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건강 기능장애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델파이 예비연구



Ⅰ. 서 론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향후 고령인구 구성비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사회의 돌봄 부담 및 노인 의료비가 급속도 로 가증될 것으로 예상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1). 이로 인해 노인의 건강이 국가 경제적 및 사회적 으로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선 건 강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2020년에 개정된 작업치 료 실행체계 4판(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4; OTPF-4)의 작업영역에 건강관리(health management) 영역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노인의 건강을 평가 하고 그에 맞는 중재를 제공해주거나 라이프스타일을 제 안해주는 것이다(Hammond, 2004). 현재 지역사회에 서 활동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추세는 작업치료사가 건강 전문가로서 적합 한 자격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Min, Kim, & Woo, 2020).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를 적용하는 중재 대상은 다양하다. 그 중 치매환자,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도 많은 중재를 적용하기 때문에 작업치료사는 노인의 건강 기능 관리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Min et al., 2020).

건강 전문가가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환을 예방 하기 위해선 정확한 현황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Patrizio, Calvani, Marzetti, & Cesari, 2021). 많은 나라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노인의 현황을 분석하 기 위해 패널조사를 시행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연구패널 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를 통해 2년 주기로 노인과 관련된 가족관계 및 주거, 삶 의 질과 관련된 항목을 조사하고 있다(Choi, Park, Cho, Chun, & Park, 2016). 이러한 전 국민 대상 패널조사를 이용하여 고령화 사회에서 야기되는 현상 및 사회적 이 슈 등을 조사하고 있다. 패널조사를 통해 조사된 내용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분석되고 있으며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현황 분석 외에 정확한 평가 또한 필요하다. 노인 의 건강과 기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World Health Organization(WHO)에서 제시한 건강한 노화 이론의 중요 요소이다. 특히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에 게는 건강과 기능상태가 더욱더 중요시되므로 이를 평가 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특 정 영역에만 초점되어 있거나 특정 질병과 관련된 영역 만 조사한다는 한계점이 있다(Lee et al., 2009; Shin et al., 2002). 2002년에 개발된 한국형 노인 건강상태 평가도구는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기능, 성생 활, 전반적인 건강상태 인식, 신체 통증 영역으로 구성되 며 평가 영역을 삶의 질 개념과 통합시켜 개발되었다. 해 당 평가도구의 평가 범위에는 인지와 관련된 기능을 평 가하는 항목이 포함되지 않아 노인의 인지 건강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또한, 노인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 평가도구로서의 장점이 두드러져 있어 노인의 건강 기능저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한계점이 있었다(Shin et al., 2002). 그 이외에 Lee, Kim과 Kwon(2004)의 연 구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영역으로 나누어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했으나, 대상자가 노인전문병원 에 입원한 노인이었다. 해당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도구 의 신체적 영역에는 옷 입고 벗기, 신체 청결, 몸치장하기 등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입 원 노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Lee, Kim, & Kwon, 2004).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을 평가하고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부족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을 앞 둔 우리나라의 정책과 타 국가와의 정책의 비교를 제한 한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복지정책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노인의 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Lee et al., 2009). 정책의 시행 전과 후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지 만 정책의 발전 도모를 위해서는 타 국가와의 비교도 필 수적인 부분이다(Park, 2001). 타 국가와의 비교를 통 해 아시아 국가의 노인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 된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야 한다(Park, 2001). 중국, 일본, 한국은 같은 동북아시 아 국가로 사회적, 문화적 공통점이 많아 비교하기 적절 하다. 그러나 각 국가마다 노인들의 실태를 파악하는 방 법 및 조사 항목이 다르므로 이질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 문에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Ku et al., 2004; Yoon, Kim, & Kim, 2013).

