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Ⅰ. 서 론

현대사회는 인구 고령화 및 급·만성 희귀 질환 증가, 건강 인식 및 관심에 따른 선진화된 의료서비스의 기대 심리로, 병원 종사자는 의사, 간호사, 행정직 등 다양한 전문 직종과 함께 치료뿐만 아니라 보호자 관리, 치료 외 업무 등을 수행해야 하는 환경에 놓여있다(Shim & Yoon, 2011).

작업치료사는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치료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유지해야하는 역할과 직무가 강조된다. 그러나 작업치료사는 타 영역보다 낮 은 사회적 인지도, 직무역량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이해 부족, 일일 환자 수, 근무시간, 보수, 복지 등의 불안정한 심리·환경적 요인 등으로 직무에 불만족하고 양질의 치 료제공에 한계를 느낀다(Hwang et al., 2018; Kim, 2019; Park, 2018). 이에 작업치료사의 직무의 자율성, 전문성, 선택성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를 충족 시키고 치료사와의 관계, 환경의 균형, 근로관계 등의 다 양한 환경 요인을 개선하여 직무만족을 실현할 수 있어 야 한다(Shim, Cha, & Oh, 2009).

직무만족은 직무 안에서 느끼는 가치, 신념, 태도, 욕구 등의 성취감이다(Kim & Mun, 2015). 직무만족의 요인 은 직무 기대, 욕구, 공정성, 승진기회, 급여, 동료 관계, 업무 규모, 복지 등의 근무환경, 근무조건 등이 있다(Han & Cho, 2014; Kim & Kim, 2011). 직무만족이 높을수 록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을 발 휘하지만,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업무 소홀, 이직 등의 수 동적이고 소극적 태도를 보인다(Anggarwati & Eliyana, 2015; Bang, Lee, & Cheong, 2015). 작업치료사의 직 무만족도는 작업의 생산성과 창조성, 의료기관의 효율성 에 영향을 미치고, 치료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Kwon, Roh, Chang, Won, & Sim, 2007).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현실적 이질감, 근무환경에 대한 미비한 사회적 관심, 업무수행의 자율성 결여, 강도 높은 서비스 요구, 동료 및 상사와의 관계 등과 같은 부정적 요인들이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를 낮추고 있다(Chae, 2005; Han, Jung, Yoo, & Chung, 2008; Park & Kim, 2008).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역별 환 경 조성, 주당 근무 일수, 법정 휴일준수 여부, 시간 외 근무 인정, 결원 충원, 장기근속자 우대 등의 적절한 근무 환경의 보상과 기준이 필요하다(Bae, 2012; Hong & Yang, 2014).

근무환경은 물리적 장소와 직무·구성원·조직 사이 어울림의 공간으로, 기본적 생활을 보장하고 직무 행동 과 경험을 제공하며, 사회 활동의 기회, 근로 의욕, 삶의 질 등을 촉진한다(An & Kim, 2013; Kim, 2011). 근무 환경의 내재적 요인은 안정, 성취, 인정, 책임 등이며, 외 재적 요인은 부당한 노동, 낮은 임금,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 등으로, 개인의 신체·정신적 건강과 조직의 목표 달성에 마주하는 유기적이고 지지적 요소로써 작용한다 (Coomber & Barriball, 2007; Lee, 2013). 작업치료 사의 근무환경은 단순히 일하는 곳만이 아닌 개인·사 회·정책 등의 다차원적 요인의 결과를 이끌기에 직무 안에서 성취감과 만족을 느끼며 체계와 정책, 규범을 갖춘 안정적인 근무환경의 조성을 강구해야 한다(Kim, 2017; Shirey, 2006).

