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 (Movement ABC-2)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Ⅰ. 서 론

운동기능은 아동들의 미래 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중 요한 요소이며, 운동기능 이외의 발달 기능을 연습하고 습득하기 위해 필수적이다(Piek, 2006). 운동기능은 아 동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 이외에도 실행기능, 인지적 능 력, 학습능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Poranen-Clark et al., 2015). Payne과 Isaacs(2017)의 연구에서도 운 동기능이 아동의 행동, 사회성, 인지 발달에 영향을 끼친 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움직임과 운동기술은 아동이 환경을 탐색하는 동안에 신체의 안정성과 조절을 위해 삶에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강조되고 있다(Cools, Martelaer, Samaey, & Andries, 2009; Henderson, Sugden, & Barnett, 2007).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운동 기술과 운동협응 능력이 아동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 를 예측할 수 있는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Barnett, van Beurden, Morgan, Brooks, & Beard, 2009; Lopes, Rodrigues, Maia, & Malina, 2011). 이와 반대로 운동 발달의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다양한 지각경험의 제한, 인지와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운동장애 (motor impairment)로 이어질 수 있다(Diamond. 2000; Dwyer, Sallis, Blizzard, Lazarus, & Dean, 2001).

운동장애(motor impairment)는 운동의 조절 또는 운 동의 시작, 자세, 균형과 같은 움직임에 어려움을 말한다 (Arene & Hidler, 2009). 운동장애(motor impairment) 가 있는 아동은 독서, 맞춤법, 산수 등 학업성취도가 떨어 지며, 환경에 대한 탐색과 경험에 제한으로 인지발달 지 연, 지적장애, 행동적 문제가 생길 수 있다(Davis, Ford, Anderson, & Doyle, Victorian Infant Collaborative Study Group, 2007; Piek, Dawson, Smith, & Gasson, 2008). 또한 운동장애가 없는 아동에 비해 사 회성, 여가 활동, 취미, 체육 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낮다 (Dahan-Oliel et al., 2014). 이는 운동장애(motor impairment)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이 다른 발달요인과 활동의 참여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ong, Choi, Hong과 Yang(2010)의 연구에 의하면 운 동장애가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중재하는 것이 아동의 주의력, 학습, 정서적 요인에 중요하다고 보고하 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검증된 평가를 통해서 객관적으 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평가는 치료의 효과 검증과 아동의 현재 상태를 진단 하고 앞으로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며, 참여와 수행을 통해 활동 제한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Mendonca, Sargent, & Fetters, 2016; Spittle, Spencer-Smith, Eeles, 2013). 운동기능 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로는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ovement ABC-2), Bruininks- 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PDMS-2),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Questionnaire (DCDQ) 등을 제시할 수가 있으며, 제시된 운동기능 평 가도구 중에 운동발달 및 운동협응 능력의 측정을 위해 기준이 되는 평가도구(gold standard)가 없다(Kim, Kim, Ko, Kang, & Han, 2005).

그 중 Movement ABC-2는 앞서 제시한 표준화된 평 가도구들 보다 시간적 측면에서 용이하며, 비교적 항목이 간단하고 빠르게 운동 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its-Engelsman, Fiers, Handerson과 Henderson (2008)은 Movement ABC-2를 운동기능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한 충분한 구성이 갖춰진 도구로 추천하고 있다. 이 도구는 아동의 운동기능을 포괄적으로 파악 하기 위해 영국에서 개발된 표준화된 평가도구다. Movement ABC-2는 영국에서 표준화하여 개발되었지 만, 원저자 보고에 의하면 평가에서 포함하고 있는 내용 을 호주, 캐나다, 홍콩, 네덜란드 등의 전문가 조언을 받 아 개정하였기 때문에 다른 문화권에서 사용하기에 문화 적인 차이가 적음을 제시하고 있다(Henderson et al., 2007).

