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섭식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Ⅰ. 서 론

섭식(feeding)은 촉각, 고유감각, 전정감각 통합을 통 해 구강 감각-운동 기능, 몸통 및 머리 자세, 호흡-삼킴 협응, 다양한 감각으로 이루어진 음식의 안전한 섭취 등 이 포함된 복합적인 활동이다(Morris & Klein, 2000; Reinoso, Carsone, Weldon, Powers, & Bellare, 2018). 구강기능은 각성 조절, 구강 감각 적응, 침흘림 조절, 섭 식 및 언어발달을 가능하게 하고, 자세조절을 통한 눈- 손 협응, 자세-안구 조절, 실행 기능 발달에 기초가 되며 넓게는 칫솔질 등 구강건강까지 포함된다(Kim & Hong, 2011; Morris & Klein, 2000; Stein, Polido, & Cermak, 2012). 따라서 섭식과 구강기능 조절을 위한 촉각, 고유 감각, 전정감각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Cheung & Siu, 2009; Kang & Kim, 2010; Reinoso et al., 2018).

촉각에 예민하면 모유수유 거부, 빨기 유지 어려움, 새로 운 음식질감 거부, 음식혐오, 편식, 음식민감성 등이 나타 날 수 있다(Spira & Kupietzky, 2005; Suarez, 2015). 구강방어는 감각조절장애의 촉각방어 중 특정 음식질감, 칫솔질 같은 구강활동을 회피하는 증상이다(Cermak, Curtin, & Bandini, 2010; Spira & Kupietzky, 2005). 고유감각과 전정감각 통합은 자세, 근 긴장도, 균형 발달 을 향상시키고, 구강 구조물과 자세 조절 능력은 호흡, 침 흘림과 같은 구강기능 문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구강과 자세는 상호 연관이 있다(Kim & Hong, 2011; Oetter, Richter, & Frick, 1995; Park, Lee, Kim, & Chang, 2013). 따라서 구강감각 문제는 섭식, 구강운동, 침흘림, 호흡, 구 강건강등 다양한 어려움을 유발하며 성장, 발달, 음식섭 취, 영양문제가 동반된다(Cermak et al., 2010; Cheung & Siu, 2009; Nadon, Feldman, Dunn, & Gisel, 2011; Reinoso et al., 2018; Stein et al., 2012). 이러한 문제 는 자폐 등 전반적 발달 장애, 뇌성마비아동에게서 흔하 게 나타나며, 일반 아동도 감각방어와 섭식 사이에 연관 성이 있다(Dunn, Myles, & Orr, 2002; Kang, Chang, & Kim, 2011; Reinoso et al., 2018; Seo & Min, 2019; Smith, Roux, Naidoo, & Venter, 2005).

감각통합은 신체와 환경에서 오는 감각을 처리하고 조 직화하는 신경학적 기능이다(Cheung & Siu, 2009). 감 각통합치료는 촉각, 고유감각, 전정감각 경험을 제공하 여 감각조절, 구별, 자기조절, 자세조절, 운동계획, 실행기 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중재법이다(Ayres & Robbins, 2005; Park et al., 2013; Reinoso et al., 2018). 작업 치료사는 구강 민감성 감소 및 촉각자극, 식사 시간동안 의 각성상태, 감각조절, 호흡 및 구강운동기능 조절 등을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며, 촉각뿐 아니라 자세조절 과 구강움직임 협응을 고려하여 구강활동을 병행하는 감 각통합치료가 효과적이다(Addison et al., 2012; Oetter et al., 1995; Park et al., 2013; Suarez, 2015; Stein, Polido, Mailloux, Coleman, & Cermak, 2011).