임파워먼트는 개인의 가치·자율·영향과 같은 내적 동기와 자원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감과 힘을 갖는 것이다(Spreitzer, 1995a). 임파워 된 구성원 은 조직에 헌신하고 문제대응능력과 태도가 향상되어 조 직 몰입도와 직무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난다(Bang, 2016; Yoon & Lee, 2019). 임파워먼트 요인은 직무의 중요성, 의미, 결정력, 자신감 등으로 개인의 신뢰, 역량,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근무경력, 근무환경, 직무만족 등에 영향을 미친다(Choi, 2012; Choi & Jung, 2015; Oh & Chung, 2011). 임파워 된 작업치료사는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조직의 목표와 일치시켜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한다(Shim et al., 2009). 또한 작업치료사 는 자기결정권보다는 타인의 의사결정에 의한 우선적 수 행이 이루어지기에, 병원 내 자율성과 전문성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직무에 대한 몰입, 자긍심, 만족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Jung, 2017; Park & Gang, 2007). 그러나 지역사회 내 병원 중심 의료체계 안에서 작업치료사에게 요구하는 능력과 자질은 높아지고 엄격해지는 반면, 작 업치료사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요소를 고려하여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지원하는 환경적·제도적 관심 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 펴보면, 근무환경,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 삶의 질, 직무스트레스, 이직, 직업변경의도, 직업의식, 직무스트 레스, DISC 행동유형과 조직몰입도, 감정노동, 임파워먼 트,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이었고, 직무만족도, 직무스트 레스, 이직 순으로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직무 만족도, 근무환경,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 명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Bae, 2019; Choi, 2017; Jung, 2017; Jung, 2019; Song, 2017; Yun, 2018). 또한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 먼트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중심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작업 치료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분석하고,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 트가 매개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병원 중심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 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분석하 고,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매 개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이다 (Figure 1).

Figure 1

Research Design

../figures/JKSOT-28-3-15_F1.jpg

2. 연구 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20일까지 G광역시 병원(대학병원, 종합병원, 재활전문병원, 요양병원, 한방 병원)의 작업치료실과 작업치료사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전문가 5인(작업치료학과 교수 2인, 임상경력 5년 이상 작업치료사 3인)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구성과 의미 전달의 정확성을 자문 받았다.

예비조사는 2019년 11월 1일부터 8일까지 B와 G병 원 작업치료사 10명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설문지를 작 성하였다. 이후 응답의 용이성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2019년 11월 10일부 터 12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설문지 배포 및 회수과정은 다음과 같다.

  • 1) 연구 기관 선정은 G광역시 병원(대학병원, 종합병 원, 재활전문병원, 요양병원, 한방병원) 중 작업치 료실이 있는 기관을 조사 및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작업치료면허를 획득 한 자, 현재 작업치료 영역에 종사하는 자, 2019년 기준 대한작업치료사 협회 등록 및 면허신고가 된 자,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로 하였다.

  • 2) 설문지 배포는 각 기관 작업치료실 책임자(실장, 팀장, 선임치료사 등)에게 직접 방문 및 유선으로 연구 목적과 취지, 설문소요시간과 응답 방법, 설문 중단 가능성, 개인정보 보호 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직접 전달, 메일 및 우편으로 발송하였다. 설문지 수거는 직접 방문과 우편을 이용하였다.

  • 3) 회수율은 설문지 260부를 배부하여 210부가 회수 되었고(회수율 80.8%) 불성실한 응답으로 간주 되거나 누락 문항이 있는 응답지를 제외한 총 205 부를 자료 분석하였다.

3. 연구 도구

1)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Choi(2017)Kim(2012)의 연구를 기반으로 성별, 연령, 학력, 임상경력, 월평균급여, 고용형태, 근무기관유 형, 업무분야의 8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2) 근무환경(Korea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K-PES-NWI)

Lake(2002)가 개발하고 Cho, Choi, Kim, Yoo와 Lee(2011)가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문항 중 작업치료사 근무환경에 적합한 22문항을 인적·물질적 자원의 지지, 의사 관계 및 상사 능력, 동료 관계 및 능력, 양질의 치료로 하위영역을 재구성하였다.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점수가 높 을수록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개발 당시 신 뢰도는 Cronbach’s α=.82이었고, Cho 등(2011)의 신 뢰도는 Cronbach’s α=.93이었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0이었다.

3) 직무만족도(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Weiss(1967)가 개발하고 Park(1995)이 번안한 미 네소타 직무만족도 문항 중 작업치료사의 직무 상황에 적합한 15문항을 직무 발전가능성, 직무 안정성, 직무 신 뢰성으로 하위영역을 재구성하였다. 문항은 ‘매우 불만 족’ 1점에서 ‘매우 만족’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90 이었고, Park(1995)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7이 었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2이었다.