그렇지만 한 문화권에서 개발된 평가도구를 다른 문화권 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지리적 차이가 영향을 미 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심리평가적 타당성(psychometric properties) 연구가 필요하다(Arafat, Chowdhury, Qusar, & Hafez, 2016). 심리평가적 타당성(psychometric properties)은 도구의 목적을 확인하는 타당성과 측정의 일관성을 확인하는 신뢰도로 나눌 수 있으며, 연구와 임 상에서 연구자가 도구를 선택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Movement ABC-2의 문화적 차이가 적다 고 알려져 있음에도 국내에서 Movement ABC-2의 적 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심리평가적 타당성(psychometric properties) 연구는 필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임상과 연구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Movement ABC-2 가 국내아동에게도 검증되었다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국내 아동에게 Movement ABC- 2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 타당도와 신 뢰도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운동발달의 어려 움을 조기 발견 및 조기 중재하는 것이 중요함에 따라 최 연소 연령이 속한 학령전기(age band 1, 3-6세) 한국아 동을 대상으로 Movement ABC-2 age band 1의 타당 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서울과 경 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2021년 02월 부터 05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87명이 연구 대상자로 포함되었다. 대상 자 선정 기준은 1) 영유아 검진에서 발달에 의심이 없는 아동, 2) 뇌성마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자폐 스 펙트럼장애 등의 신경학적, 정신학적 진단을 받지 않은 아동, 3) 3세 이상, 7세 미만의 아동으로 하였다.

2. 연구 도구

1)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ovement ABC-2)

Movement ABC-2는 아동의 운동기능 발달과 운동 협응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고자 Henderson에 의해 2007년에 2판으로 개정된 표준화된 평가도구이다. 평가 연령은 3-16세까지 가능하며, 3개의 연령대(age band)로 나뉜다. 연령대 1은 3-6세, 연령대 2는 7-10 세, 연령대 3은 11-16세를 평가하게 되어 있다. 평가영 역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지며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조준과 잡기(aiming & catching), 균형 (balance)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분화된 항목으로는 총 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령대(age band)별로 평가의 과제 및 재료(materials)가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조기 발견과 조기 중재가 중요함에 따 라 연령대 1(age band 1)만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 으며, 연령대 1(age band 1)의 평가 항목은 동전 넣기, 구슬 꿰기, 선 따라 그리기, 콩 주머니 잡기, 매트위에 콩 주머니 던지기, 한발 서기, 발 뒤꿈치 들고 걷기, 매트위 에서 점프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은 과제마다 연령 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모든 평가는 정해진 지시문에 의 해 실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사와 아동이 1:1로 평가 가 진행되었으며, 아동의 협조정도에 따라 20-30분 정 도의 평가시간이 소요되었다. 점수체계는 원점수(raw score), 표준점수(standard score), 백분위(percentile), 총 점수 합계(total test scor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통신호체계(traffic light system)로 색상 3가지를 통 해 운동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BOT-2는 4-21세까지 아동의 다양한 운동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평가도구이다. 평가는 크게 4개 영 역의 미세한 손의 조절(fine manual control), 손의 협 응(manual coordination), 신체 협응(body coordination), 근력과 기민성(strength and agility)으로 나뉘며, 8개 하위영역의 소운동 정확성(fine motor precision), 소운 동 통합(fine motor integration),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균형 (balance), 달리기 속도와 기민성(running speed and agility), 상지 협응(upper-limb coordination), 근력 (strength)으로 구성되어 총 53개 항목을 포함하고 있 다. 평과 결과는 획득점수(point score), 척도 점수 (scale score), 표준점수(standard score)로 환산되며 전반적인 운동기능과 기능적 영역을 비교할 때 표준점수 를 사용한다(Bruininks, Steffens, Spiegl, & Werder, 1990). BOT-2는 전체 53개의 항목을 진행하는 complete form 평가와 14개의 항목으로 간편하게 진행 할 수 있는 short form 평가로 나누어져 있다. 아동의 협조에 따라 complete form은 45-60분, short form은 15-20분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Movement ABC-2의 동시타 당도 검증을 위하여 BOT-2 short form을 사용하였다.

3. 번역 과정

연구를 위해 Movement ABC-2의 판권을 소유하 고 있는 Pearson 사에 한국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Movement ABC-2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허가를 받았다.

