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치매 보조기기 국외 연구 동향 분석



Ⅰ.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의 발병률이 높아지며 2050 년에는 1억 2,200만 명에 이르는 사람이 치매에 걸릴 것 으로 예상되며. 치매 환자의 돌봄비용 등의 경제적 부담 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Analysis & Policy Observatory, 2018). 치매 환자로 인한 경제적 부담 중 사회적 돌봄 비용이 40.1%, 가정 내 돌봄 비용이 40.3%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따라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은 치매 환자를 위한 경제적인 사회 및 의료보장 패키지의 개발을 촉구하고 있다(Prince et al., 2015).

선행연구에서는 치매 환자를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 로 살게 한다면 사회적 돌봄으로 인한 부담의 경감과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McMurray et al., 2017; Topo, 2009). 이에 따라 아일랜드에서는 Memory Technolongy Resource Rooms(MTRR)이 라는 보조기기 공급 네트워크를 도입하여 치매 환자들에 게 적용 가능한 보조기기를 안내 및 보급하고 있다 (Cullen, 2020). 그 외 선진국에서도 치매 관련 보조공 학 서비스 안내 및 전달체계를 개발하여 치매 환자와 가 족들에게 제공하고 있다(Alzheimer’s Society, 2015). 하지만 국내의 경우 지정된 18개의 품목 중 수급자가 신 청한 품목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대상자 상황에 따른 보조기기 정보제공은 미비한 실정이 다(National Health Insurance Public Corporation, 2018).

치매 환자는 보조기기 적용 환경과 사용자에 따라 광 범위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원화된 보조기 기를 적용할 수 없다(Cullen, 2020). 보조기기의 효과적 인 활용을 위해서는 대상자와 대상자의 환경 및 목적에 맞춘 적절한 보조기기에 대한 정보제공이 중요하다 (Chan, Chan, Kuang, Le, & Celler, 2021). 해당 문제 에 대한 제언을 위해서는 치매 보조기기라는 주제를 바 탕으로 어떠한 대상자들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연구 자들의 보조기기 활용 목적은 무엇이었는지, 그에 따라 지급된 보조기기는 어떤 것들이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 다. 이를 위해 먼저 치매 보조기기를 도입하여 치매 환자 의 인지 및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기기의 이점에 대해 실 험을 진행한 국외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에 대한 고찰을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연구방법론을 활용하 였다. 해당 연구방법은 수동적으로 문헌을 선택하는 과 정에 있어 검토하는 연구의 양을 제한하고 연구자의 경 험과 전문성에 의해 편향을 겪는다(Kitchenham et al., 2009). Brims와 Oliver(2019), Sriram, Jenkinson과 Peters(2019), Ienca 등(2017)이 치매 보조기기에 대 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지만, 대상자가 가족 보호자 로만 한정되거나 목적이 안전성으로 정해지거나 보조기 기가 지능형 보조기기로 제한되는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니즈(needs)에 따른 보조기 기에 대한 체계적 고찰 연구가 Topo(2009)에 의해 실 시되었지만, 연구자들이 수동적으로 연구를 선택했기 때 문에 66편이라는 적은 양의 연구가 추출되어 더 많은 연 구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텍스트 마이닝은 기존의 연구방법론과 비교하여 연구 동향 진단 및 해석 시 편견의 개입이 적으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Jia et al., 2021).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에 관한 연구는 기술의 진화로 인하여 폭발적으 로 늘어나고 있다(van der Roest, Wenborn, Pastink, Droes, & Orrell, 2017). 즉, 검토할 수 있는 양이 정해 져 있는 기존의 연구 방법보다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는 것이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라는 주제를 가진 연구들의 전체적인 맥락을 짚어내기에 용이하며, 국내에 필요한 보조기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에도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국 외 치매 보조기기 연구가 어떠한 대상자들을 위주로 진 행되었고 실험된 환경과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보조기 기가 무엇이며 연구 목적은 어떠했는지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후 시간별 핵심 키워드의 변화와 연구동향의 변화를 진단 및 분석하고 국내에 필 요한 보조기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본 연구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KYU NON20 21-007)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Medical Literature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Online(MEDLIN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ENTRAL),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Science Direct, ProQuest, Taylor and Francis, Institut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Wiley 데이터베 이스를 사용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20년 동안 발표된 해외문헌을 수집하였다. 검색식은 “assistive technology OR assistive device” 과 “Alzheimer’s Disease OR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를 이용하였다. 검색 결과 MEDLINE에서 285편, CENTRAL에서 105편, CINAHL에서 623편, Science Direct에서 192편, ProQuest 931편, Taylor and Francis 40편, IEEE 4편, Wiley 38편이 검색되어, 총 2,218편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 중 1,092편의 연구가 중복되어 제외, 최종적으로 1,126편을 수집하였다.