4) 임파워먼트(Condition of Work Effectiveness Questionnaire; CWEQ)

Chandler(1986)가 개발하고 Yang(1999)이 번안한 구조적 임파워먼트 측정도구와 Spreitzer(1995b)가 개 발하고 Jeong(2005)이 사용한 문항 중 작업치료사의 상황에 적합한 25문항을 신뢰, 믿음, 가치, 지지로 하위 영역을 재구성하였다.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 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69-.98이었고, Yang(1999)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1이었으며, Jeong(2005)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2이었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3 이었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는 SPSS Statistics 22.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Process macro는 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직접효과와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별도 의 추가 과정 없이 한 번에 검증 가능한 방법이다(Lee, 201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 하였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근무환 경,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련성은 Pearson 상관분 석을 실시하였다.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검증은 Lee(2015)의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 증은 비모수 재표본(nonparametric resampling)방법 으로 알려진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이용하였 다. 부트스트랩의 표본 수는 5,000개였으며, 신뢰구간은 95% 편의교정 신뢰구간(bias-corrected confidence interval)을 이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성별은 여자가 176명(85.9%), 연령은 20대가 155명 (75.6%), 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자가 164명(80.0%), 임상경력은 1년-5년 미만이 100명(48.8%), 월평균급 여는 150-200만원 미만이 143명(69.8%),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170명(82.9%), 근무기관유형은 요양병원이 55명(26.8%), 업무분야는 성인 및 노인이 188명(91.7%) 으로 많았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205)

Characteristic Division n(%)
Gender Male 29 (14.10)
Female 176 (85.90)
Age (years) 20≤~<30 155 (75.60)
30≤~<40 48 (23.40)
40≤ 2 (1.00)
Level of education 3-year bachelor's degree 20 (9.80)
4-year bachelor's degree 164 (80.00)
More than graduate course 21 (10.20)
Clinical experience 6 months-less than 1 year 25 (12.20)
1-less than 5 years 100 (48.80)
5-less than 10 years 55 (26.80)
10-less than 15 years 19 (9.30)
15-less than 20 years 6 (2.90)
20 years or more 0 (0.00)
Monthly payment (million won) <150 4 (2.00)
150≤~<200 143 (69.80)
200≤~<250 39 (19.00)
250≤~<300 11 (5.40)
300≤ 8 (3.90)
Type of employment Permanent worker 170 (82.90)
Contract worker 33 (16.10)
Others 2 (1.00)
Place of work University hospital 14 (6.80)
General hospital 46 (22.40)
Rehabilitation hospital 49 (23.90)
Nursing hospital 55 (26.80)
Korean medicine hospital 41 (20.00)
Area of therapy Adult and elderly 188 (91.70)
Child and pediatric 15 (7.30)
Others 2 (1.00)

2.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상관관계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상관관계 결과,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r=.77, p<.01), 근무환경과 임파 워먼트(r=.74, p<.01), 직무만족도와 임파워먼트(r=.85, p<.01)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Table 2).

Table 2

Correlation Analysis of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1 2 3
1. Work environment -
2. Job satisfaction .77** -
3. Empowerment .74** .85** -

[i] **p<.01

3.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분석

본 연구는 Lee(2015)의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적용하여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임 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Figure 2와 Table 3은 근무환경,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에 대한 비표준화 계수와 표준편차, 신뢰구간을 나타낸다. 근무환경은 임파 워먼트(Path a)(B=1.13, SE=.07, t=15.66, p=.00)와 직무만족도(Path c)(B=.80, SE=.05, t=17.29, p=.00) 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무환경과 임파워먼트 를 동시에 회귀모델에 투입하여 분석하였을 때 임파워먼 트는 직무만족도에(Path b)에 유의하였고(B=.41, SE=.04 t=11.96, p=.00), 근무환경은 직무만족도(Path c′)에 유의하였다(B=.33, SE=.05 t=6.33, p=.00). 따라서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임파워 먼트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ure 2

Mediation Analysis of Empowerment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figures/JKSOT-28-3-15_F2.jpg
Table 3

Mediation Analysis of Empowerment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Causal steps approach B SE t p
Step 1: Total effect(path c) .80 .05 17.29 .00
Step 2: Path a 1.13 .07 15.66 .00
Step 3: Path b .41 .04 11.96 .00
Step 4: Direct effect(path c′) .33 .05 6.33 .00

[i] Bootstrap sample size=5,000.