Movement ABC-2는 역번역(back translation) 방 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연구자가 평가지와 매 뉴얼을 한글 번역한 후, 영어 문화권에 5년 이상 거주하 여 영어와 한국어 사용이 모두 가능한 재활분야 전문가 (물리치료사) 1인이 1차로 검토하였다. 이후 번역 전문 가에게 다시 영어로 역번역 의뢰를 진행하였으며 2차로 연구자와 재활분야 전문가 1인이 검토하였다. 다음 원저 자 확인을 위해 원저자에게 검토를 요청하여 수정이 필 요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보완하였다. 연구자와 작업치료 학과 교수 1인이 최종 수정 및 보완하여 Movement ABC-2의 번역을 완료하였다.

4. 타당도 검증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본 연구에서는 문항수준 내용타당도 지수(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I-CVI) 값의 산출을 위해 총 9명의 소아치료 경력이 있는 작업치료사들이 설문조사 에 참여하였다. 전문가 선정 기준은 1) 작업치료 면허 소 지자 2) 3년 이상의 소아치료 경력자로 하였다. 설문은 4점 척도(1점=매우 부적합; 2점=부적합; 3점=적합; 4 점=매우 적합)로 나누어 사용하였으며, 각 항목에서 3점 또는 4점을 선택한 전문가 수의 비율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내용타당도 지수가 .75 이상의 값을 적절한 것으로 보았다(Lynn, 1986).

2) 동시타당도(concurrent validity)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준거 도구인 BOT-2에서 산출된 점수와 Movement ABC-2에서 산 출된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전체 대상자 87 명 중 BOT-2 평가가 가능한 4세 이상의 아동 57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백분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영역별 표준점수의 상관관계 분석은 Spearma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통 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의수준 α는 .05로 하 였다.

3) 판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

판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Movement ABC-2의 원점수 결과를 성별, 연령별로 나누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성별의 차이는 독립 t 검정(t-test), 연령별 차이는 일원 분산분석 (ANOVA)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령별 차이에서 어느 연 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 증하기 위한 유의수준 α는 .05로 하였다.

5. 신뢰도 검증

1) 내적일치도(internal consistency)

본 연구에서는 Movement ABC-2의 내적일치도 검증을 위해 87명의 각 문항별 측정값을 분석하여 Cronbach’s α로 산출하였다.

v

2)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본 연구에서는 Movement ABC-2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1차 검사와 2차 검사를 2주의 간격을 두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87명 중 2차 검사에 참여가 가능한 43명을 2주 간격으로 재평가 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연구자 1인이 진행하였다.

6.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Movement ABC-2의 타당도와 신뢰도 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내용타당도는 I-CVI를 각 항목에서 3점 또는 4점을 선택한 전문가 수의 비율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내용타당도 지수가 0.75 이상의 값일 때 적절한 타당도 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ltz & Bausell, 1981). 동시타당도의 백분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사 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관계수가 .06 이상, .03-.06, .03 미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당성이 강함, 중간, 약함의 수준을 의미한다(Hernandez-Nieto, 2002; Waltz, Strickland & Lenz, 2010). 동시타당도의 각 구 성요소별 분석은 Spearma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상관계수가 0-.25는 낮은 수준, .26-.50은 중간 수준, .51-.75는 좋은 수준, .76 이상은 아주 좋은 수준으로 상관관계로 판단하였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성 별, 연령별 간에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원점수를 통해 비 교하였다(Portney & Watkins, 2009). 성별의 차이는 t-test, 연령별의 차이는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또한 연령별 비교의 결과는 Scheffe로 사후검정을 진행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진행하였다.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 다, Cronbach’s α는 .08 이상 그리고 .07과 .08사이에 따라 아주 좋음과 좋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Cronbach & Meehl, 1955).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안정성과 일 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급간 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사용하였다(Cicchetti & Rourke, 2004). 급간 내 상관계수(ICC)는 0에서 1사 이의 값을 가지고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음을 의미 한다. 이에 따라 .75 이상은 높음, .50-.74는 중간, .49 이하는 낮음을 의미한다(Portney & Watkins, 2009).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통계분석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일반아동의 성별은 남아 50명 (57.5%), 여아 37명(42.5%)이었고, 연령은 4세가 28 명(32.2%)으로 가장 많았다. 우세손은 오른손이 79명 (90.8%), 거주지역은 서울이 68명(70.1%) 이었다 (Table 1).

