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역할 수행 작업치료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Ⅰ. 서 론

역할(role)은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정립한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Fourth Edition(OTPF-4)에서 수행패턴(performance patterns)을 구성하는 한 영역으로 문화적인 맥락과 사 회적인 위치를 통해 형성하여 하나로 이어지는 행동으로 정의된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사람들은 본인의 사회적 지위와 본인이 처해진 상황을 인식하고 기대되는 행동 패턴을 깨달으며 내재화 된 역할을 습득한다(Kielhofner & Burke 1980). 이는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노년기 같은 생애주기에 따라 사회적 모습이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그 중 노년기는 은 퇴, 배우자와 사별, 자녀의 독립 등에 대한 비자발적 역할 상실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Kielhofner, 2008). 또한 역할은 작업 정체성의 한 측면으로, 작업에 대한 과거와 미래의 욕구를 바탕으로 한 사람과 집단 등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준다(Kielhofner, 2008; Taylor, 2017). 노 인의 경우에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겪으며 누적해온 자원 과 삶의 경험이 노년기의 자아정체성과 미래의 역할에 영향을 미친다(Jung et al., 2017).

사람들은 노년기에 이르러 육체적인 노화와 심리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노동, 사회 참여의 기회를 잃게 되고 자녀양육과 같은 사회적, 가정적 역할 등을 상실하고 있다(Park & Kim, 2019; Lee & Yang, 2012). 노년기의 여가활동과 사회활동 역할 상실과 은 퇴 후 경제활동 상실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 행연구를 통해 나타났으며, 부모 역할 상실은 우울 수준 을 감소시켰다(Kang, 2020; Kim & Park, 2016). 또한 노인의 일자리 참여와 같은 직장인의 역할은 자아존중감 증진과 우울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 Ju, & Lim, 2012). 노인이 수행하는 역할 중 가족 구성원, 친구, 조직구성원, 직장인, 학생과 같은 의미있는 역할은 행복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인, 자원봉사자, 양육 및 간병인, 가정관리자의 역할은 행복 감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Jung, Yoo, & Lee, 2020). 노년기는 역할의 상실과 역할 변화 및 단절 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는 노인의 부정적 정서에 관련 이 있으며, 노인의 행복감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와 건강 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역할과 활동을 개발 하는 것이 필요하다(Kang, 2020).

노인은 역할에 대한 다양한 활동과 지지가 커지면 자 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자아개념이 긍정적일수록 생 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Park, Chun, Seong, & Lee, 2013). 이러한 역할 수행은 노인이 성공적인 노화를 이 루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Park et al., 2013; You & Kim, 2019). 하지만 핵가족화에 따라 단독가구가 증 가하고 자녀 세대의 동거 및 부양 의지가 약화되어, 과거 에 전통적으로 기대하던 가족 내에서 노인은 독립적인 존재가 되는 것으로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Jung et al., 2017).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현세대 노인은 이 러한 역할 변화에 적응하기 어렵다. 노인들은 은퇴 후 혼 자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으며, 마땅한 역할이 없이 대 부분의 시간을 TV시청의 활동으로 보내고 있다(Min, 20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선행 연구에서는 노인의 TV시청은 삶의 만족도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사회적 역할 참여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Lee, 2013; Rodriguez-Bailon, Pulido-Navarro, Bravo-Quiros, Alberto-Cantizano, Rubio-Fernandez, & Fernandez-Solano, 2016). 이는 노인에게 역할 수 행 및 역할 활동은 여가 시간 활용 및 역할 변화에 대한 적응을 도울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성공적인 노화를 이 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의 근거가 된다(Kim, Kim, Kim, Shin, Lee, & Jung, 2016; Park et al., 2013).

작업치료사는 클라이언트의 역할과 역할 수행을 위한 작 업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의 작업 참여를 유도하여 클라이 언트의 역할을 이끌어야 한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또한, 작업치료사는 삶 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중요하게 여기는 전문가이며 관 련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Gagliardi, Santini, Piccinini, Fabbietti, & Di Rosa, 2019; Kong & Jung, 2019; Song, Jeon, Lee, & Kim, 2012). 따라서 작업 치료사는 노인의 역할 수행과 역할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삶의 질 증진, 우 울 수준 완화 등을 유도하여 성공적인 노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치료사는 노인 및 은퇴자의 역할 수행과 역할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사회참여를 위한 역할 중재 및 평가와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Kong, 2020). 또한 노화 과정과 은퇴로 역할 변화와 역할 갈등이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작업 적응과 역할 참 여, 역할 모색을 할 수 있는 작업치료 연구가 필요하며, 사회 참여를 위한 역할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역할형성 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Jung et al., 2017; Kim, 2009; Kong & Jung,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역할 수행 작업치 료를 제공한 국내외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의 근거수준과 연구방법론적 질적 수준, 작업치료 중재의 역할 유형,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종속변인 및 연구 의 효과성을 검증한 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를 통해 노인에게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작업치료 중재 전략과 목표를 설정하고, 의료적 환경에서의 노인뿐만 아니라 노인의 웰빙과 건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에게 역할 수행 작업치료 중재와 관련 된 문헌들을 수집하여 고찰하였다. 문헌 선택 과정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PRISMA)를 사용하였으며, 선정된 논문은 Arbesman, Scheer와 Lieberman(2008)이 제시한 질적수준 평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근거기반 연구의 수준을 분석하 는 분류표 5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CASP) checklist를 사용해 선정된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방법에 대한 질을 평가하 였다.