[ii] B: U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E: Standard Error

[iii] Adjusted for sex, age, level of education, clinical experience, monthly payment, type of employment, place of work, area of therapy

4.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유의성 검정

본 연구는 간접효과 크기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 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검정하였다(Figure 2) (Table 4). 근무환경이 임파워먼트를 거쳐 직무만족도 로 가는 경로는 95% 편의교정 신뢰구간에서 하한값과 상한값 모두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부분매개 효과 (Effect=.466, BootSE=.52, 95% CI, [.37, .57]가 유 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able 4

Significance Test of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Bootstrapping)

Effect BootSE 95%
LLCI ULCI
Empowerment .47 .52 .37 .57

[i] CI: Confidence Interval, LL: Lower Limit, UL: Upper Limit

Ⅳ. 고 찰

본 연구는 병원 중심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 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분석하 고,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매 개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국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임 파워먼트각각의 변수에 관한 연구들은 보고되고 있지만 변수 간의 상관성 및 매개분석과 관련한 선행연구가 미 비한 실정으로, 직접적인 연구 자료의 비교 분석에 한계 가 있으나 각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와도 유 사한 결과이다(Lee, 2009; Lee, 2018a; Oh & Kim, 2010). 본 연구의 작업치료사들은 근무환경의 하위영역 중 동료 관계 및 능력(팀워크, 치료방법 공유, 자연스러 운 의사소통 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때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다고 하였다. 작업치료사는 의료전문직으로서 환 자 및 보호자와 긴 시간 일대일로 대면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치료 요구와 관심을 충족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의사, 간호사, 행정직 등의 타 직종과 마주하는 근무환경에 대한 정신적 피로도가 높다(Kim, Roh, Won, Lee, & Chang, 2010; Koo & Lee, 2010). 동료는 전문지식과 치료기술을 공유하고 업무의 고충을 털어놓을 수 있는 존재로, 스트레스 해소 및 문제해결의 심리적·정신적 만족이 직무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 된다. Park(2018)의 연구에 따 르면, 조직 내 생활은 단순히 보수,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 라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는 동료 간의 관계가 가장 중요 한 요인이라 하였고, 동료 관계가 친밀할수록 직무만족 도가 높았다고 하였다(Choi, 2017; Kwon et al., 2007). 또한 Jung(2019)은 탁월한 관리자의 능력과 리 더십을 바탕으로 지지적인 근무환경일수록 직무에 대한 긍정적 측면이 높아진다고 하였고, 열악한 근무환경일지 라도 구성원 간의 상호관계가 잘 이루어진다면 업무 시 행복감을 느끼고 직무만족도가 향상된다고 하여, 본 연 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Lee, 2018b). 이에 작업치료사 에게 근무환경은 직무와 대인관계가 공존하는 곳으로 심 리적 만족과 수평적 문화, 다양한 복지제도 등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실질적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와도 유사한 결과이다(Jung, 2017; Kim, 2018). 본 연구의 작업치료사는 임파워먼트 하위영역 중 신뢰(자율성, 독 립성, 확신, 조달 등)와 믿음(보상, 존중, 결정, 기회 등) 의 요인이 지지적일 때 직무만족도와 관련성이 높다고 하였다. 치료적 측면에서 작업치료사는 직업적 특성상 재활의학과 의사에 의해 1차 면담(클라이언트의 진단, 문제점, 평가 및 계획)을 차트상으로 확인하고, 클라이언 트와의 2차 면담 후 본격적인 치료가 행해진다. 이는 클 라이언트에게는 반복적인 상황 설명과 치료 방향에 대한 논의 등으로 치료시간의 지연이 발생하고, 치료사에게는 면담과 치료 과정 중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신 속한 대처, 상황 변경 등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대한의 기능 회복에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운영 적 측면에서 작업치료실은 타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타 직종의 상관(팀장, 과장)에게 지시 및 전달을 받는 경우 가 대부분으로 작업치료실만의 고유한 특수성, 전문성을 존중받지 못해 직무에 필요한 선택, 결정, 자율성 등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럼에도 작업치료사는 현장 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보다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향상 을 위한 다양한 전문 기술, 성취 가능한 목표 설정, 긍정 적 피드백 등에 의한 자신감, 확신, 인정 등의 심리적 보 상을 받음으로써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Shim 등(2009)은 임상 작 업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직무만족도와 밀접한 관 련성으로,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의미, 중요도, 가치 와 같은 임파워먼트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Kim, 2018). 또한 Park(2009)은 구 성원이 자신의 수행을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믿게 될 때 업무에 대한 몰입과 자기 결정성이 높아지고, 직무만 족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하였고, Jung(2017)은 병원 내 전문 인력의 고유 직무에 따른 자율성과 전문성 이 우선적 보장과 타 직종과의 관계 개선 및 원활한 의사 소통, 합리적인 복리후생 및 인사체계를 확립 등의 보상 이 이루어질 때 치료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높 아질 수 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와 경로를 통합적으로 확 인한 결과,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임파워 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근무환경은 직무만족도 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임파워먼트를 통해 간 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작업치료사는 치료실 의 쾌적함, 보수, 승진 등의 근무환경 요인보다 의사-치 료사 관계 안에서 작업치료사의 전문성, 존재가치, 의사 의 태도 등에서 불편함과 불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작업치료사가 수행하는 의식 수준 향상, 기능적 증진, 일 상생활 및 지역사회 복귀 등의 전문치료영역에 비해 부 족한 자율권, 선택권, 가치 등을 체감함으로써 낮은 임파 워먼트의 형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 된 다. 현장의 작업치료사들은 급변하는 의료서비스에 맞춰 기관이 추구하는 목표와 작업치료사의 가치를 함께 나누 고 협력함으로써 물리적·제도적 요인을 넘어 관계적· 심리적·사회적 요인의 개선과 지지를 통해 작업치료사 스스로 치료에 대한 의미부여, 결정권, 신념, 가치 등의 임파워먼트를 강화시킴으로써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 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Jung(2019)은 작업치료사 간 의 지지, 충분한 인력, 물질적 자원 등의 근무환경을 개선 하기 위해서는 병원의 문제나 정책에 참여하는 기회기 필요하다고 하였고, 종사자들의 독창성과 특수성, 자율 성, 인식, 소명의식이 구성될 때 직업에 집중과 몰입, 직 무만족과 보람을 느낀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 하였다(Lee, 2018b). 이에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원을 존중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 는 근무환경과 성장, 자율, 인권, 역량 등을 높이는 임파 워먼트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를 일부 특정 지역의 병원 중심 의료기관 종사자만 편의 표집하 여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 을 통제함으로써 변수 간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하였으나, 특성에 따른 변수 간의 잠재적 요인들 은 고려되지 않았다. 추후 확대 지역 및 다양한 기관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병원 중심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 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분석하 고,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매 개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작업치료사 는 동료 관계 및 능력의 지지적 근무환경과 직무 수행을 위한 신뢰와 믿음이 동반될 때 직무만족도가 높다고 하 였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작업치료사 는 인적·관계적·물리적·전문적 환경 안에서 직무를 스스로 분석하고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을 때 직무만족 도의 향상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작업치료사는 지시와 전달 체계에서 벗어나 직업적 특수성을 고려한 수평적이고 지지적인 탄 력적 관계의 환경 조성과 자율성 및 권한이 보장될 수 있 는 임파워먼트의 강화가 상호작용할 때 직무만족의 향상 을 넘어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Anggarwati, A., & Eliyana, A. (2015). The influence of creative self-efficacy towards creativity with job satisfaction as intervening variable at PT. smile island Surabaya. International Journal in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3(1), 90-99. 10.35808/ijeba/65

