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Ⅰ. 서 론

우리나라는 2019년부터 모두가 누릴 수 있는 포용적 복지와 지역사회 통합 돌봄을 목표로 커뮤니티케어 시범 사업을 시행하였다. 커뮤니티케어의 4가지 핵심방향은 노인 통합 돌봄 서비스 구축,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정신 질환자 지역사회 정착 지원, 노숙인 자립지원이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4가지 선도 사업의 공통점은 기관 및 시설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내 본인의 거주 환경으로 돌아가도록 하여 독립적인 일상생 활 활동 및 사회통합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뮤 니티케어 사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작업치료 직무 영역 중 하나는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이다. 기존의 의료적 모 델 안에서 작업치료는 인간의 기능적 요소들에 중점을 두고 치료를 제공하였다면, 커뮤니티케어 사업 내 작업 치료는 독립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도록 사람과 환경적 요소 모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Person-Environment-Occupation(PEO) 모델에 따르면 인간의 작업수행은 사람, 환경, 작업의 세 가지 요소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완성된다고 할 수 있 다(Law et al., 1996). 환경이라고 하는 것은 물리적, 사 회적, 제도적, 경제적, 법적, 문화적 등 다양한 환경을 일 컫는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이 중 물리적 환경은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일차 적으로 인간의 작업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즉, 물리적 환경을 인간의 수행능력에 맞춰 수정함으로 써 기능적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상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사회 기반 작 업치료 서비스에서는 최적의 환경적 지지가 결국 클라이 언트의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다는 점에서 환경적 요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Rostad, McFry, Self-Brown, Damashek, & Whitaker, 2017).

이처럼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의 주목적은 주거 환경 에서 장애물이 되거나 위험한 환경을 수정 및 개선하여 기능적으로 제약이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독립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Christenson & Chase, 2011). 가정환경개선 서비스는 대상자의 집 방문 및 초 기 상담, 가정환경 평가, 가정환경개선 중재, 사후관리로 이루어진다(Christenson & Chase, 2011). 가정환경 평가과정은 건축 및 물리적 요소를 평가하는 것 뿐만 아 니라 그 주거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에 대한 요소 및 개 인에게 집이 가지는 의미, 집안의 각 공간에 대한 기대되 는 기능과 역할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포함 되어야 한다(Lau, Yu, Brown, & Locke, 2018). 즉 사 람에 대한 요소, 환경에 대한 요소,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 용하여 나타나는 작업 수행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는 가정환경개선(home modification)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임상 분야가 활성화 되어 있다(Chase, Mann, Wasek, & Arbesman, 2012; Stark, Keglovits, Arbesman, & Lieberman, 2017). 미국작업치료사협회(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에서는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로 써 SAFER-HOME(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및 I-HOPE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두 평가도구의 특징은 단순히 환경 적 요소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환경 내에서 수행하는 작업수행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한다는 점이다(Keglovits, Somerville, & Stark, 2015; Oliver, Blathwayt, Brackley, & Tamaki, 1993).

호주의 경우에도 호주의 주거환경과 문화를 반영하 는 자체적 평가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평가도구는 HOME-FAST(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와 WeHSA(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가 있다(Mackenzie, Byles, & Higginbotham, 2000). 특히 HOME-FAST 의 경우 비교적 문항 수가 적은 25개 문항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 현장에서 손쉽게 위험환경요소를 평가하 기에 유용하며, WeHSA는 환경위험요인을 선택지로 제 시하여 환경의 위험요소의 유무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위험요소가 있는지 평가하도록 되어있다(Pighills, Torgerson, Sheldon, Drummond, & Bland, 2011; Romli et al., 2018).

