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Ⅰ. 서 론

노인은 노화의 과정에서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축소와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Wrzus, Hänel, Wagner, & Neyer, 2013). 특히, 지역사회 거 주 노인들은 독립적인 생활방식을 택하는 경향이 증가하 며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는 노인 인구의 증가로 사회적, 경제적환경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2020년 국내 78.2%가 노인 단독가구(노인 부부가구와 노인 1인 가 구)를 차지하며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는 비율도 점차 감 소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과거에 비해 노인 단독가구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Lee et al., 2020). 실제로 노년기에 접어듦에 따라 자녀의 독립, 은 퇴, 배우자와의 사별 등을 맞이하며 노인은 일생의 대부 분을 차지하던 시간이 공백으로 남게 되면서 사회적 지 위, 역할 상실, 높은 우울감의 심리 정서적 문제를 경험한 다(Park & Kim, 2016; Um, Kim, Shin, Kim, & Kim, 2020). 가구 형태의 변화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형 성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사회접촉 기회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Klinenberg, 2016). 노인은 노년기에 접어듦으 로써 경험하게 되는 일련의 사건들로 인한 사회 참여, 접 촉 및 관계의 축소는 개인의 고립 문제를 넘어 건강을 위 협하는 잠재적 요인에 해당한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사회의 일부라는 인식과 경험을 의미하고 더 광범위한 의미에서 사회적 관계를 포괄하는 개념에 해당한다(Heaney & Israel, 2008). 사회적 관계는 사회적 환경 안에서 가족, 친구, 이웃 등과의 연결을 포함하는 사회적 관계 구조를 의미하며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한다(Caetano, Silva, & Vettore, 2013).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은 사회적 환경과 관계에 밀접하게 속해있으며 개인의 사회적 관계 가 강하고 지지적일수록 사회에 통합되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Berkman, 1995). 노인은 노화의 과정에서 신 체 기능이 저하되거나 만성질환으로 인한 이동성의 제한 으로 자연스럽게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게 되고 그 결과 는 건강 악화로 이어진다(Iliffe et al., 2007). 높은 사회 적 지지는 노인의 웰빙, 자발적인 건강행동, 자아존중감 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노년기의 인지 저하를 예방하는 역할을 제공한다(Ham & Kim, 2021; Seeman, Lusignolo, Albert, & Berkman, 2001; Watt et al., 2014). 반면에 낮은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정신 건강 측면에서 외로움으로 인한 우울증, 자살 행동, 불안 및 강박 등의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되어 있다(Yim, Kim, & Youm, 2016).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사회적 적응과 행동의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 유지와 질병으로의 회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Sarason & Sarason, 1994).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환경과 관계를 측정하는 개념으로 노인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회적 지지의 측정은 크게 두 가지 개념적 측면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로, 사회적 관계의 개념을 내포한 구조 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분류된다. 구조적 측면은 개 인의 사회적 관계(예: 사회적 관계의 크기, 거주 형태, 결 혼 상태)와 연결 수, 유형, 강도를 의미하며 기능적 측면 은 사회적 관계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이 제공하는 행 위 또는 지지를 의미한다(Lieberman, 1982; Mondesir et al., 2018).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는 양적 측면에 서 객관적 지표로 사용되며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 는 개인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질적 측면에서 주관적 지표로 사용된다(Davidson, Dowrick, & Gunn, 2016).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을 상호작용하는 관계로 인식하여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Murrell, Norris, & Chipley, 1992). 두 번째로, 수혜 (received)의 측면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perceived social support)와 실질적 사회적 지지(actual social support)로 분류된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주 관적인 관점에 의해 평가되는 도움으로 사회적 관계 안 에서 개인이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Kim, 2005). 실질적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구조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는 물질적 지원이나 도움으로 개인이 필요할 때 접근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사회적 지 지는 단순히 지원을 받는 것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 나는 것이 아닌 개인의 인식과 실질적인 쓸모에 따라 효 과가 달라질 수 있다(Kim, 2005). 특히,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인식의 문제로 노인이 사회적 환경 안에서 타인 을 통해 지원받는 존재로 안정감과 소속감을 인식하게 한다(Watt et al., 2014). 그로 인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 는 사회적 구조로부터 제공받는 실질적이며 물질적인 지 지보다 노인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과 관련되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Wang, Mann, Lloyd-Evans, Ma, & Johnson, 2018).