2. 문헌검색전략

1) 데이터베이스 및 검색어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역할 수행과 관련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문헌을 수집하기 위해 국내ㆍ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는 학술 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RISS) 를 사용하였으며, 국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Excerpta Medica Database(EMBASE), SCOPUS, Web of Science를 사용하였다. 국내 데이터 베이스는 “(노인 OR 은퇴) AND 역할 AND 작업치료 AND 활동”을 검색어로 설정하였으며, 국외 데이터베 이스는 “(Older OR Retirement) AND Role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Participation AND Redesign AND Activity”를 검색어로 설정하여 발표된 논문을 다음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에 따라 포함하였다.

2) 선정 기준

  • (1) 노인 또는 65세 이상 은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 (2) 작업치료 중재가 역할 수행과 관련이 있는 연구

  • (3) 한국어 또는 영어로 되어있는 논문

  • (4) 원문을 볼 수 있는 연구

  • (5) 중재 결과가 도출된 연구

3) 배제 기준

  • (1)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지 않은 연구

  • (2) 중재가 역할 수행과 관련이 없는 연구

  • (3) 연구 대상자가 보호자나 치료사인 연구

  • (4)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 (5) 학위 연구 및 프로토콜 연구

3. 문헌선택과정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자료 선별을 하기 위해 Moher, Liberati, Tetzlaff, Altman과 PRISMA Group(2009) 이 개발한 PRISMA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진행하였다.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선정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각자 문헌을 검색한 후, 수집, 선별을 진행하여 전문을 확보하 였다. 추출한 문헌은 중복된 문헌을 제거하였으며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초록 및 제목을 검토하였다. 다음은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원문을 검토하였다. 연구자 3 인의 의견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독립적으로 연구 자가 재검토하여 합의를 통해 최종 논문을 선정하였다. 합의를 이루지 못 할 경우, 연구자 3인이 다수결로 결정 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총 17개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Figure 1).

Figure 1

Flow Diagram of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figures/KJOT-31-1-73_F1.jpg

4. 선정된 문헌의 근거수준 분석

본 연구는 최종 추출한 논문의 근거기반 수준을 분석 하기 위해 Arbesman, Scheer와 Lieberman(2008)가 개발한 질적수준 평가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추출한 논문의 근거기반에 대한 연구의 수준(hierarchy of level of evide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 을 5개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Ⅰ 단계는 무작위 대 조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메타분석(meta analysis), Ⅱ 단 계는 두 그룹의 비 무작위 연구, Ⅲ 단계는 단일그룹 비 무작위 연구, Ⅳ 단계는 단일 실험연구와 조사연구, Ⅴ 단계는 사례연구, 서술적 고찰, 질적 연구로 구성되며 단 계 높을수록 근거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5. 연구방법에 대한 질적 평가

본 연구는 최종 추출한 논문의 연구방법에 대한 질적 평가를 하기 위해 CASP checklist을 사용하였다. CASP checklist는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y, systematic review study, qualitative study, cohort study, diagnostic study, case-control study checklist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다(Noh, Cho, Lee, & Yun, 2020). 본 연구에서는 CASP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hecklist 2020, CASP case control study checklist 2018, CASP qualitative studies checklist 2018을 기반으로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CASP checklist의 질적 평가는 ‘연구 결과가 유효한 가’, ‘연구 결과가 무엇인가’, ‘연구 결과가 현장에서 도움 이 되는가’와 같은 3 가지 사항을 기준으로 평가가 진행 된다(Kim et al., 2019). CASP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hecklist 2020은 13개의 질문으로 구성되며, 예(yes), 아니오(no), 알 수 없음(can’t tell)로 평가한 다. 선정된 논문 중 6편의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논문을 검토하 여 질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CASP case control study checklist 2018은 12개 의 질문으로 구성되며, 9개의 질문에서는 예(yes), 아니 오(no), 알 수 없음(can’t tell)로 평가한다. 3개의 질문 은 그룹의 동등함, 치료 효과, 치료 효과 추정치의 정확성 에 대한 질문으로 서술형으로 의견을 작성하였다. 선정 된 논문 중 9편의 논문을 검토하여 질적 평가를 시행하 였다.

CASP qualitative studies checklist 2018은 10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9개의 질문에서는 예(yes), 아니오(no), 알 수 없음(can’t tell)로 평가한다. 마지막 1개의 질문은 연구의 가치에 대해서 서술형으로 의견을 작성하였다. 선정된 논문 중 2편의 논문을 검토하여 질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자가 각각 논문의 질적 평가를 진 행하였으며, 만약 의견이 불일치할 경우 연구자 3명이 의 견을 논의 및 조율을 통해 합의하였다.

