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PC)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서 론

작업수행은 자신과 관련된 환경에서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개인의 일상생활 수행 기술이다 (Fisher, 2003). 또한, 자신을 돌보며 삶을 즐기고 공동 체의 사회적 구조 안에서 연령에 적합한 의미 있는 작업 을 선택하고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Muligan, 2017). 즉 작업은 자신의 역할에 맞춰 실행하 는 의미 있는 활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은 클라이언 트가 일상생활수행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의미 있 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Blundon & Smiths, 2000; Moon et al., 2020).

작업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작업기반 작업치료 접근법 은 하향식 접근법이라고도 불리는데, 작업 참여를 평가, 중재 및 결과 측정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중재를 의 미한다(Amini, 2004; Trombly, 1993). 작업기반 접근 법은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중재로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협력하여 작업을 중 심으로 목표를 설정한다(Fisher, 2014; Goldstein-Lohman et al., 2003; Pontes & Polatajko, 2016; Ra et al., 2018). 또한, 클라이언트가 주도적으로 중재 에 참여함으로써 작업수행의 동기와 증진, 일반화를 이 끌어내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Mulligan et al., 2014; Schmidt et al., 2015). 이처럼 작업 기반 중재는 클라이 언트 중심의 문제인식과 중재 과정을 통해 일반화를 촉진 하며 이러한 흐름에 기반하여 다양한 중재기법이 제시되 고 있다(Kim & Park, 2022). 그 중 하나인 작업수행 코칭(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은 최근 에 작업치료 임상 현장에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작업향상 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코칭(coaching)기법을 적용하는 작업치료 중재법이다(Kessler & Graham, 2015).

코칭(coaching)은 건강 및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지 식을 적용하거나 반복되는 상황을 변화하기 위해 적용되 는 기법이다(Gale, 2007). 코칭은 인문주의, 행동 과학 및 성인 교육 분야에서 이론적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참 여자와의 평등한 관계를 강조한다(Stober & Grant, 2006). 재활치료 분야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코칭은 치 료사가 가족 중심 중재 내에서 치료사의 상호 작용의 유 형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제안되었다(Case-Smith, 2005; Rush et al., 2003). 코칭은 성인이 다양한 건강 및 일상 생활 상황과 관련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작업치료에서 클라이언트 중심 중재를 실천하 는 기법으로 추천되고 있다(Fearing et al., 1998; Gale 2007; Green et al., 2006; Townsend et al., 2007). 즉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가족 중심 접근과 작업 중심 접 근이 강조되면서 작업치료사는 클라이언트 및 보호자, 가족들과의 치료적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작업 및 가족 중심을 모두 부합하는 중재인 작업 수행 코칭(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PC) 은 작업치료사가 부모와 협력하여 자녀가 가치 있는 작업 에 더 완벽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접근방법 이다(Graham et al., 2009). OPC는 국제 기능, 장애 및 건강 분류에 기반을 두고 가족 중심 접근, 직업 기반 중재, 장애 지원 프레임워크라는 세 가지 관점을 기초에 두고 개발되었다(Graham et al., 2009).

OPC는 부모가 목표 달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도 록 지도하는 과정으로 정서적 지원, 정보 교환 및 구조화 된 프로세스를 포함한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정서 적 지원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부모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정 보 교환은 치료사와 부모가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교환하 여 치료사가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Graham et al., 2010). 치료사는 참여와 관련하여 클 라이언트가 선택한 의미 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구상하고 참여하도록 안내 함으로써 부모의 자율성과 역량을 지원한다(Graham et al., 2020). 목표는 부모로서의 역할과 자녀의 작업 성과 를 높이는 것이다.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가치 있는 작업 참여와 관련된 문제를 식별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구상하며 가능한 변화를 구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OPC는 부모가 스스로 아동의 작업수행 향 상을 위한 해결책을 찾도록 안내하고, 이를 통해 가정 및 지역 사회에서 자녀와 부모의 작업 참여를 높이는데 중점 을 둔다(Alcorn & Broome, 2014; Graham et al., 2009).

OPC 중재를 시행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편식하는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수행 능력 향상과 식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Chilman et al., 2024). 전학령기 아동의 일상생활참여에 대한 OPC 중재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고하였다(Gagnon et al., 2024). 또 다른 연구에서는 4~10세 ASD 진단을 받은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OPC 질적연구에서도 부모의 마음챙 김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Foster et al., 2013).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OPC는 부모 및 자녀의 작업수행 및 심리사회적 기능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OPC 중재 적용에 대한 타당성 연구와 파일럿, 프로토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일상생활 참여 효과 유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Ahmadizadeh et al., 2023; Graham et al., 2024; Kessler et al., 2014). 또한 OPC 중재만을 중점적으로 체계적 고찰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 는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OPC를 적용한 국내, 외 선행연구에서 문헌의 질적 수준, 중재대상, 중재효과영 역,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 해 OPC 중재에 관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문헌 검색 전략 및 선정기준

검색 문헌은 국외 학술지에 2003년 1월에서 2023년 11월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RISS, Pubmed를 사용하였고, 검색어는 모든 데이터 베이스에서 동일하게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R ‘OPC’ AND ‘child’ OR ‘children’ OR ‘childhood’ OR ‘children with disability’로 설 정하였다.