건강관련 전문가는 근거중심치료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연구의 질적 수준 확인이 중요하다(Choi, Kim, & Park, 2012; Logan, Hickman, Harris, & Heriza, 2008). 단일 대상연구 설계(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는 기본 행동원리를 정의하고 근거중심수행 확립에 사용되는 체 계적이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재활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 제시 및 기존 이론을 타당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 제공이 가능해 근거중심 접근 수행 및 설계 확인에 유용 하다(Backman, Harris, Chisholm, & Monette, 1997; Horner et al., 2005).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대상자의 장애 정도가 다양하고 증상이 개별적이기 때문에 동질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단일대상연구 설계가 자주 사용된 다(Backman et al., 1997; Choi et al., 2012; Kwag, Sim, & Roh, 2014). 특히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경우가 많아 동일집단 구성에 어려움이 있고, 연구 대상자, 중재방법 및 결과측정도구 등에 따라 객관적인 치료효과 확인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일대상연구 설 계가 많이 활용된다(Kim, 2009; Kwag et al., 2014).

단일대상연구 설계 역시 충분한 방법론적 이해를 통해 양질의 연구수행이 가능하며 근거중심접근을 위한 연구 의 충실도 및 질적 수준에 대한 확인이 중요하다(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단일대상연구 설계에 서는 분석 단위, 대상자, 환경, 독립변수, 종속변수, 기초 선, 실험 통계, 시각적 분석, 외적타당도, 사회적 타당도, 적절한 연구문제 등 다양한 기준으로 질적 수준을 평가 한다(Choi et al., 2012; Horner et al., 2005).

섭식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 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체계적 고찰은 이루 어지지 않아 그 효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Addison et al., 2012; Choi, 2011; Hong & Kim, 2014; Kim, 2009; Kwag et al., 2014; Stein et al.,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섭식 및 구강기능 증진 에 미치는 감각통합치료 효과 확인을 위해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최근 10년(2011-2020)간의 국내 연구 문헌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연구 특성과 질적 수준 을 확인하여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본 연구는 2020년 9월 14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국 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활용하여 감각통 합치료가 섭식 및 구강기능 향상에 미친 효과와 관련된 단일대상연구 설계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2차 조사로 국내 감각통합치료 전문 학회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지 논문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2. 문헌 선정기준 및 수집 방법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감각통합, 감각통합치료, 감각자극, 구강방어를 주요 검 색 용어로 검색하였다. 저자가 제목과 초록을 수작업으 로 확인하여 대상 논문을 분류하고 이후 원문을 확인하 여 대상 논문 7편을 선정하였다(Figure 1). 선정 기준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글 원문을 제공하는 단일대상연구 설 계를 사용한 국내 학술 논문이었다. 청소년, 성인 대상, 사례연구, 집단연구, 고찰연구, 학위논문, 학술대회 발표 자료,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은 제외하였다.

Figure 1

PRISMA Flow Diagram for Literature Search and Study Inclusion

../figures/KJOT-29-1-101_F1.jpg

3. 분석 방법

대상 논문의 연구 내용 및 특성과 질적 수준을 분석하 였다. 연구 내용 및 특성은 대상자, 독립변수, 치료 시간, 회기, 기간, 중재 장소, 종속변수, 측정도구, 중재결과였 다(Choi et al., 2012).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은 Logan 등(2008)이 제시한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상세 분 석을 위한 구분은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기술, 독립변수, 종속변수, 설계, 분석의 다섯 가지 항목이었다(Table 1). 총 14문항으로 각 문항 당 1점으로 계산하며 총점은 14 점이다. 질적 수준은 1) 높은 수준(11-14점), 2) 중간 수준(7-10점), 3) 낮은 수준(7점미만)으로 해석한다.

Table 1

Rating Scales

../figures/KJOT-29-1-101_T1.jpg

4. 신뢰도

대상 논문을 분석하기 전 연구자들은 단일대상연구 설 계의 측정 척도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 구자들은 신뢰도 측정용 논문 3개를 개별적으로 읽은 후 측정 척도 기준에 맞추어 각각 분석하여 기본적인 일치 도 수준인 85%가 되도록 신뢰도 확인 과정을 진행하였 다(Odom et al., 2003). 신뢰도 측정 방법은 일치한 항 목의 수를 각각의 항목에서 일치한 항목의 수와 일치하 지 않은 항목의 수의 합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백분율 로 계산하였다. 연구자간 신뢰도 결과는 97.6%였다.

