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 원격건강관리(Telehealth)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Ⅰ. 서 론

모든 생활의 양식이 비대면 서비스로의 전환을 맞이하 는 과도기적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교육, 금융거래, 상거 래를 비롯하여 보건의료 서비스에서도 원격서비스에 대 한 이슈가 상당히 주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디지털 헬 스케어 시장은 그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Global Market Insights의 2019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5년 기준으로 600조원 규모로 예측했던 시장의 규모가 Coronavirus Disease(COVID-19) 팬더믹(pandemic) 이후 2026년 기준 시장의 규모가 820조원을 능가할 것 이라는 결과를 발표했다(Global Market Insights, 2020).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확장은 작업치료의 전 달방식 또한 이 같은 시장의 트렌드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개념적으로 두 가지 시장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원격치료(telecare) 와 원격건강관리(telehealth)이다. 원격치료는 환자 또 는 질병 위험군에 대한 활동 모니터링과 원격진료의 개 념을 일컫는다. 반면 원격건강관리는 장기요양 관점에서 의 돌봄 또는 화상상담 등이 중점이며, 예방 관점의 치료 적 목표가 강조된다(Stowe & Harding, 2010).

기존의 원격건강관리는 주로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없 다는 측면에서 그 관심이 주목됐지만, COVID-19 팬더 믹 상황 이후 원격건강관리는 선택적인 접근법이 아닌 필수적인 서비스 전달방식이 되어가고 있다. 미국의 경 우 최근 팬더믹 상황에 대응하여 메디케어(Medicare)1) 에서도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규제를 완화 시켜주었고 관련된 서비스에 보험을 적용할 수 있는 법이 통과되었 다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20). 미국에서는 일찍이 원격건강관리 서 비스에 대한 개념과 체계가 마련되어 왔고, 휠체어 처방, 보조도구 처방, 신경학적 검사, 가정환경 개선, 학교작업 치료, 신생아 치료, 기타 건강관리 영역에서 원격서비스 전달체계가 활용되어왔다(Cason, 2014). 작업치료사는 원격 상황에서 클라이언트 수행기술 코칭, 보조기기 처 방 또는 적응 훈련, 가정환경 및 작업환경 평가, 생활 습 관 형성 등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AOTA, 2018).

최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술의 발달로 의료 및 보건 서비스에서 다양한 기술융합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에 서도 ICT 기술을 활용하여 문자 및 전화 관리, 화상 관리, 인터넷,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가상현실 등과 같은 매개 체를 통해 서비스를 전달한다(Beit Yosef et al., 2019; Cason, 2014). 초기의 원격건강관리 전달 모델은 관리 와 상담에 중점 되었다면, 최근에는 가상현실 또는 로봇 보조의 중재 프로그램도 하나의 방식으로 자리 잡아 가 고 있다(Burdea, Popescu, Hentz, & Colbert, 2000; Linder et al., 2015).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환자를 평가하고 중재하는 것은 환자의 수행과 관련된 모든 데 이터들을 기록하고 저장함으로써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분석기술과 접목하면 치료적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이끌어 낼 수 있다 (Roski, Bo-Linn, & Andrews, 2014).

원격서비스는 작업치료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원 격평가는 환자의 현 건강상태 및 퇴화 수준을 지속적이 고 주기적으로 파악하는데 상당한 장점을 지닌다. 다만 원격으로 평가를 진행할 때에 평가의 특성에 따라 임상 가가 적절한 ICT기술을 접목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타당 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헌에 따르면 작업치료사에 의해 원격서비스로 시행한 평가도구 중 그 결과가 실제 시행과 동일한 신뢰도를 보이는 평가에는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 Mini Mental State Exam(MMSE), Functional Reach Test and European Stroke Scale, Kohlman Evaluation of Living Skills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Timed Up and Go Tes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Jamar Dynamometer, Preston Pinch Gauge, Nine-Hole Peg Test,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Ergonomic Assessment Tool for Arthritis 등이 있다(AOTA, 2018).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원격서비스를 적용하는 것은 비 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고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서비스의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나 지역사회 중심의 장기요양의 관점에서는 이 두 가지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Biet Yosef et al,, 2019). 원격서비스의 초기 도입은 큰 예산이 필요하지 만, 초기에 서비스 방식과 기술을 구축함으로써 오히려 향후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원격건강관 리 서비스의 경제적 비용효율(cost-effectiveness)연 구에 의하면, 특히나 장기요양관점에서 만성질환자들의 건강을 관리하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homas et al., 2014). 또한 Jennet 등(2003) 고찰 연구결과에 따르면,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의료의 접근성, 서비스 비용효율, 교육의 기회 확대, 건강 향상, 돌봄의 질 향상,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적 지지 강화 등 다양한 측면의 장점 을 보고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 티케어 사업에서도 이와 같은 원격서비스의 도입을 시도 해 볼 만하다. 커뮤니티케어 사업 안에서 작업치료사가 제공할 수 있는 원격서비스의 내용으로는 가정 기반 중 재 프로그램의 관리, 일상생활동작 수행 모니터링, 인지 적 퇴화 추세 모니터링, 낙상 예방 등이 있다. 실제로 원 격서비스를 통한 치료의 효과는 전통적 대면 방식의 치 료와 비슷하거나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Agostini et al., 2015; Cason, 2014).