본 연구의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은 다음과 같다.

선정기준

  1. 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OPC 중재를 적용한 논문

  2. 2세 이상부터 12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

  3. 중재 전후 변화를 측정한 연구

배제기준

  1. 조사연구 및 고찰연구

  2. 전문을 확인할 수 없는 연구

2.문헌 수집 및 선별 과정

문헌 선정 과정은 PRISMA flow chart에 따라 문헌확 인(identification), 문헌선별(screening), 선정기준검 토(eligibility), 최종선정(included) 순으로 진행되었다 (Figure 1).

Figure 1.

PRISMA Flow Chart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JOT-32-71_F1.jpg

문헌확인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와 검색어를 통해 최 초 검색을 진행하였을 때 총 597편이 수집되었다. 문헌 선별 단계에서는 먼저 데이터베이스 간 중복하여 검색된 논문 106편이 제외되었다. 그 후 나머지 491편의 논문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본 연구와 관련이 없는 연구 434편, 연구논문이 아닌 문헌 27편, 체계적 고찰연구 1편을 제외하고 29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검 토 단계에서는 29편의 논문의 본문을 검토하여 부모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연구 2편, 중재를 시행하지 않은 논 문 4편, 완료되지 않은 연구 8편, 전문을 확인할 수 없는 연구 8편을 제외하였다. 마지막 최종 선정 단계에서 총 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3.선정된 문헌의 질적 수준

선정된 연구의 질적 평가는 질적 수준 분석모델 (hierarchy of evidence based practice)에 따라 시행 되었다(Arbesman et al., 2008). Liberati, Tetzlaff, Altman과 Prisma Group(2009)이 개발한 질적 근거 수준 분석모델은 총 5개의 단계로 구성되며, Level의 단 위가 높아질수록 근거 수준이 낮아진다. 가장 상위에 있 는 Level I에는 체계적 고찰, 메타분석, 무작위 대조연 구가 해당되고 Level 2에는 두집단 비무작위연구 또는 코호트 연구가 포함된다. Level III에는 사전 사후 연구와 단일집단 비무작위 연구 등이 있으며 Level IV에는 단일 실험연구와 조사연구 등이 포함된다. 가장 낮은 수준인 Level V에는 사례연구와 질적연구가 해당된다.

4.선정된 문헌의 비뚤림 위험 평가

최종 선정된 7편의 논문 중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2편은 RoB 분석을 진행하였고, 비무작위 연구 4편은 RoBANS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연구 1편은 제외하였 다. 본 연구에 포함된 7편의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 2편과 비무작위 실험연구 4편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 정도는 무작위 유무에 따라 두 가지 도구로 평가되었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 다. 무작위배정비교 임상시험 평가 도구로 Cochrane group에서 개발한 Risk of Bias (RoB) 2.0 tool을 사용 하였고, 비무작위 실험연구는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ROBANS)를 사용 하였다(Higgins et al., 2019; Kim et al., 2013).

RoB 2.0 tool에서는 RCT의 비뚤림 위험을 무작위 배정 과정(randomization process), 의도한 중재에서 의 이탈(deviations from intended interventions), 중재결과 자료의 결측(missing outcome data), 중재결 과 측정(measurement of the outcome), 보고된 연구 결과 선택(selection of the reported result)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있으며, 평가 알고리즘 에 따라 전반적 비뚤림(overall bias) 위험을 도출한다. 각 영역 및 전반적 비뚤림 위험은 낮음(low risk), 일부 우려(some concerns), 높음(high risk)의 세 단계로 판 정된다.

ROBANS는 비무작위 연구의 체크리스트 도구 중 유 일하게 타당도가 입증된 도구로, RoB 도구와 유사하게 대상군 선정(selection of participants), 교란변수 (confounding variables), 중재 노출에 대한 측정 (measurement of intervention), 결과 평가 눈가림 (blinding for outcome assessment), 불완전한 결과 자료(incomplete outcome data), 선택적 결과 보고 (selective outcome reporting)의 여섯 가지 영역으로 분류된다. 각 영역의 비뚤림 위험은 ‘높음(high risk of bias)’,‘낮음(low risk of bias)’,‘불확실함(uncertain risk of bias)’의 세 단계로 평가된다.