6. 선정 문헌의 결과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최종 추출한 논문에 관하여 작업치료 중재 에 따른 역할 유형을 분석하였다. 작업치료 중재에 따른 역할 유형은 선행 연구의 역할 유형의 구분에 따라 자기 관리자, 여가 참여자, 조직구성원, 친구, 가정관리자, 가 족구성원, 돌봄자, 직업인, 자원봉사자, 종교참여자, 학습 자 총 11개의 역할로 나누었다(Kong, 2020). 선정된 논 문의 작업치료 중재를 역할 정의에 따라 연구자 3인이 합의를 통해 나누었다. 선행연구에서 자기관리자는 자신 을 스스로 돌보는 행위 및 건강관리 활동을 하는 역할로 정의하였다. 여가 참여자는 의무적이지 않는 활동으로 만족, 기쁨, 자유를 위해 하는 취미나 여가 활동을 하는 역할로 정의하였으며, 조직구성원은 특정 목적을 위해 일이나 행사를 하기 위해 구성된 조직에서 정기적으로 참여 의무가 있는 회원으로 활동하는 역할로 정의하였다. 친구의 역할은 서로 마음을 나누고 격려와 위로하며 정 서적으로 가까워지는 역할로 정의하며 가정관리자의 역 할은 자신이 살아가기 위해 집안살림을 하는 역할로 정 의하였다. 가족구성원의 역할은 가족안에서 부모, 자녀, 형제, 자매, 조부모 등으로서 다른 가족과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 함께 활동하는 역할로 정의하였다. 돌봄자는 자녀와 반려자, 노약자, 동ㆍ식물 등을 보살피거나 훈육 하는 역할이며, 직업인은 금전적 수입을 얻기 위해 업무 를 하는 역할이다(Kong, 2020). 자원봉사자는 보상목 적 없이 조직이나 사람을 위해 봉사활동을 하는 역할이 며 종교참여자는 종교 관련 개인적인 활동이나 그룹 활 동을 하는 역할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정기적인 시 간에 교육과 훈련을 받는 활동을 하는 역할로 정의한다. 추가로 파트너의 역할은 Rodriguez-Bailon 등(2016) 에서 도출된 역할로 노인에게 친구보다 가깝지만 결혼한 사이가 아닌 역할로 정의하였다.

또한 최종 추출한 논문에 관하여 종속변인과 평가도 구, 작업치료 중재 빈도 및 역할 수행 효과를 분석하였으 며, 선정 문헌을 종합하여 저자,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중재 방법, 중재 기간 및 횟수, 역할 유형, 종속변인과 평 가도구,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표로 작성하 였다(Appendix 1).

Appendix 1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ed Study

../figures/KJOT-31-1-73_A1.jpg

Ⅲ. 연구 결과

1. 선정된 문헌의 근거수준

본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문헌 17편의 근거수준을 분 석한 결과 Ⅰ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은 6편으로 전체의 35.3%를 차지하였다. Ⅱ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은 3편으 로 17.6%였으며, Ⅲ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은 6편으로 35.3%로 나타났다. Ⅴ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은 2편으로 11.8%를 차지하였다(Table 1).

Table 1

Level of Quality of Each Study

../figures/KJOT-31-1-73_T1.jpg

2. 선정된 문헌의 연구 방법에 대한 질적 평가

최종 선정된 문헌 17편 중 6편에 대하여 CAS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ecklist를 사용하여 연 구 방법에 대한 질적 평가 결과, 1편의 연구는 모든 항목 을 충족하였다. Carlson 등(2014)Clark 등(2012), Kwok 등(2013), Liu 등(2021), Mountain 등(2017) 의 연구에서는 맹검의 내용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Juang 등(2018), Kwok 등(2013)의 연구에서는 유의 한 통계적 결과를 얻었지만 정확한 p 값을 제시하지 않았 다(Appendix 2).

Appendix 2

Result of CASP Checklist (Randomised Controlled Trial)

../figures/KJOT-31-1-73_A2.jpg

최종 선정된 문헌 17편 중 9편에 대하여 CASP case control checklist를 사용하여 연구 방법에 대한 질적 평가 결과, 4편의 연구는 모든 항목을 충족하였다. Cutchin 등 (2010), Jang(2020), Lee, Cho, Son와 Im(2007), Mulry와 Piersol(2014)의 연구에서는 하나의 그룹만을 중재한 연구 설계로 적절한 대조 그룹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없었다. Jang(2020), Lee 등(2007), Mulry와 Piersol(2014)의 연구에서는 설계 및 분석에서 잠재적 교란 요인을 고려하는 언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ulry와 Piersol(2014), Sprange 등(2015)의 연구는 치료효과 추정치를 확인하기 위해 p 값의 크기, 신뢰 구간 등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였다. Cutchin 등(2010), Jang(2020), Lee 등(2007), Mulry와 Piersol(2014)의 연구 대상자는 연구가 진행된 연구 환경과 지역 및 연구 대상자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Appendix 3).

Appendix 3

Result of CASP Checklist (Case Control Study)

../figures/KJOT-31-1-73_A3.jpg

최종 선정된 문헌 17편 중 2편을 CASP qualitative checklist를 사용하여 연구 방법에 대한 질적 평가 결과, 1편의 연구는 모든 항목을 충족하였다. Bedding와 Sadlo(2008)의 연구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사이에 편 향 및 편견, 영향을 검토하는 것과 같은 언급을 하지 않아 알 수 없었다(Appendix 4).