작업치료 분야에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도입이 활 발한 또 하나의 분야는 아동치료 영역이다. 이미 교육의 분야에서는 에듀테크 기술을 활용한 원격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는 아동 치료시장에서도 받아들여야 할 서비스 전달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치료를 원격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에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아동의 실제 가정을 기반으로 중재를 제공할 수 있고 부모 교육 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부 모를 교육하고 가정 내에서 부모가 제공하는 중재를 전 문가가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측면의 장점도 있다(Zylstra, 2013). 기존 문헌에 따르면, 자폐스펙트 럼 아동을 대상 중재에서 아동의 부모를 통해 원격 코칭 을 적용하였더니 아동의 가정 내 작업 참여도가 높아지 고, 부모기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Little, Pope, Wallisch, & Dunn, 2018).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원격건강관리 서 비스의 유형을 알아보고 치료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문헌 검색 및 선정 과정

본 연구의 문헌 검색은 PubMed, Embase, NDSL 데 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대상 문헌의 범위는 201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로 하였다. 검색용어는 telehealth [Title] AND occupational therapy[Title/Abstract], ‘telehealth occupational therapy’ 그리고 ‘원격건강관 리’, ‘원격보건’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의 선정 기 준 및 배제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선정기준

  • (1) 작업치료 영역의 원격건강관리서비스가 제공된 연구

  • (2) 아동 대상 연구의 경우 보호자를 통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가 제공된 연구

  • (3) 원문이 영어 또는 한글인 연구

  • (4) 논문의 열람이 가능한 연구

2) 배제기준

  • (1) 간병인 대상의 원격건강관리서비스 연구

  • (2) 고찰 또는 메타분석 연구

  • (3) 학위논문, 단행본, 포스터

  • (4) 신뢰도 또는 타당도 연구

  • (5) 프로토콜 연구

문헌 검색 결과 1차로 총 25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논문은 제목 및 초록을 통해 본 연구의 선정 기준 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여 1차적으로 42편의 논문이 분류 되었고, 2차적으로 배제 기준에 해당하는 논문을 제외하 여 22편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중복 선정된 논문 10편을 제외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1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Figure 1).

Figure 1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figures/KJOT-28-4-45_F1.jpg

2.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본 연구에서 분석한 12편 연구의 근거수준 평가는 전통 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에 따라 평가하였다(Arbesman, Scheer, & Lieberman, 2008). 가장 높은 수준의 연구 인 수준 I은 체계적 고찰, 메타 분석, 무작위 대조군 연구 가 포함되며, 수준 II는 코호트 연구 또는 비무작위 비교 연구 등이 포함된다. 수준 III은 사전-사후 연구,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 등이 포함되며, 수준 IV는 개별실험 연구 및 조사 연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장 낮은 수준 의 연구인 수준 V는 사례 연구, 질적 연구가 포함된다.

3. 비뚤림 위험 평가

본 연구에서 분석한 12편의 논문들의 비뚤림 위험 평 가를 위해 Cochrane collaboration에서 제공하는 Review Manager(RevMan 5.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무 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는 Risk of Bias(RoB)로 분석하 였고, 비무작위 연구는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RoBANS)로 분석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선정된 12편 논문들의 특성을 분석하였 다. 분석은 임상적 질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PICO)에 따라 제시하였고, 전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저자 및 연도, 연구 대상자 특성, 원격건강관리 서비스 유형, 중재기간 및 회기, 결과 측정방법, 원격건강관리 서 비스의 효과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 연구 12편의 질적 수준을 분 석한 결과 수준 Ⅰ은 3편(25.0%), 수준 II는 1편 (8.3%), 수준 III은 6편(50.0%) 그리고 수준 IV는 0편 (0%) 그리고 수준 V에 해당하는 연구는 2편(16.7%)이 었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figures/KJOT-28-4-45_T1.jpg

2. 비뚤림 위험 평가

본 연구에서 분석된 12편의 논문 중에서 무작위 대조 군 실험연구 3편은 RoB를 통해 분석하였다. 3편의 연구 모두 컴퓨터 또는 난수표 등을 활용한 무작위 방법을 사 용하였으며, 1편의 연구에서만 배정순서 은폐가 이루어 졌다. 2편의 연구에서 참여자와 평가자에 대한 눈가림이 이루어졌으며, 불완전한 결과자료는 1편의 연구에서만 모두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적 결과보고 와 그 외 비뚤림은 3편 연구에서 모두 위험도가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Figure 2).