2. 데이터 전처리 및 단어선정

1) 형태소 분석 및 의미정보 변환

전처리 과정이란, 입력된 비정형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텍스트 마이닝이 가능하게끔 만들어주는 과정을 의미한 다. 텍스트 마이닝의 전처리 과정은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 르게 규정하고 있다(Oh & Kim, 2020). Yook(2017)은 전처리 과정을 ‘형태소 분석’, ‘의미정보변환과 추출’ 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2단계를 거쳐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키워드 추출과 정제를 위해 최종 선정된 1,126건의 논 문들을 출판연도, 논문 제목, 초록 정보 3가지 컬럼으로 정리하고 초록 컬럼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 저 사전정제 및 토큰화(tokenization) 과정을 통해 공백 을 기준으로 문장을 단어로 쪼개고, 텍스트 데이터 분석 에 필요하지 않은 숫자나 구두점 같은 기호 제거, 영어 대소문자 통일 등을 실시하였다.

의미정보 변환단계에서는 어간 및 표제어 추출을 통해 단어의 변화 형태를 하나의 형태로 통일시켰다. 예를 들 어, 영어에서의 -tion, -(i)ed 활용 형태에서 현재형으로 통일시키는 등 핵심단어를 추출하여 하나의 단어로 인식 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키워드인 ‘to’, ‘with’ 등과 같은 전치사, 조사 등의 기능어들을 불용 어(stop word) 처리하여 분석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초 록 정보에 해당하는 ‘introduction’, ‘background’ 등의 단 어들은 불용어 처리하였다. 이후 ‘long term care’, ‘daily life’ 등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묶여 하나의 의미를 이루는 단어들이 복합명사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2) 단어 추출

전처리 결과 11,366개의 단어가 산출되었으며 산출 된 단어들을 연구자 2인이 검토하여 연구 대상자, 보조기 기가 적용된 환경, 활용된 보조기기, 연구 목적과 관련된 키워드들을 추출하였다. 이견이 있는 경우 임상경력 10 년 이상의 작업치료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였다. 추출 된 키워드들의 동의어 및 하위 문자열들은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분류 결과를 참고하여 정 리하였다(Ienca et al., 2017; Topo, 2009). 예를 들 어 연구의 목적이 ‘mobility’와 ‘gait’ 인 경우 둘 다 ‘physical assist’ 로 분류하였다.

3. 분석방법

키워드들의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KH coder 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Higuchi, 2016; Park & Park, 2019). 본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빈도분석(Term Frequeny; TF)과 동시출현단어분석 (co-occurrence network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단어일수록 중요 키워드로 간주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요 키워드 빈도수 변화를 통해 연구동향 을 살펴볼 수 있다(Heo, Kim, & Choi, 2020). 본 연구 에서는 연구 대상자, 보조기기 적용 환경, 활용된 보조기 기 및 연구 목적 4가지 영역별로 선별된 키워드를 빈도 분석하였다.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키워드 빈도수 변 화를 파악할 수 있게끔 히트맵을 제시하였다. 히트맵의 색상이 진해질수록 키워드 관련 연구가 더욱 많이 진행 됨을 의미한다.