Table 1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N = 87)

../figures/KJOT-29-4-53_T1.jpg

2. 번역 결과

Movement ABC-2의 번역은 역번역(back translation)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재활분야 전 문가 1인의 검토를 통해 번역된 내용이 원 도구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원저자의 검토를 통해 확인되었다. 또한 국외의 연구에서도 번역과정을 거쳐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경우는 없었다. 원저자에 의해서도 기존의 Movement ABC-2가 문화차이에서 자유롭다고 설명되고 있다.

3. 타당도 검증 결과

1)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하여 Movement ABC-2 문 항들이 아동의 운동기능을 측정하는데 얼마나 적절한 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토대로 각 항목의 문항수준 내용타당도 지수(I-CVI)를 산출한 결과, 8개 항목의 I-CVI 평균값은 .93으로 나타났다 (Table 2).

Table 2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of Movement ABC-2

../figures/KJOT-29-4-53_T2.jpg

2) 동시타당도 검증 결과

Movement ABC-2의 동시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 아동의 Movement ABC-2와 BOT-2 short form 점 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Table 3).

Table 3

Concurrent Validity of Movement ABC-2

../figures/KJOT-29-4-53_T3.jpg

Movement ABC-2와 BOT-2 short form의 백분위 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795(p < .01)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각 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Movement ABC-2의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과 BOT-2의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균형 (balance)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준 및 잡기(aiming & catching)는 BOT-2의 소운동 정확성 (fine motor precision),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을 제외한 영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균형(balance)은 BOT-2의 소운동 정확성(fine motor precision),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균형 (balance), 달리기 속도와 기민성(running speed & agility)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3) 판별타당도 검증 결과

전체 대상자 87명의 성별 간 원점수 비교에서 남아와 여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 원점수는 ‘매트 위에서 점프하기’의 항목을 제외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연령을 알아보기 위해 실 시한 Scheffe 사후검정 결과에서 ‘동전 넣기(우세측)’은 5세와 6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전 넣기(비우세측)’은 3세와 4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구슬 꿰기’에서는 각 연령별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으며, ‘선 따라 그리기’는 5세와 6세 비교를 제 외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콩 주머니 잡기’는 3세 와 5세가, 3세와 6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 트 위에 콩 주머니 던지기’에서는 3세와 5세가, 3세와 6 세, 4세와 5세, 4세와 6세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 발 서기(우세측)’에서는 3세와 5세, 3세와 6세, 4세와 5 세, 4세와 6세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한발 서기 (비우세측)’은 5세와 6세 비교를 제외하고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다. ‘발 뒤꿈치 들고 걷기’에서 3세는 모든 연 령과 차이가 나타났으며, 4세, 5세, 6세는 서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매트 위에서 점프하기’는 모든 연령 간 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5).

Table 4

Comparison of Raw Scores Between Genders of Movement ABC-2

../figures/KJOT-29-4-53_T4.jpg
Table 5

Comparison of raw scores between age of Movement ABC-2

../figures/KJOT-29-4-53_T5.jpg

4. 신뢰도 검증 결과

1) 내적 일치도 검증 결과

Movement ABC-2의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s α값은 .577이었으며, 항목별로 .491-.596 수준의 의 미있는 신뢰도를 보였다(Table 6).

Table 6

Internal Consistency of Movement ABC-2 (N = 87)

../figures/KJOT-29-4-53_T6.jpg

2)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

Movement ABC-2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일반아동 43명에게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검사 -재검사 신뢰도의 항목별 ICC 값은 아래의 Table 7와 같다. 총 점수의 평균 ICC는 .766으로 의미있는 신뢰도 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Test-Retest Reliability of Movement ABC-2 (N = 43)

../figures/KJOT-29-4-53_T7.jpg

Ⅳ. 고 찰

운동기능과 움직임은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아동들의 운동기술 및 운동능력에 대한 정 보를 파악하여 운동발달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 다. 본 연구는 아동의 운동기능 수준을 파악하고 운동장 애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Movement ABC-2를 국내 아 동에게 적용하기에 적절한 도구인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 다. 87명의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를 검증하여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내용타당도는 임상에서 소아를 치료하고 있는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93으로 분석되었다. 내용 타당도의 결과는 보통 .75 이상으로 설정하며 본 연구의 각 항목들은 모두 타당성을 확립하였다. 각 항목의 내용 타당도 지수가 .80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Movement ABC-2의 문항이 간단하며, 과제의 내용이 어렵지 않아 대부분 높은 결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Movement ABC-2가 문화적 차이에서 자유 롭다고 하는 원저자의 보고와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고 해석할 수 있다.

