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의료기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중요도 및 교육 요구도 조사: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서 론

1.연구의 필요성

직무분석이란 특정한 업무를 하는 집단이 수행해야 할 직무와 직책을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직무수행의 역할과 책임 직무의 조직, 업무의 이해, 자료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보상관리 등과 같은 업무와 인사관리 전 반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Park & Han, 2005). 직무분석에서 직무(job)는 임무(duty), 작업(task), 작업 요소(task element) 수준으로 나누어진다. 임무(duty) 는 어떤 관련된 작업을 임의로 묶어 놓은 것으로서 직무 를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주가 되는 책임을 의미하고 작 업(task)은 한 개의 임무를 체계적인 방법에 따라 작은 단위로 나눈 것으로 그 자체로 독립될 수 있으며, 측정이 가능한 행동의 범위를 의미한다. 작업 요소(Task factor) 는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동, 단계 또는 의사결정을 말하며 작업 수행자의 행동을 기술하고 작업 을 세부적으로 기술해 놓은 것으로 각 작업요소는 작업의 진행단계를 보여준다(Park & Han, 2005).

작업치료사 직종 자체에 대한 직무분석 연구는 두 차 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국내 최초로 시행된 한국 작업치 료사 직무분석 연구는 2000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시행한 것으로, 5개 임무(환자평가, 작업치료, 교육, 관 리, 자기개발)와 32개 작업이 도출되었다(Cho et al., 2000). 이후, Lee 등(2014)가 2차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연구를 실시하여 6개 임무와 37개 작업이 도출하였다.

최근에는 작업치료사의 근무 영역이 다양해짐에 따라 직무가 다양해져서 근무 영역에 따른 직무 분석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각 연구의 직무 중요도를 살펴보면, 정신 건강 작업치료사는 교육 및 상담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았고(Shin, 2023), 특수교육지원센터 또는 학교에서 치료지원 업무를 하고 있는 학교 작업치료사는 학교작업 치료 계획 수립, 치료지원 신청자 정보파악 임무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다. 작업별 중요도는 상지기능 증진, 발달 향상, 보호자 면담이 높게 나타났다(Lee et al., 2015). 감각통합치료를 시행하는 아동작업치료사는 임무 수준 에서 중재, 중재계획, 평가, 상담, 기록, 관리, 자기계발, 교육, 행정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작업 수준에서는 중재 중 안전 유지하기, 치료실행하기, 청결관리하기, 치료 후 상담하기, 경과기록하기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다(Choi & Hong, 2017).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의 작업치료사는 평 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고, 다음은 상담, 직업 적응훈련, 직업 준비 훈련 순이었다(Ku et al., 2013). 치매안심센 터 작업치료사는 임무 수준에서 상담이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 및 관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았 다. 작업 수준에서는 클라이언트 욕구 파악하기, 교육 요 구도에서는 사회기술 평가하기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 았다(Cho, 2021). 지역사회 중심 가정방문 작업치료사 는 일상생활활동 평가하기가 중요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 었다(Jang, 2020). 이렇듯 작업치료사의 근무 영역에 따 라 직무분석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각 근무 영역에 따라 직무의 중요성, 교육 요구도 및 수행 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근무 영역에 따라 직무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2022년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병원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근무지 조사 결과, 재활의료기관 40.90%, 요양병원 38.65%, 종합병원 11.27%, 상급종 합병원 3.95%, 의원 3.60% 등의 순으로 재활의료기관 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22). 하지만 국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재활의료기관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분석한 연 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재활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의 중 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추후 교육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경남 지역 재활의료기관에 재 직 중인 작업치료사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 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의 료기관에 근무 중인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사한다. 둘째, 경력에 따른 임무 및 작업 별 중요도 및 교육 요구도를 조사한다. 셋째, 직무 중요도 및 교육요구도와 임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다.