Figure 2

Risk of Bias Results

../figures/KJOT-28-4-45_F2.jpg

비무작위 연구 9편은 RoBANS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 선정은 8편의 연구에서 명확한 대상자 선정을 한 것으로 확인하였고, 교란변수에 대한 위험성은 3편의 연 구에서 위험도가 낮았으나 3편의 연구는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편의 연구는 명확한 기술이 없어 비뚤 림 위험을 확인할 수 없었다. 중재측정의 비뚤림 위험성 은 7편의 연구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 평가에 대한 눈가림은 1편의 연구만이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6편의 연구에서 비뚤림 위험이 높았으며, 2편의 연구에서는 정확한 언급이 없어 판단할 수 없는 것으로 하였다. 불완전한 결과자료는 6편의 연구에서 비뚤림 위 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2).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분석한 12개 논문의 연구 대상자의 특성 을 구분하였을 때, 뇌손상 환자 대상이 3편(25.0%), 아 동 대상이 3편(25.0%), 노인 대상이 2편(16.7%), 그리 고 척수손상 환자,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외상 후 스트 레스 장애 환자,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대상이 각 1편 (8.3%)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Characteristics of Analyzed Studies

../figures/KJOT-28-4-45_T2.jpg

4.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유형 및 중재 효과

1) 뇌손상 대상 원격건강관리

본 연구에서 분석된 뇌손상 환자 대상의 원격건강관리 중재는 CO-OP를 통한 작업참여 증진, 뇌졸중 이후 피 로 관리, 뇌손상 및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인지 및 운동 시스템이 적용되었다(Beit Yosef, Jacobs, Shenkar, Shames, Schwartz, Doryon, & Gilboa, 2019; Boehm, Muehlberg, & Stube, 2015; Kizony, Weiss, Harel, Feldman, Obuhov, Zeilig, & Shani, 2017).

뇌손상 환자의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CO-OP) 원격중재는 PC 또는 태블릿 상에서 Skype 세션용 TalkHelper Call Recorder를 사용하여 비디오 세션을 녹화하였고, 작업 치료사와 대상자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통해 목표를 설정하여 전반적 문제 해결 전략(Goal-Plan-Do-Check)을 사용하여 목표 달성을 이루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중재 중에 실제 활동 을 수행하였고, 작업치료사는 원격으로 대상자의 수행을 관찰하고 질문과 피드백을 통해 수행을 촉진하였다. 이 를 통해 CO-OP 전략과 기술이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내에서도 일반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원격중재 를 제공함으로써 활동 수행도 및 만족도, 삶의 질이 향상됨 을 확인하였다(Beit Yosef et al., 2019).

뇌졸중 환자의 피로 관리 원격중재는 피로 관리를 위 한 에너지 보존 교육과정 (managing fatigue course)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것은 만성 질환에 이어 2차 피로가 증가하는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로 개발된 것으로, 휴식, 의사소통 및 신체 역학, 인체 공학 및 활동 수정, 우선순위 및 계획, 일정의 균형 조정, 검토 및 향후 계획 논의의 6개 세션으로 구성된다(Packer, Brink, & Sauriol, 1995). 분석된 연구에서는 피로 관리 를 위한 에너지 보존 프로그램을 매뉴얼로 만들어 원격 으로 교육 및 실습하고 대상자에게 과제를 제공하였다. 원격중재 결과 대상자의 피로도가 개선되었고, 작업 수행 도와 만족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Boehm, Muehlberg, & Stube, 2015).

또한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CogMotion을 적용하여 원격중재를 시행한 연구에서는 컴퓨터, 대형 모니터 및 Microsoft Kinect® 3D 센서로 구성된 장비를 활용하여 15가지 이상의 시뮬레이션된 활동을 온라인 중재로 시 행하였다(Kizony et al., 2017). 가상 활동 안에서 환자 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운동 및 인지 수준을 조절할 수 있었다. 중재 결과 환측 상지의 견관절 굴곡 관절가동범 위, 시각적 스캐닝, 주의집중력의 기능향상을 나타냈다 (Kizony et al., 2017).