최근 국내에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단으로 선정된 지방자치단체 중 전북 전주, 광주광역시, 충남 천안시에 서 지역 내 노인들을 위한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서비스 를 시행하고 있다. 전주시의 ‘웰빙가정환경조성사업’, 광주광역시의 ‘노인편의주택 개보수 지원 사업’및 천안 시의 ‘웰빙홈컨설팅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이다(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19). 작 업치료사는 대상자 선정부터, 가정환경을 평가하고, 집 안 내 가구 배치나 생활공간 재구성을 상담하고, 건축 전 문가와 협업하여 환경수정 공사를 진행하는 전 과정에 관여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노인들이 가정 안에서 안전하 고 편리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Lau et al., 2018). 이처럼 국내의 새로운 제도적 변화로 인해 가정 환경개선 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작업치료사는 선진사례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서 비스 모델과 절차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각 나라의 주거 양식과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의 주거 양식과 문화에 적합한 가정환경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중 재 가이드 라인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국내 적용에 적합한 가정환경 평가도구 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연구로써 기존 문헌에서 사용된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의 특징을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문헌 검색 및 선정 과정

본 연구의 문헌 검색은 Embase, NDSL, PubMed 데 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대상 문헌의 범위는 200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로 하였다. 검색용어는 “Home safety”, “Fall”, “Assessment”, “Tool”, “Checklist”, “elderly”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의 선 정기준 및 배제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선정 기준

  • (1) 연구 참여자가 60세 이상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 (2)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가 시행된 연구

  • (3) 논문의 전문을 볼 수 있는 연구

  • (4) 원문이 영어 또는 한글인 연구

2) 배제 기준

  • (1) 병동 또는 시설 등의 환경에서 평가된 연구

  • (2) 평가도구의 신뢰도 또는 타당도 연구

  • (3) 고찰 또는 메타분석 연구

  • (4) 학위논문, 단행본, 포스터

  • (5) 열람이 불가능한 연구

문헌 검색 결과로 총 39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문 헌 검색은 연구자 1인이 실시하였고, 선정 및 논의가 필 요한 경우 연구자간 회의를 통해 검토하였다. 검색된 논 문은 제목 및 초록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선정 기준에 부 합하는지 검토하였고, 필요 시 원문을 확인하였다. 배제 기준에 해당하는 287편의 논문을 제외하여 107편의 논 문이 분류되었고. 중복 검색된 논문 96편을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11편의 논문을 선정 하였다(Figure 1).

Figure 1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figures/JKSOT-28-3-1_F1.jpg

2.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분석

본 연구에서 분석한 11편 연구의 특성 및 질적 평가는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에 따라 평가하였다(Arbesman, Scheer & Lieberman, 2008). 가장 높은 수준의 연구인 수준 I은 체계적 고찰, 메타 분석, 무작위 대조연구가 해 당되고, 수준 II는 코호트 연구 또는 비무작위 연구가 해 당되며, 수준 III은 사전-사후 연구.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 등이 해당된다. 수준 IV는 개별실험연구 및 조사 연 구가 해당되며, 가장 낮은 수준의 연구인 수준V는 사례 연구, 질적 연구에 해당한다.

3. 분석 내용

본 연구에서 선정된 11편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분 석 내용으로는 가정환경 평가도구의 종류와 그 빈도, 가 정환경 평가를 실시한 전문가에 대한 분석, 가정환경 평 가도구의 평가 내용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체 논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평가도구, 평가 항목, 측정방법의 순으로 정리하였다(Appendix 1).