노인은 노년기에 접어듦에 따라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과 건강 상태의 변화를 경험하며 사회적 지지와 관 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연령층에 해당한다. 사회적 지지 의 저하는 건강의 부정적 결과의 잠재적 위험 요인과 관 련되어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지지 는 다양한 개념적 측면에 따라 분류되고 있으며 객관적 인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하여 사회적 지지 의 효과와 관련된 결과를 해석하는 것은 복잡하고 다양 하다(Sarason & Sarason, 1994).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의 연구에서 적용한 평가도구들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 면과 하위요인을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 대상의 사회적 지지 측정 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정보를 제공하 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 적 지지 연구에서 적용한 평가도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 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고찰을 통해 각 평가도구의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평가도구의 목적, 하위요인,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도구 관련 특성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문헌 검색 전략

본 연구는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영역 측정을 위 해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검토하고자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 으로 검색을 실시하였으며 영문 검색어는 “social support assessment”, OR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OR “social support scale” AN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AND “health”를 사용하였다. 국문 검색어는 “사회적 지지”, OR “사회적 지원” AND “노인” AND “건강”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의 추출 및 분석하기 위한 선정 및 배제기준은 다음과 같다. 선정기준은 지역사회 거주 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영역에 대한 평가가 시행된 연구, 전 문 확인이 가능한 연구, 한글 또는 영어로 작성된 연구를 포함하였다. 배제기준은 평가도구 번안 연구, 고찰, 리뷰 및 메타분석 연구, 포스터, 학위논문, 단행본, 프로토콜 연구, 질적연구 및 단일사례연구가 포함되었다.

3. 문헌 선정 과정 및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문헌 선정 과정은 2인의 저자가 개별적으로 문헌 검색 및 수집, 중복제거, 연구 목적과 초록 확인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단계로 선정 및 배제기준 따라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논의가 필요한 문헌의 경우 2인의 저자가 논의 끝에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에서 사 용된 평가도구, 사용 빈도, 항목, 신뢰도 및 타당도 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검색 결과 총 3,897편의 연구가 검색되었다. 중복된 문헌은 151편이 었으며, 연구 목적과 초록 검토를 통해 3,579편이 제외 되었다.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에 따라 보고서 및 초록 41 편, 표준화된 평가도구가 아닌 연구 29편, 대상자가 선정 기준과 다른 연구 24편, 연구 결과가 건강과 관련되지 않은 연구 21편, 문서 및 도서 12편, 전체 원문 확인이 어려운 연구 10편, 원 도구의 확인이 불가한 연구 6편이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24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문헌 선정의 흐름도는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flow chart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Figure 1)(Page et al., 2021).

Figure 1

PRISMA Flow Chart

../figures/KJOT-31-2-31_F1.jpg

Ⅲ. 연구 결과

1.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 관련 연구 특성

Table 1은 본 연구에서 선정된 24편의 연구에서 노 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 된 평가도구의 종류와 사용 빈도, 연구대상자 및 결과 를 분석하였다. 평가도구는 총 14개로 구분되었으며 Machon, Larranaga, Dorronsoro, Vrotsou와 Vergara (2017)의 연구에서는 2개의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인 Lubben Social Network Scale(LSNS)-6와 Duke- UNC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DUFSSQ) 를 사용하여 총 25개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다.

Table 1

Basic Information of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figures/KJOT-31-2-31_T1.jpg

선정된 평가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된 도구는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로 4편에서 사용되었으며 ENRICHD Social Support Instrument(ESSI)와 2-Way Social Support Scale(2-Way SSS)은 3편으로 나타났다. Lubben Social Network Scale(LSNS)은 2편, LSNS 의 항목을 축약한 LSNS-6은 3편, LSNS를 수정한 Lubben Social Network Scale-Revised(LSNS-R) 은 2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Oslo Social Support Scale-3(OSSS-3), Social Support List-Interaction version(SSL12-I), DUFSSQ, Duke Social Support Index(DSSI), Social Support Rating Scale(SSRS), 박지원 척도, 홍주우 척도, Medical Outcomes Study Social Support Survey(MOS-SSS)는 모두 1편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선정기준에 따라 65세 이 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이었으며 그중 독거노인을 대상으 로 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 노인을 비교한 연구는 각 각 3편으로 총 6편(25%)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2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삶의 만족감, 절망감, 우울 감, 외로움 등의 정신적 측면과 일상생활활동 기능, 만성 질환, 구강 건강 행동 등의 신체적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2.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 신뢰도 및 타당도