2) 아동 대상 원격건강관리

본 연구에서 분석된 아동 대상의 원격건강관리 중재는 iPad 기반 훈련 프로그램, 가정 기반의 양측 상지 훈련, 언어 및 작업치료 원격중재가 적용되었다(Diez-Juan et al., 2014; Ferre et al., 2017; Langbecker, Caffery, Taylor, Theodoros, & Smith, 2019).

iPad 기반 훈련 프로그램은 Fragil X 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언어, 사회적 상호작용 및 학습 을 목표로 이루어졌다. 치료사의 개별지도를 통해 부모 가 iPad를 통해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Diez-Juan et al., 2014). 본 중재에 사용된 Care Circles 응용 프로그램은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 고, 적용되는 중재 시간, 동기 수준, 관심 및 좌절 등을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가정에서 실행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대화식 일지는 가족과 일상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 용되었다. 원격중재를 제공한 결과 각 아동은 언어표현,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능력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자기조절 또는 흥분 및 불안 등과 같은 문제행동이 감소 됨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Diez-Juan et al., 2014).

가정 기반의 양측 상지 훈련인 Home-based Hand- Arm Bimanual Intensive Therapy(H-HABIT) 원격 중재는 편측 강직성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 로그램이다. 치료사가 보호자를 교육하고 보호자가 가정 에서 아동에게 중재를 제공하도록 하였다(Ferre et al., 2017). 아동은 뻗기(reaching), 잡기(grasping), 놓기 (releasing), 손안 조작(in-hand manipulation)과 같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손과제에 참여하였다. 이때 웹캠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치료사의 감독이 이루어졌 으며, 온라인으로 제출된 로그를 확인하여 가정 교육 활 동이 추가로 제공되었다. 중재 결과 아동의 환측 손의 기 민성 및 기능적 활동의 수행도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 였으나, 양손 과제의 수행도에서의 큰 변화는 없었다 (Ferre et al., 2017).

언어 및 작업치료 원격중재는 5개의 농촌 지역 학교 어린이들에게 원격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를 전달하였 다. 원격재활 소프트웨어 및 룸 기반 화상 회의 장비인 iPad Air 장치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Langbecker et al., 2019). 아동의 언어 및 작업 발달을 촉진하고 학교 참여도를 향상시키며 이로써 지리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자 하였다. 교사의 연구 보고에 따르면 그 결과 어린이들 의 학교 참여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Langbecker et al., 2019).

3) 노인 대상 원격건강관리

본 연구에서 분석된 노인 대상의 원격건강관리 중재는 원격 가정환경수정 중재와 휠체어 기술 증진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Breeden, 2016; Giesbrecht & Miller, 2019).

원격 가정환경수정 중재는 VSee 소프트웨어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평소 가정 안전에 문제가 되는 사진을 촬영하여 치료사에게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였다(Breeden, 2016). 이후 웹 기 반 비디오 미팅을 통해 참가자는 과거에 발생했던 사고 또는 가정 안전 문제에 관해 치료사와 토론하고 이를 바 탕으로 환경 수정 및 관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SAFER-HOME ver. 3 점수가 향상되었고, 가정 내 안 정성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Breeden, 2016).

또한 Giesbrecht와 Miller(2019)의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에 거주하고 수동 휠체어를 사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휠체어 기술 향상 훈련을 원격으로 실시하였다. Manual Wheelchairs(MWC) 교육 제공 경험이 5년 이상인 작업 치료사가 휠체어 움직임 기술을 설명하고 시연하는 내용 의 158개 동영상을 제공하였다. 대상자는 10인치 태블 릿을 통해 동영상의 활동을 보고 연습한 후 태블릿에 표 시된 대화형 교육 게임에 참여하였다. 작업치료사는 대 상자의 훈련 준수와 주간 진행 정보를 추적할 수 있었으 며, 모니터링을 위해 각 세션의 수 및 기간, 접근한 콘텐 츠 등을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참여가 지연되는 경우 연 락을 통해 독려하였다(Giesbrecht & Miller, 2019). 연 구결과 대상자의 휠체어 기술 능력, 이동성, 주의집중의 향상은 없었으나, 참여도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안정성 은 의미 있는 향상을 나타냈다(Giesbrecht & Miller, 2019).