Appendix 1

Summary of Home Safety Assessment tools

Assessment tools Items Measurements Number of Items
COUGAR Home Safety Assessment 4.0 Fire hazards/carbon monoxide, emergency/medical, electrical/water temperature, flooring/hallways, kitchen, bedroom, bathroom(s), closets/storage areas, parking areas, entrances and disaster preparedness •Observation
•Safe/unsafe or Not applicable
•Calculated safety score(percent safe= {# safe}÷ {78 minus # not rated}
78
Home Environmental Checklist 4 areas for six locations: Entrance, living room, staircase, bathroom, bedroom, kitchen •Observation
•2-point scale (hazard/no hazard)
49
Home Environmental Survey (HES) •Bathroom hazards: Height of the toilet seat, presence of toilet and bathtub or shower grab bars, need to reach for water control and bathing supplies, presence of nonslip surfaces
•Floor hazards: Presence of throw rugs, clutter, and tripping hazards (lamp extension and telephone cords, carpet folds, and holes) in the bathroom, bedroom, kitchen, and living room
•Lighting hazards: The availability of nightlights in these rooms, ease of reaching light switches
•Stairway hazards: Step edge visibility, illumination, light switch access, handrail availability and safety, clutter, tripping hazard
•Storage areas: The ease of reaching storage (e.g., too high or too low) in the bathroom,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Five items related to furniture stability, although these were not included in the final analyses, because so few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unstable furniture.
•Observation
•2-point scale (hazard/no hazard)
37
HOME-FAST 7 key areas: Flooring, furniture, lighting, bathroom, storage, stairways, mobility •Observation
•Harzard(1)/not harzard(0) or not applicable
•score range 0-25
25
Home Hazard Assessment •Number of each hazard counted - Total number of steps and floor rugs in each room, presence of safety devices, such as nonslip stripping on steps or rubber backing on mats
•Number of rooms with hazard present - Trailing cords, hazardous floor conditions, slippery floor conditions, slippery floors, lighting deficient, obstacles, stepovers, bathroom floor (when wet)
•Safety specific furniture and fixtures - Bed height, seat height of favorite chair, toilet height
•Checklist
•Scores are different by items
11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HSSAT) 9 categories: Entrance to front door and front yard, Entrance to back/side door, hallway or foyer, living room, kitchen, bedroom, bathroom, staircases, laundry room/basement •Checklist 67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HOPE) 44 : Eating, using the toilet, using the faucet, sleeping, getting in and out of the shower, taking a bath or shower, getting in and out of bed, grooming (brush teeth, shave, comb hair, makeup), getting dressed, taking medication, resting, washing dished, washing and drying clothes, ironing clothes, preparing a meal, cleaning the living area, maintaining and repairing household objects, caring for pets, paying bills, caring for children, getting the mail, getting in and out of the home/entrance doors, reaching for things up high, getting up from a chair or sofa, going up and down stairs, moving around within the home (including doorways), picking something off the floor, carrying items, repairing clothing, responding to an emergency, controlling the environment (lights, temperature), opening and closing doors, maintaining your yard, taking out the trash, reading, writing, watching TV, listening to music/radio, talking on the phone, visiting with friends and family, answering the doorbell/phone, using the computer, getting into/out of the car, openings jars and lids •Clients sort the 44 cards into piles to identify problematic activities, and a subset of 10 problematic activities is selected to rate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ubscales.
•Activity participation subscale score, performance subscale, satisfaction subscale, severity of environmental barriers subscale
37
The Housing Enabler 4 areas: The outdoor environment, entrances, the indoor environment, communication. • Interview and observation
• 1-4 points
• The total of the points is a measure of the degree of accessibility problems.
49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SAFER-HOME) 12 categories: Living situation, mobility, environmental hazards, kitchen, household, eating, personal care, bathroom & toilet, medication, addiction & abuse, leisure, communication & scheduling, wandering • Interview or observation
• Addressed, not applicable, problem; no(0),mild(1),moderate(2)or severe(3)
• Points for each category are summed and then total points are calculated.
74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WeHSA) 13 sections: External traffic ways and outdoors, general indoors, internal traffic ways, living area/bedroom/seating, and footwear, bathroom and toilet area, railing, kitchen and laundry • Observation
• 2-point scale (hazard/no hazard) or not relevant
• Check the types of hazard
72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 연구 11편의 질적 수준을 분 석 한 결과 무작위통제연구 2편(18.2%), 수준 II는 0편 (0%), 수준 III은 7편(63.6%) 그리고 수준 IV와 수준 V에 해당하는 연구는 1편(9.1%)이었다(Table 1).

Table 1

Levels of Evidence Among Each Study

Evidence level Definition Frequency
n(%)
I Systematic reviews 2 (18.20)
Meta-analys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I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0 (0.00)
III One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7 (63.60)
IV Single subject designs 1 (9.10)
Surveys
V Case reports 1 (9.10)
Narrative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 researches
Total 11(100.00)

2. 가정환경 평가도구의 종류 및 빈도

총 11개 논문에서 사용한 가정환경 평가도구의 종류 와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 중 Barstow 등 (2011)의 연구에서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The Housing Enabler의 3가지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어 분 석된 논문 수 보다 적은 총 10개의 평가도구가 분석되었 고, 빈도는 13개로 분석되었다.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는 3편(23.1%)이었고,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는 2편(15.4%)으로 나타났다. COUGAR Home Safety Assessment 4.0, Home Environmental Checklist, Home Environmental Survey,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Hazard Assessment,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그 리고 The Housing Enabler는 1편(7.7%)으로 나타났 다, (Table 2).