Table 2는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를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14편의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 모두 신뢰도 및 타당도에서 한 가지 이상의 기준값을 제 시하고 있었다. 신뢰도는 모든 도구에서 내적 일관성 신 뢰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를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하여 제시되었다. 신뢰도가 가장 높은 연구는 MOS-SSS와 홍우주 척도 에서 α = .97로 나타났으며, 박지원 척도는 α = .95, MSPSS는 α = .93의 순서로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타당도는 8편의 연구에서 구성개념 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제시하였고, LSNS-6, MOS-SSS, 홍주우 척도는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ESSI는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와 예측타당도(predictive validity)를 함께 제시하였고, 2-Way SSS는 예측타당 도를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2-Way SSS는 판별타당도 (discriminant validity)를 제시하였다. 타당도는 LSNS-6 의 r = .83~.87로 MOS-SSS의 r = .69~.82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Table 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figures/KJOT-31-2-31_T2.jpg

3.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목적, 하위요인 관련 특성 분석

Table 3는 본 연구에서 선정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14개의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원저자, 한국어 번역, 목적, 하위요인, 항목 및 점수에 대 해 분석하였다. 모든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는 설문지 형식 을 사용하여 인터뷰를 통해 측정되었다. 평가도구의 원저 자와 연도를 확인한 결과 1985년에 국내에서 개발된 도 구인 박지원 척도부터 2011년에 개발된 Shakespeare- Finch와 Obst(2011)의 도구가 포함되었다. 한국어로 번 역된 평가도구는 LSNS, ESSI, MSPSS, DUFSSQ, MOS-SSS 5개, 한국어로 제작된 평가도구는 박지원 척 도, 홍주우 척도 2개가 해당되었다.

Table 3

Summaries of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figures/KJOT-31-2-31_T3.jpg

평가도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에서 사 회적 지지의 수준, 양, 범위 등의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 측정에 목적이 있는 도구로 OSSS-3, SSL12-I, ESSI, 2-Way SSS, 홍주우 척도가 포함되었다. 수혜의 측면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로 총 14 개 중 8개(57%)가 해당되었으며, LSNS, LSNS-6, LSNS-R MSPSS, DUFSSQ, SSRS, 박지원 척도가 포 함되었다. 또한 특정 대상군인 만성질환자의 사회적 지 지를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DSSI, MOS-SSS가 포함되 었다.

평가항목의 하위요인으로는 사회적 관계인 가족, 친구 와의 사회적 관계를 측정한 도구 LSNS, LSNS-R, MSPSS가 포함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기능인 정서적, 도구적 지지의 제공(giving) 및 수혜(receiving)의 개념 을 양방향으로 측정한 도구 2-Way SSS가 포함되었다. 가까운 사람의 수를 측정하는 구조적 형태와 타인에 대 한 관심, 행위의 기능적 형태를 측정한 도구로 OSSS-3 가 포함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객관적, 주관적 지지를 측정한 도구로 SSRS 포함되었다. 또한 기능적 측면의 개념을 포함한 SSL12-I, ESSI, 홍주우 척도, DUFFSQ 도구가 포함되었으며 박지원 척도는 직·간접적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을 포함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 (social interaction)에 대한 개념을 포함한 도구 DSSI, MOS-SSS가 포함되었다.