Appendix 4

Result of CASP Checklist (Qualitative research)

../figures/KJOT-31-1-73_A4.jpg

3. 작업치료 중재에 따른 역할 유형

작업치료 중재에 따른 역할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기 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중재는 13개로 전체의 26%를 차 지하여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여가 참여자와 조직구성원의 역할이 각각 9개로 18%를 차지하였다. 친 구의 역할에 대한 중재는 7개(14%), 가정관리자 역할에 대한 중재는 4개(8%), 가족구성원 역할에 대한 중재는 2개(4%)로 나타났다. 그 외에 돌봄자, 직업인, 자원봉사 자, 종교참여자, 교육자, 파트너에 대한 역할의 중재는 각 각 1개로 2%를 차지하였다(Table 2).

Table 2

Classification of the Role Types

../figures/KJOT-31-1-73_T2.jpg

4. 종속변인과 평가도구

최종 선정된 문헌 17개의 중재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종속변인을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인을 확인하기 위한 평 가도구를 종합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평가도구는 우 울, 외로움, 불안 등 노인의 정신적 건강을 위한 평가도구 로 총 8개로 전체의 18.6%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신 체적 건강, 삶의 질의 평가도구로 각 6개(14%)로 나타 났다. 사회 참여, 지지 사회적 연결과 같은 사회성 평가도 구는 5개(11.6%)로 나타났다. 인지능력과 활동에 대한 평가도구는 각 4개(9.3%)로 나타났으며, 일상에 대한 평가도구는 3개(7%)로 나타났다. 낙상 효능에 대한 평 가도구는 2개(4.7%)로 나타났다. 작업역할, 자존감, 자 기 효능감, 자기 유지, 노인의 허약, 원예치료 평가도구는 각각 1개(2.3%)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and Outcomes

../figures/KJOT-31-1-73_T3.jpg

5. 작업치료 중재 빈도 및 역할 수행 효과 분석

최종 선정된 문헌 17편을 분석한 결과, 역할 수행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기간은 최소 4주에서 최대 12개월로 나타났 으며, 횟수는 최소 8회에서 최대 48회로 조사되었다.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로 설계된 연구의 역할 수행 효과는 다음과 같다. Carlson 등(2014)은 모든 노인에 게서 삶의 질에 대한 효과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두 그룹 모두 건강 유지와 관련된 요인은 그룹 참여의 횟 수, 개별 참여의 횟수, 전체 활동 빈도, 활동 복제로 나타 났다. Clark 등(2012)은 정신 건강 종합지수, 생활 만족 도, 사회기능, 정신 건강, 우울증 증상 등 다양한 정신 건 강 변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자가보고 체 력건강평가에서 신체적 고통과 신체적 건강에 대한 인식 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인지기능 향상은 유의미 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Juang 등(2018)은 중재를 통해 활동의 빈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우울증 증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중재는 활동 빈도, 활동의 중요성 을 예측하였으며 이는 우울 증상과 관련이 있었다. Kwok 등(2013)은 능동적 생각 훈련 프로그램을 중재 한 그룹은 대조 그룹에 비해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서 유 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Liu 등(2021)은 대상자가 사 용할 수 있는 생활 공간 향상을 보였으며 낙상 효율이 유 의하게 향상되었다. Mountain 등(2017)은 6개월 후에 는 두 집단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4개월 후 사회적 외로움과 정서적 외로움에서 두 집단의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하나 또는 두 개의 그룹으로 구성한 실험연구로 설계 된 연구의 역할 수행 효과는 다음과 같다. Cutchin 등 (2010)은 모임, 콘서트, 파티 영화 관람 등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주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ohansson와 Bjorklund(2016)는 중재 전후 그룹 내 SF-36의 정신 건강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터뷰를 통해 자 존감 향상, 사회 참여, 조직구성원, 건강관리에 대한 긍정 적 경험을 도출하였다. Jang(2020)은 중재 전후 기초 체력검사, 인지검사의 총점, ADL과 IADL의 수행능력, 삶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Lee 등(2007)은 중 재 전후 유의하게 우울 수준이 낮아졌고 자존감이 높아 졌다. Miyadera, Kawamata, Tanimura, Ishidai와 Kobayashi(2020)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HRQOL 과 Occupational Self Assessment(OSA)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신체적 기능에 그룹 간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Mulry와 Piersol(2014)은 야외활동, 사 회참여, 자율성을 유지 및 증가시켰고, 지역사회 이동 빈 도, 지역사회 이동성 지식 및 자신감의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odriguez-Bailon 등 (2016)은 건강에 대한 인식에 중재 전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역할의 평균 점수는 중재 전후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지만, 향후 참여를 희망하는 역할 수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prange 등(2015)은 삶의 질 평 균 점수는 향상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우울, 불안, 자기 효능감, 자기 유지 등의 평가에서 중재 전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Yuri 등(2016) 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삶의 질, 지각, 성취도, 삶의 목표에 대한 만족도 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군 은 중재 전후 신체 능력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질적연구로 설계된 연구의 역할 수행 효과는 다음과 같다. Bedding와 Sadlo(2008)의 연구와 Chatters 등 (2017)의 연구에서 질적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자존감, 자기 효능감, 자신감 등과 같은 정신 건강의 효과에 대해 답변하였다.