Table 2

Types and Frequency of Home Safety Assessment Tools

Types of Participants n(%)
COUGAR Home Safety Assessment 4.0 1 (7.70)
Home Environmental Checklist (HEC) 1 (7.70)
Home Environmental Survey (HES) 1 (7.70)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FAST) 1 (7.70)
Home Hazard Assessment (HHA) 1 (7.70)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HSSAT) 1 (7.70)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HOPE) 1 (7.70)
The Housing Enabler (THE) 1 (7.70)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SAFER-HOME) 3 (23.10)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WeHSA) 2 (15.40)
Total 13(100.00)

3. 가정환경 평가를 실시한 전문가에 대한 분석

11개의 논문에서 가정환경 평가를 실시한 전문가 유 형을 분석 한 결과 총 2가지로, 작업치료사와 간호사가 분석되었다. 작업치료사가 실시한 연구가 9편(81.8%) 이었고, 간호사가 실시한 연구가 2편(18.2%)이었다 (Table 3).

Table 3

Type of Experts Conducting the Assessment

Experts conducting the assessment n(%)
Occupational Therapists 9 (81.80)
Nurses 2 (18.20)
Total 11(100.00)

4. 가정환경 평가도구의 평가 내용 분석

총 11편의 논문에서 사용한 가정환경 평가도구의 평 가 내용을 분석하였다. COUGAR 4.0는 집안 내 위험환 경 요소를 평가하는 것으로, 재난을 대비한 환경 평가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Fisher et al., 2008). Home Environmental Checklist(HEC)와 Home Environmental Survey(HES)는 집안 내 위험 요소의 존재 유무를 평가 하도록 되어있으며(Park & Moon, 2005; Rodriguez et al., 1995), HOME-FAST는 집안 내 낙상 위험 요인에 대하여 환경적 요인과 기능적 요인이 평가항목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Romli, Mackenzie, Lovarini, Tan, & Clemson, 2017; Romli et al., 2018). Home Hazard Assessment(HHA)는 집안 내 존재하는 위험요인의 수 를 평가하며, HSSAT는 낙상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을 시각적 그림으로 제시하고 각각의 위험요소를 평가하도 록 되어있다(Clemson, Fitzgerald, Heard, & cumming, 1999; Horowitz, Nochajski, & Schweitzer, 2013; Stevens, Holman, & Bennett, 2001). I-HOPE은 노 인 개인과 환경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노인들이 가정에서 수행하는 44가지 활동을 분류하고, 문제가 있 는 활동을 선택하여 환경의 제약수준, 수행도, 및 만족도 를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치료사는 클라이언트가 우선순 위에 따른 문제 활동을 선별하고 클라이언트의 수행을 직접 관찰하여 점수를 채점한다(Keglovits et al., 2015). SAFER-HOME는 특히 작업 중심의 환경평가도구로써 각 가정 환경 내에서 작업수행의 문제발생 위험도를 4점 척도로 평가한다(Barstow, Bennett, & Vogtle, 2011; Grillot, 2010; Oliver et al., 1993; Schulz et al., 2012; Sheffield, Smith, & Becker, 2013). 그리고 The Housing Enabler(THE)는 가정환경 위험을 평가하 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기능적 제한이 있는 사람을 위해 가정환경 및 즉각적인 외부 환경에서의 접근성을 평가하 며(Barstow et al., 2011; Iwarsson, 1999), WeHSA 는 가정환경 내 위험 요소의 유무를 측정하는 다른 평가 도구와 달리 위험환경요소의 구체적인 예시를 보기로 제시 하여 위험환경 요소를 자세하게 평가하고 있다 (Barstow et al., 2011; Cumming et al., 2001; Pighills, et al., 2011). 각 평가도구의 세부 평가항목 및 측정방법은 Appendix 1에 정리하였다.

