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작업치료 분야 연구동향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Ⅰ. 서 론

근거중심접근(Evidence-based practice; EBP)은 치료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치료적 전문성과 중재방법, 환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근거를 신중하고 합리적이며, 현명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서비스제공에 대한 효율 성을 증명하고 그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수단으로 중요하게 적용되고 있다(Kielhofner, 1997; Sackett, Rosenberg, MulrGray, Haynes, & Richardson, 1996). 현재 EBP는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성과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 고 있으며, 임상현장에서도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 되고 있다(Ko, 2014). 특히, 작업치료 과정에서도 EBP 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EBP을 통해 서비스 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되고 있다(Holm, 2000).

Park(2005)의 연구에 따르면, 작업치료 분야를 포함 하여 현재 출판된 보건의료 관련 학술지는 총 25,000종 류에 달하고 있으며, 하루에 발표되는 논문의 양도 대략 8,000편에 달하고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 치료서 비스 제공현장에서 EBP를 적용하여 실제 활용되고 있는 논문은 전체의 5%에 그치고 있으며, 작업치료 현장에서 도 EBP를 적용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는 6% 정도에 그치 고 있다고 보고되었다(Kang, Lee, & Kim, 2007). 이는 EBP를 활용한 접근과정에서 치료사들이 연구에 대한 낮 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근거의 활용 과정에서 보고된 연구들이 작업치료사의 임상적 근거가 될 수 있는 연구들로 보고되고 있는지 연구역량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Yoo, Lee, Lee, Park, & Yoo, 2011).

관련분야의 연구에 대한 관심과 연구역량을 효과적으 로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관련 분야 전문 학 술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이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연구동향 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련 분야의 연구 주제 변화와 동향, 그리고 관심사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방법으로 그 관심과 활용도가 지 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Kang, Yoon, & Moon, 2018). 연구동향 분석은 국내외 다양한 학회지를 중심으로 적용 되고 있으며, 작업치료 분야의 경우에도 대한작업치료학 회지, 작업치료 학위논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와 같 이 특정 학회지에 대한 연구와 보조공학 관련 연구와 같 이 특정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들이 지 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Cho, Park, Choi, & Bae, 2014; Jung & Chang, 2015; Lee & Kwon, 2015; Yoo et al., 2011).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분석결과에 대한 기술 적 제시로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양적지표를 활용한 연구들과 반대로 연 구동향에 대한 흐름과 변화를 분석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Kho, Cho, & Cho, 2013).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효 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사화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키 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 KNA)이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KNA는 광범위한 키워드들의 집단에서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그 개념과 키워드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연구주제 간 관계를 분석하여 시 각적으로 제시하는 데 효과적이다(Choi & Kim, 2019; Kang et al., 2018). Kim(2015)는 연구에서 KNA는 키 워드와 키워드 간의 거리를 2차원적으로 표현하고, 그 관 계를 선으로 표현하여 키워드 집단에서 중심이 되는 키 워드와 그 위치, 그리고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 로 분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서, Choi와 Kim(2019)는 연구주제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 의 발전방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하 였으며, 특정 시기와 영역에 출판된 연구들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특정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유 용하게 활용된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KNA가 지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작업치료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에서 KNA을 활용한 연구는 아직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키워드를 분석 대상으로 그 관계를 분석하여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93년 창간호부터 2019년 까지 게재된 총 721편의 논문을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설 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논문에서 제시된 키워드를 분석단 위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Lee, Han과 Kwon(2015) 등 다양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1단계 1993-1999년, 2단계 2000-2009년, 3단계 2010- 2019년으로 총 10년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은 대한작업치료 학회 홈페이지(http://www.ksot.kr)의 논문 검색란을 활용하여 수집되었다.

2. 분석 절차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 해 Figure 1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에 따 라 분석 대상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논문으로 설정하였 으며, 분석 대상에서 제시된 키워드를 분석 단위로 추출 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를 활용하여 분석 과정에서 키워 드들 간의 관계를 동일한 형태로 분석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모델링은 중복 포함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2 mode network에서 독립적인 개별 키워드로 분석을 가 능하게 하는 1 mode network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 한다. 이 과정에서 키워드들 간의 연결 수를 의미하는 연 결정도(degree)를 분석한 후 각 키워드들의 논문 출현 빈도수를 계산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2 mode network 에서 중복 포함된 키워드를 제거한 후 1 mode network 의 행렬로 변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 서 키워드 네트워크 모델링 후 KN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과 KNA의 수행은 본 연구의 연구자인 작업치료사 3인에 의해서 실시되었다.