4) 그 외 기타 원격건강관리

본 연구에서 분석된 Hansen 등(2020)의 연구는 만성 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Supervised Pulmonary Tele-Rehabilitation(PTR) 중재를 적용한 것으로, 환 자가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10주 동안 매주 3회 가정 에서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 램 구성은 준비 운동(앉거나 선 자세에서 무릎, 어깨, 호 흡 운동), 선 자세 운동(제자리 걷기, 옆으로 걷기, leg curl, leg swing, 스쿼트), 지구력 훈련(걷기, 사이클, 트 레드밀, 서킷훈련, 활동게임), 저항 훈련(기구 사용, 탄력 밴드, 덤벨 등 사용), 마무리 운동(호흡, 이완, 요가)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격중재 결과 기존의 호흡 재활보다 우 수하지 않았으며, 대상자의 걷기 능력에 있어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Hansen et al., 2020).

Krupnick 등(2017)은 외상후스트레스가 있는 재향 군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기반의 글쓰기 중재를 적용하였 다. 1~4회기에는 전쟁 사건에 대한 노출에 중점을 두었 고, 5~9회기는 인지적 재구조화 중재가 이루어졌다. 마 지막 회기인 10회기에는 중재에 대한 종합적인 토의를 진행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였다. 원격중재 결과 대상자 가 보이는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Renda와 Lape(2018)이 퇴행성 중추신경계질환 환 자를 대상으로 원격 가정환경수정 중재를 적용한 연구에 서는 전화 또는 Doxy.me 플랫폼을 사용하여 수행되었 다. 작업치료사는 대상자의 가정 내 안전 및 문제 활동에 대한 비디오 녹화를 이메일로 전달받았다. 이후 원격으 로 대상자와 함께 검토하며 작업 문제 목록을 세워 문제 를 해결하는 중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보조기구 업체를 연결하거나 보조도구 사용 훈련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원격중재 결과 작업 수행도와 가정 안전에 의미 있는 향 상이 있었다(Renda & Lape, 2018).

Yuen(2013)은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으로 구강 위생 훈련을 실시하였다. 원격 구강 위생 훈련은 프 로토콜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작업치료사는 구강 위생 교육, 구강 위생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보조도구의 시 연, 반복적인 교정, 피드백 및 긍정적 강화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구강 염증의 감소에 의미 있는 효과 가 있음을 확인하였다(Yuen, 2013).

각 원격건강관리 중재 프로그램, 회기, 평가도구 그리 고 결과에 대한 특성은 Table 2에 정리하였다.

Ⅳ. 고 찰

원격건강관리는 작업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 리를 잡아가고 있다(AOTA, 2018; Occupational Therapy Australia [OTA], 2020;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WFOT], 2014). 본 연구에 서는 기존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작업치료 분야에 서 시도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유형과 치료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체계적 분석을 위해 최종적으로 총 12개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대상 자로는 뇌손상, 지역사회 노인, 아동 등으로 범위가 다양 했고, 그 외에도 만성폐쇄성폐질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퇴행성 중추신경계질환, 척수손상 환자에게 적용한 연구 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건강관리 서비스가 25.0%로 단일진단명으로 써는 가장 많았다. 특히 원격으로 CO-OP전략 훈련을 도 입하여 대상자의 일상생활 수행을 훈련한 연구는 작업기 반 중재를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새로운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Beit Yosef et al., 2019). 그 외에도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건강 관리 서비스의 치료적 목표에는 피로관리 및 에너지 보존 교육, 운동 및 인지 중재 등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분야에서는 Fragil X 증후군, 뇌성마비, 및 농촌 지역 정상 아동에게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를 적용한 것으 로 파악 되었다. Fragil X 증후군 및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원격 중재는 부모에게 컴퓨터 및 태블릿 기반의 디지털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집 에서도 치료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장애아 동의 부모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를 적응하게 하고 집에서도 치료가 연계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장애아동의 기능향상 및 발달에 있어 유의 미한 효과를 나타낸다(Rentinck, Ketelaar, Jongmans, & Gorter, 2007). 본 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Gibbs와 Toth-Cohen(2011)의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사가 원격서비스로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부모를 통해 가 정 내에서의 감각 양의 조절과 웹캠을 통한 생활 지도를 제공하였더니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미세운동기술, 자조 기술향상, 및 자기자극 행동에 일부 효과가 있었던 것으 로 나타났다. 장애 아동에게 적용하는 원격건강관리 시 스템은 전문가의 치료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면서도 부모 를 통해 중재가 계속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원격서비스의 발달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전염병의 상황 속에서도 아이들의 치료가 중단 되지 않고 치료의 공백 없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 외에도 원격서비스 전달방식을 결합한 가정환경개 선 서비스가 지역사회 노인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Breeden, 2016). 가정환경개선은 물리적 환경 의 개선 외에도 노인의 생활양식 및 행동습관에 대한 중 재의 제공이 중요하다. Breeden(2016)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의 낙상 위험 행동습관을 교정하기 위 하여 이메일을 통해 치료사와 소통하게 하는 방식이 클 라이언트의 낙상 및 안전에 대한 통찰력을 키워주고 행 동습관의 변화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원격제 공방식을 통해 개인의 행동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가정환경 내 안전 및 낙상 예방 측면에서 효과적인 치료결과를 보일 수 있다. 가정환경개선 서비 스에서는 치료사가 클라이언트의 가정을 방문하여 중재 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 대한 부담이 있다 (Smith & Widiatmoko, 1998). 원격건강관리 전달 모 델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이고 효율적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반면 원격건강관리가 모든 치료적 목표에 있어서 효율 적임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Giesbrecht와 Miller (2019)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휠체어 조작 기술에 대해 교육하고 기술을 시연하는 동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원격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 지만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직접적인 휠체어 조작기술 및 운동성에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원격 프로그 램 전달방식이 훈련하고자 하는 치료 목표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사료 된다. 휠체어 조작기술은 지식 적인 교육 및 시연을 통해 향상되기는 어렵다. 오히려 화 상전화 방식 또는 Kinect와 같은 움직임 감지(motion capture) 기술을 통해 직접적인 기술을 훈련 시키는 것 이 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처럼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치료 목표 및 내용에 따라 적합한 기술을 연결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러한 부분에서 작업치 료사의 전문 역량이 요구되어 진다. Hansen 등(2020) 의 연구에서도 만성폐질환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지만, 보행 능력을 비롯한 운동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관련 원격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서비 스 전달 모형과 그 방식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