5.체계적 문헌 고찰

분석 대상에 포함된 총 7편의 연구들의 자료 추출 방법 은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방법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체계 적으로 정리하고 근거를 제시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들 의 연구자, 게재년도, 참여 대상자, 측정방법, 종속변수 를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 재 방법 및 내용, 중재 기간, 주요 결과를 추출하고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1.선정된 문헌의 질적 수준

최종 선정된 7편의 논문의 질적 수준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은 수준인 Level I과 III에 속하는 논문이 2편 (29%)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Level II, IV, V에 속하는 논문은 1편(14%)씩 나타났다(Table 1).

Table 1.

The Classification of Evidence Level (N = 7)

Evidence level Definition Frequency (%)
I Systematic reviews
Meta analys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 (29)
II Non-randomized two group studies
Cohort studies
1 (14)
III Non-randomized one group studies
Pretest-posttest designs
2 (29)
IV Single experimental studies 1 (14)
V Case studies
Qualitative studies
1 (14)

2.비뚤림 위험평가 결과

무작위대조군 연구 분석 문헌에 포함된 2편의 RoB 2.0 분석 결과는 Figure 2에 기술하였다. 무작위 배정 과정에서는 모든 연구가 무작위 배정 방법과 배정 순서 은폐 방법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었으므로 비뚤림 위험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의도된 중재에서의 이탈 영역에서는 연구와 무관한 제3자가 중재를 한 1편이 비뚤림 위험 ‘낮음’, 그 외 1편은 ‘일부 우려’로 평가하였다. 중재결과 자료의 결측에서는 탈락자의 수와 기준에 의한 탈락 사유 를 상세히 서술한 2편의 연구는 비뚤림 위험 ‘낮음’으로 판단하였다.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서는 연구와 무관한 평가자를 통해 눈가림을 적용한 모든 연구는 비뚤림 ‘낮 음’으로 판정하였다. 보고된 연구결과 선택 영역에서는 모든 연구에서 프로토콜은 기재되지 않았으나 평가 목적 및 계획을 서술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모두 기재하였기 때문에 2편 모두‘일부 우려’라고 평가하였다. 최종적으 로 전반적 비뚤림 위험 측정 결과 2편의 연구는 비뚤림 위험 ‘일부 우려’로 판정되었다.

Figure 2.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Bias Risk Asssessment (RoB 2.0)

KJOT-32-71_F2.jpg

비무작위 연구 4편의 RoBANS 분석 결과

여섯 가지 영역 중 대상군 선정에서는 4편 모두 낮은 비뚤림 위험으로 분류되었다. 교란변수에서는 3편이 높 은 비뚤림 위험으로 판단되었다. 중재 측정에서는 자기 보고 형식의 측정도구를 사용한 2편은 ‘높은 위험’, 그 외 3편은 낮은 비뚤림 위험으로 판단되었다. 결과 평가에 대한 눈가림과 불완전한 자료, 선택적 결과 보고에서는 4편 모두 낮은 비뚤림 위험으로 평가되었다 (Figure 3).

Figure 3.

Non-Randomized Studies Bias Risk Asssessment (RoBANS)

KJOT-32-71_F3.jpg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를 진단명별로 분류했을 때 자폐스펙트럼장애 는 70명(44.8%),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7명(4.4%), 뇌성마비 30명(19.2%), 발달 장애 2명(1.2%), 지적장애 9명(5.7%), 언어장애 7명(4.4%), 특정 학습장애 6명 (3.8%), 감각장애 2명(1.2%), 진단명이 없는 대상자는 24 (15.3%)명이었다. 대상자의 연령별 분류는 학령전기, 학 령기, 청소년기로 분류하였다(Smith & O'Brien, 2014). 2~5세는 49명, 6~15세는 108명, 16~18세는 0명이었 다. 부모 교육 수준을 분석했을 때, 초등학교는 6명, 중학 교는 1명, 고등학교는 16명, 준학사학위는 8명, 4년제 학사학위는 13명, 석사학위는 5명, 기타는 72명, 교육 수준이 기재되어있지 않은 대상자의 수는 36명이었다 (Table 2).

