and the adaptive status of nursing home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9), 618-622. 10.5014/ajot.40.9.618 3766684

6. 

Eklund, M. (2001). Psychiatric patients’ occupational roles: Changes over time and associations with self-rated quality of life.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8(3), 125-130. 10.1080/110381201750464476

7. 

Elliott, M. S., & Barris, R. (1987). Occupational role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rsons.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7(4), 215-224. 10.1177/153944928700700403

8. 

Funaki, Y., Kaneko, F., & Okamura, H. (2005).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quality of life of demented elderly persons in group hom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2(1), 4-9 10.1080/11038120510031725 16389993

9. 

Gregory, M. D. (1983). Occupational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7(8), 548-553. 10.5014/ajot.37.8.548 6624852

10. 

Havighurst, R. J., & Albrecht, R. (1953). Older people. New York, NY: Longmans & Green.

11. 

Hong, S. W., Jeung, M. H., & Yoo, S. K. (2016). Factors that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6(3), 139-162. 10.15300/jcw.2016.56.1.139

12. 

Hyun, J. Y. (2014). Role ident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main fosterer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13. 

Jong, K. H., Lee, Y. K., & Yoon, J. E. (2009). A profile of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older persons and economic valuation. Sejong, K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4. 

Jung, N. H., & Chang, M. Y. (2012).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111-126.

15. 

Jung, S. H. (2005). Analysis of contribution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anad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5(2), 155-170.

16. 

Kang, J. S. (2008).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adaptation process related to retirement for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8(3), 477-496.

17. 

Kielhofner, G. (2002). A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Kielhofner, G. (2008).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 

Kim, G. E., & Lee, J. L. (2013). The influence of the double discrimination on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 A mediating effect of rol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9, 257-280. 10.21194/kjgsw..59.201303.257

20. 

Kim, J. E., & Moen, P. (2001). Is retirement good or bad for subjective well-be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0(3), 83-86 10.1111/1467-8721.00121

21. 

Kim, J. H. (2007). Complexity of productive activities and life-satisfaction of Korea’s older peopl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0(3), 57-81.

22. 

Kim, J. W. (2006). An empirical study on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aged in Korea - Focusing upon analyzing 1999 and 2004 time use survey data. Social Welfare Policy, 25(8), 133-158.

23. 

Kim, W. B. (2009).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With a focus on activity and resource theory. Social Welfare Policy, 36(3), 449-470. 10.15855/swp.2009.36.3.449

24. 

Klumb, P. L., & Baltes, M. M. (1999). Time use of old and very old Berliners: Productive and consumptive activities as functions of resources. Journals of Gerontology, 54(5), S271-S278. 10.1093/geronb/54B.5.S271 10542829

25. 

Ku, I. S., Jung, M. Y., Yoo, E. Y., Park, J. H., Lee, J. S., & Lee, H. S. (2015). Development of competency indicators for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1), 137-149. 10.14519/jksot.2015.23.1.11

26. 

Kwak, I. S. (2013). Study o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of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1(1), 1-16. 10.6115/khea.2013.51.1.001

27. 

Kwon, I.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2), 212-223.

28. 

Lee, H. K. (2007). Age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8, 231-256.

29.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12 10.14519/jksot.2014.22.2.07

30. 

Lee, S. C. (2013). Social role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Korea Social Policy Review, 20(4), 9-35. 10.17000/kspr.20.4.201312.9

31. 

Lee, S. J., & Jeon, E. H.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y lives of the elderly and relevant variabl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 113-131. 10.13049/kfwa.2015.20.1.113

32. 

Lee, T. Y., Jung, M. Y., Chung, B. I., Yoo, E. Y., Chang, S. J., & Nam, E. W. (2009).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levels in the elderly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1), 1-16.

33. 

Lim, J. S. (2004). The relationships of a selfenhancement bias, life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adul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R.

34.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10.1023/A:1006824100041

35. 

Min, S. K. (2002). Modern psychiatry. Seoul, KR: Ilchokak.

36. 

Nilsson, I., & Fisher, A. G. (2006). Evaluating leisure activities in the oldest old.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3(1), 31-37. 10.1080/11038120500360655 16615413

37. 

Park, S. H., & Kim, H. Y. (2015). The effect of client-center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on the progression of mild and moderate dementia.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17, 81-96.

38. 

Rho, B. I., & Kim, E. U. (2007). Social exclusion among the elderly and its implications for care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are Work, 7, 5-19.

39. 

Rovai, A. P., Baker, J. D., & Ponton, M. K. (2013). Social science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s: A practitioner’s guide to research methods and IBM SPSS. Chesapeake, VA: Watertree Press LLC.

40. 

Rowe, J. W., &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37(4), 433-440 10.1093/geront/37.4.433 9279031

41. 

Scott, P. J. (2014). Measuring participation outcomes following life-saving medical interventions: The role checklist version 2: Quality of performanc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6(13), 1108-1112. 10.3109/09638288.2013.833302 24044685

42. 

Smyer, M., & Pitt-Catsouphes, M. (2007). The meanings of work for older workers. Generations, 31(1), 23-30.

43. 

Suh, K. H., Lee, S. S., & Yang, S. A. (2012). Influence of resentment and forgiven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2), 433-448. 10.17315/kjhp.2012.17.2.010

44. 

Yang, Y. J. (2011). “Active aging” focused on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its limitations. International Labor Brief, 9(3), 49-62.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21029

45. 

Yi, G. (2005).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3), 1-21.

46. 

Yu, C. N. (2016). The effect of active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6, 1075-1088.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