WHO는 신체 기능, 신체 구조, 활동과 참여, 그리고 환경적, 개인의 요인의 관련변수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분류 기준의 틀인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를 개발했 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ICF의 세부항 목은 다양한 대상자들의 기능저하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각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평가할 수 있도록 1,495개의 범주를 구성하고 있는 도구이다(Stucki & Grimby, 2004). 또한, 국제적으로 공통된 항목 및 용어를 사용하 기 때문에 국가 간의 문화적 차이 및 언어에 관계없이 통 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연구들은 뇌졸중 입원환자, 뇌졸중 외래환자, 암 환자, 관절염 환자 등 대상자 별로 ICF 세부항목을 활용하여 평가도구로 발 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ICF 세부항목을 활용하여 한국의 문화적 가치관과 맞도록 평가도구를 개발한 연구는 활발 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건강 기능장애를 평가하는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해 중국, 일본, 한국의 패널조사 항목을 이용하여 다양한 영역의 평가 세부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 된 항목과 ICF 세부 항목의 적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과정

본 연구의 연구과정은 총 4단계이며 1단계 문항 추출 과정, 2단계 추출된 문항과 ICF 모델과의 연결, 3단계 인지 및 신체기능 평가 항목의 델파이 조사, 4단계 전문 가 집단 대상 심층 인터뷰 조사 순서로 진행되었다 (Figure 1).

Figure 1

Delphi Procedure for an Item set of th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Measure

../figures/JKSOT-29-3-137_F1.jpg

1) 1단계: 문헌고찰 기반의 문항 추출 과정

기존의 문헌 고찰을 통해 패널조사를 활용하여 평가도 구를 개발한 선행연구의 접근법을 사용하여 조사항목을 추출하였다(Buz, & Cortés-Rodríguez, 2016; Cieza et al., 2015) 본 연구는 중국의 2013년 China Health and Retirement Survey(CHARLS), 일본의 2013년 Japanese Study of Aging and Retirement(JSTAR), 그리고 한국의 2012년 KLoSA을 사용하여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항목을 추출하였다. 각 패널 조사 별 설문지와 코드북을 활용하여 조사 항목 중 인지 및 신체 기능과 관련 있는 조사 항목을 추출한 뒤 중복된 항목을 제거하였다. 추출된 조사 항목을 나열한 뒤 항목 의 평가 내용에 따라 영역별로 범주화하였다. 위의 과정 은 세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의견이 동일한 경우 수정 없이 의견을 채택하였고 의견이 상이 한 경우 토론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2) 2단계: 추출된 문항과 ICF 모델과의 연결

조사항목을 추출한 이후, 추출된 문항이 측정하려는 신체 및 인지 기능을 ICF 모델의 세부항목과 연결시켰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세 명의 연구자는 WHO에서 제시한 ICF 영역 가이드북을 기반으로 추출 된 문항이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과 ICF 모델의 세부 항 목을 연결시켰다. 모든 과정은 각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의견이 동일한 경우 수정 없이 의견을 채 택하였고 의견이 상이한 경우 토론을 통해 의견을 수렴 하였다.

3) 3단계: 인지 및 신체기능 평가 항목의 델파이 조사

3단계에서는 2단계의 적합도를 평가한다. 1단계에서 추출된 조사 항목을 2단계에서 ICF 모델과 연결시켰고 연결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에서 델파이 기법 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전문가들에게 추 출된 조사 항목과 ICF 모델 세부항목의 적합도를 평가하 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문항의 적합도는 4점 리커 트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1: Not very fit, 2: Not fit, 3: Fit, 4: Very fit). 또한 문항 별 기타 의견을 취합 하였다.

4) 4단계: 전문가 집단 대상 심층 인터뷰 조사

델파이 조사 후 전문가 집단 중 부정적 응답을 기록한 인원을 대상으로 전화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심층 인 터뷰 조사는 기타 의견을 상세히 듣고자 탈락된 문항의 적합도가 낮다고 생각한 이유와 그 외 생각하는 바를 개 방형으로 질문하였다. 조사된 인터뷰는 평가 항목 결과 에 반영되지 않았다.

2. 델파이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의 델파이 전문가 집단은 두 그룹으로 구성하 였다. 첫 번째 그룹은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사이 며 두 번째 그룹은 국내 및 국외 대학교(중국, 일본) 작업 치료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인 그룹이다. 연구 목적과 과 정을 전화 및 메일을 통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들을 전문가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 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작업치료 임상가 7명, 국내 대학교 작업치료학 교수 1명, 국외 대학교 작업치료학 교 수 2명으로 총 10명이었다(Table 1, Figure 2). 2021 년 5월 1일부터 2021년 6월 15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이후, 탈락된 항 목의 이유를 조사하고자 전문가 집단 중 3명을 선정하여 집중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미래 캠퍼스 생명윤리심의위원회(Yonsei University Mirae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 였다(1041849-202104-SB-064-02).