Figure 1

Analysis Procedure

../figures/JKSOT-29-2-65_F1.jpg

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KNA은 NetMiner 4.0(Cyram, Co., Korea)을 활용 하여 분석되었으며, 네트워크의 분포와 Table 1과 같이 중심성에 대한 지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포의 지표로 밀도(density), 포괄성(inclusiveness), 고립(isolation) 정도를 분석하였고,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로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중심성 (betweenness centrality), 위세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심성 분석에서 1회 또는 5회 이상공동 출현하여, 출현 빈도가 높으며, 대한 작업치료학회지에서 핵심이 되는 위세 높은 키워드들과 연결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위 20개까지의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Table 1

Centrality classification

../figures/JKSOT-29-2-65_T1.jpg

KNA에서 네트워크 분포에 대한 지표인 밀도, 포괄성, 고립은 키워드 네트워크의 기본적 구조를 설명하며, 네 트워크 내 전체적인 키워드와 키워드들 간의 연결의 수, 한 키워드에 연결된 수와 같이 네트워크의 분포 특성을 설명한다. 밀도는 네트워크 내 키워드 간 연결된 정도를 설명하며, 키워드들 간에 얼마나 많은 관계를 맺고 있는 지 설명한다. 범위는 0-1이며, 0은 연결이 하나도 없는 상태, 1은 모든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 미한다. 밀도가 높으면 정보의 수집과 배포의 통로가 많 아 정보와 자원의 흐름이 증가한다. 포괄성은 네트워크 내 연결된 키워드의 개수를 의미하며, 네트워크 내 포함 된 총 키워드 개수에서 연결 관계가 없는 고립된 키워드 의 개수를 빼서 구하게 된다. 이에, 포괄성이 높을수록 네트워크 내의 키워드들의 연결정도는 높음을 의미한다. 고립은 다른 키워드들 간에 연결이 없는 독립적으로 위 한 키워드를 의미한다(Kho et al., 2013).

중심성에 대한 지표는 키워드가 전체 키워드 네트워크 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표현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키워드가 무엇인지 설명해준 다. 또한, 각각의 키워드들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지니 고 있는지, 그리고 키워드의 주변으로 어떤 관련 키워드 들이 연관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줘 키워드들 간 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Kim, 2015).

중심성 지표 중 연결중심성은 다른 키워드들과 연결된 정도를 중심으로 보는 개념으로 하나의 키워드와 직접 연 결된 키워드들과의 연결 정도를 측정하여 집단 내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KNA에서 연결중심성은 다른 키 워드들과 함께 사용될수록 높게 도출되기 때문에, 연결중 심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연구에서 주제 키워드로 많이 사 용됨을 의미한다(Kho et al., 2013). 매개중심성은 하나 의 키워드가 네트워크 내에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개념으로 분석결과 매개중심성이 높으 면 높을수록 전체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위치적으로 매개 자 혹은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Kim, 2018). 위세중심성은 연결된 다른 키워드들의 중요도를 함께 반영하는 지표로 네트워크 분석에서 위세중심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키워드의 변화에 따른 파급력 및 파급 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Kho et al., 2013).

Ⅲ. 연구 결과

1. 네트워크 분포 분석결과

네트워크 분포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2, Figure 2 와 같이 나타났다. 밀도는 .182, 포괄성은 100%, 네트워 크 내 고립된 키워드는 0개로 나타났다.