평가도구의 항목은 3개 항목부터 40개 항목으로 구성 된 평가도구가 포함되었으며 점수 범위는 0점에서 시작 하는 도구 4개, 1점에서 시작하는 10개의 도구가 포함되 었다. 평가도구의 결과 해석으로 LSNS의 결과는 12점 미만의 경우 사회적 고립이 있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SSRS의 결과 분류는 22점 이하는 사회적 지지 수준 낮 음, 23점~44점은 중간, 45점 이상은 높음으로 구분되었 다. 이외 모든 도구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좋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Ⅳ. 고 찰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노인들이 삶에 서 경험하는 변화와 어려움에 대처하고, 건강하고 만족 스러운 삶을 촉진하여 자율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 결과와 관련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측정 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정보를 제공하 고자 체계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목적은 개념적 측면에 의해 구분되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로 분류되었다. 그중 총 14개 중 8개(57%)가 지각 된 사회적 지지의 측정 목적의 도구 개수가 가장 많게 나 타냈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개념은 사회적 환경의 변 화를 경험하는 노인의 심리 사회적 요인인 자존감, 자기 효능감 등과 관련되어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Wang et al., 2018).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문항 내용은 ‘내가 필요할 때 주변에 특별한 사람이 있습니까?’ , ‘가족, 친구는 당신 을 도와주려고 노력합니까? 등이 포함되어 노인의 사회 적 지원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다 (Kim & Lee, 2018). 또한, 박지원의 척도는 직·간접적 지각된 사회적 지지로 구분하여 다른 지각된 사회적 지 지 평가도구들과 구분되었으며, 이는 지지를 받는 대상 자가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가를 묻는 내용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있어 결과를 해석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의 측정 목적 의 도구로 OSSS-3, SSL12-I, ESSI, 2-Way SSS, DSSI, 홍주우 척도가 해당하였다. 문항의 내용은 ‘가장 가깝게 연락하는 사람의 수’ , ‘얼마나 자주 연락하고 지 냅니까?’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적 관계의 수를 양적으로 수량화하여 제시함으로 결과를 보 다 용이하게 해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평가도구의 하위요인은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의 기능과 제공 및 수혜 형태의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평가도구에서 사회적 관계와 활동에 대한 구조적 측면과 행위를 포함하는 기능적 측 면에 대한 개념들이 복합적인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 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개념은 1980년대부터 등장하였으나 명확한 정의에 대한 많은 의견이 존재한다 (Park, 1985; Vaux, 1988). 이는 사회적 지지의 개념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개념적 측면으로 구성되어있 어 명확하게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사회적 관계가 내포된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는 장기적으로 노인에게 긍정적인 정서에 영향을 주 며 이는 구조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효과와 대 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Murrell, Norris, & Chipley, 1992). 반면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직접 적 위험인 사고, 질병과 관련되어 노인의 사망률을 감소 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Penninx et al., 1997). 이는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이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지 지 영역의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실제 사회적 지지와 지 각된 사회적 지지의 관계는 수혜자가 필요하다고 인식할 때 원하는 방식과 양으로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노인 의 삶의 질과 관련되어 있다(Melrose, Brown, & Wood, 2015). 사회적 관계의 형태에서 사회적 지지를 받는 것 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개념은 노인이 지지를 받는 것보 다 친구, 가족을 지지함으로써 생활 형태의 변화에서 야 기될 수 있는 정체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Thomas, 2010). 실제로 노인이 살아 가는 환경은 다양한 사회적 지지의 기능, 제공 및 수혜 형태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서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복합적인 개념의 사회적 지지 측정은 사회적 환경의 다 양한 측면을 고려하고 개인의 필요를 보다 정확히 측정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선정기준으로 문헌을 검색한 결 과 독거노인 대상, 독거노인과 비독거 노인을 비교한 연 구가 6편(25%)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 에 거주하는 노인 인구의 생활 방식 및 다양한 사회적 구 조의 변화를 나타내고 사회적 지지의 방식에 대한 관점 에 대해 제기하고 있다. 독거노인의 증가는 사회적 관계 를 포괄하는 개념인 사회적 지지 측정에 중요한 대상이 될 수 있다(Jennifer Yeh & Lo, 2004; Wang et al., 2018). 기존의 평가도구로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사회적 지지 도구는 존재하지만 독거노인을 대상 으로 개발된 도구는 확인할 수 없었다. 노인의 건강이 사 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제시하는 결과가 있으나 노인의 독거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은 상충되고 있다(Saito, Sagawa, & Kanagawa, 2005; Sakurai et al., 2019). 또한 사회적 지지의 측면에서 독거노인은 사 회적 지지가 저하될 수 있는 환경 속에 속해 있음에도 이 와 관련된 결과는 명확하지 않아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 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평가도구가 선행 연구에서 인용된 빈도의 수로 MSPSS 4편, ESSI 3편, 2-Way SSS 3편, LSNS-6 3편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Google scholar를 통해 평가도구 원저자의 인용 수를 확인한 결 과 1988년에 개발된 MSPSS는 13,657편, 2006년에 개 발된 LSNS-6는 1,415편, 2003년에 개발된 ESSI는 546편, 2011년에 개발된 2-Way SSS는 262편으로 나 타났으며 각 도구의 개발 연도가 상이하여 인용 수의 차 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LSNS-6은 선정된 연구 중 LSNS과 LSNS-R 버전보다 많은 사용 빈도를 나타 냈으며 이는 축소된 항목으로 동일한 개념을 단시간 내 에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에 사회적 지지라 는 복합적인 개념을 측정하는데 축소된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도구는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연구의 목적과 설계에 맡게 평가도구를 선정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 외에도 대상자의 특성, 개념적 측면, 하위요인을 고려하 여 평가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연구에서 적용한 평가도구의 체계적 고찰 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면과 하위요인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지역 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14개의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 중 지각된 사회적 지지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도구의 하위요인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의 기능과 제공 및 수혜 형태의 복합적인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 는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측면을 평가하고 고려할 때 복합적인 개념을 고려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의미한 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 는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을 명확히 하는 과정을 거 쳐 이와 관련된 하위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 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과 하위요인을 분류하여 제시하 였으며, 향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의 표준화된 사 회적 지지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Bai, X., Yang, S., & Knapp, M. (2018). Sources and directions of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solitary Chinese older adults in Hong Kong: The mediating role of sense of lonelines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13, 63-71. 10.2147/CIA.S148334 29379277 PMC5757492