연구방법

1.연구 기간 및 대상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서 심의를 받아 승인 후 진행하였 다(1041493-A-2023-016). 연구 기간은 2023년 10월 23일부터 12월 04일까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경남 소재의 재활의료기관에 재직 중 인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한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수는 G-Power (ver.3.1) 검증 결과, 독립 t-test 기준으로는 중간효과 크기는 0.5, 유의수준 0.05으로 나왔다. 검정력 0.8로 설정하여 계산 했을 때, 64명으로 중간탈락률 10%를 고 려하였을 때 최소 연구대상자 수는 70명이었고 본 연구 의 대상자 수는 120명이었다, 부산 경남에 소재한 7개 재활의료기관에 1년 이상 재직 중인 작업치료사를 대상 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부산·경남 소재의 재활의료기관 작업치료 사 중 연구 참여에 희망하는 자로 재활의료기관 근무경력 이 1년 이상이고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 의한 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연구 절차

부산·경남 소재의 재활의료기관에서 1년 이상 재직 중인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 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기관은 비확률 편의표집 (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서 추출하였고, 부 산·경남 소재의 재활의료기관 7곳에 각 기관의 기관장 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공고문을 게 시하였다. 공고문 게시 후 본 설문에 동의하여 참여할 인원을 기관의 대표에게 전달 받아 각 기관의 참여 인원 만큼 설문지를 직접 전달하였다. 참여자들은 설문지 완 료 후 각 기관의 대표에게 제출하였으며, 각 기관의 동의 한 인원만큼 설문지 완료 후 대표에게 설문지 수거 연락 을 전달받도록 하였다. 120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3.연구 도구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Lee et al., 2014)

Lee 등(2014)이 실시한 작업치료사 직무분석 연구에 서 도출된 6개 임무(상담, 평가, 중재계획, 중재, 교육 및 관리, 자기 계발)와 37개 작업을 기반으로 37문항의 설문지(Table 1)를 사용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정신건강 작업치료 등과 달리 재활의료기관의 직무는 기존 의료기 관 중심의 직무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Lee 등(2014) 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추가로 각 임무와 작업에 대해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직무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조 사하였다. 직무 중요도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1점)부터 ‘매우 중요하다’(5점)로 측정하였고, 교육 요구도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1점)부터 ‘매우 필요하다’(5점)로 측정하였 다. 본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 검정 시 Cronbach's alpha 값은 직무 중요도는 0.98, 교육 요구도 0.98로 나왔다.

Table 1.

Occupational Therapists' Job Importance and Training Needs Survey Questionnaire

Duty Task
A. Counselig A1. To check client information
A2. Understanding the needs of clients
B. Evaluation B1. Evaluation plan establishing
B2. The neuromuscular skeleton and Exercise-related functions evaluation
B3. upper limb function evaluation
B4. Mobility evaluation
B5. Taking a developmental test
B6. Sensory function evaluation
B7. Mental function evaluation
B8. Communication evaluation
B9. Evaluating activities daily living
B10. Evaluating 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B11. Evaluating social skills
B12. Evaluating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rea
B13. Evaluating Environmental Factors
C. Treatment plan C1. Problem identification
C2. Establishing a treatment plan
D. Treatment D1. Improve neuromuscular skeleton and exercise-related functions
D2. Enhance upper limb function
D3. Enhance mobility
D4. Improve developmental function
D5. Improve sensory function
D6. Improve mental function
D7.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D8. Training activities daily living
D9. Training 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D10. Improving social skills
D11. Providing aids for adjuvenation
D12. School occupational therapy
D13. Visiting occupational therapy
D14. Driving rehabilitation
D15. Vocational rehabilitation
E. Training and management E1. Training
E2. Management
F. Self-improvement F1. Doing research activities
F2. Improving your expertise
F3. Self-care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4.0 (IBM, USA)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직무 중요도 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근무경력)에 따른 임무별 및 작업별 직무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는 일원배치분산분 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학적 수준 은 α =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1.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부산·경남 소재의 재활의료기관에 1년 이 상 재직 중인 작업치료사 총 120명이 참여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성이 27명(22.5%), 여성이 93명(77.5%)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령 분포는 전체 응 답자 중 25세 이상부터 30세 이하까지 81명(67.5%)이었 고, 31세 이상부터 35세 이하까지 30명(25.0%), 36세 이상부터 40세 이하까지 9명(7.5%)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 71명(59.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전문학사 44명(36.7%), 석사 5명(4.2%)이었고 박사는 없었다. 재 직기간은 1년 이상부터 3년 이하까지 40명(33.3%)이 가 장 많았고, 4년 이상부터 6년 이하까지 28명(23.3%), 7년 이상부터 9년 이하까지 37명(30.8%), 10년 이상부 터 13년 이하까지 12명(10.0%), 14년 이상이 3명(2.5%) 이었다(Table 2).