Krupnick 등(2017)의 연구에서는 외상후스트레스 증후군이 있는 재향군인을 대상으로 인지적 재구조화를 시키기 위해 온라인 기반 글쓰기를 하도록 하였더니 외 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심리 및 정신 증상의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신건강 영역에서도 원격중재에 대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Rotondi et al., 2005). 최근 연구에서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방식을 활용하여 광장공포증, 거미공포증, 대인공 포증을 치료하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Ku, Im, & Kang, 2014). 다양한 VR 및 Augmented Reality (AR)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정신건강 분야에서도 원격건 강관리 서비스 모델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고찰한 총 12편의 논문 중 10편의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연구 목적으로 대상자를 모집하 여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아직까지는 원격건강관리 서 비스에 대한 보험수가가 확립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 된다. 반면 Kizony 등(2017)의 연구에서는 CogniMotion 시스템을 통해 퇴원 후 재활치료를 제공하 고 그 결과를 관리하였으며, Langbecker 등(2019) 연 구에서는 실제 학교기반 작업치료 현장에서 원격중재 프 로그램을 제공한 뒤 효과를 살펴보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원격건강관리’ 및 ‘원격보건’의 검색어를 통해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검색하였으나 작업치료 분야에서의 원격건강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보 고된 연구결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국내 간 호 연구 분야에서는 가정간호사업 안에서 천식, 고혈압, 농촌지역 노인, 만성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원격관 리 시스템의 개발 및 도입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 Lee, 2017; Chung, Moon, & Lee, 2013; Park, 2012; Park et al., 2012). 보건소를 통한 지역사회 내 가정방문간호는 일찍이 시작 된 반면 작업치료사의 지역사회 서비스 제공은 2018년 커뮤니티케어 제도의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Hwang, 2002). 그리하여 간호 분야에 비해 원격건강관리 서비 스에 대한 연구 및 임상적 시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외 미국 또는 호주와 같은 경우, 지리적 여건상 클라이언트 의 가정과 서비스 제공기관 간의 거리가 멀어 발생하는 접근성의 문제로 인해 원격관리가 하나의 대안이 되었고, 그 필요성에 의해 원격건강관리 모델이 발달 되어왔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의 확대 및 전염병 팬더믹 상황 속에서 재활서비스의 공백을 채 우기 위한 원격서비스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시대적 변화 및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작업치료 임상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가 시도되고 그 효과가 향후 연구를 통 해 엄밀하게 검증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V. 결 론

비대면 시대로의 전환점에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어느 때 보다도 주목을 받고 있다. 작업치료 분야 또한 수년 전부터 원격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모델 및 전달체 계를 확립해왔다. 특히나 가정 기반 중재에서 원격 시스 템의 도입은 치료적 효과 및 비용적 측면에서 상당한 장 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체계적 고찰 결과, 뇌손상, 지역 사회 노인, 중추신경계 질환, 다양한 진단명의 아동 집단 에게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결과 작업참여 및 수행, 삶의 질, 언어 및 사회성, 가정 내 안전 등의 긍정적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ICT 기술력의 융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작업치료사로써 치료 내용의 타당성을 엄밀하 게 판단할 수 있고, 새로운 기술에 친숙한 것이 원격건강 관리서비스에서 요구된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국내실정 에 맞는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를 도입하고 임상에서 보다 적극적인 시도 및 활용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Notes

[1] Medicare: 연방정부에서 지원하고 운영하는 사회보장 제도로써 65 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이더라도 특정한 장애나 질병이 있는 사람들에게 건강보험을 제공함.