동시타당도는 여러 운동기능 평가도구 중에서도 임상 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BOT-2 와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BOT-2 short form 은 14 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ovement ABC-2 와 항목 수, 평가 소요시간이 비슷하다. 또한 Movement ABC-2 와 동일하게 백분위를 통해 운동기능의 결점 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 가지 평가도구 (Movement ABC-2, BOT-2)의 결과 중 백분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가 .795(p < .01)으로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Movement ABC-2 와 BOT-2 각 영역 간의 표준점수를 통한 상관관계 분석에 서는 Movement ABC-2 의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이 BOT-2 의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균형 (balance)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준 및 잡 기(aiming & catching)는 소운동 정확성(fine motor precision),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을 제외한 영역 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균형(balance) 은 BOT-2 의 소운동 정확성(fine motor precision), 양 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균형(balance), 달리 기 속도와 기민성(running speed & agility)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Movement ABC-2 의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항목과 비슷한 과제를 포함하고 있는 BOT-2 의 소운동 정확성(fine motor precision), 소운동 통합(fine motor integration),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 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Movement ABC-2 의 조준 및 잡기(aiming & catching)와 균형(balance) 은 BOT-2 의 비슷한 영역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준 및 잡기(aiming & catching)는 BOT-2 의 상지 협 응(upper-limb coordination),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Movement ABC-2 의 균형(balance)과 BOT-2 의 균형(balance) 이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Movement ABC-2의 조준 및 잡기(aiming & catching)와 균형(balance)이 BOT-2의 다수 영역들 과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fine motor와 gross motor 로 영역을 구분지어 본다면 fine motor와 관련된 영역보 다 gross motor와 관련된 영역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Movement ABC-2와 BOT-2 의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2개의 평가도구를 비교하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 었다. Lane과 Brown(2014)의 연구에서 BOT-2의 fine motor, gross motor와 관련된 영역들을 Movement ABC-2의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조준 및 잡기(aiming & catching), 균형(balance) 영역 과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Movement ABC-2 의 연령대 3(11-16세)에서만 fine motor와 gross motor 영역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령대 2에서는 본 연구와 같이 BOT-2의 gross motor와 관련 된 영역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총 점 수 간의 비교에서도 두 평가도구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 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Movement ABC-2와 PDMS-2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한 Hua, Gu, Meng과 Wu(2013)의 선행연구에서는 두 평가도구 간에 fine motor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 났으며, gross motor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유의한 상 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Movement ABC-2와 BOT-2 사이의 관계에서 gross motor와 관련된 영역이 유사함을 나타내고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BOT-2 short form만 으로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 BOT-2 전체 평가와 함께 Movement ABC-2를 비교 해보고 선행연구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난 연령대 3에 해 당하는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도 비교를 해보는 것이 필 요할 것이다.

판별타당도는 남아와 여아의 항목별 평균점수, 3-6세 까지의 항목별 평균점수를 비교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 다. 남아와 여아의 비율은 여아가 37명(42.5%), 남아가 50명(57.5%)로 남아의 비중이 높았다. 각 항목별 원점 수 평균값에서 손 기민성(manual dexterity) 영역은 ‘동 전 넣기(비우세측)’을 제외하고 여아가 우세하였으며, 조준 및 잡기(aiming & catching) 영역은 남아가 우세 하였다. 균형(balance) 영역에서 ‘한발 서기’는 남아가 우세하였으며, 그 외 항목은 여아가 우세한 결과값을 보 인다. 그렇지만 남아와 여아의 항목별 평균점수를 비교 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Movement ABC-2가 성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국내 아 동의 운동기능을 파악하기에 타당한 검사도구라고 볼 수 있겠다.