Table 2

Results of Network Distribution

../figures/JKSOT-29-2-65_T2.jpg
Figure 2

Results of Network Distribution

../figures/JKSOT-29-2-65_F2.jpg

2.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연결중심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이 나타 났다. 단계별 분석결과 1단계의 1-5순위는 뇌졸중 (.211), 일상생활활동(.083), 손기능(.073), 뇌성마비 (.064), FIM(.064) 순으로 나타났고, 2단계는 뇌졸중 (.636), 일상생활활동(.485), 작업치료(.364), 상지기 능(.273), 강제유도운동치료(.242) 순으로 나타났다. 3 단계에서는 작업치료(.813), 뇌졸중(.750), 체계적 고 찰(.625) 참여(.531), 노인(.500)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3

Results of Degree Centrality Among Key Words

../figures/JKSOT-29-2-65_T3.jpg

단계별 주요 키워드들에 대한 순위변동도 나타났다. 인지기능의 경우 1단계에서 19순위로 낮게 나났지만, 2 단계에서 13순위로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6순위로 높 게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순위의 상승이 나타났다. 뇌졸 중의 경우 1단계와 2단계에서 1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3단계에서 2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의 경우 1단계와 2단계에서 2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3단 계에 10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뇌성마비의 경우 1단계 에서 4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2단계에서 9순위로 낮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는 20순위로 나타났으며, 지속적 으로 순위의 하락이 나타났다. 삶의 질의 경우에는 1단계 에서 16순위로 나타났지만, 2단계에서 10순위로 상승하 였으며, 3단계에서 14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세부적인 키워드 변동을 살펴보면, 작업치료의 경우 2 단계에서 3순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1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노인의 경우 2단계에서 14순위로 낮 게 나타났지만, 3단계에서 5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치매의 경우 2단계에서 18위로 낮게 나타났지만, 3단계 에서 12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상지기능의 경우에 는 2단계에서 4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3단계에서 19 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3. 매개중심성 분석결과

매개중심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이 나타 났다. 단계별 분석결과 1단계의 1-5순위는 뇌졸중(.130), 손기능(.058), 스트레스(.040), 뇌성마비(.028), 발달장 애(.028) 순으로 나타났고, 2단계는 뇌졸중(.397), 일상 생활활동(.150), 작업치료(.128), 치매(.115), 뇌성마비 (.066) 순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작업치료(.184), 뇌졸중(.138), 체계적 고찰(.092), 인지기능(.055), 참 여(.04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4

Results of Betweenness Centrality Among Key Words

../figures/JKSOT-29-2-65_T4.jpg

단계별 주요 키워드들에 대한 순위변동도 나타났다. 뇌졸중의 경우 1단계와 2단계에서 1순위로 높게 나타났 지만, 3단계에서 2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뇌성마비 의 경우 1단계에서 4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2단계에서 5순위로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는 14순위로 낮게 나타 났으며, 지속적으로 순위의 하락이 나타났다. 일상생활 활동의 경우에는 1단계에서 9순위로 나타났지만, 2단계 에서 2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으며, 3단계에서 8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세부적인 키워드 변동을 살펴보면, 시지각의 경우 1단 계에서 19순위로 낮게 나타났지만. 2단계에서 18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작업치료의 경우 2단계에서 3순위 로 높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1순위로 순위가 상승하 였다. 노인의 경우 2단계에서 8순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 6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인지기능의 경 우 2단계에서 11순위로 나타났지만, 3단계에서 4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작업치료사의 경우 2단계에서 16순 위로 낮게 나타났지만, 3단계에서 13순위로 순위가 상승 하였다. 치매의 경우 2단계에서 4순위로 높게 나타났지 만, 3단계에서 7순위로 순위의 하락이 나타났다. 상지기 능의 경우 2단계에서 9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3단계에 서 16순위로 순위의 하락이 나타났다. 삶의 질의 경우 2단계와 3단계에서 10순위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4. 위세중심성 분석결과

위세중심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이 나타났 다. 단계별 분석결과 1단계의 1-5순위는 그룹치료(.447), 양육자(.447). 정신사회적발달(.447), 애착(.447), 반응 성애착장애(.447) 순으로 나타났고, 2단계는 신뢰도 (.662), 타당도(.662), 평가(.284), 뇌손상(.136), 뇌졸 중(.085) 순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신뢰도(.460), 타당도(.449), 참여(.257), 우울(.251), 인지기능(.241)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5