References

1. 

Agostini, M., Moja, L., Banzi, R., Pistotti, V., Tonin, P., Venneri, A., & Turolla, A. (2015). Tele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motor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1(4), 202-213. 10.1177/1357633X15572201 25712109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OT and telehealth in the age of COVID-19. Retrieved from https://www.aota.org/Practice/Manage/telehealth/coronavirus.aspx

3.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8). Telehealth in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 1-18. 10.5014/ajot.2018.72S219 30674404

4.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13(12), 18-22.

5. 

Beit Yosef, A., Jacobs, J. M., Shenkar, S., Shames, J., Schwartz, I., Doryon, Y., ... Gilboa, Y. (2019). Activity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in the chronic stage after acquired brain injury - The feasibility of an occupation-based telerehabilitation intervention. Frontiers in Neurology, 10, 1247. 10.3389/fneur.2019.01247 31866924 PMC6908485

6. 

Boehm, N., Muehlberg, H., & Stube, J. E. (2015). Managing poststroke fatigue using telehealth: A case repor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6), 6906350020p1-6906350020p7. 10.5014/ajot.2015.016170 26565106

7. 

Breeden, L. E. (2016). Occupational therapy home safety intervention via tele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Telerehabilitation, 8(1), 29-40. 10.5195/IJT.2016.6183 27563389 PMC4985281

8. 

Burdea, G., Popescu, V., Hentz, V., & Colbert, K. (2000). Virtual reality-based orthopedic telerehabilitation. IEEE Transactions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8(3), 430-432. 10.1109/86.867886 11001524

9. 

Cason, J. (2014). Telehealth: A rapidly developing service deliver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Telerehabilitation, 6(1), 29-35. 10.5195/IJT.2014.6148 25945220 PMC4352999

10. 

Cho, M. S., & Lee, H. Y. (2017). Construction of telemedicine service model in home healthcar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3(2), 81-101.

11. 

Chung, Y. S., Moon, M. K., & Lee, C. H. (2013). The effect of smart care ubiquitous health service on hypertens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3), 1213-1220. 10.5762/KAIS.2013.14.3.1213

12. 

Diez-Juan, M., Schneider, A., Phillips, T., Lozano, R., Tassone, F., Solomon, M., & Hagerman, R. J. (2014). Parent-delivered touchscree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fragile X syndrome. Intractable & Rare Diseases Research, 3(4), 166-177. 10.5582/irdr.2014.01026 25606367 PMC4298647

13. 

Ferre, C. L., Brandão, M., Surana, B., Dew, A. P., Moreau, N. G., & Gordon, A. M. (2017). Caregiver-directed home-based intensive bimanual training in young children with unilateral spast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9(5), 497-504. 10.1111/dmcn.13330 27864822

14. 

Gibbs, V., & Toth-Cohen, S. (2011). Family-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and tele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5(4), 298-314. 10.3109/07380577.2011.606460 23899082

15. 

Giesbrecht, E. M., & Miller, W. C. (2019). Effect of an mhealth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older adults: A feasibil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00(11), 2159-2166. 10.1016/j.apmr.2019.06.010 31336101

16. 

Global Market Insights. (2020). Digital health market size by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s://www.gminsights.com/industry-analysis/digital-health-market

17. 

Hansen, H., Bieler, T., Beyer, N., Kallemose, T., Wilcke, J. T., Østergaard, L. M., ... Godtfredsen, N. S. (2020). Supervised pulmonary telerehabilitation versus pulmonary rehabilitation in severe COPD: A randomised multicentre trial. Thorax, 75(5), 413-421. 10.1136/thoraxjnl-2019-214246 32229541 PMC7231436

18. 

Hwang, N. M. (2002). The status of home nursing care program and policy suggestions for homebound elderly patient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71, 38-44.

19. 

Jennett, P. A., Hall, L. A., Hailey, D., Ohinmaa, A., Anderson, C., Thomas, R., ... Scott, R. E. (2003). The socio-economic impact of telehealth: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9(6), 311-320. 10.1258/135763303771005207 14680514

20. 

Kizony, R., Weiss, P. L., Harel, S., Feldman, Y., Obuhov, A., Zeilig, G., & Shani, M. (2017). Tele-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journey from prototype to robust in-home us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9(15), 1532-1540. 10.1080/09638288.2016.1250827 28004980

21. 