성별 간 비교와 마찬가지로 연령별 간의 평균점수 비 교를 통해서도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매트 위에서 점 프하기’를 제외한 각 항목의 원점수 평균값에서 연령 간 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트 위에서 점프하기’는 연령에 따라 채점 기준이 다르며, 연령의 변화에 따라 채 점기준이 엄격해진다. 또한 모든 연령의 원점수 최대치 가 5까지로 제한되어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원점수와 연 령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매트위에서 점프하기’와 비슷하게 원점수의 평균값에서 ‘동전 넣기’, ‘구슬 꿰기’는 연령의 변화에 따라 결과값의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평가 기준으 로 인해 모든 연령의 결과가 일정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전 넣기’와 ‘구슬 꿰기’는 3-4세 와 5-6세 평가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3-4세의 결과값, 5-6세의 결과값을 구분하여 본다면 연령의 변화에 따라 결과값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의 다른 항목들 은 연령에 따른 항목별 원점수가 연령의 변화와 함께 수 행의 정도도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Scheffe 사후검정을 통해 어느 연령 간의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는지 알아보았다. ‘구슬 꿰기’의 사후검정에 서는 모든 연령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제의 차이에 따라서 3세와 4세의 비교를 보면 3세의 ‘구슬 꿰기’ 평균점수는 49초로 이를 표준점수로 환산하 여 보면, 최대 19점 중 9점 또는 11점에 속하며, 4세의 평균점수는 40초로 7점 또는 8점에 속한다. 4세의 ‘구슬 꿰기’의 평균 수행정도가 3세의 평균 수행정도에 비해 낮 게 나왔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4세가 48개월-59개월까지를 포함하게 되는 데 본 연구의 4세 대상의 평균개월 수는 52개월로 개월 수의 중앙값인 53.5개월보다 평균개월 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3세 아동과의 차이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5세와 6세의 ‘구슬 꿰기’ 결과도 3세와 4세의 평균개월 수의 차이와 같은 이유로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5세와 6세 비교의 유의미한 차이는 ‘동전 넣기(비우세측)’에서만 나타났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균개월 수의 차이가 크지 않아 결과 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렇지만 모든 항목 의 평균값을 보면 4세가 3세보다, 6세가 5세보다 수행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아동에게 적용한 Movement ABC-2 신뢰도 검 증을 위해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구하였 다. 내적일치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값이 0.577 이었으며, 항목별로 0.491-0.596로 의미있는 내적일치 도를 보였다. 즉, Movement ABC-2에서 구성하고 있 는 항목들이 유사하며, 피검사자들의 반응에 일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Movement ABC-2는 항목이 간단하 여 실시 시간이 짧으며, 항목이 어렵지 않다. 이러한 평가 방식 또는 방법이 국내 아동에게 적용한 Movement ABC-2의 내적일치도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 반대로 Nunnally와 Bernstein(1994)의 연구 에서 내적일치도는 적은 항목의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트 위에 콩 주머니 던지기’에서 .50보다 낮은 내적일치도가 나타 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외 선행연구에서의 내적일치도 는 그리스가 .623, 일본이 .602로 본 연구의 내적일치도 가 국외 선행 연구들과 비슷한 내적일치도 수준을 보였 다. 이는 국내 아동에게 적용한 Movement ABC-2가 신뢰할만한 검사도구임을 나타내었다(Ellinoudis et al., 2011; Kita et al., 2016).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연구 대상자 총 87명 중 2차 검사 일정에 참여가 가능한 대상자 43명으로 진행하였 으며, 평균 .766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이는 원 도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80과 비슷한 수준의 신 뢰도이다(Henderson et al., 2007). 원저자의 연구와 동일한 간격의 기간으로 검사-재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추후 국내의 임상가 또는 전문가가 아동 에게 운동기능에 대한 중재를 제공한 전과 후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Movement ABC-2를 사용할 때 신뢰도 를 지지해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 수가 적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국내 전체 아동 인구에 비해 문화적인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진행된 연구 대상자가 적으며, 국외 선행 연구 들의 대상자 수에 비교하여도 적은 대상자 수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일반아동을 대표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별로 세분화된 결과값을 제시한다면 Movement ABC-2를 보다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Movement ABC-2는 연령대(age band)가 1-3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 1(age band 1)에 해당하는 아동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 에 Movement ABC-2의 전체 연령대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Movement ABC-2에서 나누어져 있는 연령대 3가지로 구분지어 운동기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 대상자가 일반아동만으로 진행하였기 때문 에 정상 발달을 하고 있는 일반아동 외의 아동들에게 일 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즉, 대표적으로 운동기능의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성 협응장애(DC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의 진단을 받은 아동에게 사용 하기에는 국내 장애아동에게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 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운동기능 어려 움을 선별하기 위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시행할 필 요가 있다.