Table 1

Expert Panel Group Descriptions

../figures/JKSOT-29-3-137_T1.jpg
Figure 2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Expert Panel

../figures/JKSOT-29-3-137_F2.jpg

3. 연구도구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조사항 목을 추출하기 위해 중국, 일본, 한국 각 국의 패널조사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각 국의 패널조사는 중국의 2013년 CHARLS, 일본의 2013년 JSTAR, 그리고 한국의 2012년 KLoSA이다.

1) CHARLS

중국의 CHARLS는 45세 이상의 중국 중년 및 노인 인구에 대해 전국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사이며 베이징대 학교가 주관하고 있다.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 경제 및 건강 상황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조 사항목은 인구통계학적특성, 가족 구조, 건강 상태 및 기 능, 만성질환, 생활습관 및 건강관련행동, 직장, 연금 및 소득, 우울, 일상생활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Zhao, Hu, Smith, Strauss, & Yang, 2014). 원시자료는 다음 링크 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http://charls.pku.edu.cn/).

2) JSTAR

일본의 JSTAR는 경제산업연구소와 히토츠바시 대학, 도쿄 대학이 실시하는 패널조사로 2007년부터 시작되었 으며 고령화 사회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50세 이상의 일본 인구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구체적인 조사항 목은 직장, 만성질환, 신체적 기능, 인지적 기능, 정신기 능, 영양, 건강관련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Hashimoto, 2015). 원시자료는 다음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rieti.go.jp/en/projects/jstar/).

3) KLoSA

한국의 KLoSA는 45세 이상 한국 중고령자를 대상으 로 인구고령화를 대비하기 위한 정책 및 제도연구의 필 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2006년부터 실시되었다. 구체적 인 조사항목은 인구학적특성, 삶의 만족도, 만성질환, 가 족구조, 건강관련습관, 일상생활 수행능력, 의료시설이 용으로 구성되어 있다(Boo, & Chang, 2006). 원시자료 는 다음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https://survey. keis.or.kr/klosa/klosa01.jsp).

4. 분석방법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항목의 합계와 평균, 표준편차, 내용 타당도 비율, 안정도를 계산하였다. 내용타당도 비 율은 전문가 집단의 응답을 바탕으로 각 항목에 대해 서 계산하였다. 각 문항의 내용타당도 비율은 Ayre와 Scally(2013)의 기준을 채택하였다. 기존에 널리 사용 되었던 Lawshe(1975)의 방법은 임계값의 산출 과정이 자세히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이항 확률에 의해 산출된 Ayre와 Scally(2013)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Ayre와 Scally(2013)의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 집단의 수가 10 명 기준으로 Content Validity Ratio(CVR)의 값은 .80 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타당도 비율이0.8 미만인 항목 에 대해서 세 명의 연구자가 항목 삭제 및 재검토를 논의 하였다. 문항의 일치성을 확인하기 위해 안정도를 분석 하였으며 안정도가 .5 이하인 문항은 전문가 패널들의 응 답 일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Sempik, Aldridge, & Becker, 2003).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SAS(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문항 추출

중국, 일본, 한국 각 나라의 패널조사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지와 신체 기능과 관련이 있는 조사 항목을 추출하였다. 전체 문항은 67개이며 인지 영역 5개의 세 부영역과 14개의 문항,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영역 9개 문항,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영역 9개 문항, 기타 활동영 역 28문항, 신체기능영역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Appendix 1, 2).

Appendix 1.

Survey Item Matched With ICF Model Item (Cognitive Function)

../figures/JKSOT-29-3-137_A1.jpg
Appendix 2.