Table 4

Type of Evaluation Contents

Assessments Contents
COUGAR 4.0 Home safety issues & emergency plan for older adults
HEC Home environmental hazards
HES Home environmental hazards
HOME-FAST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cerns related to falls
HHA Counted the environmental hazards present in the home
HSSAT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e related to falls
I-HOPE Barrier severity in terms of environment, performance, &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SAFER-HOME Home environment (To safely carry out occupational performance tasks in the home environment)
THE Accessibility calculated by a combination of individual functional limitations and physical environmental barriers
WeHSA Hom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al hazards

[i] HEC: Home Environmental Checklist, HES: Home Environmental Survey, HHA: Home Hazard Assessment, HOME-FAST: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SSAT: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I-HOPE: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SAFER-HOM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THE: The Housing Enabler, WeHSA: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가정환경 평가도구를 활용한 총 11편의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각각의 평가도구의 특성 및 측정 항목의 분류, 세부내용, 평가방식 및 측정방 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거수 준 III에 해당하는 비무작위의 단일그룹 사전-사후 비교 논문이 7편 (63.6%)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이 없는 연구 설계라는 점에서 향후 가정환경 연 구에서 높은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장 빈번하게 인용된 평가도구는 SAFER-HOME이 3편(23.1%), 그 다음으로 WeHSA가 2편(15.4%)으로 나타났다. SAFER-HOME 및 WeHSA의 경우 항목이 각각 74개와 72개로 다소 많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평가도구 모두 위험환경요소를 세부적으로 평 가하고 있고 평가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60분으로 보고하고 있다(Cumming et al., 2001; Oliver et al., 1993; Pighills et al., 2011; Schulz et al., 2012). SAFER-HOME는 Version 4까지 개발되었으며, 환경 적 요소 뿐 만 아니라 환경 내에서 수행하는 작업 중심의 수행요소를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 다른 평가도구와 차별 화된다(Oliver et al., 1993; Schulz et al., 2012). 한편 본 연구에서 분석된 평가도구인 I-HOPE 또한 총 44가 지의 집안 내 작업 활동을 사진으로 제시하고, 그 중에서 위험작업수행을 선택하여 환경적 제약점, 작업 수행기술 의 제약,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는 작업 중심의 가정환 경평가도구로써 사용되고 있다(Keglovits et al., 2015). 이처럼 작업치료적 관점으로 환경 내에서 성공 적인 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의 가정환경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평가도구에서는 가정환경 내 마당, 현관, 거 실, 침실, 화장실 및 욕실, 부엌 및 식사공간, 계단을 공통 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COUGAR는 화재위험, 가 스누출위험, 위급상황 및 재난대비와 관련된 항목이 포함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안전과 관련된 환경요소에 초 점을 두어 평가한다(Fisher et al., 2008). COUGAR는 입원하고 있는 시설 및 기관에서 평가하기에 적합한 항목 들이 많아 입원 시부터 퇴원까지의 여러 단계의 노인 군 에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된 평가도구 중 한국어로 번안되어 타당도 및 신뢰도가 입증된 평가도 구는 HOME-FAST와 HSSAT이다(Ju & Cho, 2019; Park, Kim, Yoo, & Cha, 2017). HOME-FAST는 총 25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가정 내 낙상과 관련된 위험환 경요소 및 낙상을 유발하는 기능적 수행요소들을 전반적 으로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Ju & Cho, 2019). HSSAT는 환경요소에 대한 직관적 지식을 제공하는 평 가도구로, 가정의 각 영역에 대한 시각적 그림을 제공하 여 노인에게 있어 자가 평가가 용이하다(Park et al., 2017). 그러나 기존의 가정환경 평가도구는 한국어로 번 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가정환경과 차이점이 있어 적용에 제한이 있다. 국내에서 베란다 공간은 세탁실로 사용하거나, 옷을 말리거나, 화초를 키우거나, 물건을 보 관하는 등 한국 사람들에게 있어 중요한 생활공간이지만, 국외 평가도구에서는 베란다 공간에 대한 평가항목이 포 함되지 않은 점에서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 며, 기존 평가도구의 마당 또는 실내 계단, 주택의 개인 주차장과 같은 평가항목은 국내 주거환경과는 부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한국의 도시의 주거공간에서 는 대부분 아파트 및 공동 다세대주택에서 거주하는 경우 가 많지만, 농촌의 주거공간에는 대부분 마당이 존재하고 종종 2층 주택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 에 국내 환경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거주시설을 분리하여 평가 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 된다. The Housing Enabler(THE) 평가도구는 사람 (person)과 환경(environment)적 요소를 나누어 평가 하고 특정 환경적 제약에 사람의 기능적 결핍이 미치는 관계를 평가하는 것이 특징이다(Barstow et al., 2011; Iwarsson, 1999). The Housing Enabler(THE)에서 평가하는 기능적 요소는 정보처리능력의 저하, 시력 감 퇴, 시력 소실, 청각소실, 균형감각 저하 등이며, 문진이나 인터뷰를 통해 평가한다. 이때 보고된 기능소실과 관련되 어 나타나는 환경사용의 제약 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The Housing Enabler(THE)는 전문적인 가정환경평가 로써 훈련된 작업치료사에 의해 시행 가능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환경 평가는 대부분 작업 치료사(81.8%)에 의해 시행되며, 일부 간호사(18.2%) 에 의해 시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간호사가 주로 사용하는 가정환경평가의 경우 위험 환경요소를 간단하게 체크리스트로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작업치료사가 평가하는 가정환경평가의 경우 작업 중심의 환경을 평가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다른 전 문가와 구별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사가 시행하는 가정 환경평가에서는 사람과 환경 그리고 그 안에서 수행하는 작업수행도를 모두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가정환 경평가는 환경적 요소 뿐 만 아니라 환경의 변화로 작업 수행에 어떤 향상이 있는지 또는 서비스 공급자의 만족 도가 어떠한지 포함되어야 한다. 가정환경개선 서비스가 단순한 집 인테리어 서비스가 아닌 노인들의 지역사회 내 독립적인 생활을 지지하는 복지서비스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환경개조기술 외의 작업치료사의 보다 전문적 인 직무역량이 필요하다. 아울러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의 결과로써 대상자의 건강, 웰빙, 작업 참여 수준, 삶의 질, 자기주장(self-advocacy), 작업적공평성(occupational justice)의 변화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Christenson & Chase, 2011).