아동의 운동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구 중 Movement ABC-2는 소요시간이 짧고 다른 도 구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문화간 교차 연구가 진행된 PDMS-2, DCDQ와 달리 문화적인 차이가 적다는 보고가 있다. 그렇지만 심리평가적 타당 성(psychometric properties)은 특정 국가에서 개발된 평가도구를 다른 문화권에서 적용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로 문화적인 차이를 알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vement ABC-2의 내용타당도, 동시타당도, 판별타 당도,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국 내 아동들에게 본 평가를 적용하여 원평가도구와의 차이 를 알아보고자 한 과정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반아동들을 대상으로 Movement ABC-2 연령대 1(age band 1)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정상 발달과정에서 포괄적인 운동 기능의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아동의 포괄적인 운동기능 을 파악하는 Movement ABC-2를 국내아동에게 적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Movement ABC-2가 아동의 운동기능을 선별하기 위 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아동의 운동기능과 운동협응의 능력을 측정 하고 운동장애의 진단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Movement ABC-2를 국내 아동에게 적용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 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 지 역의 87명의 아동이며, 대상들에게 Movement ABC-2 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Movement ABC-2가 국내 아동의 성별에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연령에 따 라서 사용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검증하였으며, 국내 치료사 또는 임상가가 사용하기에 신뢰할 수 있는 도구 임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Movement ABC-2를 사용 하여 국내 만3-6세 아동의 운동기능을 객관적으로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운동장애 가 있는 발달성 협응장애(DCD)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등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가 이 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도구의 대상인 영국 아동과 국내 아동의 비교를 통해 표준화 연구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으며,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48. 10.5014/ajot.2014.682006

2. 

Arafat, S. Y., Chowdhury, H. R., Qusar, M. M. A. S., & Hafez, M. A. (2016). Cross cultural adaptation & psychometric validation of research instruments: A methodological review. Journal of Behavioral Health, 5(3), 129-136. 10.5455/jbh.20160615121755

3. 

Arene, N., & Hidler, J. (2009). Understanding motor impairment in the paretic lower limb after a stroke: A review of the literatur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6(5), 346-356. 10.1310/tsr1605-346 19903653

4. 

Barnett, L. M., Van Beurden, E., Morgan, P. J., Brooks, L. O., & Beard, J. R. (2009). Childhood motor skill proficiency as a predictor of adolescent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4(3), 252-259. 10.1016/j.jadohealth.2008.07.004 19237111

5. 

Bruininks, R. H., Steffens, K., Spiegl, A., & Werder, J. K. (1990).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the motor proficiency: development, research,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ueven, BE: Acco.

6. 

Cicchetti, D. V., & Rourke, B. P. (2004). Methodological and biostatistical foundation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and medical and health disciplines. London, GB: Taylor & Francis Group.

7. 

Cools, W., De Martelaer, K., Samaey, C., & Andries, C. (2009). Movement skill assessment of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 children: A review of seven movement skill assessment tools.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8(2), 154-168.

8. 

Cronbach, L. J., & Meehl, P. E. (1955). Construct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s. Psychological Bulletin, 52(4), 281-302. 10.1037/h0040957 13245896

9. 

Dahan-Oliel, N., Mazer, B., Maltais, D. B., Riley, P., Nadeau, L., & Majnemer, A. (2014). Child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leisure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born extremely preterm. Early Human Development, 90(10), 665-672. 10.1016/j.earlhumdev.2014.08.005 25194835

10. 

Davis, N. M., Ford, G. W., Anderson, P. J., Doyle, L. W., & Victorian Infant Collaborative Study Group. (2007).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t 8 years of age in a regional cohort of extremely-low-birth weight or very preterm infant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9(5), 325-330. 10.1111/j.1469-8749.2007.00325.x 17489804

11. 

Diamond, A. (2000). Close interrelation of motor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of the cerebellum and prefrontal cortex. Child Development, 71(1), 44-56. 10.1111/1467-8624.00117 10836557

12. 