Survey Item Matched With ICF Model Item (Physical Health)

../figures/JKSOT-29-3-137_A2.jpg

2. 추출한 항목과 ICF 모델과의 연결

1단계 과정에서 추출된 패널조사의 조사 항목을 ICF 모델과 연결하였다. 각 조사 항목이 평가하고 있는 영역 을 ICF 세부 항목 중 가장 유사한 개념과 일치시켰다. 예를 들어, 1단계 과정에서 추출된 Item 1은 인지-지 남력 영역에 해당되며 시간 지남력을 평가하는 항목으 로 질문은 오늘의 일, 월, 년을 물어보는 것이다. 이 항 목은 ICF의 b1140 시간에 대한 지남력 영역과 연결되 었다. 그 외의 항목 또한 위와 같이 연결시켰다. 본 연구 에서 사용된 ICF의 영역은 신체 기능 중 정신기능(ICF 코드 b110-b139), 신경근뼈대와 움직임에 관련된 기 능(ICF 코드 b710-b729), 활동과 참여의 학습과 지식적용(ICF 코드 d110-d179), 의사소통(ICF 코드 d310-d369), 이동(ICF 코드 d410-d489), 자기관리(ICF 코드 d510-d599), 가정생활(ICF 코드 d610-d669), 대인상호작용과 대인관계,(ICF 코드 d710-d779) 주 요 생활영역(ICF 코드 d810-d879), 지역사회 생활과 사회생활 및 시민생활이었다(ICF 코드 d910-d999) (Appendix 1, 2).

3. 델파이 조사 결과

1) 문항의 타당도 및 안정도

각 문항의 안정도와 CVR 값은 Table 2에 제시하였 다. 67개의 전체 문항 중 8개의 문항이 Ayre와 Scally (2013)의 CVR의 값인 .80을 이하이었으므로 삭제되 었다. 삭제된 항목은 7, 36, 39, 48, 49, 58, 65, 66번 문항이었다. 문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7번은 인지항 목으로 연속적으로 7을 빼는 계산 문항이었다. 36, 39, 48, 49, 58번은 기타 활동 항목으로 흥미있는 뉴스 혹 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 무릎꿇기와 쭈그려앉 는 자세가 가능한지, 친구의 집에 방문하는 것, 아픈 친 구 혹은 가족을 방문하는 것, 은행 계좌에서 현금을 입 금 혹은 인출하는 것이었다. 65, 66번은 건강관리와 관 련된 항목으로 음주 상태 관리와 흡연 상태 관리를 묻는 항목이었다. 그 외의 항목은 모두 최소 CVR값 .80 이상 으로 타당도가 높았다. 삭제된 항목 8개를 제외하고 59 개의 항목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2). 최 종 선정된 59개의 항목의 안정도 산출값이 모두 .5 이 하로 분석되었다.

Table 2

Content Validity Ratio and Stability of the 67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Items

../figures/JKSOT-29-3-137_T2.jpg

4. 전문가 패널 인터뷰

Table 3에 델파이 조사 이후 세 명의 전문가 패널에게 인터뷰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적합도를 낮게 평 가한 항목들의 주요 이유는 ICF 세부항목의 내용이 패 널조사의 조사항목의 부분만 포함된다는 것과 ICF 세 부항목의 내용과 패널조사의 조사항목이 불일치한다는 것이었다. 전문가 패널들은 Item 7번인 100에서 7을 빼는 것과 Item 36인 흥미있는 뉴스나 잡지를 읽거나 TV 프로그램을 보는 것은 ICF 세부항목의 내용과 불일 치하다고 인터뷰에서 답하였다. 그 이외에도 Item 39 번인 Stooping, Kneeling, Crouching의 어려움을 묻는 문항과 Item 48, 49번인 친구의 집을 방문하는 것, Item 58번인 돈 관리, Item 65,66번인 음주와 흡연 항 목은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된 활동이기 때문에 ICF의 세부항목의 부분만 일치할 뿐 전체를 대변하지 않으므 로 대부분의 전문가 패널들이 낮은 적합도라고 평가하였 다(Table 3).

Table 3

Cognitive Interview for the Removed Eight Items

../figures/JKSOT-29-3-137_T3.jpg

5. 최종 선정된 항목 결과

최종적으로 인지 영역 13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영 역 9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영역 9개, 기타 활동영역 23개, 신체기능영역 5개 문항, 총 59개의 문항이 선정되 었다(Table 2).