Ⅳ. 고 찰

본 연구는 노인의 역할 수행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제공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역할 수행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전략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근거 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를 사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PRISMA 흐름도에 따라 최종 17개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근 거수준, 연구방법론적 질적 수준, 작업치료 중재의 역할 유형, 종속변인 및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의 근거수준은 가장 높은 I 단계 무작 위 대조군 실험연구 6편으로 35.3%, Ⅱ 단계 두 그룹 비 무작위 연구는 3편으로 17.6%였으며, Ⅲ 단계 한 그룹 비무작위 연구는 6편으로 35.3%로 나타났다. Ⅴ 단계에 질적연구는 2편으로 11.8%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근 거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방법론적 질을 CASP checklist를 사용해 연구 설계에 따라 다르게 평 가한 결과 일부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선정, 잠재적 변 수 및 교란변수를 고려하지 않았고, 치료 효과 추정치를 확인하기 위한 p 값의 제시와 신뢰 구간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연구를 설계하여 근거수준과 질적 수준이 높 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 중재에 따른 역할 유형은 자기관리자의 역할 에 대한 중재가 13편으로 선정된 연구 중에서 가장 많이 고려한 역할 유형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는 노인의 건 강관리 및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노화에 따라 자기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Lee, Yang, Kim, & Oh, 2021). 자기관리는 성공적 노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많은 연구에서 자기관리자 역 할을 고려하여 작업치료 중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oh & Kim, 2017).

여가 참여자 역할에 대한 중재는 9편, 조직구성원 역 할과 친구의 역할은 각각 9편 7편으로 나타났다. 여가 참여자의 역할과 조직구성원 역할, 친구의 역할은 폭넓 게 정의하면 사회참여 활동을 기반으로 하며 다른 사람 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유지한다. 하지만 여가 참여자 의 역할과 조직구성원 및 친구의 역할을 엄밀히 보면 각 각의 역할로 정의되는 활동이 다르다. 여가는 본인이 흥 미를 가지고 참여하는 것으로, 집안일이나 가족돌봄 등 의 노동과 의무에서 벗어나 개인이 자유롭게 보내는 모 든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Kang, 2020). 이에 비해 조직구성원 역할과 친구의 역할은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접촉, 관계 형성 및 상호교류를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얻 을 수 있는 활동으로 구분된다(Kim & Jung, 2017; Kim, Jeong, & Song, 2018). 여가참여와 사회참여 및 사회활동은 노인에게 우울 및 삶의 질, 삶의 만족도, 행복 감 등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많은 선행연구 를 통해 나타났다(Kang, 2020; Kim & Jung, 2017; Kim et al., 2018; Lee et al., 2020). 이러한 자기관리 자 역할과 여가 참여자 역할, 조직구성원 및 친구의 역할 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에게 작업치료 중재에 있어 중요한 역할 유형임을 지지한다.

그 외의 노인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의 역할 유형은 가 정관리자 4편, 가족구성원 2편, 돌봄자, 직업인, 자원봉 사자, 종교참여자, 학습자, 파트너는 각각 1편으로 나타 났다. 노년학과 사회학에서는 노인이 수행하는 역할 활 동 중 친구,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며, 종교참여, 자원봉 사, 취미활동, 친목모임, 가족 돌봄, 노동, 가정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Amini et al., 2014; Lee et al., 2020). 노인 의 다양한 역할 수행은 작업참여와 활동역량, 전반적인 일상 수행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역할 수행을 통해 정체 성을 되찾게 되면 새로운 작업에 도전할 용기를 얻을 수 있다(Bae & Baek, 2020; Kong & Jung, 2019; Lee et al., 2020). 따라서 다양한 역할 수행을 위한 노인의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Kong & Jung, 2019).