이후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실시, 연관어 네트워크를 생 성하였다. 동시출현단어분석이란 서로 다른 단어가 문서 에서 동시에 출현하였을 때 두 단어가 내포하는 연구의 내용이 관련성이 높다고 보는 분석이다(Liu, Hu, & Wang, 2012).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 - 보조기기 적용환경 – 연구 목적 간의 연결성을 확인하는 연관어 네 트워크와 연구 목적 - 활용된 보조기기 간의 연결성을 확인하는 2가지 연관어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분석하였 다. 두 단어 간의 연결선이 두꺼울수록 두 단어 간의 연결 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어 간의 직접적인 선의 연 결을 통해 연결성이 확인 가능하다(Higuchi, 2016). 해 당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 보조기기 적용 환 경, 활용된 보조기기 및 연구 목적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연구의 진행과정은 Figure 1에 제 시하였다.

Figure 1

Study Process

../figures/KJOT-31-2-1_F1.jpg

Ⅲ. 연구 결과

1. 연도별 빈도 분석 결과

1) 연구 대상자 관련 주요 키워드

연구 대상자 분석 결과, 7가지 유형의 대상자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대상자 유형에 대한 분류는 Topo(2009)Ienca 등(2017)에 의해 실시된 선행연구의 기준을 참고하여 알츠하이머 환자(Alzheimer’s Disease; AD), 경증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 환자(mild to severe AD), 경증에서 중증의 치매 환자(mild to severe dementia), 기타 치매 환자(related dementia), 경도인지장애 환자 (mild cognitive impairment), 보호자(informal caregiver), 의료/요양 서비스 제공자(formal caregiver)로 분류하 였다(Table 1).

Table 1

Type of Assistive Device User and Corresponding Words

../figures/KJOT-31-2-1_T1.jpg

경증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 환자는 질병 진행 단계가 명시된 알츠하이머 환자를 의미하며 경증에서 중증의 치 매 환자 또한 치매의 진행단계가 명시된 대상자를 의미한 다. 기타 치매 환자는 혈관성치매, 루이체 치매와 같은 알츠하이머 이외의 치매 대상자를 의미한다. 보호자에는 주 보호자 및 가족 보호자가 포함되었으며 의료/요양 서 비스 제공자는 간병인, 작업치료사, 의사, 간호사와 같이 의료 및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상자를 의미한다.

2) 보조기기 적용 환경 관련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4가지 유형의 환경이 도출되었다. 분류는 Topo(2009)에 의해 진행된 선행연구의 기준을 참고하 였다. 관련 키워드는 요양 시설(residential care), 병원 (hospital), 지역사회(community), 집(home) 이었다. 요양 시설은 입소 후 관리를 받는 환경을 포함하였다. 지 역사회는 입소하지 않고 관리를 받는 주간 돌봄 센터 혹 은 지역사회 등을 의미한다(Table 2).

Table 2

Type of Assistive Device Applied Setting and Corresponding Words

../figures/KJOT-31-2-1_T2.jpg

3) 활용된 보조기기 유형 관련 주요 키워드

21개의 보조기기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조기기 에 대한 분류는 Topo(2009)Ienca 등(2017)에 의해 실시된 선행연구의 기준을 참고하였다. 이 중 높은 빈도 수를 보인 상위 10개의 키워드 만을 추출하였다. 상위 10개에 해당하는 키워드는 원격의료(telehealth), 스마 트 환경(smart environment), 로봇(robot), 휴대용 기기 (handheld),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프로그램/앱 (software/app), 웨어러블(wearable), 청각 보조기기 (hearing aid), 지능형 보조기기(intelligent assistive technology), 기억 보조기기(memory aid)였다.

원격의료에는 원격진료 시스템 등이 포함되며 스마트 환경은 거주자의 생활방식 등에 따른 행동 변화나 건강 이상 등을 포착하여 문제에 대한 예방조치가 가능하게 만드는 주거 및 생활환경을 의미한다. 휴대용 기기란, 디 스플레이가 있으며 입력 시스템을 통해 손으로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들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기기에 는 컴퓨터, TV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해당된다. 프로그램/앱이란 휴대용 기기나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통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핸드폰을 이용한 사회적 참여 지지 프로그램 등이 이에 포함된다. 지능형 보조기기란, 기기 자체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생태계 를 감지, 적응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Topo, 2009; Ienca et al., 2017)(Table 3).