Krupnick, J. L., Green, B. L., Amdur, R., Alaoui, A., Belouali, A., Roberge, E., ... Dutton, M. A. (2017). An internet-based writing intervention for PTSD in veterans: A feasibility and pilot effectiveness trial.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9(4), 461-470. 10.1037/tra0000176 27607767

22. 

Ku, J. H., Im, H. J., & Kang, Y. J. (2014).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using virtual reality after stroke. Brain & Neurorehabilitation, 7(1), 30-38. 10.12786/bn.2014.7.1.30

23. 

Langbecker, D. H., Caffery, L., Taylor, M., Theodoros, D., & Smith, A. C. (2019). Impact of school-based allied health therapy via telehealth on children’s speech and language, class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5(9), 559-565. 10.1177/1357633X19875848 31631760

24. 

Linder, S. M., Rosenfeldt, A. B., Bay, R. C., Sahu, K., Wolf, S. L., & Alberts, J. L. (2015).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after stroke through tele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2), 6902290020p1-6902290020 p10. 10.5014/ajot.2015.014498 26122686 PMC4480056

25. 

Little, L. M., Pope, E., Wallisch, A., & Dunn, W. (2018). Occupation-based coaching by means of telehealth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2), 7202205020p1- 7202205020p7. 10.5014/ajot.2018.024786 29426380

26. 

Occupational Therapy Australia. (2020). Telehealth guidelines. Retrieved from https://www.otaus.com.au/member-resources/covid-19/telehealth

27. 

Packer, T. L., Brink, N., & Sauriol, A. (1995). Managing fatigue: A six-week course for energy conservation. Tucson, AZ: Therapy Skill Builders.

28. 

Park, G. S. (2012). Research on utilizing U-health to provide telehealthcare to the elderly in rural areas. E-Business Studies, 13(1), 463-486. 10.15719/geba.13.1.201203.463

29. 

Park, K. S., Park, M. H., Kim, K. O., Park, S. J., Kim, S. S., Lee, I. K., ... Kim, K. A. (2012). Mobile phone based asthma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 369-378. 10.5392/JKCA.2012.12.01.369

30. 

Renda, M., & Lape, J. E. (2018).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elehealth occupational therapy home modification interv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elerehabilitation, 10(1), 3-14. 10.5195/IJT.2018.6244 30147839 PMC6095682

31. 

Rentinck, I. C. M., Ketelaar, M., Jongmans, M. J., & Gorter, J. W. (2007).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eview of factors related to the process of adaptation.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3(2), 161-169. 10.1111/j.1365-2214.2006.00643.x 17291320

32. 

Roski, J., Bo-Linn, G. W., & Andrews, T. A. (2014). Creating value in health care through big data: Opportunitie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ffairs, 33(7), 1115-1122. 10.1377/hlthaff.2014.0147 25006136

33. 

Rotondi, A. J., Haas, G. L., Anderson, C. M., Newhill, C. E., Spring, M. B., Ganguli, R., ... Rosenstock, J. B. (2005). A clinical trial to test the feasibility of a telehealth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schizophrenia and their families: Intervention and 3-month findings. Rehabilitation Psychology, 50(4), 325-336. 10.1037/0090-5550.50.4.325 26321774 PMC4552359

34. 

Smith, R. D., & Widiatmoko, D. (1998). The cost-effectiveness of home assessment and modification to reduce falls in the elderl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2(4), 436-440. 10.1111/j.1467-842X.1998.tb01410.x 9659769

35. 

Stowe, S., & Harding, S. (2010). Telecare, telehealth and telemedicine. European Geriatric Medicine, 1(3), 193-197. 10.1016/j.eurger.2010.04.002

36. 

Thomas, C. L., Man, M. S., O’Cathain, A., Hollinghurst, S., Large, S., Edwards, L., ... Salisbury, C. (2014).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a telehealth intervention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long-term conditions: Study protocol for two link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rials, 15(1), 36. 10.1186/1745-6215-15-36 24460845 PMC3906859

37.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2014). Position statement: Telehealth. Retrieved from https://wfot.org/resources/telehealth 10.5195/IJT.2014.6153 25945221 PMC4352997

38. 

Yuen, H. K. (2013). Effect of a home telecare program on oral health among adults with tetraplegia: A pilot study. Spinal Cord, 51(6), 477-481. 10.1038/sc.2012.176 23318557 PMC3628960

39. 

Zylstra, S. E. (2013). Evidence for the use of telehealth i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Schools, & Early Intervention, 6(4), 326-355. 10.1080/19411243.2013.860765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