Ⅲ. 연구 결과

1. 분석대상 논문의 내용 및 특징

연도별 발간된 논문 수는 2011년. 2018년, 2019년 각 1편, 2013년, 2017년 각 2편이었다. 대상 아동은 자 폐스펙트럼장애 3명, 지적장애, 전반적 발달지연, 발달장 애 각 2명이었으며, 5명은 구강방어를 동반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명(6편), 3명(1편)이었다. 연령은 3세~6세 7개월로 3세 4명, 4세, 5세 각 1명, 6세 3명이었다. 치료 장소는 감각통합 치료실, 소아작업치료실, 두 곳 모두, 가 정 각 1편이었으며 3편은 설명하지 않았다.

독립변수는 감각통합 4편, 구강감각프로그램, 구강활 동, 구강놀이 등 구강 관련 중재 4편, 감각식이, 연하장애 치료, 윌버거 프로토콜, Ayres 감각통합 각 1편이었다. 한 가지 중재만 제공한 경우 1편(구강감각자극 가정 프 로그램), 2개를 동시에 중재한 경우는 6편이었다. 중재 회기 8-21회, 기간 4-12주, 시간 30-60분이었으며, 주로 구강감각활동 시간 10분을 추가하여 주 2-3회 치 료를 진행하였다. 종속변수는 식사, 호흡 2편, 균형, 자세 조절, 침흘림, 구강협응능력, 양치질, 음식 먹기, 구강 민 감도 각 1편으로 중재 후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Table 2).

Table 2

Characteristics of Studies

../figures/KJOT-29-1-101_T2.jpg

2.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 분석 결과, 높은 수준, 중간 수 준 각 3편(42.9%), 낮은 수준 1편(14.3%)이었다. 환경 및 대상에 대한 설명,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조작적 정 의, 연구 설계 기술, 그래프를 통한 적절한 시각적 분석은 대상 논문 모두 적절하게 기술하고 수행하였다. 독립변 수 조건의 조작적 정의, 연구 설계 형태에 대한 정확한 기술, 표준적 방법에 따른 그래프, 통계적검정 보고 및 사용된 통계분석의 준거 부합 여부는 6편(85.7%)이었 다. 통계검정 방법은 경향선, 2표준편차 구간, 평균값을 제시한 논문 각 1편, 경향선과 평균값을 동시에 제시한 논문 2편, 2표준편차 구간과 평균값을 함께 제공한 논문 1편이었다.

연구 설계는 모두 반전설계로 AB 4편(57.1%), ABA 3편(42.9%)이었다. 블라인드 중재는 없었으며, 유지를 확인한 연구는 1편, 일반화를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연 구 시작 전 측정자간, 측정자내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없었으며, 연구 기간 동안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5편 (71.5%)이었다. 5회 이상의 기초선 자료 안정화 과정을 거쳐 각 구간에서 적절한 데이터 수를 수집한 연구는 2편 (28.6%)이었다. 3명 이상의 대상자를 통해 중재 효과를 반복한 연구는 1편(14.3%)이었다(Table 3).

Table 3

Details of Rating Scales

../figures/KJOT-29-1-101_T3.jpg

Ⅳ. 고 찰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섭식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최근 10년 발표된 단일대상연구 설계 논 문의 질적 수준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논문은 총 7 편으로 2010년 이전에는 관련 논문이 없었고, 2013년 이후 발표 논문이 6편인 결과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관 심이 비교적 최근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Kwag et al., 2014).