본 연구에서 분석된 평가도구의 측정방법을 살펴보면 COUGAR, HES, HEC, HOME-FAST, HSSAT의 경 우 위험환경 요소의 유무를 평가하는 방식인 반면, SAFER-HOME의 경우 위험환경 및 수행요소가 얼마나 문제가 되는지 그 정도에 따라 4점 척도로 평가하고 있다 (Oliver et al., 1993; Schulz et al., 2012). 그리고 WeHSA는 위험환경요소의 단순 유무와 더불어 위험환 경요소가 무엇인지 세부적인 예시가 보기로 제시되어 있 어 해당되는 요인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Fisher et al., 2008). 따라서 COUGAR, HES, HEC, HOME-FAST, HSSAT와 같은 평가도구는 초기 대상자 선별과정에서 손쉽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평가도구를 사용 하여 많은 대상자의 가정환경의 위험 정도를 선별해내는 목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SAFER-HOME 및 WeHSA 평가도구는 보다 전문적인 가정환경 평가로 써 활용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중재서비스와 연계하 여 사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정환경은 건축 및 인테리어 영역을 넘어 더불어 그 안에서 살고 있는 사람의 생활양식을 포함한다. 즉, 가정 환경 평가와 중재를 제공할 시 집의 환경적 요인 뿐만 아 니라 사람 개인의 기능적 능력 및 생활양식을 함께 고려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주거 양식 및 생활양식은 각 나라에 따른 그 나라의 문화가 깊숙이 바탕이 되어 있다. 일본의 경우 호주에서 개발된 WeHSA에 일본 주거 양식을 반영하여 일본버전 WeHSA를 개발하였다(Hasegawa & Kaminura, 2018). 일본 문화가 반영된 가장 두드러 지는 항목은 수면 시 침대가 아닌 다다미방에 이불 요를 깔고 자는 것이다. 서양의 기준에서 보았을 때 바닥에서 자고 이불 요를 깔고 개는 활동은 낙상의 위험이 높은 활 동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일본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 였을 때 바닥에서 이불을 깔고 자는 것이 모두 낙상 위험 이 높은 환경으로 일괄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도 이처럼 국내 문화 양식을 반영하는 가정환경 평가항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의 경우 도시형 주거환경은 매우 서구화되어 있는 반면 농촌은 아직까지 전통적인 주거형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주거환경이 이분화 되어있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가정환경 평가도구가 요구 되어지며, 향후 한국 의 문화와 주거 양식을 반영하는 표준화된 가정환경 평 가도구 개발 시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 을 기대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연구된 가정환경 개선 평가도구 중 총 11편의 평가도구를 선별하여 체계 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는 노 인의 가정환경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낙상 위험환경, 안 전사고 위험환경, 재난대비를 위한 환경을 평가하는 항 목을 포함하였다. 대부분은 위험 환경적 요인을 체크리 스트 형태로 평가하는 평가도구들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작업치료사에 의해 평가가 시행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일부 평가도구들은 국내에 한국어로 번역되어 타당도와 신뢰도가 일정 수준 이상 입증되어 있으나, 아 직까지 한국의 주거 환경 및 생활양식을 정확하게 반영 하고 있는 평가도구가 부재한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에 서는 본 체계적 고찰을 바탕으로 가정환경 위험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가정환경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y 1), S1-S48. 10.5014/ajot.2014.682006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Home safety and accessibility assessments. retrieved from https://www.aota.org/practice/productive-aging/home-mods/rebuilding-together/assessments.aspx

