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3세 발달 지연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유아의 언어 발달 지연은 임상 장면에서 양육자에 의 해 의뢰되는 주호소 문제로 만 3세 유아가 또래에 비해 언어 발달이 더딘 경우 양육자가 전반적인 발달 지연의 문제로 인식하고 적절한 도움을 받고자 한다. 발달 지연 은 대근육운동/소근육운동, 말/언어, 인지, 개인/사회성, 일상생활동작과 같은 발달 영역 중 2개 이상의 영역에서 동일 연령군의 평균보다 2 이상의 표준편차 이하의 실행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SM-5)에는 발달 지연과 관련하여 전 반적 발달 지연이라는 진단명이 있다. 영유아기의 발달 지연은 장기적 예후가 불확실하고 이후 지적 장애, 자폐, 언어 장애 등의 진단과 연관된다. 2~3세 발달이 지연된 영유아의 발달 양상, 양육 환경 및 임상적 특징을 살펴본 Lee, Jung, Jung과 Park(2016)의 연구에서 발달이 지 연된 영유아는 일반 영유아에 비해 한 단어 발화 시기와 독립 보행 시기가 늦고, 낯가림이 적으며 눈맞춤이 간헐 적인 특징을 보였다. 또한 발달 지연 영유아의 6.7~ 60.8%는 감각 처리 이상성을 보였고 특히 과소 처리가 문제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 발달은 유아가 말소리를 인식하고 의미를 처리하여 언어를 이해하고, 조음 기관 등 신체를 효율적 으로 사용하여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 발달이 촉진되어진다. 언어란 상호작용 안에서 촉진되는 것으로 감각의 통합은 유아가 주위와의 관계를 갖는 능력을 촉진하므로 의사소통의 기 초적인 부분에 기여를 한다. 또한 유아가 의사소통을 하 려면 주의 집중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이는 전정 감각이나 고유수용성 감각, 촉각으로부터 오는 자 극이 주의력이나 집중을 높인다(Kim, 2003).

영유아의 언어 발달은 소리에 반응을 보이고 어휘를 이해하며 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소리를 사용하며 성인의 구어를 모방하면서 습득되어간다. 만 2, 3세의 일 반적인 유아는 500개에서 900개 이상의 수용 어휘와 50개에서 250개 이상의 표현 어휘를 습득하며 간단한 지시를 수행하고 간단한 질문에 대답이 가능하다. 또한 3, 4낱말로 이루어진 구를 사용하고 50~70%의 구어 명 료도를 보인다. 말이 늦은 유아는 2세까지 표현 어휘가 50개 미만이며 2어 조합이 나오지 않는 아동으로 기초적 인 언어 처리 능력인 청지각력, 낱말 회상력, 구어적 작업 기억력, 동작 계획, 음운 변별력, 문법 학습력 등의 어려 움을 갖는다(Kim, 2014).

Ayres(2005)는 감각 통합의 최종 산물은 언어 능력 및 시공간 인지 능력이라고 기술하였다. 이는 언어에 관한 능력과 시공간 인지 능력이 각각의 처리에 적합한 대뇌반 구에 정착함과 동시에 양측반구가 유연하게 협력한다는 의미이다. 영아는 청각 자극의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엄마 외의 사람에 대한 반응도 다르다. 영아는 물건을 입 에 넣어 입 주변과 혀에 주어지는 촉각 자극이 조음하기 위한 방법의 기초가 된다. 근육과 관절을 이용하여 손을 뻗는 가리키기는 언어와 개념의 기초가 되고 재잘거리기 를 반복하며 최초의 단어를 말하고 난 뒤에는 언어의 이해 와 표현이 급속하게 증가한다(Kim, Ji, & No, 2010).