Table 2.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Area Classification n (%)
Diagnosis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70 (44.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7 (4.4)
 Cerebral palsy (CP) 30 (19.2)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2 (1.2)
 Intellectual disability (ID) 9 (5.7)
 Language disorder 7 (4.4)
 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 6 (3.8)
 Sensory difficulties 2 (1.2)
 Non-Diagnosis 24 (15.3)
Total 157 (100.0)
Age (yr)
 Preschool age (2~5y) 49 (31.2)
 School age (6~15y) 108 (68.8)
 Adolescent (16~18y) 0
Total 157 (100.0)
Parent educational level
 Elementary school 6 (3.8)
 Middle school 1 (0.6)
 High school 16 (10.2)
 Associate 8 (5.1)
 Bachelor 13 (8.3)
 Master 5 (3.2)
 Etc 72 (45.9)
 Unwritten 36 (22.9)
Total 157 (100.0)

4.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선정된 7편의 모든 논문에서 OPC 중재가 아동의 작업 수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작 업수행 목표는 자기관리, 생산성, 놀이, 학교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관리에서 옷 입기, 화장실 사용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 이외의 효과에서 아동은 사회적 기술 향상, 인지기능 향상, 신체기능 향상 등이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효과로는 적응기술의 향상이 2편 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향상되었다. 작업수행 이외의 효 과에서 부모는 심리적 기능 향상, 삶의 질 향상 등이 나타 났다. 심리적 기능에 포함되는 부모효능감 향상은 5편으 로 가장 높은 비율로 향상되었다. 그 외에도 작업수행 1편, 정서 상태 1편, 만족도 1편, 삶의 질이 1편에서 향상 되었다(Table 3).

Table 3.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N = 7)

Classification n (중복허용)
Child Occupational performance 7
 Social skill
Adaptive skill 2
Cognition
 Executive function 1
Physical function 1
Sensory 1
Parent Occupational performance 1
Psychological function
 Parent efficacy 5
 Emotional states 1
 Satisfaction 1
Quality of life 1

5.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최종 선정된 7편의 문헌에서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17가지로, 작업수행을 직접적으 로 평가하는 도구 3가지와 그 외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 14가지로 분류된다. 연구에 따라 사용되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빈도수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Table 4).

Table 4.

Assessment Tools for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N = 7)

Assessment tool n
Child Occupational performance COPM, GAS 1
Social skill
Adaptive skill ABAS II, CBCL 2
Cognition
Executive function BRIEF, SCWT, WCST 1
Physical function PDMS‑2 1
Sensory SP 1
Parent Occupational performance COPM, GAS, YC-PEM 7
Psychological function
Parent efficacy Sherer General Self-efficacy Scale
CAPES-DD, PSOC
5
Emotional states DASS-21 1
Satisfaction HCCQ 1
Quality of life Kiddy-KINDL 1

[i] ABAS‑II: Adaptive behavior assessment system - 2nd edition, BRIEF: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CAPES-DD: Child adjustment and parent efficacy scale-developmental disability,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COPM: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DASS-21: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21, GAS: Goal attainment scale, HCCQ: Health care climate questionnaire, PDMS‑2: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2nd edition,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SCWT: Stroop color and word test, SP: Sensory profile, WCST: Wisconsin card sorting, YC-PEM: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아동의 작업수행을 측정하는 평가도구 중에서는 캐나 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은 7편 모든 문헌에서 사용되어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보였으며 목표 달성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는 4편에서 사용되었다.

그 외 기능으로는 사회적 기술,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심리적 기능, 삶의 질이 있었다.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는 평가도구 중에서는 적응행동척도-2(Adaptive Behavior Assessment System-2nd Edition; ABAS II)이 사용 빈도수가 높았다. 심리적 기능인 부모효능감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는 부모양육효능감 척도(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SCO)가 3편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외에도 삶의 질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 Kiddy-KINDL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OPC 중재에 대해 서 7편의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질적 수준, 연구 참가자의 연령과 대상 질환, 교육수준, 중재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중재의 효과로 분석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근거 수준은 가장 높은 I단계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는 2편으로 28.7%, II단계 두집단 비무작 위연구는 1편으로 14.2%, III단계 단일집단 비무작위 연 구는 2편으로 28.7%, IV단계 단일실험연구는 1편으로 14.3%, V단계 사례연구는 14.3%의 비율로 연구 디자인 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근거수준이 높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만을 포함하는 것이 체계적 고찰에서 가장 일반 적인 형태지만 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OPC 효과 에 대한 실험연구가 2편밖에 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작업치료사의 코칭을 사용한 대 부분의 연구 설계가 작은 표본의 크기, 질적연구로 객관 적 검증에 제한이 있으며 근거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Kessler & Graham, 2015).