Results of Eigenvector Centrality Among Key Words

../figures/JKSOT-29-2-65_T5.jpg

단계별 주요 키워드들에 대한 순위변동도 나타났다. 타당도의 경우 1단계 11순위에서 2단계와 3단계 2순위 로 높게 나타났으며, 순위의 상승이 나타났다. 신뢰도의 경우 1단계 12순위에서 2단계와 3단계 1순위로 높게 나 타났으며, 순위의 상승이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의 경 우 1단계 15순위로 낮게 나타났지만, 2단계 8순위로 순 위가 상승하였고, 3단계에서 16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 다. 세부적인 키워드 변동을 살펴보면, 뇌졸중의 경우 2 단계 5순위로 높게 나타났지만, 3단계 9순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인지기능의 경우 2단계 16순위로 낮게 나타 났지만 3단계 5순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순위가 상승하 였다. 작업치료는 2단계 17순위로 낮게 나타났지만, 3단 계 13순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 편측무시의 경우 2단계 에서 19순위로 낮게 나타났지만, 3단계 17순위로 순위 가 상승하였다.

Ⅳ. 고 찰

KNA는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 주제의 문헌들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후 키워드의 동시 출현 빈도와 키워드 들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를 구 성하는 방법으로, 키워드들 간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키 워드들 간의 정보의 흐름이나 방향, 네트워크 내 키워드 의 위치를 파악할 있게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키워드 간 의 영향력과 파급력 등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 다(Kim, Kim, Lee, & Park, 2016; Lee, 2012). 작업치 료 서비스의 EBP 제공과정에서 KNA의 적용은 치료적 전문성과 중재방법, 환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을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Sackett et al., 1996). 이를 통해서 실제 치료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신중하고, 합리적이며, 현명하게 EBP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서비스 제공과정에 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하게 된다(Yoo et al., 2011).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NA를 활용하여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10년 단위로 분석하다. 그 결과, 키워 드들 간의 순위의 변화가 나타났다.

1단계 1993년에서 1999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 과, 검색된 총 52편의 논문들 중, 중복을 포함한 키워드 는 총 151개, 독립적인 개별 키워드는 총 110개로 나타 났다. 그 중에서 네트워크 출현빈도가 높은 상위 20개 키워드들 살펴보면, 뇌졸중(13회), 일상생활활동(6회), 뇌성마비(4회), MBI(4회), 손기능(4회) 순으로 나타났 다. 1단계는 1993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창간호부터 1999년 12월 출판 호까지의 시기로, 이 시기는 작업치 료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시작된 태동기로 정의되어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서, 초창기 연구자들은 대 부분 작업치료 임상가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이 직접적 으로 치료하는 대상과 치료적용에 대한 용어들이 키워드 로 분석되었다고 판단된다.

2단계 2000-2009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 색된 총 255편 논문들 중 중복을 포함한 키워드는 총 936개, 독립적인 개별 키워드는 총 596개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출현빈도가 5개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 는 상위 20개 키워드는 뇌졸중(47회), 작업치료(24회), 일상생활활동(18회), 작업치료사(13회), 삶의 질(11 회), 노인(11회) 순으로 나타났다. 2단계 시기에서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는 학술연 구재단의 등재후보지였고, 2008년부터 2009년까지는 학술연구재단의 등재지로 승격되었다. 이에 따라서, 작 업치료 연구의 성장기로 구분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본 격적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가 대외적으로 등재지의 위상을 갖추는 중요한 성장기였다고 판단된다. 이와 함 께, 1979년 연세대학교에서 시작된 작업치료학과가 1998년 광양보건대학교, 1999년에 동남보건대학교에 신설되기 시작하여 작업치료학과가 42개로 급격하게 증 가하게 된 시기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교수요원으로 성장하게 되는 계기로 발전되게 되면서, 연구 활동이 증가하게 된 시기로 판단된다. 또한, 5개의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면서 연구자들 또한, 성장하기 시 작한 시기였다고 판단되며, 연구의 질적, 양적 성장이 발 생하였다고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삶의 질과 노인에 대한 키워드가 부각된 것은 이 시기에 대한작업치료사협회와 한국치매협회의 노력으로 치매전문작업치료사 교육과정 을 2006년부터 운영하기 시작한 결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배출된 전문가들은 서울시 치매지원센터에 배치되 어 근무하면서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작 업치료가 시작되게 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에 기 초하여, 연구의 키워드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3단계 2010년에서 2019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 과, 검색된 총 414편의 논문들 중 중복을 포함한 키워드 는 총 1,748개, 독립적인 개별 키워드는 총 938개로 나 타났다. 그 중에서 출현빈도가 5개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낸 상위 20개 키워드는 뇌졸중(87회), 작업치료(65 회), 작업치료사(34회), 체계적 고찰(32회), 일상생활 활동(30회), 치매(23회) 순으로 나타났다. 3단계 시기 는 작업치료 학문의 발전기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가장 활발하게 논의된 연구주제들이 출현빈도가 높은 키워드 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발전과정 속에서, 대한 작업치료학회지는 지속적으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로 유지되었으며, 작업치료 학문의 발전을 이끌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대학에서 14개 작업치료학과의 개설과 8개 의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면서, 본격적으로 석⋅박사 졸 업생들이 배출되기 시작하게 되면서 연구자의 연구역량 이 강화되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어, 작업치료와 작업치료사에 대한 학문적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연구와 연구방법론적인 체계적 고찰이 중요한 키워드로 분석되었다고 판단된다. 치매 키워드의 경우에도,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를 대 비하기 위한 국가의 정책적인 변화가 반영되어 중요한 키워드로 부각되었다고 판단된다.