분석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은 중간 이상이 6편 (85.7%)이었다. 이는 작업치료 분야에서 단일대상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중간 이상 100%) 확인, 감각통합치료 를 활용한 단일대상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중간 이상 100%)을 분석한 이전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하지만 낮은 수준의 연 구도 한 편이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분석논문의 특성 을 확인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질적 수준 평가지표의 세부항목별 분석 결과, 대상자 와 환경,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연구 설계 기술, 적절한 시각적 분석은 모든 논문에서 기술하 고 있었다. 이와 같은 지표는 이전 연구들에서도 90%이 상 기술되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독립변수 조건 의 조작적 정의, 연구 설계 형태에 대한 정확한 기술, 표 준적 방법에 따른 그래프, 통계적 검정 보고, 사용된 통계 적 분석의 준거 부합 여부 결과 역시 선행연구들과 유사 한 수준으로 작업치료 분야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설계 진 행에 따른 질적 수준이 적합하며 반복을 위한 연구 설계 및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 환경과 대상에 대한 기술이 적 절한 것으로 파악된다(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본 연구에서 주로 활용된 연구 설계는 AB(57.1%)로, ABA가 45.1%, 41.2%로 가장 높았던 선행연구와 차이 가 있었다(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이유 는 임상현장에서 아동에게 적용되다 보니 중재를 제공하 지 않고 기초선으로 돌아가는 ABA 적용이 어려웠기 때 문이라고 생각된다. Leong, Carter와 Stephenson(2015) 의 경우에도 전체 17개 논문 중 AB가 7개로 외국의 사례 에서도 현실적으로 AB 이상의 설계를 활용하는 것이 쉽 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B 설계는 내적, 외적 타당도 확보 및 반복적인 효과 측정 확인, 독립변수와 종 속변수 간 관계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확대 해석을 조심해야 한다(Kwag et al., 2014; Park, Kim, & Cho, 2005). 따라서 추후에는 대상자에게 치료를 지 속할 수 있는 윤리적 방법을 고려하여 ABA 이상의 설계 를 통해 명확한 인과관계 확인을 위한 연구가 우선되어 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기간 동안 측정자간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71.5%로 신뢰도 측정 연구가 20% 정도로 낮았던 선행 연구에 비해 높았고, Kwag 등(2014)의 연구 결과 (70.6%)와는 유사하였다(Choi et al., 2012). 이는 작 업치료 분야에서 표준화된 평가도구로 종속변수를 측정 하는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치료사들이 단일대 상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 평가지표를 이해하고 이를 연 구에 반영하려 노력한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섭식 및 구강기능 측정이 기타 작업치료 평가 도구에 비 해 표준화율이 낮고 조작적 정의와 측정 방법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연구 결과 측정을 위해 검사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는 과정이 추가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체 치료 회기 전후로 일상생활평가도 구(WeeFIM), 한국형 섭취행동 검사 등으로 치료 결과 를 확인한 연구도 있어 다양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연 구 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기초선 과정에서 5회 이상 자료를 수집한 연구는 2편 (28.6%)이었는데 이는 기초선에서 안정화를 확인하 기에 자료가 부족하였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였다 (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단일대상연구 설계는 각 조건, 회기에서 반복 측정을 통해 결과를 확인 하는 과정이다(Logan et al., 2008). 기초선에서 자료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중재기에서 원인-결과 추론이 가 능해지도록 중재기 동안 반복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Backman et al., 1997; Logan et al., 2008). 안정적 인 자료는 큰 변화 없이 일관적이거나 다음 회기 자료 의 경향(안정, 증가, 감소 등)을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Bloom, Fischer, & Orme, 2006). 따라서 기초선에서 는 최소 3회, 중재기에서는 최소 5회 이상의 자료 수집이 필요하다(Choi et al., 2012). 또 다른 기준에서는 통계 분석 시행 전 적어도 10회 이상의 자료를 추천하고 있어 기초선과 중재기 모두 충분한 자료 확보를 통해 반응의 안정성과 변화 추세 확인이 필요하다(Backman et al., 1997).

