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고립 측정을 위한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서 론

사회적 고립은 사회관계 속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부족하거나 양적, 질적 수준이 충족되지 못하는 상황을 뜻하며, 타인과의 관계 단절과 사회적 지지가 결여된 것 을 의미한다(Marsden, 1987; UCL Institute of Health Equity, 2015). Townsend (1973)의 연구에서는 사회 적 고립이 과거에는 주로 독거노인과 1인 가구에만 국한 된 문제로 보여졌다. 그러나 최근 우리 사회는 코로나19 펜데믹으로 독거노인과 1인 가구뿐 아니라 다양한 대상 군이 사회적 관계에서 분리되거나 고립되고 있다(Park et al., 2019).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는 건강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웰빙’으로 정의 하며, 사회관계가 건강에 중요한 측면인 것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 고립감은 2017년 28.1% 에서 2023년 33.0%까지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34.1%로 가장 높은 고립감이 조사되었다(통계청, 2024). 이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도 2018년의 16%에 서 2023년 18.5%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24).

사회적 고립은 외로움과 우울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Noguchi et al., 2021), 낮은 정신건강 수준과 연관되 어 있다(Lim & Kua, 2011). SNS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 들은 상대적 박탈을 많이 경험한다(Kim, 2021; Smith et al., 2020; Yeo, 2020).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안녕 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Lee & Lee, 2017), 삶의 만족 과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Giorgi et al., 2021). 이러한 주관적인 외로움과 개인의 지위 상실, 상대적 박 탈감 등은 사회적인 고립을 유발하여 자살과 높은 상관 성을 띄며, 실제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낸다(Beller & Wagner, 2018; Calati et al., 2019). 반대로 사회적 지지는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소속감을 통해 소외감이 감소하여 삶의 질과 만족도 향상 등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Youm & Sung, 2016).

다양한 연구에서 사회적 고립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척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척도들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회적고립을 평가하기 위해 외로 움을 측정하는 연구가 있는 반면, 사회적지지, 사회적 관 계 또는 사회통합을 측정하는 연구도 있다(Sansoni et al., 2010; Valtorta et al., 2016). 이처럼 연구마다 사 용하는 척도가 다르지만 ‘사회적 고립’이라는 단어와 혼 동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어(Zavaleta et al., 2017), 표준 화된 사회적 고립 측정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Sansoni et al., 2010). 표준화된 측정도구는 연구의 일관성과 비교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도구의 부재는 연구 결과의 해석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척도를 사용하는 연구들의 비교와 종 합적인 이해를 어렵게 만든다(Jensen-Doss & Hawley, 2010).

이에 따라 사회적 고립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되어 왔으나, 전체 인구가 아닌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김춘남 등, 2018; Kim, 2017). 또 한, 기존 연구들은 체계적 고찰 등을 통해 분석 문헌에 대한 요약된 결과만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Kim & Ahn, 2015). 그러나 특정 분야나 주제의 연구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파악하고, 다양한 연구의 패턴 을 분석하여 시각화하는 것은 연구 동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서지정보를 활용한 계량서지학 적 분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2021).

계량서지학이란, 문헌에 대한 통계 분석에서 비롯한 분석 방법이며, 연구 주제의 정량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 해 통계적 방법을 사용한다. 출판 결과와 인용횟수에 근 거한 분석기법과 대응 기법이 계량서지학의 주요 분석 방법이다(Noyons et al., 1999). 분석은 국제적으로 사 용도가 가장 높은 VOS veiwer (version 1.6.19)를 이용 하여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Van Eck & Waltman, 2014). VOS veiwer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이며, 서지정보를 바탕으로 인용분석, 동시출현분석, 공 저분석 등 다양한 방법(Jeong & Ban, 2020; Son et al., 2022)으로 군집화(클러스터)할 수 있다. 국가, 저자, 기관, 키워드 등의 데이터를 빈도와 연결강도를 통해 네 트워크 시각화 지도를 나타낼 수 있다(Jeong & Ban, 2020). 시각화 지도는 각 키워드가 지정된 원으로 표시 되며, 원의 크기는 빈도를 나타내고 색은 군집(클러스터) 을 나타낸다. 각각의 원을 연결하는 선은 두께와 거리를 통해 연결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방대한 연구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시각화로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Van Eck & Waltman, 2014).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을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하며, 이를 통해 향후 사회적고립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 고자 한다.

연구 방법

1.분석 대상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관련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외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를 활용하였다. “Social isolation” AND (Evaluation OR Assessment OR Tool)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2024년 4월까지 출판된 문헌들을 검색하였다. 검색기준은 검색 어가 논문의 제목, 초록, 키워드에 포함되는 논문과 리뷰 논문을 포함하여 최종 6,028편이 추출되었다.