중재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종속변인은 정신적 건 강, 신체적 건강, 삶의 질, 사회성, 인지, 활동, 일상생활, 낙상, 작업역할, 자존감, 자기효능감, 자신을 유지하는 것, 노인의 허약으로 총 13개의 항목으로 나누었다. 정신 적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8개(18.6%)로 나 타났으며 신체적 건강과 삶의 질은 각 6개(14.0%)로 나 타났다. 그리고 사회성의 평가도구는 5개(11.6%)로 나 타났으며, 인지와 활동을 측정한 평가도구는 각 4개 (9.3%)이고 일상생활은 3개(7.0%)로 나타났다. 노인에 게 있어 건강 상실은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하고, 노년기의 외로움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주며 우 울 및 인지 저하, 신체적 건강 저하, 활동 감소에 영향을 준다(Turcotte et al., 2015; Xu & Kottl, 2020). 또한 노인의 인지 기능 저하는 정신적, 신체적 자극 활동과 참 여를 저하하며, 높은 인지 기능과 신체 기능, 적극적 활동 과 참여는 건강한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ratiglioni, Marseglia, & Dekhtyar, 2020; Stevens- Ratchford, 2005; Turcotte et al., 2015). 이처럼 노인 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삶의 질, 우울과 외로움과 불안, 사회성, 인지, 활동 등 상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며 이러한 관련이 있는 요인을 고려하여 정확한 중재 결 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도출한 종속변인을 종합적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그 밖에 종속변인으로 작업 역할의 평가도구는 역할 체크리스트가 1개(2.3%)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을 위한 역할 수행 평가도구가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 연구 에서는 노인의 역할 수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평가도 구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노화와 은퇴로 역할에 대한 상실, 갈등으로 역할의 변화가 필요한 사람에게 중재와 역할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성을 강조하였다(Kong & Jung, 2019; Lee et al., 20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노인을 위한 역할 수행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강조 한다. 노인을 위한 역할 수행 평가는 역할에 대한 정의와 용어를 노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해야 하며, 노인에게 맞는 역할 활동을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Kong, 2020). 노인을 위한 역할 수행 평가도구를 통해 치료사는 노인의 역할 수행 중심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를 계획 할 수 있는 관점을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인의 역할 상실과 역할 변화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17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역할 수행을 위한 노인 작업치료는 역할별 다양한 중재 전략 이 존재하고 중재 효과를 보기 위한 종속변수와 평가도 구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연구를 통해 의료 적 환경에서의 노인이 아닌 노인의 웰빙과 건강을 위한 작업치료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작업치료사가 만성질환과 신경계 질환 등이 있는 노인의 치료와 재활 을 위해서가 아닌 웰빙과 건강을 목표로 하는 노인을 대 상으로 작업치료 영역을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 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노인의 역할 수행을 위 한 많은 중재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노인은 자기관리자, 여가 참여자, 조직구성원, 친구 등 여 러 역할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노인을 위 한 역할 수행 작업치료는 건강과 삶의 질, 우울 개선, 활 동 증가 등 노인에게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노인에게 역할 수 행을 중심으로 작업치료 중재 전략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제시되었다고 사료된다.

노인의 우울, 자살 등의 성공적 노화를 방해하는 부정 적 영향에 대한 예방과 노인의 의료 서비스 비용 증가에 대한 대처를 위해서 작업치료사는 노인이 요구하는 역할 및 조직 참여 및 사회적인 역할 수행을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Mulholland & Jackson, 2018; Shin & Park, 2021). 따라서 작업치료사는 역할 상실을 경험한 노인에게 역할 수행 작업치료 중재를 해야 하며, 역할 수 행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Kong, 2020). 이를 위해 노인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는 역할 수행 평가도구가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노인의 역할과 역할에 대한 정의를 파악할 때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용어와 설명이 첨부된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을 위한 역할 수행 평가도구 및 매뉴얼 개발 후 작업기반 중재 목표 수립에 대한 평가도구 사용자의 경험과 동기부여의 효과 및 클 라이언트가 본인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대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Kong, 2020).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선정 시 연구 대상을 노인과 은퇴자를 고려하였지만, 선정 결 과 은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는 노인 외에 생애주기에 따라 역할 평가 필요한 은 퇴자 혹은 청소년, 초보 어머니 혹은 초보 아버지 등 다른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고찰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체계 적 고찰 연구 및 메타분석 연구를 제외하였으며 작업치 료 중재가 명확하지 않은 연구는 제외하였다. 향후 연구 는 이런 배제 기준을 포함하는 포괄적 고찰이 필요하다. 셋째, 선정된 연구는 주로 해외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역 할 수행 작업치료 중재를 진행하여 국내와 문화적, 배경 적, 심리적, 제도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역할 수행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연구 가 필요하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노인에게 역할 수행 작업치료를 제공한 국 내외 연구 총 17편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작업치료 중재 의 역할 유형,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종속변인 및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한 평가도구를 알아보았다. 노인에 게 역할 수행 작업치료의 대부분의 역할 유형은 자기관 리자 역할로 나타났으며 중재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 용된 종속변인은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삶의 질 순으 로 나타났다. 노인의 역할 수행 작업치료에 대한 효과는 체계적인 연구가 보고되고 있었으며, 이는 노인을 위한 역할 수행 작업치료가 기존 질환이 있는 노인을 위한 의 료적 환경에서의 작업치료뿐만 아니라 노인의 웰빙과 건 강 등을 위한 작업치료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을 의 미한다. 추후 노인에게 역할 수행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 하며 노인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는 노인을 위한 역할 수 행 평가도구 및 매뉴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에 대한 의료 서비스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 에서 본 연구가 노인의 웰빙과 건강을 위한 작업치료 중 재 및 역할 수행 작업치료의 중재 전략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20).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4th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4(Supplement 2), 1-85. 10.5014/ajot.2020.74S2001 34780625

2. 

Amini, D. A., Kannenberg, K., Bodison, S., Chang, P., Colaianni, D., Goodrich, B., & Lieberman, D.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th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ement 1), 1-48. 10.5014/ajot.2014.682006

3.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13(12), 18-22

4. 

Bae, S. H., & Baek, J. Y. (2020). An effect of role performance of the elderly with stroke on activity competency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Korean Society for Neurotherapy, 24(3), 57-64.

5. 

Bedding, S., & Sadlo, G. (2008). Retired people’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art classe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9), 371-378. 10.1177/030802260807100904

6. 