7편 모두 결과 해석 방법으로 시각적 분석이 가능한 그래프를 제시하였으며, 6개 논문은 표준 방법의 그래프 작성, 통계 검정, 통계 분석의 준거 부합에 맞는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그래프 자료를 통한 시각적 분석은 단일대 상연구 설계의 전통적 방법으로, 그래프만으로는 결과 해석이 유동적일 수 있어 경향선이나 2표준편차 구간 표 시 등과 같은 통계 분석을 통한 추가적인 기술이 시각적 확인을 증명하고 강화해준다(Backman et al., 1997). 이전 연구에서 적절한 시각적 분석 수행이 29%로 낮았 지만, 이후 Kwag 등(2014)의 연구에서는 82.4%로 높 아진 것을 보면, 최근 연구들은 그래프의 중요성을 잘 인 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추가적인 통계분석을 제공하여 그래프만 제 시하였을 때 발생할 수도 있는 해석의 오차를 줄이려는 과정이 있었다(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중재 블라인드 항목을 실행한 논문은 없었는데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작업치료의 여건상 연구내용을 모르기가 어렵고 연구자와 치료 받는 아동이 서로 중재 블라인드를 적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거의 불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Choi et al., 2012; Kwag et al., 2014). 하지만 연구의 내적 신뢰도를 높이 기 위해 중재 블라인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중요 하기 때문에 연구를 진행할 때 중재 블라인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Choi et al., 2012). 유지 및 일반화 관련 항목에서 유지를 확인한 연구는 1편, 일반화를 확인한 연 구는 없었다. 이는 Choi 등(2012)의 연구에서 유지 (25.8%)와 일반화(12.9%)를 확인한 비율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데 섭식 및 구강기능이 특정 상황에서 일어나 고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폐, 지적장애, 전반적 발달장애가 많았던 선행연구와 비슷하였으나, 뇌성마비 비율이 높았 던(16.1%) Choi 등(2012)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는 데 이는 감각통합치료를 포함한 작업치료 전반에 대한 분석이었기 때문에 뇌성마비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 다(Kim, 2009; Kwag et al., 2014; Leong et al., 2015). 뇌성마비는 구강 내 감각을 포함해 자세 조절 등 촉각, 고유감각, 전정감각과 관련한 섭식 및 구강기능 저 하가 주요 증상이고 이미 다양한 연구에서 감각통합접근 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추후 이에 관련한 연구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Hong & Kim, 2014; Kim & Choi, 2013; Seo & Min, 2019).

대상자 수는 선행연구에서 대상자 수가 3명 이상인 경 우가 2편, 1-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7편으로 낮았던 결과와 유사하였다(Kwag et al., 2014; Leong et al., 2015). 이는 임상 환경에서 유사한 조건의 대상자를 확 보하여 탈락 없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단일대상연구 설계는 대상자를 두 개의 치료 상황에 노출시켜 대상자 스스로가 통제군 이 되는 방법으로 한 명 이상의 대상자에게 교차 반복을 통해 치료가 실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한다(Bloom et al., 2006; Logan et al., 2008). 다양한 대상, 상황, 연구 자에서 반복 시행하여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의 외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근거를 축적하기 때문에 적절한 수의 대상자를 통해 효과를 반복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 다(Backman et al., 1997). 따라서 앞으로 연구 수행에 있어 반복 측정을 통한 일반화가 가능한 충분한 수의 대 상자를 확보하는 것이 과제 중 하나로 보인다.

대상 아동은 모두 학령전기 아동이었다. 기존의 연구 에서는 본 연구에서 대상자 수가 많았던 4세를 기준으로 4세 이하 3명, 5세 이상 17명이었다(Kwag et al., 2014). Leong 등(2015)의 연구에서는 전체 13명 중 4 세 이하가 5명으로 본 연구 대상 참여 아동의 주요 연령 과 차이가 있었다. 이는 섭식 및 구강기능이 3세 정도까 지 급격히 발달하고 특히 구강감각 탐색 및 적응, 자세 조절, 호흡 등 종속변수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제공되는 치료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Morris & Klein, 2002).