발달 초기는 몸의 움직임(전정 감각, 고유수용성 감 각)이나 촉각이 시각 및 청각과 결합되어가는 시기로, 접 촉하거나 움직이는 신체의 감각 자극이 언어나 보는 것 과 연결시켜가는 것이 중요하다. 언어의 습득은 감각 처 리 과정과 외부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감각 통 합의 어려움이 있는 유아는 복잡한 언어의 구사와 조음 에서의 질적 결함을 보인다(Reebye & Stalker, 2008). 언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은 감각 통합의 마지막 산물로 전정계는 다른 감각 채널에서 들어온 감각을 조직화하는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언어와 단어의 이해를 발달시키며 감각계가 상호의존적으로 발달하여 입과 혀, 입술의 움 직임을 위해 요구된 운동을 계획하여 소리를 단어로 만 들기 위한 연쇄적인 움직임을 조율한다. 따라서 언어 발 달의 지연은 다양한 감각을 처리하여 조절하고 이를 말 과 행동으로 표현하는 감각 통합 과정의 어려움으로 발 생하는 것이기도 하다(Lee et al., 2016).

감각의 통합이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 는 감각들을 조직화하고 그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 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신경학적 과정이다. 감각들을 통 해 받아들이는 정보들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태인 감각 정보 처리 장애는 감각 조절 장애, 감각 변별 장애, 감각 이 원인인 운동 장애로 분류되며, 감각 조절 장애가 가장 흔한 유형이다. 감각 조절 장애의 증상은 촉각 문제, 동작 문제, 신체 위치의 문제와 시각, 청각, 미각에서 비전형적 인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Kranowitz, 2006). 감각 조절 (sensory modulation)은 행동적으로 감각 입력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이다(Kim, 2003). 유 아는 환경으로부터 입력되는 감각 자극을 스스로 조절함 으로써 체내 평형을 유지하고 상호작용하는 동안 감정의 강도를 조절하며 어떤 활동으로부터 벗어나기도 한다.

감각 조절 장애를 가진 영유아는 오랜 시간 발달이 이 루어지지 않고 정체되는 증상을 보이고 여아보다 남아에 서 많이 보여진다. 감각 조절 장애를 가진 영아는 냄새와 빛에 과잉 반응을 하거나 과소 반응을 하고 구강 과잉 민 감성은 구강 운동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언어 발 달에서 첫 소리와 소리 패턴을 만드는 조음의 질적 결함을 보일 수 있다. 유아의 경우 시각, 청각, 촉각, 구강 감각, 후각, 미각 영역의 민감성이 오랜 시간 지속되거나 뚜렷하 게 높거나 낮고 복잡한 언어 구사와 조음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감각 조절 장애를 가진 학령초기의 아동은 보는 것, 소리, 냄새, 맛에 대한 반응이 여러 환경에서 다양한 경험을 획득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며, 사회 생활과 학 업 활동에 필요한 언어의 이해와 표현이 어려울 수 있고 확장된 언어 사용과 묘사가 부족하며 단어의 의미를 제대 로 해석하지 못할 수도 있다(Reebye & Stalker, 2008).

Lee 등(2016)은 만 6세에서 만 11세의 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언어 발달 지연과 감각 통합 능력이 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Ha(2008)은 발달 장애 아동의 감각 처리 기술과 언어 발달과의 상관 성을 밝혔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감각 처리와 읽기, IQ, 주의 집중 등을 살펴본 Hulslander 등(2004)의 연구에 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전정과 촉각, 청각 처리의 어려 움과 읽기의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sey(2016)는 3세에서 9세 사이의 언어장애가 있는 1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장애와 감각 통합 문제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으며, Taal, Rietman, Meulen, Schipper와 Dejonckere(2013)은 4세에서 7세 단순언 어장애 116명을 대상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감각 조 절의 어려움을 동반하는 특징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감각 통합 능력과 언어 발달이 연관되어있음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유아가 또래보다 발달이 지연되는 경우 조기에 적절한 치료의 개입과 양 육의 도움이 중요하므로 발달의 지연을 주호소로 하는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언어 발달과 감각 조절의 관 계를 밝혀 적절한 중재 개입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토대 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2. 연구 문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 조절이 언어 발달과 어떠한 관계를 보이 는지 살펴보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언어 발달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용어의 정리

1) 감각 조절(sensory modulation)

감각 조절은 감각을 체계화하고 적당한 방식으로 조절 하고 조직화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감각조절을 검 사하는 도구인 Short Sensory Profile(SSP)를 사용하 여 유아의 감각 조절을 알아보았다.