본 연구는 검색된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2편의 무작위 문헌 비뚤림 위험 평가를 Cochrane group RoB 2.0 tool로 실시한 결과, 모든 문헌이 비뚤림 일부 우려 로 평가되었다. 이는 이중맹검(double-blind)을 실시하 지 않는 경우 높은 점수를 받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어 참가자와 치료사에게 맹검을 적용하기 어려운 중재에서 이러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Jeong & Yoo, 2021). 비무작위 문헌 4편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RoBANS를 사용하였는데, RoBANS는 국내에서 개발된 체크리스트 형식의 도구이며 타당도가 입증된 유일한 도 구이다(Kim et al., 2013). 각 문헌의 질을 평가한 결과 전체 문헌 중 75%가 교란변수의 위험이 높거나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선택편향의 위험성이 나타났다. 2개의 문헌은 OPC 중재를 다른 특성을 가진 6명의 대상 자들에게 제공하여 비교하는 단일사례연구와 혼합방법 사례연구였다. 이러한 연구디자인의 특성으로 교란변수 의 영향을 알 수 없었다. 반면 대상자 선정, 중재(노출)측 정, 결과 평가에 대한 눈가림, 불완전한 자료, 선택적 결 과 보고와 같은 나머지 편향 위험에서는 위험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문헌의 체계적 연구결과의 해석 과 임상에서 OPC를 적용을 위해서는 신중한 해석과 적 용이 요구된다.

연구 참가자의 연령과 대상 질환, 부모의 교육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OPC를 적용한 부모의 아동연령은 아동기부터 학령기까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OPC를 적용한 아동의 질환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뇌성 마비, 지적장애,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특정 학습 장애 등 진단 군과 특정 진단을 받지 않은 아동까지 다양 하였다. 특히 OPC의 대상분석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가 42%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자폐스펙트 럼장애 아동의 작업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부모 및 보호자 가 참여하는 중재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장 애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로 가정에서도 지속적 이고 일관된 중재가 필요한 진단군이다(Ammentorp, 2013; Olsen & Nesbitt, 2010; Woo et al., 2015).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작업 참여에 초점을 맞춘 코칭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작업향상을 위한 부모코칭이 적합한 중재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된다(Gagnon et al., 2024).

본 연구에서 선정된 7편의 모든 문헌에서 아동의 작업 수행이 향상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를 대 상으로 한 OPC 중재는 아동의 작업수행 향상에 효과적 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 외에도 OPC는 아동의 인지, 운동, 감각, 사회적 기술에도 효과를 보였으며, 부모의 삶의 질, 심리사회적인 부분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7편 중 5편은 OPC 중재는 부모의 양육효 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와 유사한 결과 로 Graham 등(2013) 연구에서도 OPC 중재가 부모의 유능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 다 른 선행연구에 따르면,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상호 작용 하는 방식과 행동 변화가 자녀의 작업수행을 향상시키는 통찰력을 얻는다고 하였다(Graham et al, 2010). 즉 OPC는 작업수행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중 재하기 때문에 자녀의 작업수행 능력이 향상되면 부모는 양육에 대해 더 자신감 있고 유능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Graham 2014; Vance & Brandon, 2017).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OPC 중재가 자녀의 작업 수행 및 참여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에도 기여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속변인을 측정하는 도구를 분석한 결과는 작업수행 영역이 7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심리 적 기능 영역이 다수 나타났다. 이외에도 사회적 기술, 인지, 신체 기능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작업수행을 평가 하기 위해서 COPM과 GAS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COPM은 클라이언트 중심 기반으로 작업수행에 대한 개 인적 가치와 참여 영역에서 개별화된 성과에 대한 최적의 표준 측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Cusick et al., 2006, Cusick et al., 2007; Dedding et al., 2004; Law et al., 2014; Sakzewski et al., 2007). GAS는 클라이언 트의 목표 달성에 대한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 는 평가도구이다(Kiresuk, 1994). 또한 GAS는 클라이 언트의 기대를 기반으로 COPM의 목표를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Doig et al., 2010). OPC 중재는 작업 중심의 목표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 며 이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작업과 관련된 의미 있는 목표에 초점을 둔 작업치료의 핵심과 일치한다(Kearney et al., 2018). 그러므로 OPC 중재가 작업수행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현재 작업치료의 주요 패러다임 과 일치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중재 OPC 효과에 대한 대상자의 특성, 중재 효과 및 종속변인 평가도구 및 실험 연구의 근거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부모를 대상으로 OPC 중재 적용 가능성과 중재를 위한 근거를 기반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또한 OPC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 인지, 사회적 기 술, 신체 기능, 삶의 질, 심리적인 부분에서의 증진에도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OPC 중재에 관한 임상 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임상 적용을 위한 근거 수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 분석한 문헌 수가 적었고, 고찰한 연구 대부분이 소그 룹 또는 사례 중심으로 치료 효과를 보고하고 있어 향후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에서의 OPC 중재 효과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7편의 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OPC 중재를 적용한 국내외 실험연구를 체계적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 였다. 무작위 대조실험 연구와 단일집단 비무작위 연구로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OPC 중재를 통해 아동의 작업수 행, 사회적 기술, 인지기능과 부모의 효능감 및 삶의 질에 서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OPC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 분야에서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소개하고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OPC 중재는 다양한 진단군과 연령대에서 포괄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아동과 부모의 동기를 향상시킨다. 게 다가 부모가 가정에서 시행이 가능하며, 아동의 변화를 확인하며 일반화 적용이 가능하다. OPC 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효과성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결 과를 보이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업치료 사가 사용한 OPC 중재는 앞으로 임상에서 더 유용하고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ppendices