독립변수는 감각통합, 구강감각프로그램, 구강활동, 구강놀이 등 구강관련 중재가 많았으며 6편에서 2개의 중재를 동시에 진행하여 한 가지 치료법을 사용한 이전 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Kwag et al., 2014). 구강은 신체에서 가장 예민한 부위 중 하나로촉각을 주로 제공 하는 구강관련 중재와 몸통, 운동 협응 조절을 위한 고유 감각, 전정감각과 다르고, 구강적응을 위해 촉각, 고유감 각, 전정감각의 통합을 기초로 한 종합적인 중재이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Bundy, Lane, Murray, & Fisher, 2002; Morris & Klein, 2002; Shin, Yoo, Lee, & Jung, 2017) . 구강감각 관련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더 명확하고 분명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특정 치료법만을 활 용하여 외적 타당도를 강화할 수 있는 연구도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의 중재 기간은 기존 연구에서 10-120회 기, 8-70분, 4-16주 등 다양한 것과 유사한 결과였다 (Choi, 2011; Kwag et al., 2014). 본 연구에서의 중재 시간은 대부분 40-60분으로 기존 연구에 비하여 연구 자별 큰 차이 없이 적정 시간을 적용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연구의 충실도(fidelity)에서 보았을 때 정확한 치 료 원리에 기초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증명하는 통일 된 과정이 중요하므로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Parham et al., 2011).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중재 기 간, 횟수, 시간에 따라 효과 크기의 차이가 있고 주 5회, 90분 치료의 효과 크기가 가장 크다고 하였다(Kim & Choi, 2013). 이는 섭식 및 구강기능 관련이 아닌 다른 종속변수의 효과이기 때문에 추후 섭식 및 구강기능 증 진을 위한 적절한 치료 회기와 시간에 따른 치료 효과 확 인이 시사되는 부분이다.

치료 장소는 감각통합치료실이나 소아작업치료실에 주로 치료가 이루어진 기존 연구와 유사하였다(Kwag et al., 2014). 이전에는 교육을 통해 보호자가 단독으로 가 정에서 중재를 제공한 결과를 확인한 연구가 없었으나, 양치질 등 주로 가정에서 일어나는 일상생활의 경우 가 정이라는 공간에서의 치료 효과를 알 수 있는 부분이었 으며 보호자 교육을 통한 가정연계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 수 있겠다.

종속변수로는 식사, 호흡, 균형, 자세 조절, 침흘림, 구 강협응능력, 양치질, 음식 먹기, 구강 민감도로 다양했으 며 중재 후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섭식 및 구강기 능에 관련된 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가 없어 명확한 비교는 어려우나 기존의 연구에서 자세 조절 및 호흡 관련 연구 6편, Choi 등(2012)의 연구에서는 뇌졸 중 환자를 대상으로 1편의 연하치료 연구가 있어 섭식 및 구강기능 분야에 있어 구강 감각, 자세조절, 호흡 등의 감각통합치료 효과의 꾸준한 확인이 필요할 것이다 (Kwag et al., 2014).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국내 연구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국외 및 다른 치료법을 활 용한 연구는 제외되어 다양한 내용을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러나 연하 재활, 섭식, 구강기능 관련 치료에 있어서 주로 구강운동치료 또는 행동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 가 많은 상황에서 최근 10년간 발표된 논문 분석을 통해 섭식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체계 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Jung, 2017; Seo & Min, 2019). 본 연구 결과 더 높은 수준의 질적 연구 수 행을 위해, 3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 실시, AB 이상 반복할 수 있는 반전 설계의 활용, 유지 및 일반화 여부의 확인, 중재 블라인드 적용을 통한 단일대상연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부 족한 섭식 및 구강기능 관련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확 인하는 연구의 지속적인 수행도 요구된다.