2) 언어 발달(language development)

영유아 시기에 언어 발달의 지연 문제를 보이는 경우 영ᆞ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를 사용한 간접 언어 평가를 실시하 여 지체 여부를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언어 검사를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간접 언어 평가를 이용하여 수용 언어 점수, 표현 언어 점수, 언어 전반 점수와 등가 연령을 산출하여 언어 발달 정도를 알아보았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발달이 지연된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 달의 특성을 살펴보고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용인시에 위치한 아동 발달 센터에 주양육자가 발달의 지연을 주호소로 내원한 만 3세 유아 중 보호자가 유아 개인 정보의 제공 및 활용에 동의한 53명이다. 연구 대상 유아의 월령 범위는 36개월에서 47개월까지로 나 타났다.

2. 연구 도구

1) 감각 조절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감각 조절을 알아보기 위해 McIntosh, Miller와 Shyu(1999)가 개발한 Sensory Profile을 바탕으로 한 Short Sensory Profile(SSP)을 Kim(2000)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 였다. SSP는 일상 생활에서의 감각 조절과 관련된 아동 의 행동을 알아보는 것으로 7개의 하위 영역과 총 38문 항으로 되어있다. SSP의 하위 영역과 문항은 촉각 민감 성 7문항, 맛/냄새 민감성 4문항, 움직임 민감성 3문항, 과소 반응/특정 자극을 찾는 행동 7문항, 청각 여과하기 6문항,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 6문항, 시각/청각 민감성 5문항이고, 문항의 내적일치도 Cronbach α는 .70~.95 로 보고되었다.

SSP는 부모나 양육자가 아동의 감각 조절에 대해 5점 Likert 척도로 평가하게 되어있으며, 반응의 정도에 따라 ‘항상 보인다’는 1점, ‘자주 보인다’는 2점, ‘종종 보인다’ 는 3점, ‘가끔 보인다’는 4점,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5점 을 부여한다. 총점은 190점이며 문항에 대한 점수가 낮 을수록 감각 조절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2) 언어 발달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언어 발달을 평가하기 위해 영ᆞ유아 언 어 발달 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를 사용하였다. SELSI는 생후 4개월부터 35개 월 사이 영ᆞ유아의 언어 발달 체크리스트로 수용 언어 와 표현 언어 등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검사 문항의 내적일치도 Cronbach α는 .9905이다(Kim, Kim, Yoon, & Kim, 2003). 본 연구 대상자는 생활 연령 이 만 3세 이상이지만 유아들이 구조화된 검사를 직접 수행하기 어려워 주양육자에게 언어 행동 수행 여부를 보고받아 측정하는 간접 언어 발달 검사를 실시하였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2013년 5월부터 2018년 4월 까지 발달의 지연을 주소로 아동 발달 센터에 내원한 만 3세 유아의 부모 또는 주양육자에게 실시한 SSP와 SELSI 검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18.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대상 유아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감 각 조절 및 하위 영역별 점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 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 영역별 범주을 산출하였 고, 언어 발달 및 하위 영역별 점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 등가 연령을 산출하 였다. 그리고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사용하 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53)

../figures/JKSOT-28-2-131_T1.jpg

Ⅲ. 연구 결과

1. 유아의 감각 조절 특성

유아의 감각 조절의 특성은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유아의 감각 조절은 평균 142.58점(표준편차 20.515점)인 것으로 나타났고,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하였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ensory Modulation