Table 3

Type of Assistive Device and Corresponding Words

../figures/KJOT-31-2-1_T3.jpg

4) 연구 목적 관련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10가지 유형의 연구 목적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목적에 대한 분류는 Topo(2009)Ienca 등 (2017)이 실시한 선행연구의 기준을 참고하였다. 목적 유형으로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보조, 돌봄(care), 모니터링(monitoring), 신체 기능 보조(physical function assistant), 인지기능 보조 (cognitive function assistant), 사회참여 및 상호작용 보조(social assist), 재활(rehabilitation), 정서 및 심리 지지(psychological assistant), 정보제공(information), 삶의 질 증진(quality of life)이 도출되었다.

모니터링은 대상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 측정, 평가, 관리하는 것이 보조기기의 목적인 경우로 정의하 였다. 사회참여 상호작용 보조는 보조기기의 목적이 사 회적 고립의 완화와 사회참여 촉진 등에 있는 경우로 하 였다(Table 4).

Table 4

Type of Purpose of Assistive Device and Corresponding Words

../figures/KJOT-31-2-1_T4.jpg

2. 동시출현단어 분석 결과

1) 연구 대상자와 보조기기 적용 환경, 연구 목적 간의 연결성

연관어 네트워크 생성 결과, 보호자는 환경에서의 집 과 지역사회, 연구 목적의 정서 및 심리 지지, 돌봄과 연 결되어 있는 것이 확인하였다. 기타 치매 환자는 병원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모니터링과 연결되어 있었다. 경도인지장애는 인지 기능 보조와 연 결되어 있었다(Figure 2).

Figure 2

A Heat Map of Subjects(A), Applied Setting(B), Assistive Device(C), Assistive Device Purpose(D) by Year

../figures/KJOT-31-2-1_F2.jpg

2) 연구 목적과 활용된 보조기기 간의 연결성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구 목적인 사회참여 및 상호작용 보조는 보조기기 종류의 프로그램/앱, 로봇과 연결성을 보였다. 인지 기능 보조는 기억 보조기기와 연 결되었으며, 연구 목적인 모니터링과도 연결되었다. 정 서 및 심리 지지는 연구 목적 중 하나인 정보제공과 연결 되었다. 돌봄은 원격의료와 연관되었으며, 일상생활 보 조는 스마트 환경과 연결되었다. 신체기능 보조는 청각 보조기기와 연구 목적에 해당하는 재활, 모니터링과 연 결되었다(Figure 3).

Figure 3

Co-Occurrence Network Between Terms of Assistive Device Purpose and Assistive Device User(A), Assistive Device Purpose and Assistive Device(B)

../figures/KJOT-31-2-1_F3.jpg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 치매환자 의 보조기기에 대한 국외 연구를 수집하여 연구 대상자, 연구 환경 및 연구 목적에 대한 키워드를 정리하고, 시간 의 흐름에 따른 치매 보조기기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또한, 연도별 키워드 빈도수 변화와 키워드 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에서 주목해야 할 정 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보호자, 의료/요양 서비스 제공자, 알츠하이머 환자, 경도인지장애 환자, 경 증에서 중증의 치매 환자, 경증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 환자, 기타 치매 환자 순으로 연구되었다. 이것은 특정 단계와 유형의 치매 환자를 위한 보조기기가 적게 연구 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치매 환자의 경우, 질병의 진행 단계와 진단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기능 제한과 장 애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Sperling et al., 2011). 이러 한 특이성에 대한 부족은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 선택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치매 환자의 진단 유형과 단계 에 맞춘 보조기기 개발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이는 치 매 단계에 따른 보조기기 적정성 및 효과를 추적하는 연 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선행연구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 한다(Topo, 2009).