Ⅳ. 고 찰

본 연구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 시행 중인 패널조사의 항목을 기반으로 ICF의 세부항목과 적합성을 델파이 및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 한 예비연구이다. 평가 항목의 선정을 위해 4단계의 연구 과정을 거쳤으며 1단계는 문항의 추출 과정, 2단계는 추 출된 문항과 ICF 모델과의 연결, 3단계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연결된 문항의 적합성 판단, 4단계는 전문가 집 단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조사이다. 추출된 패널조 사의 항목은 67문항이었으나 델파이 및 인터뷰 과정을 거쳐 총 59문항이 선정되었다.

연구를 위해 추출된 문항은 총 67개였으나 델파이 및 인터뷰를 통해 삭제된 문항은 총 8개였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전문가 패널 중 3명에게 삭제된 문항의 이유와 의견을 인터뷰형식으로 수집하였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사항목이 묻고자 하 는 기능과 ICF의 세부항목의 내용과 일맥상통하지 않는 다. 두 번째, 조사항목의 조사 범위가 ICF의 세부항목 범 위보다 크다. 세 번째, 조사항목을 수행하기 위한 변수가 많이 존재한다. 종합된 의견은 항목의 특성과 연관된다. ICF의 델파이 설문조사를 위해 연구자들이 추출한 패널 조사의 조사항목은 활동의 여부를 묻는 문항이었다. 활 동이란 한 가지가 아닌 여러 요소가 모여 이루어진다. OTPF에 따르면 한 가지의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을 수행 하기 위해 대상자의 수행 패턴, 수행기술, 대상자 요소 등 여러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난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하지만 ICF의 세부항목은 매우 세분화되어 나뉘어져 있다. 예를 들면, ICF의 제 2단계 분류에 따르면 신체 기능 중 제 1장 정신기능은 일반 정신기능과 특정 정신기능으로 구 성되어 있다. 일반 정신기능은 의식기능, 지남력 기능 등 총 8개의 세부항목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의식기능은 의 식의 수준과, 질, 지속 등으로 구분된다. 예와 같이 세분 화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ICF는 여러 구성요소로 이 루어진 활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제약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의 패널조사를 이용하 여 문항을 추출하였다. 세 국가의 패널조사를 이용한 것 은 동북아시아 국가의 노인 건강 기능을 평가하여 비교 하고자 함이다. 세 국가는 현재 고령화 사회를 겪고 있으 며 이러한 인구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은 각 국가마다 다 르다(Lee, 2018). 중국은 고령화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 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장기요양 돌봄시스템의 지원을 확대시키는 등의 정책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 본은 고령화 사회에 진입이 빨랐기 때문에 중국과 한국 에 비해 고령화 사회를 대응하는 정책의 단계가 심화되 어 있다(Lee, & Han, 2019; Yu, 2017). 한국 또한 초고 령화 진입 전 노인 정책 및 보건 사업의 가속화가 진행되 고 있다. 중국, 일본, 한국의 노인의 건강 기능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은 각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과 보건 사업의 장점을 벤치마킹할 수 있다(Jeon, 2019). 그러 나 각 나라마다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가 상 이하기 때문에 비교 및 분석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국가를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문 항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세 국가는 비슷한 문화적 및 사 회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비교 및 분석하는 것 은 우리나라 공중보건의 제도적 방안 수립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국가의 국제 보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최종 선정된 항목 은 인지의 다양한 영역뿐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 일상생 활활동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항목은 영역별로 활동 혹은 과제의 여부를 묻고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영역의 항목은 매일 샤워를 하기 위해 누 군가의 도움이 필요한지, 기타 일상생활활동 영역의 항 목은 다른 사람의 집을 방문할 수 있는지 혹은 돈을 지불 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한다. 활동의 여부에 따라 건강 기능을 평가하는 것은 대상자가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수행하지 못하는 활동을 인식하게 하며 참여 수준을 파 악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Brown & Chien, 2010). 활동 은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만성질환의 발생을 감 소시키는 역할로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Kim & Rie, 2017).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기능 수 준을 활동과 참여 수준에 따라 분별하고자 하였으며 기 능의 개별적 요소보다 기능의 수행에 초점을 맞춘 평가 항목이다. 이러한 평가 항목은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 하기 위해 적절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정 질환을 대상으로 신체 혹은 인지 기능을 평가하 는 평가도구는 많이 존재하지만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 는 노인들의 기능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는 주관적 건강평 가에 의존하고 있으며 신체와 인지 기능을 함께 평가하 는 도구는 많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Kim & Oh, 2012; Kim & Koo, 2021; Suk, 2004). 주관적 건 강평가는 간단하게 본인의 건강을 평가할 수 있지만 주 관적 평가이므로 객관성이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기 힘들 다(Choi, 2016). 평가도구는 객관적인 정확성이 필요하 며 내용타당도가 우수해야 한다(Kim, Kim, Yoo, & Kim, 2013). 내용타당도는 조사 항목이 측정하고자 하 는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Lawshe, 1975).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Lawshe (1975)의 내용타당도 기준보다 엄격한 Ayre와 Scally (2013)의 내용타당도 기준을 적용하였다. 기존 Lawshe (1975)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패널집단이 10명일 때 .62였으나 Ayre와 Scally(2013)의 내용타당도는 이보 다 더 높은 기준인 .80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 헌고찰을 통해 내용 타당도의 기준을 높여 적용하여 높 은 내용 타당도를 가진 문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평가 분야에서 중요한 타당도의 한 유형인 내용타당도의 기준 을 높임으로써 노인의 건강 기능평가도구의 조사항목을 통해 충분한 내용을 평가하고자 하였다(Kim et al., 2013).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델파이 조사 시 중국, 일본, 한국 각 국의 패널조사를 기반으로 문항을 추출하 였기 때문에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세 나라의 작업치료사 혹은 작업치료학 교수들을 전문가 패널 집단 에 균등하게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해야했다. 그러나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로 인해 기존 에 계획하였던 인원수보다 감축된 인원으로 진행되었다. 추후 타당도 검증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한 대안법 을 강구하여 중국, 일본, 한국인을 대상으로 평가도구를 시행한 후 검증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 기능 장애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예 비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평가항목을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측정 도구 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의 패널조사의 조사항 목을 기반으로 노인의 건강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문항을 선정하는 예비연구이다.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 증하기 위해 델파이 및 인터뷰 기법을 이용하여 ICF모델 의 세부 항목과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패널조사의 조사 항목을 추출한 결과 총 67개의 문항이었으나 델파이 사 정 후 최종 선정된 문항은 총 59문항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문항은 노인의 건강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영역에 신체 및 인지영역 뿐만 아니라 활동의 요소 도 포함시켰다. 또한, 문항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추출 된 문항과 ICF 세부항목을 연결시켜 적합성을 평가하였 고 기존에 사용되었던 내용타당도 기준보다 상향 조정된 기준을 적용하였다. 노인의 건강기능을 평가하는 것은 고령화 사회의 현황을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문항은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 하는 평가도구 개발 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4th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4(suppl 2), 7412410010p7412410011-7412 410010p7412410087. 10.5014/ajot.2020.74S2001