2. 

Berkman, L. F. (1995). The role of social relations in health promotion. Psychosomatic Medicine, 57(3), 245-254. 10.1097/00006842-199505000-00006 7652125

3. 

Bøen, H., Dalgard, O. S., & Bjertness, E. (2012).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and somatic health problems and socio-economic factors among older adults living at home: A cross sectional study. BMC Geriatrics, 12(1), 1-12. 10.1186/1471-2318-12-27 22682023 PMC3464708

4. 

Broadhead, W. E., Gehlbach, S. H., De Gruy, F. V., & Kaplan, B. H. (1988). The Duke-UNC 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in family medicine patients. Medical Care, 26(7), 709-723. 10.1097/00005650-198807000-00006 3393031

5. 

Chang, Q., Lai, D., & Fu, Y. (2022). Mechanisms connecting insomnia to hopelessness among Chinese older adults: Serial mediating roles of fatigue and social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7(6), 1-9. 10.1002/gps.5720 35521653

6. 

Dalgard, O. (1996). Community health profile as tool for psychiatric prevention. Promotion of Mental Health, 5, 681-695.

7. 

Davidson, S. K., Dowrick, C. F., & Gunn, J. M. (2016). Impact of functional and structural social relationships on two year depression outcomes: A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93, 274-281. 10.1016/j.jad.2015.12.025 26774514

8. 

Dumitrache, C. G., Rubio, L., & Rubio-Herrera, R. (2017).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Aging and Mental Health, 21(7), 751-757. 10.1080/13607863.2016.1156048 26954480

9. 

Ghinescu, M., Olaroiu, M., Van Dijk, J. P., Olteanu, T., & Van Den Heuvel, W. J. (2014). Health status of independently living older adults in Romania.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14(4), 926-933. 10.1111/ggi.12199 24299334

10. 

Ha, J. Y., & Park, Y. H. (2020). Effects of a person-centered nursing intervention for frailty among prefrail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8), 6660. 10.3390/ijerph17186660 32933119 PMC7559093

11. 

Heaney, C. A., & Israel, B. A. (2008).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 189-210.

12. 

Jennifer Yeh, S. C., & Lo, S. K. (2004). Living alone, social support, and feeling lonely among the elderl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2(2), 129-138. 10.2224/sbp.2004.32.2.129

13. 

Kawaguchi, K., Ide, K., & Kondo, K. (2022). Family social support and stability of preferences regarding place of death among older people: A 3-year longitudinal study from the Japan gerontological evaluation study. Age and Ageing, 51(9), 1-9. 10.1093/ageing/afac210 36173990 PMC9521793

14. 

Kim, J. Y., & Lee, J. E. (2018).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in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6(5), 316-323. 10.1097/jnr.0000000000000241 29099470

15. 