Appendix A. Summary of Study Characteristics

Author (yr) Participations Intervention (Session/Duration) Effect Assessment tool Outcome
Children Parents
Gagnon et al. (2022) Language disorder
(aged 4.5~5.7)
(n = 7)
aged
32~46
(n = 8)
OPC
4~9 session
60~75 min
Occupational performance
Physical function
Sensory
Adaptive skill
COPM
GAS
PDMS‑2
SP
ABAS‑II
CBCL
Children’s participation (+)
Adult’s satisfaction with
children’s participation (+)
Goal attainment (+)
Ghaffari et al. (2022) SLD
(aged 8~10.5)
(n = 6)
aged
38~44
(n = 6)
OPC + 4QM
(10+4 session, 60 min)
Occupational performance
Executive function
COPM
BRIEF
SCWT
WCS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selected goals (+)
Executive function ↑ (+)
Angelin et al. (2021) ASD
ID
ADHD
Sensory difficulties
(aged 5.2~5.5)
(n = 36)
aged
26~35
(n = 36)
Exp Con Occupational performance
Parent efficacy
COPM
GAS
PSOC
Mothers’ and children’s performance ↑ (+)
Mother’s satisfaction ↑ (+)
Mothers’ overall self-competence ↑ (-)
OT + OPC
(10 wk, 45~60 min)
OT
(10 wk, 60 min)
Jamali et al. (2021) ASD
(aged 8.2~8.5)
(n = 43)
aged
36~39
(n = 21)
Exp Con Occupational performance
Parent efficacy
COPM
GAS
CAPES-DD
Performance data on group x time interactions (+)
Goal attainment (+)
Problems scale ↑ (-)
Prosocial behavior (-)
Parental self-efficacy ↑ (+)
Chen et al. (2020) ASD
DD
(aged 4~5.5)
(n = 6)
aged
32~50
(n = 7)
OPC
8 session
60 min
Occupational performance
Quality of life
Parent efficacy
Emotional states
Satisfaction
COPM
YC-PEM
Kiddy-KINDL
PSOC
DASS-21
HCCQ
Children’s community
participation ↑ (-)
Physical wellbeing ↑ (+)
School functioning ↑ (-)
Parents’ depressive symptoms ↓ (-)
Ahmadi Kahjoogh et al. (2018) CP
(aged 5~11)
(n = 30)
aged
25~50
(n = 30)
Exp Con Occupational performance
Parent efficacy
COPM
Sherer General
Self-efficacy
Scale
Go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
Self-efficacy ↑ (+)
OPC
2~10
session/wk
-
Graham et al. (2013) ID
Asperger syndrome
Non-diagnosis
(aged 5~12)
(n = 29)
aged
31~45
(n = 29)
OPC
1~8 session
60 min
Occupational performance
Adaptive skill
Parent efficacy
COPM
GAS
ABAS‑II
PSOC
Children’s performance (+)
Goal attainment (+)
Children’s performance on and satisfaction with goals not addressed ↑
Mother’s satisfaction ↑ (+)
Mothers’ sense of efficacy ↑ (+)

[i] 4QM: Four-quadrant model of facilitated learning, ABAS‑II: Adaptive behavior assessment system - 2nd edition, ASD: Autism spectrum disorder,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RIEF: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CAPES-DD: Child adjustment and parent efficacy scale-developmental disability,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COPM: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P: Cerebral palsy, DASS-21: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21, DD: Developmental disabilities, GAS: Goal attainment scale, HCCQ: Health care climate questionnaire, ID: Intellectual disability, OPC: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T: Occuapational therapy, PDMS‑2: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2nd edition,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SCWT: Stroop color and word test, SLD: Specific learning disorder, SP: Sensory profile, WCST: Wisconsin card sorting, YC-PEM: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

References

1 

Z. Ahmadizadeh S. Shanbehzadeh D. Kessler S. Taghavi S. Khaleghparast M. Akbarfahimi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adults with heart failu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otocol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239011524https://doi.org/10.1177/00084174221130167

2 

M. Ahmadi Kahjoogh D. Kessler S.A. Hosseini M. Rassafiani N. Akbarfahimi H.R. Khankeh A. Biglaria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882217https://doi.org/10.1177/0308022618799944

3 

K. Alcorn K. Broome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chronic conditions: A review of literature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4614956https://link.gale.com/apps/doc/A514565894/AONE?u=anon~655f705e&sid=googleScholar&xid=0797b3ae