../figures/JKSOT-28-2-131_T2.jpg

하위 요인 별 특성을 살펴보면, 촉각 민감성의 경우 7 점에서 35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26.83점 (표준편차 7.05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SP 검사 결과 확실한 어려움 범주(DD)에 해당하였다. 맛 냄새 민감성 의 경우 4점에서 20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12.92점(표준편차 4.759)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하였고, 움직임 민감성의 경우 3점에서 15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12.42점(표준편차 2.872)인 것으로 나 타났으며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 에 해당하였다. 과소 반응/특정 자극을 찾는 행동의 경우 7점에서 35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24.51 점(표준편차 7.04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SP 검사 결 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하였고, 청각 여 과하기의 경우 6점에서 30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 데 평균 22.66점(표준편차 5.677)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 하였다.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의 경우 6점에서 30점까 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25.28점(표준편차 6.954)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하였고, 시각/청각 민감성의 경우 5점에서 25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19.62점(표준편차 4.07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SP 검사 결과 전형적인 수행 범주(TD)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가 획득한 감 각 조절 점수는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에 해당하였다. 하위 요인의 경우 시각/청각 민감성만 전형적인 수행 범 주에 속하였고 맛 냄새 민감성, 움직임 민감성, 과소 반응 /특정 자극을 찾는 행동, 청각 여과하기,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 영역에서 획득한 점수가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 에 해당하였으며 특히 촉각 민감성 영역은 확실한 어려 움 범주에 속하였다.

2. 유아의 언어 발달 특성

유아의 언어 발달 특성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 표를 보면, 유아의 언어 발달은 평균 66.02점(표준편차 20.363점)인 것으로 나타났고, SELSI 검사 결과 등가 연령 18개월에 해당하는 결과를 얻었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figures/JKSOT-28-2-131_T3.jpg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별 특성을 보면, 수용 언어의 경 우 0점에서 56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37.66 점(표준편차 11.62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ELSI 검사 결과 등가 연령 20개월에 해당하는 결과를 얻었고, 표현 언어의 경우 0점에서 56점까지의 점수 범위가 가능한데 평균 28.36점(표준편차 10.59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ELSI 검사 결과 등가 연령 16개월에 해당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가 획득한 언 어 발달 점수는 등가 연령 18개월에 해당하였다. 하위 요인의 경우 등가 연령이 수용 언어는 20개월, 표현 언어 는 16개월로 나타나 만 3세 아동의 최소 생활 월령인 36 개월보다 언어 발달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 관계

본 연구에서 조사한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 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유아 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 여(r = .355, p<.01), 유아의 감각 조절 점수가 높을수 록 언어 발달 연령도 높거나, 유아의 언어 발달 연령이 높을수록 이들의 감각 조절 점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Table 4

Correlation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figures/JKSOT-28-2-131_T4.jpg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인 수용 언 어와 정적 상관(r = .335, p<.05)을 나타내었고, 표현 언어와도 정적 상관(r = .314, p<.05) 관계를 나타내었 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인 수용 언어 및 표현 언어와 유의한 관 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아의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과 전체 언어 발달과의 관계를 보면,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 중 청각 여과하기가 언어 발달과 정적 상관(r = .326, p<.05)을 보여 상관관 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 중 청각 여과하기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 중 표현 언어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 = .361, p<.01)가 나타났다. 청각 여과하기 를 평가하는 문항은 아동이 말소리나 이름에 반응을 하 지 않는다거나 주변의 소리 때문에 놀이나 과제에 문제 를 보이며 집중에 어려움이 있다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적인 언어 처리 능력인 청지 각력 및 집중과 연관이 되는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표현 언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 절과 언어 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용인시에 위치 한 아동 발달 센터에 주양육자가 또래에 비해 발달의 지 연을 주소로 내원한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특성을 주양육자의 보고에 의한 간접 검사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되었고, 언어 발달은 SELSI 검사 결과 등가 연령 18개월에 해당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언어장애로 진단된 아 동은 감각 조절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 하는 결과이다(Casey, 2016; Taal et al., 2013). 언어 를 배우는 것은 온전한 감각 처리 체계에 의해 지원된다. 언어의 상징 체계를 배우기 위해서는 얼굴과 몸으로 표 현되는 비구어적 의사소통이 학습되어져야 하는데 이는 유아의 감각 운동 발달에서 시작되어진다. 또한 언어는 사회적인 학습과 타인에 대한 의도가 높아지는 것에 영 향을 받기도 하므로 유아의 감각 처리 어려움은 사회적, 정서적 발달과 인지, 언어, 감각 운동 기술의 습득에도 영향을 미친다(Taal et al., 2013). 따라서 감각 조절의 어려움은 언어 발달이 지연된 유아가 동반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결과로 보인다.