2. 

Ayre, C., & Scally, A. J. (2013).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l methods of calc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7(1), 79-86. 10.1177/0748175613513808

3. 

Boo, K. C., & Chang, J. Y. (200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Research design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Survey Research, 7(2), 97-122.

4. 

Brown, T., & Chien, C. W. (2010). Top-down or bottom-up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Which way do we go?.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3(3), 95-95. 10.4276/030802210X12682330090334

5. 

Buz, J., & Cortés-Rodríguez, M. (2016). Measurement of the severity of disability in community-dwelling adults and older adults: Interval-level measures for accurate comparisons in large survey data sets. BMJ Open, 6(9), e011842. 10.1136/bmjopen-2016-011842 27612539 PMC5020766

6. 

Choi, Y. (2016). Is subjective health reliable as a proxy variable for true health? A comparison of self-rated health and self-assessed change in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south Korean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4), 431-459. 10.15709/hswr.2016.36.4.431

7. 

Choi, Y., Park, S., Cho, K. H., Chun, S. Y., & Park, E. C. (2016). A change in social activity affect cognitive fun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Analysis of a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2006-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1(8), 912-919. 10.1002/gps.4408 26833847

8. 

Cieza, A., Oberhauser, C., Bickenbach, J., Jones, R. N., Üstün, T. B., Kostanjsek, N., Morris, J. N., & Chatterji, S. (2015). The English are healthier than the Americans: Reall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4(1), 229-238. 10.1093/ije/dyu182 25231371 PMC4339758

9. 