보조기기가 적용된 환경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집과 지역사회가 많이 연구된 환경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본 결과는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 적용 환경에 관하 여 고찰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Topo, 2009). 선행연구에서 치매 보조기기가 많이 적용된 환 경은 요양 시설이다. 해당 연구와의 차이점은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문제의 차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연구의 목적이 안전과 인지 보조에서 일상생활 활동의 촉진 및 원격진료 등으로 변 경되었다(Ienca et al., 2017). 또한 치매 환자의 돌봄 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이 증가되면서 비용 감소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역사회 거주(aging in place) 와 시설 돌봄을 늦출 수 있는 보조기기들이 주목을 받 기 시작하면서 보조기기 연구가 집과 지역사회 환경에 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났을 것으로 고려된다(Analysis & Policy Observatory, 2018). 실제 보조기기 적용 환경 빈도분석 결과, 2000년 초반에는 요양 시설에서 의 연구 빈도가 높았으나, 2021년에 가까워질수록 집 이나 지역사회 환경에서 진행된 연구가 더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목적으로 많이 연구된 것은 사회참여 및 상호작 용 보조이다. 해당 결과는 사회의 초점이 치매 환자의 단 순 지원이 아닌 지역사회 내에서의 독립적 거주 및 생활 로 변경되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 는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 발전 방향이 치매 환자의 독립 적 생활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의 동화로 이어져야 한 다고 주장한 선행연구의 주장을 뒷받침한다(Evans et al., 2015). 21개의 치매 보조기기 유형 중 많이 연구된 유형은 프로그램/앱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 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고려된다. 연도별 빈도분석 결 과에 따르면 프로그램/앱이 본격적으로 많이 연구되기 시작한 시기는 2012년이었으며, 이는 본 연구의 결과에 서 휴대용 기기가 많이 연구되기 시작한 시점과 같다. 모 바일 헬스에 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활용 한 건강관리 연구는 2012년부터 나오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고 설명하고 있다(Bassi et al., 2018).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 유형으 로써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앱과 그다음으로 많이 연 구된 휴대용 보조기기는 이러한 연구 흐름으로써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보호자는 환경에서의 집 과 지역사회, 연구 목적의 정서 및 심리 지지, 돌봄과 연 결되어 있었으며, 돌봄은 보조기기 유형 중 원격의료와 연결되어 있다. 이는 보호자들의 치매 환자 돌봄을 위하 여 원격의료와 관련된 보조기기 활용 연구가 많이 진행 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회참여 및 상호작용 보조 는 프로그램/앱, 로봇과 연결성을 보였다. PARO(Daiwa House Industry), MARIO(Robosoft)와 같은 로봇은 이미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대상자들 의 사회참여 및 상호작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Kruse et al., 2020).

본 연구 결과와 국내 지원 현황 비교 시, 국내에서는 치매 환자를 위한 보조기기 지원의 다양성이 부족하다고 사료된다. 국내에서는 안전손잡이, 미끄럼 방지용품 등 한정적인 품목을 지원하고 있으며, 해당 품목의 경우에 는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의 독립성 악화 및 간병인의 부 양 부담감을 지원하는데 한계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Kong, 2021). 본 연구결과에서 안전손잡이 등의 안전 관리 용품은 많이 적용된 보조기기 10가지 유형에 포함 되지 못하였다. Ienca 등(2017)에 의하여 진행된 선행 연구에서도 안전 증진 관련 보조기기는 1세대에 해당한 다고 보고하고 있다. 치매 지원에 대한 세계적 흐름이 이 미 치료, 활동 및 참여의 균형화를 이루어 보조기기를 필 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또한 일상생 활활동, 사회적 참여 및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품목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다양한 품목의 지원과 동시에 적절한 보조기기를 추천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집단도 필요하다. 연구결과,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 연구는 5년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었 다. 보조기기의 이러한 양과 다양성의 증가는 개인화된 보조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하지만 올바른 기기의 선택 을 복잡하게 한다(Palmdorf et al., 2021). 따라서, 보조 기기의 대상자와 환경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맞는 보조기기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작업치료사는 치매 환자 의 인지 수준과 일상생활의 안전 및 일상생활활동을 평 가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 보조공학사와 함께 필수인력에 적합할 것으로 고려된다(Alzheimer’s Society, 2015).