Kim, O. H. (2013). Analysis of effects which social supports and cohabiting influence on the elderlys mental health. Journal of Science Research, 22, 234-255.

16. 

Kim, Y. B., & Lee, S. H. (2022).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loneline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9(12), 7334. 10.3390/ijerph19127334 35742581 PMC9224515

17. 

Klinenberg, E. (2016).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living alone: Identifying the risks for public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6(5), 786-787. 10.2105/AJPH.2016.303166 27049414 PMC4985072

18. 

Koenig, H. G., Westlund, R. E., George, L. K., Hughes, D. C., Blazer, D. G., & Hybels, C. (1993). Abbreviating the Duke social support index for use in chronically ill elderly individuals. Psychosomatics, 34(1), 61-69. 10.1016/S0033-3182(93)71928-3 8426892

19. 

Lee, H. S., & Kim, C. (201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ssess discrimination,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omen in South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10(3), 182-188. 10.1016/j.anr.2016.06.003 27692246

20. 

Lee, Y. K., Kim, S. J., Hwang, N. H., Lim, J. M., Ju, B. H., Namkung, E. H., ... & Kim, K. L. (2020). 2020 National older Koreans data.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6496&page=1

21. 

Lim, J. T., Park, J. H., Lee, J. S., Oh, J., & Kim,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 of community-living elders and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rovinc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6(1), 28-38. 10.3961/jpmph.2013.46.1.28 23407568 PMC3567323

22. 

Lubben, J. E. (1988). Assessing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opulations. Family and Community Health, 11(3), 42-52. 10.1097/00003727-198811000-00008

23. 

Lubben, J., Blozik, E., Gillmann, G., Iliffe, S., Von Renteln Kruse, W., Beck, J. C., & Stuck, A. E. (2006). Performance of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among three Europea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populations. Gerontologist, 46(4), 503-513. 10.1093/geront/46.4.503 16921004

24. 

Lubben, J., Gironda, M., & Lee, A. (2002). Refinements to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The LSNS-R. Behavioral Measurement Letter, 7(2), 2-11.

25. 

Machón, M., Larrañaga, I., Dorronsoro, M., Vrotsou, K., & Vergara, I. (2017).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functionally independent older people. BMC Geriatrics, 17(1), 1-9. 10.1186/s12877-016-0410-3 28088178 PMC5237562

26. 

Masugi, Y., Kawai, H., Ejiri, M., Hirano, H., Fujiwara, Y., Tanaka, T., ... & Obuchi, S. P. (2022). Early strong predictors of decline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Japanese people. PLoS One, 17(4), e0266614. 10.1371/journal.pone.0266614 35381051 PMC8982840

27. 

McLaughlin, D., Leung, J., Pachana, N., Flicker, L., Hankey, G., & Dobson, A. (2012). Social support and subsequent disability: It is not the size of your network that counts. Age and Ageing, 41(5), 674-677. 10.1093/ageing/afs036 22454132

28. 

Melrose, K. L., Brown, G. D., & Wood, A. M. (2015). When is received social support related to perceived support and well-being? When it is neede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7, 97-105. 10.1016/j.paid.2014.12.047

29. 

Mitchell, P. H., Powell, L., Blumenthal, J., Norten, J., Ironson, G., Pitula, C. R., ... & Berkman, L. F. (2003). A short social support measure for patients recovering from myocardial infarction: The ENRICHD social support inventory.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23(6), 398-403. 10.1097/00008483-200311000-00001 14646785

30. 

Murrell, S. A., Norris, F. H., & Chipley, Q. T. (1992). Functional versus structural social support, desirable events, and positive affect in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7(4), 562– 570. 10.1037/0882-7974.7.4.562 1466825

31. 

Noguchi, T., Nojima, I., Inoue-Hirakawa, T., & Sugiura, H. (2019).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sources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one-year prospec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21), 4228. 10.3390/ijerph16214228 31683571 PMC6862477

32. 

Page, M. J., McKenzie, J. E., Bossuyt, P. M., Boutron, I., Hoffmann, T. C., Mulrow, C. D., ... & Moher, D. (2021). The PRISMA 2020 statement: An updated guideline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Systematic Reviews, 10(1), 1-11. 10.1186/s13643-021-01626-4 33781348 PMC8008539

33. 