Table 2.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N = 120)

Item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age
Gender Male 27 22.5
Female 93 77.5
Age 25~30 81 67.5
31~35 30 25.0
36~40 9 7.5
Education Associate degree 44 36.7
Bachelor degree 71 59.2
Master degree 5 4.2
Doctor degree 0 0.0
Career (Years) 1~3 40 33.3
4~6 28 23.3
7~9 37 30.8
10~13 12 10.0
14~ 3 2.5
Participant’s Institutional Type Convalescence rehabilitation hospital 97 80.8
General rehabilitation hospital 23 19.1
Nursing Hospital 0 0.0

[i] The sum of the percentages does not equal 100% because of rounding

2.임무와 작업별 직무 중요도 및 교육 요구도 조사

임무 수준에서 직무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상담, 중재 계획, 평가, 중재, 교육 및 관리, 자기개발 순으로 높았고, 교육 요구도는 중재계획, 상담, 평가, 중재, 교육 및 관리, 자기개발 순으로 높았다. 작업 수준에서 직무 중요도 및 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능력 훈련하기, 자 기관리하기, 일상생활활동 평가하기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Job Importance, Education Need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N = 120)

Duty Task JI EN
M ± SD M ± SD
A. Consultation 4.46 ± 0.571 4.25 ± 0.722
B. Evaluation 4.25 ± 0.443 4.20 ± 0.493
B9. Evaluating activities daily living 4.60 ± 0.503 4.49 ± 0.623
C. Treatment plan 4.38 ± 0.522 4.35 ± 0.541
D. Treatment 4.20 ± 0.374 4.16 ± 0.434
D8. Training activities daily living 4.70 ± 0.481 4.63 ± 0.621
E. Training and management 4.05 ± 0.635 4.02 ± 0.625
F. Self-improvement 3.91 ± 0.736 3.91 ± 0.756
F3. Self-care 4.63 ± 0.602 4.63 ± 0.602

1-6 These numbers indicate rank at the duty or task level

JI: Job importance, EN: Education needs, SD: Standard Deviation

3.근무경력에 따른 임무별 중요도 및 교육 요구도 조사

재활의료기관 근무경력에 따라 임무 수준의 직무 중요 도와 교육 요구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Table 4). 반면, 재활의료기관 근무경력에 따른 작업별 중요도 및 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직무 중요도는 내담자 정보 확인,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 관련 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3년 초과그룹 이 3년 이하그룹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중요도 점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교육 요구도는 의사소통 평가, 학교 작업치료에서 3년 초과그룹이 3년 이하그룹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중요도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Table 5).

Table 4.

Comparison of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 for Duty between Career Groups (N = 120)

Duty Career (yrs.) Job importance Education needs
M ± SD t M ± SD t
Counseling 1~3 4.41 ± 0.56 -1.57 4.20 ± 0.70 -1.12
4~ 4.59 ± 0.50 4.36 ± 0.44
Evaluation 1~3 4.21 ± 0.46 -1.67 4.15 ± 0.50 -1.47
4~ 4.36 ± 0.40 4.30 ± 0.77
Evaluation plan 1~3 4.36 ± 0.54 -0.67 4.35 ± 0.53 -0.18
4~ 4.43 ± 0.47 4.37 ± 0.56
Treatment 1~3 4.16 ± 0.39 -1.75 4.12 ± 0.44 -1.41
4~ 4.30 ± 0 .32 4.25 ± 0 .40
Training and management 1~3 4.03 ± 0.64 -0.53 3.99 ± 0.63 -0.96
4~ 4.10 ± 0.60 4.11 ± 0.60
Self-improvement 1~3 3.97 ± 0.55 -0.40 3.97 ± 0.56 -0.27
4~ 4.01 ± 0.47 4.00 ± 0.46

** p < 0.05

SD: Standard Deviation

Table 5.

The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for the Task According to Career

Duty Task Career (yrs.) Job importance Education needs
M ± SD t M ± SD t
A A1. 1~3 4.25 ± 0 .78 -2.38** 4.16 ± 0.76 -1.57
4~ 4.61 ± 0.65 4.41 ± 0.82
B B2. 1~3 4.40 ± 0.65 -2.49** 4.37 ± 0.66 -1.47
4~ 4.67 ± 0.47 4.56 ± 0.55
B8. 1~3 4.27 ± 0.66 -1.90 4.20 ± 0.67 -2.27**
4~ 4.52 ± 0.61 4.50 ± 0.61
D D12 1~3 3.17 ± 0.93 -1.95 3.13 ± 0.92 -2.00**
4~ 3.52 ± 0.78 3.50 ± 0.78