본 연구는 자료수집에 대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연구의 초록을 중심으로 수집하였기 때 문에 도서, 서평 및 지원사업과 관련된 보고문들이 포함 되지 않았다. 해당 부분의 제한점으로 인하여 실제 현실 을 반영하기에는 제한을 가진다. 둘째, 보조기기의 효능 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과학의 급격한 성 장에 보조기기의 잠재적 응용 분야에 대한 거론이 많아 지고 있다. 하지만 해당 분야 보조기기의 환경별, 대상자 별, 목적별 효과성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하였다. 이에, 추 후의 연구는 포괄적인 자료수집을 통하여 실제 보조기기 지원 현실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 제 임상 환경 및 가정환경 내에서의 치매 환자의 보조기 기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치매 보조기기의 연구의 대상자, 환경, 연구 목적에 따라 활용된 보조기기에 대한 핵심 키워드 추출 및 연도별 키워드의 변천사,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통하 여 국외 치매 보조기기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매 보조기기에 대한 국외 연구의 주 연구 대상자와 환경 및 목적, 활용 보조기기를 확인하였으며, 각 영역 간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와 국내의 보조기기 지원현황 비교 결과, 일상 생활활동, 모니터링, 사회참여 지원 등을 위한 다양한 품 목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보조기기 대상자들의 니즈(needs)에 맞는 보조기기 추천 전문인력을 확보한 다면 치매 환자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 부담에 대한 절감과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 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보 조기기 선택에 대한 정보제공과 치매 보조기기 지원 정 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향후, 포 괄적인 자료수집을 통하여 구체적 현실을 반영한 연구와 함께 실제 임상 환경 및 가정환경 내에서의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적 시도가 이루 어지길 바란다.

References

1. 

Alzheimer’s Society. (2015).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help with everyday living. Retrieved from https://www.alzheimers.org.uk/sites/devices_to_help_with_everyday_living

2. 

Analysis & Policy Observatory. (2018). World alzheimer report 2018. Retrieved from https://apo.org.au/node/260056

3. 

Bassi, A., John, O., Praveen, D., Maulik, P. K., Panda, R., & Jha, V. (2018).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mHealth interventions for health system strengthening in Indi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6(10), e11440. 10.2196/11440 30368435 PMC6229512

4. 

Brims, L., & Oliver, K. (2019). Effectiv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in improving the safety of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 Mental Health, 23(8), 942-951. 10.1080/13607863.2018.1455805 29634287

5. 

Chan, D. K. Y., Chan, L. K. M., Kuang, Y. M., Le, M. N. V., & Celler, B. (2021). Digital care technologies in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o prevent falls and manage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Ageing, 19(3), 309-323. 10.1007/s10433-021-00627-5 36052197

6. 

Chan, J. Y., Wong, A., Yiu, B., Mok, H., Lam, P., Kwan, P., & Kwok, T. C. (2020). Electronic cognitive screen technology for screeni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 community setti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2(12), e17332. 10.2196/17332 33337341 PMC7775823

7. 

Cullen, K. (2020). Evaluation of the role, contribution and value of the Memory Technology Resource Room (MTRR) programme. Tullamore, County Offaly: National Dementia Office.

8. 

Evans, J., Brown, M., Coughlan, T., Lawson, G., & Craven, M. P. (2015). A systematic review of dementia focused assistive technology.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meet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Copenhagen, Denmark. 10.1007/978-3-319-20916-6_38

9. 

Heo, S. M., Kim, S. H., & Choi, Y. (2020).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Korean Association for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27(2), 1-26. 10.37409/RSSE.27.2.1

10. 

Higuchi, K. (2016). A two-step approach to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KH coder tutorial using anne of green gables (Part I). Ritsumeikan Social Sciences Teview, 52(3), 77-91.

11. 

Hill, N. T., Mowszowski, L., Naismith, S. L., Chadwick, V. L., Valenzuela, M., & Lampit, A. (2017).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4(4), 329-340. 10.1176/appi.ajp.2016.16030360 27838936

12. 