Carlson, M., Jackson, J., Mandel, D., Blanchard, J., Holguin, J., Lai, M. Y., ... & Clark, F. (2014). Predictors of retention among African American and hispanic older adult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well elderly 2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3(3), 357-382. 10.1177/0733464812471444 24652865 PMC5327854

7. 

Chatters, R., Roberts, J., Mountain, G., Cook, S., Windle, G., Craig, C., & Sprange, K. (2017). The long-term (24-month) effect on health and well-being of the lifestyle matters community-based intervention in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A qualitative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7(9), e016711 10.1136/bmjopen-2017-016711 28947449 PMC5623577

8. 

Clark, F., Jackson, J., Carlson, M., Chou, C. P., Cherry, B. J., Jordan-Marsh, M., ... & Azen, S. P. (2012).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independently living older people: Results of the well elderly 2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6(9), 782-790. 10.1136/jech.2009.099754 21636614 PMC3412049

9. 

Cutchin, M. P., Marshall, V. W., & Aldrich, R. M. (2010). Moving to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Occupations in the therapeutic landscape process.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25(2), 117-132. 10.1007/s10823-010-9113-y 20376695

10. 

Fratiglioni, L., Marseglia, A., & Dekhtyar, S. (2020). Ageing without dementia: Can stimulating psychosocial and lifestyle experiences make a difference? Lancet Neurology, 19(6), 533-543. 10.1016/S1474-4422(20)30039-9 32470425

11. 

Gagliardi, C., Santini, S., Piccinini, F., Fabbietti, P., & Di Rosa, M. (2019). A pilot programme evaluation of social farming horticultural and occupational activities for older people in Italy.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7(1), 207-214. 10.1111/hsc.12641 30160045

12. 

Jang, Y. S. (2020). The effect of the occupational group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4(2), 11-18. 10.34263/jsotad.2020.14.2.11

13. 

Johansson, A., & Björklund, A. (2015). The impact of occupational therapy and lifestyle interventions on older persons’ health, well-being, and occupational adaptation a mixed-design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3(3), 207-219. 10.3109/11038128.2015.1093544 26442837

14. 

Juang, C., Knight, B. G., Carlson, M., Schepens Niemiec, S. L., Vigen, C., & Clark, F. (2018).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change in a lifestyl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Gerontologist, 58(2), 353-361. 10.1093/geront/gnw152 28329863 PMC5946910

15. 

Jung, K. H., Lee, Y., Kim, K., Choi, H. J., Kim, J. H., Lee, J. Y., & Kim, M. K. (2017). A study on the role of older persons in times of population ageing (Report No. 2017-12).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 

Kang, Y. (2020). Effects of role absence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leisure and social activiti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5(1), 247-258. 10.21097/ksw.2020.02.15.1.247

17. 

Kielhofner, G. (2008).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Kielhofner, G., & Burke, J. P. (1980). A model of human occupation, part 1. Conceptual framework and cont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4(9), 572-581. 10.5014/ajot.34.9.572 7457553

19. 

Kim, M. G.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owering social interaction on social ehavior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Mental Health & Social Work, 33, 5-35.

20. 

Kim, N. H., & Jung, M. S. (2017). The influence of elderly soci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elderly well be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496-506. 10.5392/JKCA.2017.17.01.496

21. 

Kim, S., Jeong, J., & Song, J. (2018).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3(3), 167-191. 10.21194/kjgsw.73.3.201809.167

22. 

Kim, H. J., Jeon, C. H., Roh, M. Y., Han, Y. J., Kim, H. H., Cheong, M. J., ... & Leem, J. T. (2019). Systematic review of short stature and growth related qualitative researches.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33(4), 74-88.

23. 

Kim, H. J., Kim, B. E., Kim, E. S., Shin, D. E., Lee, S. Y., & Jung, H. (2016) Correlation of elderly activity leve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6(1), 25-32. 10.18598/kcbot.2016.06.01.03

24. 

Kim, S. I., & Park, J. E. (2016).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isure function, social role loss and depression of older adults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3, 573-584. 10.51979/KSSLS.2016.02.63.573

25. 

Kong, M. J. (2020). Development of the role performance measur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6. 

Kong, M. J., & Jung, M. Y. (2019). Occupational role: A review. Korea Journal of Geriatric Occupational Therapy, 1(1), 7-16.

27. 

Kwok, T., Wong, A., Chan, G., Shiu, Y., Lam, K. C., Young, D., ... & Ho, F. (2013). Effectiveness of cognitive training for Chinese elderly in Hong Kong.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8, 213-219. 10.2147/CIA.S38070 23440076 PMC3578501

28. 

Lee, S. H., Cho, M. K., Son, K. C., & Im, E. E.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demented old adult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0(4), 40-47.

29. 

Lee, S. C. (2013). Social role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Korea Social Policy Review, 20(4), 9-35. 10.17000/kspr.20.4.201312.9

30. 

Lee, H. J., & Yang, Y. A. (2012) A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s of the old adult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6(2), 47-53.

31. 

Lee, J. S., Jung, M. Y., Yoo, E. Y., & Lee, J. S. (2020). Comparison of meaningful role performance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8(2), 41-52. 10.14519/kjot.2020.28.2.04

32. 