2. 

An, H. M., & Kim, H. S. (2013).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in Seoul: Focusing on forming an organization exclusively for childcare teachers.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2013(9), 1-214.

3. 

Bae, S. B. (2012). Influence of job burnout among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lea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KR.

4. 

Bae, S. J. (2019).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is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n turnover and job chang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KR.

5. 

Bang, B. M., Lee, S. Y., & Cheong, J. O. (2015).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205-213. 10.14400/JDC.2015.13.2.205

6. 

Bang, H. B.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or’s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231-242. 10.5762/KAIS.2016.17.4.231

7. 

Chae, J. H. (2005). Level of job satisfaction on the Korea occupational therapist and analysis for factors influencing on th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8. 

Chandler, G. E. (1986). The relationship of nursing work environment to empowerment and powerless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tah University, Salt Lake City, US.

9. 

Cho, E. H., Choi, M. N., Kim, E. Y., Yoo, I. Y., & Lee, N. J.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25-332. 10.4040/jkan.2011.41.3.325 21804341

10. 

Choi, A. R. (2017).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motional labor on occupational therapy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11. 

Choi, H. S. (2012). The effects of librarian’s role factors and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ibrari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4), 175-200.

12. 

Choi, Y. H., & Jung, C. S. (2015).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04-4613. 10.5762/KAIS.2015.16.7.4604

13. 

Coomber, B., & Barriball, K. L. (2007). Impact of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n intent to leave and turnover for hospital-based nurses: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2), 297-314. 10.1016/j.ijnurstu.2006.02.004 16631760

14. 

Han, D. S., Jung, M. Y., Yoo, E. Y., & Chung, B. I. (2008). The factors of work-related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Kore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109-118.

15. 

Han, W. R., & Cho, Y. I. (2014). The mediational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Business Management Research, 7(1), 1-20.