2.분석 방법

계량서지학적 분석은 인용 분석, 동시 출현 분석, 공저 분석, 동시 인용 분석, 텍스트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이 사용된다(Park et al., 2022). 인용 분석은 문헌이 동시 에 인용될 경우, 인용된 문헌들이 주제적으로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동시 출현 분석은 두 개의 키워 드가 문헌에서 동시에 출현했을 경우, 두 개의 키워드가 하나의 연관된 주제를 나타낸다고 해석한다(Boyack & Klavans, 2010; Kim & Song, 2014). 본 연구에서는 공저 분석을 통해 연구기관, 저자, 국가를 파악했으며, 서지 결합 분석을 통해 학술지를 파악, 동시 출현 분석을 통해 키워드 및 클러스터를 파악하였다. 분석들은 도표 및 시각화 지도로 나타내었고, 시각화 지도는 키워드별 클러스터 색상 지도와 연도별 색상 지도로 구분하여 나타 냈다.

연구결과

1.연구 동향 분석

출판 문헌 수

Web of Science의 결과 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연도 별 출판된 문헌의 수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의 규모를 확인하였다. 1987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 지 사회적 고립과 평가도구에 관한 문헌은 6,028편이 조사되었다. Figure 1은 1987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 되어 출판된 문헌의 수를 나타내며, 2024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는 165편의 문헌이 출판되었다. 1987 년 최초 1편의 문헌이 출판되었으며, 1989년을 제외하 고 매년 꾸준히 출판되었다. 2011년 이후 100편 이상의 문헌이 출판되었고, 2015년 이후 200편 이상의 문헌이 꾸준히 출판되고 있다. 2020년 이후 급격한 상승을 보이 며, 2021년 1,016편의 최다 문헌이 출판되었다.

Figure 1.

Number of Published Literature on Social Isolation-Related Assessments by Year

KJOT-32-117_F1.jpg

연구 분야

사회적 고립 관련 평가 연구를 진행한 문헌 6,028편 중 상위 10개의 연구 분야는 Figure 2와 같다. 공공 환경 및 직업보건(public environmental occupational health)이 713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다음으로 심리학(psychology) 682편, 정신(psychiatry) 628편, 신경과학(neurosciences neurology) 447편, 노인학(geriatrics gerontology) 430, 일반내과의학 (general internal medicine) 367편, 건강관리과학 및 서비스(health care sciences services) 365편, 환 경과학 및 생태계(environmental sciences ecology) 337편,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 296편, 교육 (educational research) 278편 순으로 나타났다.

Figure 2.

Top 10 Research Area on Social Isolation-Related Assessments

KJOT-32-117_F2.jpg

2.계량서지학적 분석

연구 국가 및 지역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국가 및 지역 은 총 155개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가 진행된 상위 국가 및 지역 20개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미국은 1,658편으로 가장 많은 문헌을 출판 하였고, 영국이 840편, 호주가 460편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인용횟수는 미국이 56,907편, 영국 32,908, 네덜 란드 12,843편 순으로 나타났다. 총 연결강도는 미국이 985, 영국 967, 이탈리아 498 순으로 나타났다. 인용횟 수와 연결강도 또한 미국이 56,907편, 98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문헌을 많은 곳에서 인용한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

Top 20 Countries and Regions That Conducted Research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No. Country and region Publication Citation Total Link Strength
1 United States of America 1,658 56,907 985
2 England 840 32,908 967
3 Australia 460 12,333 439
4 Canada 448 12,834 458
5 Spain 344 8,090 415
6 Italy 336 11,791 498
7 Germany 332 10,728 491
8 China 318 7,627 281
9 Brazil 292 3,603 190
10 France 217 6,761 306
11 Nehterlands 204 12,843 411
12 Japan 158 4,036 126
13 India 143 2,696 178
14 Portugal 131 2,951 161
15 Switzerland 124 5,863 262
16 Scotlan 124 6,385 258
17 Sweden 123 5,851 281
18 Poland 118 4,997 149
19 Russia 91 720 64
20 South korea 90 1,339 94

공저 분석을 통해 155개의 국가 및 지역 중 서로 연결 되어 있지 않은 65개의 국가를 제외하고 90개의 국가 및 지역의 분포를 나타낸 시각화 지도를 Figure 3에 제시하 였다. 원의 크기가 클수록 해당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됨을 나타내며, 원들 간 연결선의 두께가 두꺼울수 록 국가 및 지역 간의 연결 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3.