Ⅴ. 결 론

연구 대상 7편의 논문 중 6편이 중간 수준 이상의 질적 수준을 보였다. 감각통합치료 분야에서 대상, 환경, 변수 에 대한 명확한 설명,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결과 분석 등 충실하게 단일대상연구 설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촉각, 고유감각, 전정감각을 활용한 감각통합치료가 섭식, 침흘림, 자세와 호흡, 구강 감각, 양치질 등 다양한 섭식 및 구강기능에 효과가 있으 며 단일대상사례 연구가 효과적인 연구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Addison, L. R., Piazza, C. C., Patel, M. R., Bachmeyer, M. H., Rivas, K. M., Milnes, S. M., & Oddo, J. (2012). A comparison of sensory integrative and behavioral therapies as treatment for pediatric feeding disord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45(3), 455-471. 10.1901/jaba.2012.45-455 23060661 PMC3469287

2. 

Ayres, A. J., & Robbins, J. (2005).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Understanding hidden sensory challenges (25th ed.). Torrance,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 

Backman, C. L., Harris, S. R., Chisholm, J. A. M., & Monette, A. D. (1997). Single-subject research in rehabilitation: A review of studies using AB, withdrawal, multiple baseline, and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10), 1145-1153. 10.1016/S0003-9993(97)90142-8

4. 

Bloom M., Fischer J., & Orme, J. G. (2006) Evaluating Practice: Guidelines for the Accountable Professional (5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al Inc.

5. 

Bundy, A. C., Lane, S., Murray, E. A., & Fisher, A. G. (2002). Sensory integration. Philadelphia, PA: F. A. Davis.

6. 

Cermak, S. A., Curtin, C., & Bandini, L. G. (2010). Food selectivity and sensory sensitiv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0(2), 238-246. 10.1016/j.jada.2009.10.032 20102851 PMC3601920

7. 

Cheung, P. P., & Siu, A. M. (2009). A comparison of patterns of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0(6), 1468-1480. 10.1016/j.ridd.2009.07.009 19665348

8. 

Choi, J. S. (2011).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1(2), 71-79.

9. 

Choi, Y. I., Kim, E. J., & Park, E. Y. (2012). Review the level of quality of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in the field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by us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4), 111-124. 10.14519/jksot.2018.26.4.09

10. 

Choi, Y. W., Jung, H. R., & Kim, K. M. (2013).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reathing and oral diadochokinetic movem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 1-9.

11. 

Dunn, W., Myles, B. S., & Orr, S. (2002). Sensory processing issues associated with Asperger syndrom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1), 97-102. 10.5014/ajot.56.1.97 11833406

12. 

Hong, E. K., & Kim, K. M. (2014).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Focus on studies of South Kore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3), 299-313. 10.15870/jsers.2014.09.53.3.299

13. 

Horner, R. H., Carr, E. G., Halle, J., McGee, G., Odom, S., & Wolery, M. (2005).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Exceptional Children, 71(2), 165-179. 10.1177/001440290507100203

14. 

Jung, S. H. (2017). A study on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food selectivity i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7, 1-23. 10.21214/kecse.2017.17.1.1

15. 

Kang, H. J., Chang, M. Y., & Kim, K. M. (2011).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41-49.

16. 

Kang, H. J., & Kim, K. M. (2010). Fee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8(1), 73-86.

17. 

Kim, K. M. (2009).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77-90.

18. 

Kim, E. J., & Choi, Y. I. (2013).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tud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4), 383-389.

19. 

Kim, K. M., & Hong, E. K. (2011).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breath abilities for mental retardation by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ngle subject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1), 33-44.

20. 

Kim, K. S. (2017).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634-641.

21. 

Kim, Y. S., Son, C. R., & Kim, K. M. (2018).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eating of a child with oral defensiveness: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 1-13. 10.18064/JKASI.2018.16.1.001

22. 