Hammond, A. (2004). What is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18(4), 491-505. 10.1016/j.berh.2004.04.001 15301983

10. 

Hashimoto, H. (2015). Impacts of leaving paid work on health, functions, and lifestyle behavior: Evidence from JSTAR panel data. Retrieve from https://EconPapers.repec.org/RePEc:eti:dpaper:15114

11. 

Jeon, H. S. (2019). A study on the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scale for benchmarking of the elderly in Japa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8(6), 27-43. 10.35159/kjss.2019.12.28.6.27

12. 

Kim, H. H., Kim, S. R., Yoo, H. J., & Kim, J. W. (2013). Content validity of speech-language assessment items for the elderl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3), 347-373.

13. 

Kim, M. H., Rie, J. (2017). Influence of activity engagement of late adulthood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100-113.

14. 

Kim, S. H., & Oh, D. N. (2012). Developing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package for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9), 257-269. 10.5392/JKCA.2012.12.09.257

15. 

Kim, Y., & Koo, K. M. (2021). The effect of elderly’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n subjective health status.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29(1), 169-177.

16. 

Ku, H., Mo., Kim, J. H., Kwon, E. J., Kim, S. H., Lee, H. S., ... Jo, S. (2004).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3, 189-199.

17.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0.1111/j.1744-6570.1975.tb01393.x

18. 

Lee, G. H. (2018). The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s and policies in Korea, China, and Japa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62(0), 67-81.

19. 

Lee, J., & Han, J. (2019). A study on community care through examining community general support center in Japan.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37(3). 137-159. 10.29159/KJAS.37.3.5

20. 

Lee, K., Kim, S. H., & Kwon, M. S. (2004). Health status evaluation of residents of a specialized hospital for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2). 147-155.

21. 

Lee, S. H., Seon, W. D., Oh, Y. H., Lee, S. H., Oh, J. S., & Lee, S. G. (2009). The future policy issues for health of the elderly: Construction of functional independence promotion system of everyday living activity (Report No. 2009-22). Chungnam, K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2017 Elderly status survey. Retriev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4953&page=1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1). Health plan 2030, 2021~2030. Retrieve from https://www.khealth.or.kr/board/view?pageNum=1&rowCnt=8&no1=34&linkId=1002152&menuId=MENU00829&schType=0&schText=&boardStyle=Gallery&categoryId=&continent=&country=&contents1=

24. 

Min, K. C., Kim, E. H., & Woo, H. S. (2020). Job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 Focus on OTs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10(3), 37-52. 10.18598/kcbot.2020.10.3.04

25. 

Park, K. J.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aging welfare policy of east asian countries. Korea Social Policy Review, 8(2), 1-38.

26. 

Patrizio, E., Calvani, R., Marzetti, E., & Cesari, M. (2021). Physical functional assessment in older adults. Journal of Frailty & Aging, 10(2), 141-149.

27. 

Sempik, J., Aldridge, J., & Becker, S. (2003). Social and therapeutic horticulture: Evidence and messages from research. Loughborough, GB: Loughborough University.

28. 

Shin, H. C., Kim, C. H., Cho, B. L., Won, J. W., Song, S. W., Park, Y. K., ... Chung, S. P. (2002). The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4), 440-457.

29. 

Stucki, G., & Grimby, G. (2004). Applying the ICF in medicin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6(suppl 44), 5-6. 10.1080/16501960410022300 15370740

30. 

Suk, M. S. (2004). Ecological-systematic approach to subjective well-being of the aged at local communi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6, 237-261.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7).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Geneva, CH: WHO.

32. 

Yoon, S. H., Kim, B. S., & Kim, S. Y.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3), 379-388. 10.4040/jkan.2013.43.3.379 23893228

33. 

Yu, M. (2017).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China: Focusing in the 2017 long-term care insurance in Shanghai.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9, 78-97.

34. 

Zhao, Y., Hu, Y., Smith, J. P., Strauss, J., & Yang, G. (2014). Cohort profile: The China Health and Retirement Longitudinal Study (CHA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3(1), 61-68. 10.1093/ije/dys203 23243115 PMC3937970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