Countries and Rgions Where Research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KJOT-32-117_F3.jpg

연구 기관 및 학술지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기관은 총 7,688개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 가 진행된 상위 연구 기관 5개를 Table 2로 제시하였다. Kings coll London은 96편으로 가장 많은 문헌을 출판 하였고, University College London 85편, University of Toronto 82편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연결강도 또한 출판 문헌의 수 순위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인용횟수는 Kings coll London이 2,945편, University of Toronto 2,557, University College London 2,318 순으로 나타 났다. 공저 분석을 통해 최소 5편 이상의 문헌을 출판한 연구기관을 나타낸 시각화 지도를 Figure 4에 제시하였다.

Table 2.

Top 5 Research Institutions That Conducted Research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No. Research institutions Publication Citation Total Link Strength
1 Kings coll London 96 2,945 224
2 University College London 85 2,318 192
3 University of Toronto 82 2,557 163
4 University of Manchester 62 2,162 132
5 University of Michigan 62 2,034 129
Figure 4.

Research Institutes That Conducted Research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KJOT-32-117_F4.jpg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문헌을 게재한 학술지는 총 3,024개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이 문 헌을 게재한 학술지 상위 5개를 Table 3으로 제시하였 다. Plos one은 97편으로 가장 많은 문헌을 게재하였고,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96편, Fronties in Psychology 68 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용횟수 또한 출판 문헌의 수 순 위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총 연결강도는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618로 가장 높은 연결을 보였고, Fronties in Psychology 10,551, BMJ Open 10,282 순으로 나타났 다. 서지 결합 분석을 통해 최소 5편 이상의 문헌을 게재한 학술지를 나타낸 시각화 지도를 Figure 5에 제시하였다.

Table 3.

Top 5 Academic Journals That Conducted Research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No. Academic journals Publication Citation Total Link Strength
1 Plos one 97 3,284 9,241
2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96 1,278 15,618
3 Fronties in Psychology 68 924 10,551
4 BMC Public Health 57 707 7,949
5 BMJ Open 52 793 10,282
Figure 5.

Academic Journals Publishing Research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KJOT-32-117_F5.jpg

키워드 및 클러스터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구 키워드는 동시 출현 분 석을 통해 총 28,841개로 나타났다. 키워드 중 social isolation, assessment, tool, evaluation을 제외한 상 위 키워드 1,000개를 동시 출현 분석을 실시하였다. 출 현 빈도가 가장 높은 상위 10개를 Table 4에 제시하였으 며, 코로나19가 741편의 출현 빈도와 총 연결강도 9,823 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 외로움, 우울, 영향, 사람, 불 안, 위험, 전파, 스트레스가 그 뒤를 이었다.

Table 4.

Top 10 Research Keywords on Social Isolation Assessment

No. Keywords Citation Total Link Strength
1 Covid-19 741 9,823
2 Health 737 5,452
3 Loneliness 687 5,817
4 Depression 618 5,000
5 Impact 361 2,437
6 People 337 2,726
7 Anxiety 322 2,336
8 Risk 313 2,325
9 Prevalence 296 2,174
10 Stress 286 1,948

1,000개의 키워드는 10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으 며, 클러스터별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2가지를 사용하여 클러스터 이름을 나타냈으며, Cluster 1 (빨간색)은 케어 와 관리, Cluster 2 (노란색)는 불안과 스트레스, Cluster 3 (초록색)은 삶의 질과 질병, Cluster 4 (파란색)는 건강 과 외로움, Cluster 5 (보라색)는 우울과 유행, Cluster 6 (하늘색) 아동과 정신건강, Cluster 7 (주황색) 사망률 과 위험 요인, Cluster 8 (갈색) 코로나19와 영향, Cluster 9 (분홍색) 네트워크와 혜택, Cluster 10 (연분홍색) 재 택근무에 관련된 키워드로 나누어진 것을 Table 5와 Figure 6에 제시하였다. 평균 출판연도를 기준으로 발생 빈도를 분석하면, 원의 색상이 어두운 파랑에 가까울수 록 과거에 등장한 키워드, 원의 색상이 밝은 노랑에 가까 울수록 최근에 등장한 키워드이다(Figure 7). 가장 최근 에 등장한 키워드는 Covid-19, Pandemic, Loneliness, Frailty, Telehealth, Wellness, Well-being 등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자주 등장한 키워드는 Schizophrenia, Quality of life, Disability 등으로 나타났다.

Table 5.