** p < 0.05

SD: Standard Deviation

고 찰

본 연구는 현재 부산·경남권 재활의료기관 근무 중인 작업치료를 대상으로 작업의 중요도와 교육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추후 직무 내용을 고려한 교육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임무 수준의 직무 중요도는 상담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 요구도는 중재계획과 상담이 가장 높았 다. 이전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에서도 중요도가 가장 높 은 임무는 상담이었다(Cho, 2021; Lee et al., 2014; Shin, 2023). 해당 임무의 공통점은 라포 형성, 기록지 확인, 기본사항 면담, 치료 목표, 보호자 욕구 파악 등이 포함된다. 세부적인 근무영역과 상관없이 작업치료사 직 무 중요도는 상담이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 수준의 직무중요도, 교육 요구도는 일상생활능력 훈련이 가장 높았고 자기 관리가 다음으로 높았다. 작업 치료사가 개입하는 일상생활 영역은 입원기간 동안 환 자의 일상생활 훈련 뿐만 아니라 퇴원 후 추적평가, 기능 적 활동 수행을 위한 보조도구 권고, 지역사회로의 안전 한 전환을 위해 일상생활 수행과 환자의 욕구에 부합하 는 사회적 자원 연결을 포함한다(Holm & Mu, 2012; Robertson & Finlay, 2007).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중요도가 높았던 작업을 살펴보면, 직업재활 작업치료사는 일상생활 활동평가가 가장 높았 고(Jang, 2020), 정신 건강 작업치료사는 정신기능 및 증상 평가계획 및 실행이 가장 높았다(Shin, 2023). 각 근무영역에 따라 작업 수준의 직무중요도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분석에서 작업 수준은 임무보다 작은 단 위로, 측정가능 한 구체적인 행동이다. 재활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은 일상생활능력 훈련과 자기관 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에 대한 교육이 많이 필요하다 고 느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집중적인 교육 및 훈련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 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미국 작업치료의 경우 초임 작업치료사와 경력 작업치료사 의 분류기준은 3년이고(NBCOT, 2022), 국내 Lee 등(2010)의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기준으로 초임 작업치료 사를 3년 이하로 분류하였다(Lee et al.,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도 3년을 기준으로 임상경력에 따라 대상자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활의료기관 근무경력 에 따른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작업별로 조사한 결과, 직무 중요도는 내담자 정보 확인,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관련 기능 평가에서 경력 작업치료사가 초임 작업치 료사보다 더 중요도 점수가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치료사는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클라이언트를 전인 적으로 이해하고 맞춤형 중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담자 의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담자 정보 확 인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가 근무경력에 따라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재활의료기관 환자 중 가장 많은 질환이 뇌졸중이다.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장애는 운 동 및 감각장애와 언어장애, 인지·지각장애, 정서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많은 환자들이 운동기능의 상실로 움직이나 기능을 회복하지 못해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살아간다(Trombly & Radomski, 2002). 뇌졸 중은 급성기 치료가 끝난 후에도 타인의 돌봄이 필요한데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활동 범위가 넓혀짐에 따라 가족 내 부양이 점차 힘들어졌다. 때문에 재활의료기관을 필 요로 하는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Park, 2019). 재활의료기관은 뇌졸중으로 인한 신체장애를 동반한 신 경·근골격계 질환을 주요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전반적 인 직무를 익히는 데 집중해야하는 초임과 달리 경력 작 업치료사가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관련 기능 평가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 요구도는 의사소통 평가와 학교 작업치료에서 3 년 초과그룹이 3년 이하그룹보다 중요도 점수가 더 높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는 대부분 회복기 재활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작업치료사 였다. 이상적인 재활의료 체계란 급성기 후 집중적인 재 활치료에서부터 회복기 재활의료를 거쳐 사회 또는 가정 복귀까지 연속적으로 의료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Ji, 2017).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지정의 목적은 발병 또 는 수술 후 집중적인 재활을 통해 장애를 최소화하고 조 기에 일상생활로 복귀하도록 유도하고, 지역사회와 연계 하는 것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병원 의료 환경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는 환자의 퇴원 시 필요한 사항과 퇴원 후 안전과 관련된 특정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이다(Craig et al., 2004). 클라이언 트가 가정 및 사회로 돌아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의사소통 평가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재활 의료기관 작업치료사들의 서비스 대상자는 성인뿐만 아 니라 아동도 포함된다. 아동에게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학생이며 학교로의 복귀 및 적응을 위하여 이와 관련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 분석이란 직무가 근로자에게 부과하는 요구 사항 을 식별하고 설명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다. 이를 통해 서 다양하고 유용한 방법으로 관리자를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Joss, 2007).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직무의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를 활용하여 재활의료기관 작업치 료사의 직무를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작업치료사들의 효율적인 직무 적응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부산·경남지역으로 제한되 어있으므로 일반화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추후 더 많 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부산·경남 재활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작업 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하고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 여 추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부산·경남 재활의료 기관에 근무 중인 작업치료사 직무는 이전 작업치료사 직무분석과 비교했을 때, 임무 수준에서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근무영역과 치료 대상자에 따른 직무의 차이와 특이성이 요구되어 작업요소 등 상세한 항목까지 비교하기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동일한 직무의 임무 및 작업, 작업요소를 근무 영역에 따른 작업치료사 를 대상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세분화된 작업치료사의 도출된 직무분석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 무에 대한 기반을 이해하고, 작업치료를 보다 효과적으 로 개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작업치료사 교육 및 양성과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E.S. Cho H.J. Kwon K.J. Park H.C. Park K.H. Yang H.S. Lee Y.J. Song M.Y. Jung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 rapists2000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https://www.krivet.re.kr/kor/sub.do?menuSn=12&pstNo=E120130650