4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Guidelines for documentation of occupational therapy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36763238https://doi.org/10.5014/ajot.2013.67S32

5 

D. Amini Renaissance occupational therapy and occupation-based hand therapyOT Practice2004931115

6 

J. Ammentorp L. Uhrenfeldt F. Angel M. Ehrensvärd E.B. Carlsen P.E. Kofoed Can life coaching improve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 studiesBMC Health Services Research201313428https://doi.org/10.1186/1472-6963-13-428

7 

C.S. Angelin S. Sugi K. Rajendran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dia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218813847https://doi.org/10.1177/0008417420972868

8 

M. Arbesman J. Scheer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OT Practice20081351822https://www.proquest.com/trade-journals/using-aotas-critically-appraised-topiccat-paper/docview/232422960/se-2

9 

G. Blundon E. Smits Cognitive rehabilitation: a pilot survey of therapeutic modalities used by Canadian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survivors of traumatic brain injury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00673184196

10 

J. Case-Smith J. Case-Smith Teaming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20055th edElsevier Mosby33

11 

C.W. Chien Y.Y.C. Lai C.Y. Lin F. Graham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with parents to promot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feasibility evaluation in Hong Kong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202017217993https://doi.org/10.3390/ijerph17217993

12 

L.B. Chilman P.J. Meredith N. Southon A. Kennedy-Behr T. Frakking L. Swanepoel M. Verdonck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parents of picky eaters: A mixed methods study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2024715117https://doi.org/10.1111/1440-1630.12947

13 

A. Cusick S. McIntyre I. Novak N. Lannin K. Lowe A comparison of goal attainment scaling an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for paediatric rehabilitation researchPediatric Rehabilitation200692149157https://doi.org/10.1080/13638490500235581

14 

A. Cusick N.A. Lannin K. Lowe Adapting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for use in a paediatric clinical trialDisability and Rehabilitation20072910761766https://doi.org/10.1080/09638280600929201

15 

C. Dedding M. Cardol I.C.J.M. Eyssen A. Beelen A. Beelen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 client-centred outcome measurementClinical Rehabilitation2004186660667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46oa

16 

E. Doig J. Fleming P. Kuipers P.L. Cornwell Clinical Utility of the Combined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Goal Attainment Scaling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0646904914https://doi.org/10.5014/ajot.2010.08156

17 

V. Fearing J. Clark S. Stanton M. Law The 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 process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1998Slack

18 

A.G. Fisher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20035th edThree Star Press

19 

A.G. Fisher Occupation-centred, occupation-based, occupation-focused: same, same or different?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421196107https://doi.org/10.3109/11038128.2014.952912

20 

L. Foster W. Dunn L.M. Lawson Coachi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 qualitative study for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2013332253263https://doi.org/10.3109/01942638.2012.747581

21 

M. Gagnon M. Couture C. Hui N. Obradovic C. Camden L. Lemay E. Jasmin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significant adults of preschoolers: Multiple case studies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2024521233241https://doi.org/10.1007/s10643-022-01423-1

22 

J. Gale Health psychology meets coaching psychology in the practice of health coaching. Semantic Scholar2007June1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Health-Psychology-Meets-Coaching-Psychology-in-the-Gale/6811db15d677cb4ed444eb8380dc23329af4e4ce

23 

A. Ghaffari A. Azad M.A. Zarei M. Rassafiani H. Sharif Nia Effect of occupation performance coaching with four-quadrant model of facilitated learning on children with specific learning disorder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2022113https://doi.org/10.1155/2022/4654204

24 

H. Goldstein-Lohman A. Kratz D. Pierce D.E. Pierce D. Pierce A study of occupation-based practiceOccupation by design: Building therapeutic power2003F. A. Davis239261

25 

F. Graham S. Rodger J. Ziviani Coaching parents to enable children’s participation: An approach for working with parents and their children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20095611623https://doi.org/10.1111/j.1440-1630.2008.00736.x

26 

F. Graham S. Rodger J. Ziviani Enabling occupational performance of children through coaching parents: Three case reports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2010301415https://doi.org/10.3109/01942630903337536

27 

F. Graham S. Rodger J. Ziviani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in improving children’s and mothers’ performance and mothers’ self-competence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36711018https://doi.org/10.5014/ajot.2013.004648

28 

F. Graham S. Rodger J. Ziviani Mothers’ experiences of engaging in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4774189197https://doi.org/10.4276/030802214X13968769798791

29 

F. Graham A. Kennedy-Behr J. Ziviani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A manual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2020Routledgehttps://doi.org/10.4324/9780429055805

30 

F.P. Graham J.A. Williman L.N. Desha D. Snell B. Jones T.R. Ingham A. Latu J.K. Maggo A. Ranta J. Ziviani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children with neurodis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otocol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24911416https://doi.org/10.1177/00084174231160976