Ienca, M., Fabrice, J., Elger, B., Caon, M., Scoccia Pappagallo, A., Kressing, R. W., & Wangmo, T. (2017). Intelligent assistive technology for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56(4), 1301-1340. 10.3233/JAD-161037 28222516

13. 

Jia, G., Zhang, G., Yuan, X., Gu, X., Liu, H., Fan, Z., & Bu, L. (2021). A synthetical development approach for rehabilitation assistive smart product–service systems: A case study.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48, 101310. 10.1016/j.aei.2021.101310

14. 

Kitchenham, B., Brereton, O. P., Budgen, D., Turner, M., Bailey, J., & Linkman, S. (2009).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in software engineering–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51(1), 7-15. 10.1016/j.infsof.2008.09.009

15. 

Kong, J. Y. (2021). A plan to expand support of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Retrieved from http://www.atrac.or.kr/reference/data.html

16. 

Kruse, C. S., Fohn, J., Umunnakwe, G., Patel, K., & Patel, S. (2020). Evaluating the facilitators, barriers, and medical outcomes commensurate with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to support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literature. Healthcare, 8(3), 278. 10.3390/healthcare8030278 32824711 PMC7551699

17. 

Liu, B., Wang, H., Wang, T., Bao, Y., Du, F., Tian, J., & Bai, R. (2012). A new ratiometric ESIPT sensor for detection of palladium species in aqueous solution. Chemical Communications, 48(23), 2867-2869. 10.1039/c2cc17677g 22306922

18. 

McMurray, J., Strudwick, G., Forchuk, C., Morse, A., Lachance, J., Baskaran, A., & Booth, R. (2017). The importance of trust in the adoption and use of intelligent assistive technology by older adults to support aging in place: Scoping review protoco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6(11), e218. 10.2196/resprot.8772 29097354 PMC5691240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Public Corporation. (2018). Long-term care insurance. Retrieved from https://www.longtermcare.or.kr/npbs/e/b/102/npeb102m01.web?menuId=npe0000000040&zoomSize

20. 

Oh, S. H., & Kim, H. J. (2020). A study on the ‘Low Fertility’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ocess of low fertility polic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40(3), 492-533.

21. 

Palmdorf, S., Stark, A. L., Nadolny, S., Eliaß, G., Karlheim, C., Kreisel, S. H., & Dockweiler, C. (2021). Technology-assisted home care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relatives: Scoping review.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4(1), 2867-2869. 10.2196/25307 33470935 PMC7857954

22. 

Park, H., & Park, M. S. (2019). Capturing the trend of mHealth research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mHealth, 5, 48. 10.21037/mhealth.2019.09.06 31728383 PMC6851422

23. 

Prince, M. J., Wimo, A., Guerchet, M. M., Ali, G. C., Wu, Y. T., & Prina, M. (2015). World Alzheimer report 2015-The global impact of dementia: An analysis of prevalence, incidence, cost and trends. Retrieved from http://www.alz.co.uk/research/world-report-2015

24. 

Sperling, R. A., Aisen, P. S., Beckett, L. A., Bennett, D. A., Craft, S., Fagan, A. M., & Phelps, C. H. (2011). Toward defining the preclinical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Alzheimer’s Association workgroups on diagnostic guidelines for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 Dementia, 7(3), 280-292. 10.1016/j.jalz.2011.03.003 21514248 PMC3220946

25. 

Sriram, V., Jenkinson, C., & Peters, M. (2019). Informal carers’ experience of assistive technology use in dementia care at home: A systematic review. BioMed Central Geriatrics, 19, 160. 10.1186/s12877-019-1169-0 31196003 PMC6567448

26. 

Topo, P. (2009). Technology studies to meet the needs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8(1), 5-37. 10.1177/0733464808324019

27. 

Van Der Roest, H. G., Wenborn, J., Pastink, C., Dres, R. M., & Orrell, M. (2017). Assistive technology for memory support in dement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6), 1-25. 10.1002/14651858.CD009627.pub2 28602027 PMC6481376

28. 

Yook, D. I. (2017). Text mining-based analysis for research trends in vocational studi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586-599.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