3.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12), 18-22.

4. 

Barstow, B. A., Bennett, D. K., & Vogtle, L. K. (2011). Perspectives on home safety: Do home safety assessments address the concerns of clients with vision lo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6), 635-642. 10.5014/ajot.2011.001909 22214107

5. 

Chase, C. A., Mann, K., Wasek, S., & Arbesman, M. (2012).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home modification and fall prevention programs on falls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3), 284-291. 10.5014/ajot.2012.005017 22549593

6. 

Christenson, M., & Chase, C. (2011). Occupational therapy and home modification: Promoting safety and supporting participation. Bethesda, MD: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Inc.

7. 

Clemson, L., Fitzgerald, M. H., Heard, R., & Cumming, R. G. (1999). Inter-rater reliability of a home fall hazards assessment tool.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9(2), 83-98. 10.1177/153944929901900201

8. 

Cumming, R. G., Thomas, M., Szonyi, G., Frampton, G., Salkeld, G., & Clemson, L. (2001). Adherence to occupational therapist recommendations for home modifications for falls pre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6), 641-648. 10.5014/ajot.55.6.641 12959228

9. 

Fisher, G. S., Bradley, E., Costulas, D., Kintner, L. L., Kozlevcar, J., Mahonski, K. M., Stine, J. (2008). Home modification outcomes in the residences of older people as a result of Cougar home safety assessment (version 4.0) recommendations. Californi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6(1), 87-110. 10.32398/cjhp.v6i1.1295

10. 

Grillot, C. R. (2010). Occupational therapy home modification program: A program development plan. Unpublished manuscript, Occupational Therapy Home Modification Program, Arlington Ave, OH.

11. 

Hasegawa, A., & Kamimura, T. (2018). Development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Westmead home safety assessment for the elderly in Japan.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1(1), 14-21. 10.1177/1569186118764065 30186082 PMC6091984

12. 

Horowitz, B. P., Nochajski, S. M., & Schweitzer, J. A. (2013). Occupational therapy community practice and home assessments: Use of the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HSSAT) to support aging in place.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7(3), 216-227.

13. 