중심성에 대한 분석은 KNA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분석방법으로, 네트워크 내 키워드들의 중요한 역 할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한하며, 핵심키워드를 확인하 고, 순위화 할 수 있게 하여 키워드들 간의 상대적 관계를 비교분석할 수 있게 한다(Kang et al., 2018). 이에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들 간의 중심성을 분석하기 위 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상위 키워드들 은 1단계 1993년-1999년에서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손기능, 뇌성마비, FIM 순으로 나타났고, 2단계 2000년 -2009년에서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상지기 능, 강제유동운동치료 순으로 나타났다. 3단계 2010년 -2019년에서는 작업치료, 뇌졸중, 체계적 고찰, 참여, 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연결중심성은 하나의 키워드와 직접 연결된 키워드들 과의 연결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써, 다른 키워드들과 같이 많이 사용될수록 높게 도출되는 특성을 보인다. 이 에 따라서, 연결중심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연구 주제에 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Kim, 2015). 본 연구의 분석결과, 뇌졸중에 대한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 동안 뇌졸중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작업치 료에 대한 키워드가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연구를 통해서 작업치료의 정체성과 영향력 을 찾고자 하는 연구자의 노력으로 판단된다. 연결중심 성이 높은 키워드는 연구주제로 많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대한작업치료 학회지에서 중요한 키워드들을 판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매개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매개중심성이 높은 상위 키워드들은 1단계 1993-1999년에서 뇌졸 중, 손기능, 스트레스, 뇌성마비, 발달장애 순으로 나타났 고, 2단계 2000-2009년에서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작 업치료, 치매, 뇌성마비 순으로 나타났으며, 3단계 2010-2019년에서 작업치료, 뇌졸중, 체계적 고찰, 인 지기능,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은 하나의 키 워드가 네트워크 내의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는 정 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지표로써, 매개중심성이 높으 면 높을수록 전체 네트워크에서 위치적으로 매개자 혹은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판단하게 되며, 상이한 연 구주제 사이에서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키워 드로 판단할 수 있다(Kang et al., 2018; Kim, 2018).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 매개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들 은 키워드들 간의 관계에서 높은 매개 혹은 중개 역할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며, 다양한 연구주제를 통합하거나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융복합 연구를 적용할 경우 효율 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주제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Lee et al., 2018).

위세중심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세중심성이 높은 상위 키워드들은 1단계 1993-1999년에서 그룹치 료, 양육자, 정신사회적발달, 애착, 반응성 애착장애 순으 로 나타났고, 2단계 2000-2009년에서 신뢰도, 타당도, 평가, 뇌손상, 뇌졸중 순으로 나타났다. 3단계 2010-2019년에서는 신뢰도, 타당도, 참여, 우울, 인지 기능 순으로 나타났다. 위세중심성은 연결된 다른 키워 드들의 중요도를 함께 반영하는 지표로써, 위세중심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위세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의 영향력이 나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Kim, 2015).