둘째,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이는 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동의 언어 지수와 감각 요인 간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다는 선행 연구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Lee et al., 2016; Ha, 2008). 특히 본 연구에서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 중 청각 여과하기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 중 표현 언어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이는 발달이 지연 된 영유아의 감각 처리 특성에서 청각 영역의 어려움이 가장 크다는 Lee 등(201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청 각은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주위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며 말초에 전정 신경과 강하게 결합하 고 있어 밀접한 관계가 있다(Kim et al., 2010). 청각과 언어 처리의 개선은 전정 감각과 청각 사이의 신경 연결 을 통해 일어나므로 전정 활동은 청각 처리 능력과 매우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Ayres, 2005). 단순언어장애 아 동을 대상으로 한 Hulsmander 등(2004)에서 단순언어 장애 아동들은 전정과 촉각 및 청각 처리의 어려움과 읽 기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발 달이 지연되는 것은 뇌가 감각 통합을 잘 하지 못한다는 초기 단서가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Ayres, 2005). 따라서 청각 영역 감각 조절이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이며, 언어 발달이 더딘 유아 가 표현 언어 발달이 되기 위해서는 전정 감각과 청각 처 리를 다뤄주는 감각 통합 치료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Ⅴ.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 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감각 조절 중 청각 여과하기는 언어 발달 중 표현 언어 요인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및 아동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 관계를 밝힌 선행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며 청각 영역 이 언어 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은 환경에 대한 적응뿐 만 아니라 자조 기술 및 정서와 사회성과도 밀접한 관련 이 있으며, 읽기 등 학습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 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감각 조절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고,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의 유의한 관계를 밝혔다.

본 연구는 대상 연령이 만 3세 유아로 한정되어 있고, 대상 유아가 적게 표집 된 한계를 가지며, 성별 등 기타 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지 못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 를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을 둘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 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 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References

1. 

Ayres, A. J. (2005).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 

Casey, A. L. (2016).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sensory processing disorder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vada, Reno, NV.

3. 

Ha, M. Y. (2008).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KR.

4. 

Hulslander, J., Talcott, J., Witton, C., DeFries, J., Pennington, B., Wadsworth, S., ... Olson, R. (2004). Sensory processing, reading, IQ, and atten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88(3), 274-295. 10.1016/j.jecp.2004.03.00615203301

5. 

Kim, K. M. (2003). The literature review for assessment of sensory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1(1), 93-98.

6. 

Kim, K. M., Ji, S. Y., & No, J. S. (2010). Sensory integration Q&A. Seoul, KR: Hakjisa.

7. 

Kim, M. S. (2000).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R.

8. 

Kim, Y. T. (2014).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2nd ed.). Seoul, KR: Hakjisa.

9. 

Kim, Y. T., Kim, K. H., Yoon, H. R., & Kim, H. S.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oul, KR: Paradise Welfare Foundation.

10. 

Kranowitz, C. S. (2005). The out-of-sync child. Los Angeles, CA: Skylight Press Book.

11. 

Lee, K. S., Jung, B. N. R., Jung, S. J., & Park, J. A. (2016). Developmental patterns, childcare environment,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ged two to three years with developmental delay.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63-85.

12. 

Lee, S. M., Lee, M. H., Kim, S. H., Kim, N. Y., Kim, J. K., & Park, S. J. (2016). A study of sensory processing skills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8(2), 15-23.

13. 

McIntosh, D. N., Miller, L. J., & Shyu, V.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srofile. In W. Dunn (Eds.), The sensory profile: Examiner’s manual (pp. 59-73).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4. 

Reebye, P., & Stalker, A. (2008). Understanding regulation disorders of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Management strategies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Vancouver, CA: Jessica Kingsley Pubilshers.

15. 

Taal, M. N., Rietman, A. B., Meulen, S. V., Schipper, M., & Dejonckere, P. H. (2013).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 difficulties in sensory modulation.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8(2), 70-78. 10.3109/14015439.2012.68776022612473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