Lee, K. J., Yang, K. O., Kim, J. J., & Oh, M. H. (2021).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care, and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elderly. Korean Aging-Frendly Industry Association, 13(1), 41-48. 10.34264/jkafa.2021.13.1.41

33. 

Lim, J. C., Ju, K. H., & Lim, B. W. (2012). Effects of work participation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7, 29-50. 10.21194/kjgsw..57.201209.29

34. 

Liu, M., Xue, Q. L., Gitlin, L. N., Wolff, J. L., Guralnik, J., Leff, B., & Szanton, S. L. (2021). Disability prevention program improves life-space and falls efficac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9(1), 85-90. 10.1111/jgs.16808 32951215 PMC8344360

35. 

Min, K. (2016). A study on leisure patter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Studies, 14(3), 57-84.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2020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6496&page=1

37. 

Miyadera, H., Kawamata, H., Tanimura, A., Ishidai, T., & Kobayashi, N. (2020). Efficacy of a program to address older adults’ challenges of daily living after disasters. Educational Gerontology, 46(12), 816-827. 10.1080/03601277.2020.1835144

38.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 G., & PRISMA Group.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10.7326/0003-4819-151-4-200908180-00135 19622511

39. 

Mountain, G., Windle, G., Hind, D., Walters, S., Keertharuth, A., Chatters, R., ... & Roberts, J. (2017). A preventative lifestyl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lifestyle matter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ge Ageing, 46(4), 627-634. 10.1093/ageing/afx021 28338849 PMC5860501

40. 

Mulholland, F., & Jackson, J. (2018). The experience of older adult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living in the community: Aging, occupation and mental wellbeing.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81(11), 657-666. 10.1177/0308022618777200

41. 

Mulry, C. M., & Piersol, C. V. (2014). The let’s go program for community participation: A feasibility stud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32(3), 241-254. 10.3109/02703181.2014.932316

42. 

Noh, E. Y., Cho, Y., Lee, Y., & Yun, S. (2020). A systematic review focused on health behavior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of diabetic patients in interventional studi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2(1), 1-10. 10.7586/jkbns.2020.22.1.1

43. 

Park, G. Y., & Kim, K. J. (2019). An influence of senior generation leisure choice behavior on psychological euphoria an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senior in Daejeon.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31(5), 407-424. 10.31336/JTLR.2019.5.31.5.407

44. 

Park, S., Chun, Y., Seong, J., & Lee, S. (2013). Effects of elder’s role performance and self-esteem on successful aging.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1), 43-50.

45. 

Rodriguez-Bailon, M., Pulido-Navarro, M. J., Bravo-Quiros, A., Alberto-Cantizano, M. J., Rubio-Fernandez, V., & Fernandez-Solano, A. J. (2016). Seeing, judging and...acting! Improving health perception and meaningful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older Spanish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42(8), 572-584. 10.1080/03601277.2016.1205384

46. 

Roh, H. J., & Kim, K. H. (2017). Influence of self-management on successful aging awareness and life styles in elderly participants in dance for all. Korean Society of Dance, 75(6), 69-87. 10.21317/ksd.75.6.4

47. 

Shin, G., & Park, H. Y. (2021). Developing domains and items about self-management among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 Healthcare, 10(1), 54. 10.3390/healthcare10010054 35052218 PMC8775856

48. 

Song, B. N., Jeon, B. J., Lee, J. S., & Kim, S. K. (2012). Phenomenological study on meaningful occupation of nursing home living elderly pers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41-53.

49. 

Sprange, K., Mountain, G. A., Shortland, K., Craig, C., Blackburn, D., Bowie, P., ... & Spencer, M. (2015). Journeying through dementia, a community-base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A feasibility study to inform a future trial. Pilot and Feasibility Studies, 1(1), 1-14 10.1186/s40814-015-0039-6 27965820 PMC5154003

50. 

Stevens-Ratchford, R. G. (2005). Occupational engagement: Motivation for older adult participation.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21(3), 171-181. 10.1097/00013614-200507000-00003

51. 

Taylor, R. R. (2017). Kielhofnes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ory and applica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Wolters Kluwer Health.

52. 

Turcotte, P. L., Larivière, N., Desrosiers, J., Voyer, P., Champoux, N., Carbonneau, H., ... & Levasseur, M. (2015). Participation needs of older adults having disabilities and receiving home care: Met needs mainly concern daily activities, while unmet needs mostly involve social activities. BioMed Central Geriatrics, 15(1), 1-14. 10.1186/s12877-015-0077-1 26231354 PMC4522124

53. 

Xu, W., & Köttl, H. (2020). Internet use and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The moderating role of self-perceptions of ageing. Paper session presented ate the meet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Copenhagen, Denmark. 10.1007/978-3-030-50232-4_26

54. 

You, Y. M., & Kim, S. (2019). Successful ageing among the elderly: Influence of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3(1), 1-16. 10.22626/jkfrma.2019.23.1.001

55. 

Yuri, Y., Takabatake, S., Nishikawa, T., Oka, M., & Fujiwara, T. (2016). The effects of a life goal-setting technique in a preventive care program for frail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A cluste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BioMed Central Geriatrics, 16(1), 1-11. 10.1186/s12877-016-0277-3 27175793 PMC4866031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