본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의 위세중심성이 높게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와 관련된 부분이 발달한 작 업치료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이라는 개념은 객관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려운 특성이 있는데, 이를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작업치료 분 야의 다양한 평가도구들이 지속적으로 발달되고 있다. 또한, 평가도구는 작업치료에서 핵심이 되는 역할을 수 행하는 도구로 작업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 가수행을 전제로 한다. 이에 따라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수행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와 함께, 최근 연구에서 다양한 작업치료 평가도구의 국 내 표준화와 척도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신뢰 도와 타당도 키워드에 대한 위세 중심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작업치료의 과학적 위상을 높이고 근 거중심 치료를 실행하기 위해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 당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 단된다.

참여 키워드의 경우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 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작업치료가 2000년을 기점으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 disability, and health(ICF)와 작업치료실행체계가 도 입되면서 모든 연구들과 연결되는 핵심용어로 부각된 결 과로 판단된다. ICF가 발간되기 전까지는 전문가들 사이 에서 참여의 정의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Kim et al., 2016; Locke & Schweiger, 1979; Vroom & Jago, 1988). 하지만, ICF의 도입과 ICF에 기반을 둔 작업치 료실행체계의 도입으로 작업치료사들과 타 전문가 사이 에서 참여의 정의에 대한 일치점이 생겨나게 되었다고 판단된다(Kim et al., 2016). 이에 타 전문가들과 원활 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면서, 참여라는 키워드가 최 근 10년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서 증가하게 되었다고 판 단되며, 다른 키워드들과의 관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키워드로 부각되었다고 판단된다(Kearney & Pryor, 2004).

체계적 고찰 키워드의 경우에도 연결중심성과 매개중 섬성, 위세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Yoo, Lee, Kim과 Han(2016)의 연구에 근거하여, 과거에 비해 최근 10년간 작업치료 연구의 질적 수준이 과거에 비해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판단 되며, 연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근거중심의 정보를 얻는데 효과적인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연구방법론 적으로도 체계적 고찰 자체가 많은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Tomin & Borgetto, 2011; Yoo et al., 2016).

하지만, 중심성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서, 연결중심 성, 매개중심성을 적용한 키워드 간 네트워크에서 대부분 주요 키워드 빈도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또한, 네트워 크 분포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포괄성은 100%로 모든 키 워드들 간에 연결성은 높지만, 밀도가 .182로 낮게 나타 났다. 이는 연구가 집중된 측면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되 며, 연구에 있어서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도 있다 고 판단된다(Yi & Cha, 2018). 이에 따라서, 앞으로 작업 치료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주제와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 구의 범위와 질적 수준을 높여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의 중심성 분석결과에 의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의 분석결과에서 큰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한작업치료학회지는 1993년에 발간되어 2019년까지 총 27년간의 작업치료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주제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작업치료 분 야에서 연구 주제에 대한 다양성이 부족하여 이러한 제 한이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기초 하여,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 주제에 대한 다각화와 다양 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연결중심성 과 매개중심성에 대한 차이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기간을 증가시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또한, 분석기간의 적용이 10년 단위로 진행되어 연구 의 흐름과 추세를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데 용이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변화된 흐름과 추세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서, 연구의 주제별, 그리고 작업치료의 역사 속에서 발생된 다양한 이슈에 따라서 키워드들 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 지 분석기간을 세분하여 분석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 다. 이와 함께, 저자 네트워크 그리고 중요한 키워드들 간의 국내외 비교 등의 연구도 다각도로 분석하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로써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 가지는 학문적 의의는 기존의 방식으로 진행되어 오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방법을 KNA을 통 해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작업치료 분야에서 중 요시 되고 있던 주제가 무엇인지 시각적으로 파악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으며, 분석결과에서 제시된 중심성 이 높은 키워드들은 작업치료 분야를 이해하려는 사람들 에게 최신의 연구동향 및 연구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전체 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서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는 것에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고 판단된다.