16. 

Hong, S. T., & Yang, N. Y. (2014).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for employees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3), 283-298. 10.15870/jsers.2014.09.53.3.283

17. 

Hwang, D. Y., Park, J. M., Kim, H. D., Hwang, J. H., Shin, J. H., & Jung, H. S. (2018).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of the public in gener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6(1), 45-57. 10.14519/jksot.2018.26.1.04

18. 

Jeong, Y. J. (2005).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R.

19. 

Jung, S. K. (2019).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depending on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KR.

20. 

Jung, Y. J. (2017).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of occupational therapist (Master’s thesis). Kaya University, Gimhae, KR. 10.18598/kcbot.2017.07.03.01

21. 

Kim, G., & Mun, J. H.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burnout of a hotel employe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 management style-.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9(6), 309-326.

22. 

Kim, H. K. (2011). Effects of environments, perfectionism and social support on teacher’s burnout: Mediating effects of teacher-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Anyang, KR.

23. 

Kim, H. Y., & Kim, Y. M. (2011). A study on effect of perception of ethics and expertism of Korean social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58, 209-232.

24. 

Kim, J. J., Roh, J. H., Won, J. U., Lee, S. Y., & Chang, S.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3), 173-182. 10.35371/kjoem.2010.22.3.173

25. 

Kim, J. K. (2019). The effects of physical· occupational therapist compensation on job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KR.

26. 

Kim, K. Y. (2012). The investigation of job satisfaction in occupational therapists –Focus on Gwangju city·Jeolla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KR.

27. 

Kim, O. K. (2017). Influences of practice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job embeddedness among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KR.

28. 

Kim, W. R. (2018). Influen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mpowerment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KR.

29. 

Koo, H. M., & Lee, I. H.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amo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2(2), 69-75.

30. 

Kwon, J. A., Roh, J. H., Chang, S. J., Won, J. U., & Sim, S. H. (2007).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1), 117-130.

31.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10.1002/nur.10032 12015780

32. 

Lee, H. E. (2014). Review of methods for testing mediating effects in recent HRD research.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6(2), 225-249. 10.18211/kjhrdq.2014.16.3.009

33. 

Lee, H. K. (2015).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Paju, KR: Shinyoungsa.

34. 

Lee, H. S. (2018a). The effect of nurses’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R.

35. 

Lee, J. H. (2018b). Effects of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technici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R.

36. 

Lee, J. M. (2009). Impact factors affecting employees job satisfaction by working environment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R.

37. 

Lee, S. H. (2013).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s-Focused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R.

38. 

Oh, E. H., & Chung, B. Y. (2011).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391-401. 10.11111/jkana.2011.17.4.391

39. 

Oh, H. W., & Kim, S. Y. (2010).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therapy support service professionals at schools and support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Centered on occupational therapy maj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2), 23-37.

40. 

Park, E. Y., & Kim, E. J. (2008).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10), 208-216. 10.5392/JKCA.2008.8.10.208

41. 

Park, H. S., & Gang, E. H.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810-821. 10.4040/jkan.2007.37.5.810 17804948

42. 

Park, I. J. (1995). A validation study of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R.

43. 

Park, J. S. (2009).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habilitation psychologist -Focused on job stress and empowerment-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R.

44. 

Park, S. W. (2018).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for physical therapist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3(2), 115-127. 10.13066/kspm.2018.13.2.115

45. 

Shim, J. H., Cha, T. H., & Oh, D. W. (2009). A study o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111-120.

46. 

Shim, J. H., & Yoon, T. H. (2011).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3(1), 67-75.

47. 

Shirey, M. R. (2006). Stress and coping in nurse managers: Two decades of research. Nursing Economics, 24(4), 193-211.

48. 

Song, B. K. (2017).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pattern of occupational therap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KR.

49. 

Spreitzer, G. M. (1995a).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1442-1465. 10.5465/256865

50. 

Spreitzer, G. M. (1995b). An empirical tes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3(5), 601-629. 10.1007/BF02506984 8851342

51. 

Weiss, D. (1967).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sota, US: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Work Adjustment Project, Industrial Relations Center.

52. 

Yang, K. M. (1999).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the job-relat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performance of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R.

53. 

Yoon, J. H., & Lee, H. S. (2019). Moderating effect of LMX and followership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11(1), 40-75. 10.35183/apjbc.2019.03.11.1.40

54. 

Yun, Y. J. (2018). The correlation amo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sulting from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eon, KR.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