Iwarsson, S. (1999). The Housing Enabler: An objective tool for assessing accessibilit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11),491-497. 10.1177/030802269906201104

14. 

Ju, Y., & Cho, S. Y. (201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8(4), 77-92.

15. 

Keglovits, M., Somerville, E., & Stark, S. (2015).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Providing Assistance (I–HOPE Assist): An assessment for informal caregiv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5),6905290010p1-6905290010p9. 10.5014/ajot.2015.015248 26356664 PMC4564795

16.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19, Winter). News of KAOT (No. 70, pp. 18-19). Seoul, KR: KAOT.

17. 

Lau, G. W. C., Yu, M. L., Brown, T., & Locke, C. (2018). Clients’ perspectives of the effectiveness of home modification recommendations by occupation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32(3), 230-250. 10.1080/07380577.2018.1491085 30183439

18. 

Law, M., Cooper, B., Strong, S., Stewart, D., Rigby, P., & Letts, L. (1996). The person-environmentoccupation model: A trans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performan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1), 9-23. 10.1177/000841749606300103

19. 

Mackenzie, L., Byles, J., & Higginbotham, N. (2000). Designing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Selecting the item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6), 260-269. 10.1177/030802260006300604

21. 

Oliver, R., Blathwayt, J., Brackley, C., & Tamaki, T. (1993). Development of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SAFER) tool.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2), 78-82. 10.1177/000841749306000204 10126545

22. 

Park, S. K., Kim, H., Yoo, D. H., & Cha, T. H. (201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translated version of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K-HSSA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3), 117-130. 10.14519/jksot.2017.25.3.09

23. 

Park, Y. H., & Moon, J. S. (2005). Home environmental hazards of falling accident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03-213.

24. 

Pighills, A. C., Torgerson, D. J., Sheldon, T. A., Drummond, A. E., & Bland, J. M. (2011).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odification to prevent falls in older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1), 26-33. 10.1111/j.1532-5415.2010.03221.x 21226674

25. 

Rodriguez, J. G., Baughman, A. L., Sattin, R. W., DeVito, C. A., Ragland, D. L., Bacchelli, S., & Stevens, J. A. (1995). A standardized instrument to assess hazards for falls in the home of older pers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7(5), 625-631. 10.1016/0001-4575(95)00016-S

26. 

Romli, M. H., Mackenzie, L., Lovarini, M., Tan, M. P., & Clemson, L. (2017).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in Malaysia: Using raters with a range of professional backgrounds.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3(3), 662-669. 10.1111/jep.12697 28105771

27. 

Romli, M. H., Tan, M. P., Mackenzie, L., Lovarini, M., Kamaruzzaman, S. B., & Clemson, L. (2018). Factors associated with home hazards: Findings from the Malaysian elders longitudinal research study.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18(3), 387-395. 10.1111/ggi.13189 29139186

28. 

Rostad, W. L., McFry, E. A., Self-Brown, S., Damashek, A., & Whitaker, D. J. (2017). Reducing safety hazards in the home through the use of an evidence-based parenting program.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9), 2602-2609. 10.1007/s10826-017-0756-y

29. 

Schulz, C. H., Hersch, G. I., Foust, J. L., Wyatt, A. L., Godwin, K. M., Virani, S., & Ostwald, S. K. (2012). Identifying occupational performance barriers of stroke survivors: Utilization of a home assessment.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30(2), 109-123. 10.3109/02703181.2012.687441 24285912 PMC3839531

30. 

Sheffield, C., Smith, C. A., & Becker, M. (2013). Evaluation of an agenc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o facilitate aging in place. Gerontologist, 53(6), 907-918. 10.1093/geront/gns145 23213082

31. 

Stark, S., Keglovits, M., Arbesman, M., & Lieberman, D. (2017). Effect of home modification interventions on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health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2), 7102290010p1-7102290010p11. 10.5014/ajot.2017.018887 28218595

32. 

Stevens, M., Holman, C. D. A. J., & Bennett, N. (2001).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Impact of an intervention to reduce environmental hazards in the hom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11), 1442-1447. 10.1046/j.1532-5415.2001.4911235.x 11890581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