대한작업치료학회지를 중심으로 한 KNA 결과 뇌졸중 과 작업치료가 중요한 연구주제였고 시대적 변화에 따라 아동과 관련된 뇌성마비에 대한 중심성은 현격하게 저하 된 것에 비해 초고령화 사회와 관련된 노인과 치매는 중 심어로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도구와 근 거중심 작업치료 관련 용어들이 최근에 부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작업치료 연구의 연결 중심성 과 매개중심성의 분석결과에서 키워드들 간의 차이가 분 명하지 않은 것은 연구의 다양화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해, 위세중심성에서는 명확한 구분이 되어 향후 연구에서 연결망의 본질을 확인하기 위해서 위세중심성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지속되어져야 할 것 이다.

References

1. 

Choi, C. H., & Kim, H. R.(2019).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women’s physical activity researches: Application of keyword network analysis.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21(1), 75-87.

2. 

Cho, H. Y., Park, S. J., Choi, S. H., & Bae, S. Y.(2014). Academic trend of the thesis in occupational therapy: Focusing on occupation therapy for adult patients.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4(2), 42-48.

3. 

Holm, M. B.(2000). Our mandate for the new millennium: Evidence-based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6), 575-585. 10.5014/ajot.54.6.57511100239

4. 

Jung, N. H., & Chang, M. Y.(2015).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From 2003 to 2014.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13(1), 45-56. 10.18064/JKASI.2015.13.1.045

5. 

Kang, D. H., Lee, J. E., & Kim, J. K.(2007). Perception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o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1), 13-23.

6. 

Kang, Y. J., Yoon, S. J., & Moon, K. H.(2018). Analysis of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ental Science, 18(6), 380-388. 10.17135/jdhs.2018.18.6.380

7. 

Kearney, P. M., & Pryor, J.(2004).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n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2), 162-170. 10.1111/j.1365-2648.2003.02976.x15056329

8. 

Kho, J. C., Cho, K, T., & Cho, Y. H.(2013).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in management of technolog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9(2), 101-123.10.13088/jiis.2013.19.2.101

9. 

Kielhofner, G.(1997). Conceptual foundations of occupational therapy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10. 

Kim, W. J.(2018). A study o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and the knowledge structure of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keyword network. Korean Association of Piano Pedagogy, 19(1), 1-30.

11. 

Kim, Y. H.(2015). Social network theory revision. Seoul, KR: Parkyoungsa.

12. 

Kim, Y. J., Kim, M. Y., Lee, J. H., & Park, H. Y.(2016).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improving particip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89-108. 10.14519/jksot.2016.24.1.08

13. 

Ko, H. J.(2014).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related to implementing Evidence- Based Practice (EBP) among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KR.

14. 

Lee, J. Y., Han, S. H., & Kwon, K. S.(2015). A study on Korean legal research trend during the last 10 years ba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Ajou Law Research, 8(4), 519-539. 10.21589/ajlaw.2015.8.4.519

15. 

Lee, S. W., & Kwon, H. C.(2015). Research literature in assistive technology for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by using 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4), 121-137. 10.15870/jsers.2015.12.54.4.121

16. 

Lee, W. J.(2018). Recent research trend analysis of elderly welfar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0(2), 31-39. 10.34264/jkapa.2018.10.2.31

17. 

Locke, E. A., & Schweiger, D. M.(1979).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ne more loo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10), 265-339.

18. 

Park, M. H.(2005). Theory: Practical examples of applying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Query, 13(2), 60-76.

19. 

Sackett, D. L., Rosenberg, W., MuirGray, J. A., Haynes, R. B., & Richardson, W. S.(1996).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ritish Medical Journal, 312(13), 71-72. 10.1136/bmj.312.7023.718555924PMC2349778

20. 

Tomlin, G., & Borgetto, B.(2011). Research pyramid: A new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2), 189-196.10.5014/ajot.2011.00082821476366

21. 

Vroom, V. H., & Jago, A. G.(1988). The new leadership: Managing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22. 

Yi, S. Y., & Cha, J. K.(2018). The analysis on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researches in 2008∼2017.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22(4), 207-222. 10.34262/kadd.2018.22.4.207

23. 

Yoo, E. Y., Lee, J. S., Lee, J. Y., Park, H. Y., & Yoo, J. E.(2011). Research literature in Korean occupational therapy by using 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1), 29-41.

24. 

Yoo, E. Y., Lee, M. J., Kim, S. Y., & Han, S.(2016).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2011 to 201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4), 149-159. 10.14519/jksot.2016.24.4.11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