Park, J. W. (1985).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4. 

Park, K. S., & Kim, M. S. (2016). The impact of changes in household living arrangements on the changes in poverty rate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50(1), 221-253. 10.21562/kjs.2016.02.50.1.221

35. 

Penninx, B. W., Van Tilburg, T., Kriegsman, D. M., Deeg, D. J., Boeke, A. J. P., & Van Eijk, J. T. M. (1997).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ersonal coping resources on mortality in older age: The 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6(6), 510-519. 10.1093/oxfordjournals.aje.a009305 9290512

36. 

Roh, H. W., Cho, E. J., Son, S. J., & Hong, C. H. (2022).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18, 185-190. 10.1016/j.jad.2022.08.117 36057289

37. 

Ryu, S. I., Cho, B., Chang, S. J., Ko, H., Yi, Y. M., Noh, E. Y., ... & Park, Y. H. (2021). Factors related to self-confidence to live alon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Geriatrics, 21(1), 1-12. 10.1186/s12877-021-02214-w 33947334 PMC8097788

38. 

Saito, E., Sagawa, Y., & Kanagawa, K. (2005). Social support as a predictor of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Japan. Nursing & Health Sciences, 7(1), 29-36. 10.1111/j.1442-2018.2005.00220.x 15670004

39. 

Sakurai, R., Kawai, H., Suzuki, H., Kim, H., Watanabe, Y., Hirano, H., ... & Fujiwara, Y. (2019). Poor social network, not living alone, is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adverse health outcomes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1), 1438-1443. 10.1016/j.jamda.2019.02.021 31000349

40. 

Seo, I. K., & Lee, Y. S.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on elderly self-esteem: A comparative study on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family.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8(2), 371-400. 10.18398/kjlgas.2014.28.2.371

41. 

Shakespeare-Finch, J., & Obst, P. L. (2011). The development of the 2-way social support scale: A measure of giving and receiving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3(5), 483-490. 10.1080/00223891.2011.594124 21859288

42. 

Sherbourne, C. D., & Stewart, A. L. (1991).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32(6), 705-714. 10.1016/0277-9536(91)90150-B 2035047

43. 

Shin, Y. N., Hong, J. S., Kim, Y. S., & Hang, K. W. (2017).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Korea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1(4), 282-289. 10.11149/jkaoh.2017.41.4.282

44. 

Thomas, P. A. (2010). Is it better to give or to receive? Social support and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5(3), 351-357. 10.1093/geronb/gbp113 20028952

45. 

Tsuboi, H., Hirai, H., & Kondo, K. (2016). Giving social support to outside family may be a desirable buffer against depressive symptom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apan gerontological evaluation study. BioPsychoSocial Medicine, 10(1), 1-11. 10.1186/s13030-016-0064-6 27226808 PMC4879739

46. 

Um, S. R., Kim, Y. S., Shin, H. R., Kim, S. K., & Kim, J. W.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of elderly me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tact and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utilizing electronic devic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40(3), 248–285.

47. 

Van Eijk, L. M., Kempen, G. I., & Van Sonderen, F. L. (1994). A short scale for measuring social support in the elderly: The SSL12-I. Tijdschrift voor Gerontologie en Geriatrie, 25(5), 192-196.

48. 

Vaux, A. (1988).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publishers.

49. 

Wang, J., Mann, F., Lloyd-Evans, B., Ma, R., & Johnson, S. (2018). Associations between loneli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outcomes of mental health problems: A systematic review. BMC Psychiatry, 18(1), 1-16. 10.1186/s12888-018-1736-5 29843662 PMC5975705

50. 

Xiao, S. Y. (1994). The theoretical basis and research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rating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4(2), 98-100.

51. 

Wrzus, C., Hänel, M., Wagner, J., & Neyer, F. J. (2013). Social network changes and life events across the life spa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39(1), 53-80. 10.1037/a0028601 22642230

52. 

Yang, N. Y., & Moon, S. Y. (2012). The effects of suicidal thought on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1), 515-524.

53. 

Zhao, B., Wang, H., Xie, C., Huang, X., & Cao, M. (2022).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neglect among Chines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Frontiers in Psychology, 13, 903625. 10.3389/fpsyg.2022.903625 35814097 PMC9257434

54.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10.1207/s15327752jpa5201_2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