2 

M.L. Cho An analysis of task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occupational therapists’ job in the dementia care centers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20212211728736doi: http://dx.doi.org/10.5762/KAIS.2021.22.11.728

3 

J.S. Choi E.K. Hong Job analysis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2017152121doi: http://dx.doi.org/10.18064/JKASI.2017.15.2.001

4 

G. Craig L. Robertson S. Milliga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acute physical health care settings: A pilot study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04511513

5 

S.E. Holm K. Mu Discharge planning for the elderly in acute care: The perceptions of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2012303214228doi: http://dx.doi.org/10.3109/02703181.2012.719601

6 

W.H. Jang A study on job analysis and guidelines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ists: Focusing on the job of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ists on public health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2020Yonsei University

7 

Y.G. Ji Rehabilitation medical fee status and improvement planHIRA Policy Brief20171152836https://nrc.go.kr/eng/html/content.do?depth=n_ri&menu_cd=02_02_01_01

8 

M. Joss The importance of job analysis in occupational therapy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07707301303doi: http://dx.doi.org/10.1177/030802260707000705

9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2022 National occupational therapist manpower status: Medical institution workers2022https://www.kaot.org/pds/stat.jsp

10 

I.S. Ku S.P. Hong D.J. Kim T.R. Hur S.H. Jung H.H. Kim H-Y. Yoon J.E. Lee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ngag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2013214107122doi: http://dx.doi.org/10.14519/jksot.2013.21.4.09

11 

H.S. Lee M.Y. Jung B.I. Chung E.Y. Yoo S.H. Park D.H. Kang Survey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2010182121

12 

H.S. Lee K.Y. Chang M.Y. Jung I.S. Ku H.S. Woo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201422289112doi: http://dx.doi.org/10.14519/jksot.2014.22.2.07

13 

H.S. Lee S.H. Park Y.J. Kim C.S. Noh Y.Y. Yoon K.M. Lee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ists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20152341733doi: http://dx.doi.org/10.14519/jksot.2015.23.4.02

14 

H.S. Lee Survey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Doctoral dissertation)2015Yonsei University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Additional designation of 19 additional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specialized in convalescent rehabilitation treatment2020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act=view&list_no=361610&tag=&nPage=273

16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NBCOT)Executive summary for the Practice analysis stud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Registered2022https://www.nbcot.org/-/media/PDFs/2022_OTR_Practice_Analysis.pdf

17 

J.S. Park S.G. Han Job analysi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Research Report No. 2005-2)2005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https://www.krivet.re.kr:8443/repository/bitstream/201303/2402/2/c00502_fulltext.pdf

18 

S.H. Park The nutritional status and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stroke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 (Master's thesis)2019Inha University

19 

C. Robertson L. Finlay Making a difference, teamwork and coping: The meaning of practice in acute physical settings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20077027380doi: http://dx.doi.org/10.1177/030802260707000205

20 

C.H. Shin Job analysis for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Master's thesis)2023Yonsei University

21 

C.A. Trombly M.V. Radomski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20025th edLippincott Williams & Wilkins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