Dwyer, T., Sallis, J. F., Blizzard, L., Lazarus, R., & Dean, K. (2001). Rel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to physical activity and fitness in children. Pediatric Exercise Science, 13(3), 225-237. 10.1123/pes.13.3.225

13. 

Ellinoudis, T., Evaggelinou, C., Kourtessis, C., Konstantinidou, Z., Venetsanou, F., & Kambas, A.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ge band 1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second edition.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3), 1046-1051. 10.1016/j.ridd.2011.01.035 21333488

14. 

Henderson, S. E., Sugden, D. A., & Barnett, A. L. (2007).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second edition. London, GB: Psychological Corporation. 10.1037/t55281-000

15. 

Hernandez-Nieto, R. A. (2002). Contributions to statistical analysis. Mérida, MX: Universidad de Los Andes.

16. 

Hua, J., Gu, G., Meng, W., & Wu, Z. (2013). Age band 1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 Exploring its usefulness in mainland China.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4(2), 801-808. 10.1016/j.ridd.2012.10.012 23220119

17. 

Kim, J. S., Kim, T. H., Ko, D. Y., Kang, Y. K., & Han, Y. K. (2005). Correlation of GMFM and BSID-Ⅱ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1), 79-87.

18. 

Kita, Y., Suzuki, K., Hirata, S., Sakihara, K., Inagaki, M., & Nakai, A. (2016). Applicability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to Japanese children: A study of the age band 2. Brain and Development, 38(8), 706-713. 10.1016/j.braindev.2016.02.012 26968347

19. 

Lane, H., & Brown, T. (2015). Convergent validity of two motor skill tests used to assess school-age children.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2(3), 161-172. 10.3109/11038128.2014.969308 25328127

20. 

Lopes, V. P., Rodrigues, L. P., Maia, J. A., & Malina, R. M. (2011). Motor coordination as predictor of physical activity in childhood.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1(5), 663-669. 10.1111/j.1600-0838.2009.01027.x 21917017

21.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10.1097/00006199-198611000-00017 3640358

22. 

Mendona, B., Sargent, B., & Fetters, L. (2016). Cross‐cultural validity of standardized motor development screening and assessment tools: A systematic review.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8(12), 1213-1222. 10.1111/dmcn.13263 27699768

23. 

Nunnally, J. C., & Bernstein, I.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Tata McGraw-Hill Education.

24. 

Payne, V. G., & Isaacs, L. D. (2017). Human motor development: A lifespan approach. New York, NY: Routledge. 10.4324/9781315213040

25. 

Piek, J. P. (2006). Infant motor development (Vol. 10).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0.5040/9781492596943

26. 

Piek, J. P., Dawson, L., Smith, L. M., & Gasson, N. (2008). The role of early fine and gross motor development on later motor and cognitive ability. Human Movement Science, 27(5), 668-681. 10.1016/j.humov.2007.11.002 18242747

27. 

Poranen-Clark, T., von Bonsdorff, M. B., Lahti, J., Rikknen, K., Osmond, C., Rantanen, T., Eriksson, J. G. (2015). Infant motor development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early old age: The helsinki birth cohort study. Age, 37(3), 1-8. 10.1007/s11357-015-9785-x 25929653 PMC4416091

28. 

Portney, L. G., & Watkins, M. P. (2009).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9. 

Smits-Engelsman, B. C., Fiers, M. J., Henderson, S. E., & Henderson, L. (2008).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Physical Therapy, 88(2), 286-294. 10.2522/ptj.20070068 18073266

30. 

Song, H. J., Choi, E. Y., Hong, Y. K., & Yang, I. M. (2010). Effect of ADHD children’s motor coordination on mental healt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9(3), 241-264.

31. 

Spittle, A. J., Spencer-Smith, M. M., & Eeles, A. L. (2013). Does the Bayley-III motor scale at 2years predict motor outcome at 4years in very preterm 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5(5), 448-452. 10.1111/dmcn.12049 23216518

32. 

Waltz, C. F., & Bausell, R. B.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PA: F. A. Davis Company.

33. 

Waltz, C. F., Strickland, O. L., & Lenz, E. R. (2010).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