31 

L.S. Green L.G. Oades A.M. Grant Cognitive-behavioral, solution-focused life coaching: Enhancing goal striving, well-being, and hope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200613142149https://doi.org/10.1080/17439760600619849

32 

J.P. Higgins J. Savović M.J. Page R.G. Elbers J.A. Sterne J.P. Higgins J. Thomas J. Chandler M. Cumpston T. Li M.J. Page V.A. Welch Assessing risk of bias in a randomized trial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20192nd edWiley-Blackwell205228https://doi.org/10.1002/9781119536604.ch8

33 

A.R. Jamali M. Alizadeh Zarei M.A. Sanjari M. AkbarFahimi S.H. Sane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ccupation performance coaching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y means of telerehabilitation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22855308315https://doi.org/10.1177/03080226211061492

34 

J. Jeong E.Y. Yoo Effect of metacognitive intervention for schizophrenia: Systematic review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rapy2021293113136https://doi.org/10.14519/kjot.2021.29.3.09

35 

D.E. Kessler M.Y. Egan C.J. Dubouloz F.P. Graham S.E. McEwen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for stroke survivor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otocol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4815279288https://doi.org/10.1177/0008417414545869

36 

D. Kessler F. Graham The use of coach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 integrative review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2015623160176https://doi.org/10.1111/1440-1630.12175

37 

S.Y. Kim J.E. Park Y.J. Lee H. Seo S. Sheen S. Hahn B. Jang H. Son Testing a tool for assessing the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studies showed moderate reliability and promising validity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2013664408414https://doi.org/10.1016/j.jclinepi.2012.09.016

38 

Y.S. Kim M.O. Park Analy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model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in Occupational Therapy2022922335

39 

T.J. Kiresuk A. Smith J.E. Cardillo Goal attainment scaling: Applications, theory, and measurement19941st edPsychology Presshttps://doi.org/10.4324/9781315801933

40 

M. Law S. Baptiste A. Carswell M. McColl H. Polatajko N. Pollock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20145th edCAOT Publications ACE

41 

K.T. Moon H.Y. Park J.B. Kim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y daily living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A single subject design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20209299117https://doi.org/10.22683/TSNR.2020.9.2.099

42 

S. Mulligan B.P. White S. Arthanat An examination of occupation-based, client-centered,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s in New Hampshire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2014342106116https://doi.org/10.3928/15394492-20140226-01

43 

J.M. Olsen B.J. Nesbitt Health coaching to improve healthy lifestyle behaviors: An integrative review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2010251112https://doi.org/10.4278/ajhp.090313-LIT-101

44 

T. Pontes H. Polatajko Enabling occupation: Occupation-based and client centred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Brazil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6242403412https://doi.org/10.4322/0104-4931.ctoARF0709

45 

D.Y. Ra M.J. Kong K.Y. Chang Application of occupation-based practice for neurodevel opmental children’s subway use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182642741https://doi.org/10.14519/jksot.2018.26.4.03

46 

D.D. Rush M.L. Shelden B.E. Hanft Coaching families and colleagues: A process for collaboration in natural settingsInfants & Young Children20031613347https://doi.org/10.1097/00001163-200301000-00005

47 

L. Sakzewski R. Boyd J. Ziviani Clinimetric properties of participation measures for 5- to 13-year-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2007493232240https://doi.org/10.1111/j.1469-8749.2007.00232.x

48 

J. Schmidt J. Fleming T. Ownsworth N.A. Lannin Maintenance of treatment effects of an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with video feedback for adults with TBINeuroRehabilitation2015362175186https://doi.org/10.3233/NRE-151205

49 

D. Stober A. Grant Evidence based coaching handbook2006John Wiley & Sons

50 

E. Townsend B. Beagan Z. Kumas-Tan J. Versnel M. Iwama J. Landry D. Stewart J. Brown E. Townsend H. Polatajko Enabling: Occupational therapy’ score competenciesEnabling occupation II: Advancing an occupational therapy vision for health, well-being & justice through occupation20072nd ed.CAOT Publications ACE

51 

C. Trombly Anticipating the future: Assessment of occupational function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1993473253257https://doi.org/10.5014/ajot.47.3.253

52 

A.J. Vance D.H. Brandon Delineating among parenting confidence, parenting self- efficacy, and competenceAdvances in Nursing Science20174041837https://doi.org/10.1097/ANS.0000000000000179

53 

C.C. Woo J.H. Donnelly R. Steinberg-Epstein M. Leon Environmental enrichment as a therapy for autism: A clinical trial replication and extensionBehavioral Neuroscience20151294412422https://doi.org/10.1037/bne0000068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