Kwag, S. W., Sim, J. M., & Roh, H. L. (2014).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ield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2(2), 25-36. 10.18064/JKASI.2014.12.2.025

23. 

Leong, H. M., Carter, M., & Stephenson, J. (2015). Systematic review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ingle case design stud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47, 334-351. 10.1016/j.ridd.2015.09.022 26476485

24. 

Logan, L. R., Hickman, R. R., Harris, S. R., & Heriza, C. B. (2008).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Recommendations for levels of evidence and quality rating.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0(2), 99-103. 10.1111/j.1469-8749.2007.02005.x 18201299

25. 

Morris, S. E., & Klein, M. D. (2000). Pre-feeding skills: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mealtime development. San Antonio, TX: Therapy Skill Builders.

26. 

Nadon, G., Feldman, D. E., Dunn, W., & Gisel, E. (2011). Association of sensory processing and eat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ism Research and Treatment, 2011, 1-8. 10.1155/2011/541926 22937249 PMC3420765

27. 

Odom, S. L., Brown, W. H., Frey, B. T., Karasu, N. K., Smith-Canter, L. L., & Strain, P. S. (2003).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Contributions for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3), 166-175. 10.1177/10883576030180030401

28. 

Oetter, P., Richter, E. W., & Frick, S. M. (1995). MORE: Integrating the mouth with sensory and postural functions. San Francisco, CA: PDP Press.

29. 

Parham, L. D., Roley, S. S., May-Benson, T. A., Koomar, J., Brett-Green, B., Burke, J. P., … Schaaf, R. C. (2011). Development of a fidelity measure fo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yre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2), 133-142. 10.5014/ajot.2011.000745 21476360

30. 

Park, E. Y., Kim, S. S., & Cho, K. S. (2005). Review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in Korea.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40(1), 65-89.

31. 

Park, H. S., Lee, N. H., Kim, K. M., & Chang, M. Y. (2013).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vestibular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drooling and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1), 337-354.

32. 

Reinoso, G., Carsone, B., Weldon, S., Powers, J., & Bellare, N. (2018). Food selectivity and sensitiv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defining the issue and evaluating interventions.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1), 36-42.

33. 

Seo, S. M., & Min, K. C. (2019). Systematic review of method for application of oral sensorimotor intervention for feeding disord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8(3), 31-41.

34. 

Shin, M. K., Yoo, E. Y., Lee, J. Y., & Jung, M. Y. (2017). The effects of an oral sensory stimulation home program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oral defensiveness: A single subje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13. 10.14519/jksot.2017.25.2.01

35. 

Smith, A. M., Roux, S., Naidoo, N. R., & Venter, D. J. (2005). Food choices of tactile defensive children. Nutrition, 21(1), 14-19. 10.1016/j.nut.2004.09.004 15729777

36. 

Spira, G., & Kupietzky, A. (2005). Oral defensiveness: Children with a dysfunction of sensory 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29(2), 119-122. 10.17796/jcpd.29.2.cgp2830l073vh358

37. 

Stein, L. I., Polido, J. C., & Cermak, S. A. (2012). Oral care and sensory concerns in autism.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5), 73-76. 10.5014/ajot.2012.004085 22917131

38. 

Stein, L. I., Polido, J. C., Mailloux, Z., Coleman, G. G., & Cermak, S. A. (2011). Oral care and sensory sensitiviti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pecial Care in Dentistry, 31(3), 102-110. 10.1111/j.1754-4505.2011.00187.x 21592164

39. 

Suarez, M. A. (2015). Multicomponent treatment for food selectivity in children: Description and case report.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30(3), 425-431. 10.1177/0884533614553638 25378354

40. 

Sung, G. Y., Choi, J. S., & Jung, H. R. (2019). Effects of active oral play and Ayres Sensory Integration (ASI) for child with oral defensiveness: Single subject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7(3), 1-13. 10.18064/JKASI.2019.17.3.001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