10 Clusters for Social Isolation Assessment

Clusters Name Top 10 keywords by cluster
1
Care, Management
Care. Management, Women, Model, Performance, Technology, Communication, Education, Social media, Gender
2
Anxiety, Stress
Anxiety, stress, behavior, Schizophrenia, Responses, Personality, Cognition, Consequences, Brain, Expression
3
Qualityof life, Disease
Quality-of-life, Disease, Association, Rehabilitation, Disability, Therapy, Quesionnaire, Cancer, Diagnosis, Frailty
4
Health, Loneliness
Health, Loneliness, People, Support, Adults, Older-adults, Dementia, life, Community, Interventions
5
Depression, Prevalence
Depression, Prevalence, Scale, Validity, Validation, Symptoms, Adolescents, Reliability, Meta analysis, Disorders
6
Children, Mental health
Children, Mental-health, Social support, Intervention, Outcomes, Experiences, Family, Caregivers, Qualitative, Well-being
7
Mortality, Risk factors
Mortality, Risk-factors, Physical-activity, Population, Prevention, Depressive symptoms, Predictors, Systematic review, Aged, Obesity
8
Covid 19, Impact
Covid-19, Impact, Risk, Mental health, Pandemic, Isolation, Corona virus, Sars-cov-2, Epidemiology, Public health
9
Network, Benefits
Network, Benefits, Associations, Psychology, Self-seteem, Acceptanc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Mental-illness, Life satisfaction, Mobile phone
10
Teleworking
Teleworking
Figure 6.

Analysis of High-Frequency Keywords for Social Isolation Assessment

KJOT-32-117_F6.jpg
Figure 7.

Analysis of High-Frequency Keywords by Year for Social Isolation Assessment

KJOT-32-117_F7.jpg

고 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 을 살피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기 위해 계량서지학 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6,028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 며, 서지정보를 바탕으로 연도별 연구동향, 연구 분야별 분석, 국가/지역, 기관, 저자, 학술지, 키워드 및 클러스 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1987년 이후 꾸준히 문헌이 출판 되고 있으며, 2011년 이후 100편 이상의 문헌이 출판되 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 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20 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국제적 공 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한 후, 사회적 거리두기와 자가 격리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고립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반영되어 급격한 문헌의 증가 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사회적 고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서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환경 및 직업보건 분야에서 가 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심리학, 정신, 신경과학 분야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의 연구 는 사회적 고립 문제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측면에 서 접근할 수 있으며, 공공환경, 심리, 정신 쪽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사회적 고립이 지역 사회 및 사회와의 상호작용과 고독감, 외로움 등 부정적 인 심리상태가 경험한다는 의미를 갖기 때문에 주요 주제 로 다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김춘남 등, 2018). 또한, 코로나19의 출현으로 인해 고립감이 심화되면서 심리 및 정신 문제도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공공정책과 공중보건 분야에서 도 사회적 고립이 긴급한 문제로 인식되어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 로 사료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향 후 연구에서도 다양한 학문 분야간의 협력과 연계를 통해 사회적 고립 문제에 더 심층적이고 다양한 측면의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사회적 고립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 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대 한민국은 18.9%의 사회적 고립 인구 비율로 OECD 국가 중 10위에 속한다(Helliweill et al., 2022; Population Reference Bureau, 2020). 또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추출된 상위 20개의 국가 중 가장 높은 사회적 고립 인구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현재 대한민국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사회적 고립 비율은 급속한 도시화와 핵가족 화로 인해 전통적인 사회적 네트워크의 약화되었으며 (Liu & Zhang, 2015),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사회적 고립 문제가 급부상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rk, 2019). 따라서, 지역사회 기반의 서비스 제공 전 략을 고려해야 한다.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살펴보면 코로나19와 건 강, 외로움, 우울, 불안, 스트레스 순으로 많았다. 총 연결 강도는 코로나19, 외로움, 건강, 우울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이는 코로나19 펜데믹이 장기화되면서 모든 연령 층 인구에게 정서 문제(외로움, 우울, 불안, 스트레스, 공 황장애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어 해당 결과가 반영 되었다고 사료된다(Koh, 2020). 2017년 이전에는 질 병, 스키조프레니아, 뇌졸중, 재활 등의 질병과 관련된 키워드들이 추출되었으며, 2018년 이후에는 우울, 증상, 위험요인, 예방 등의 키워드들이 추출되었다. 가장 최근 인 2020년 이후에는 외로움, 정서적 외로움, 공중 보건, 코로나19, 정신건강, 소셜 미디어 등의 키워드가 주로 나타나고 있다.

Cluster 1은 교육, 사회서비스, 기술 등과 관련된 케어 와 관리 키워드를 다루며,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Cluster 2는 불안과 스트레스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이를 통한 행동, 정신분열증, 성격 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Cluster 3은 삶의 질과 외로움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장애 나 질병으로 인한 삶의 질과 외로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 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Cluster 4는 건 강과 외로움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되었으며, 다양한 대상군과 중재, 지원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시사 한다. Cluster 5는 우울과 유행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 되어 유병률이나 검증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음을 시사 한다. Cluster 7은 사망률과 위험 요인에 관련된 키워드 가 포함되어 있어 예방이나 예측변수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Cluster 8은 코로나19 와 영향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어 공중보건과 관련된 유행병들이 연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한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가 시행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Cluster 9는 네트워크와 혜택에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사회관계와 사회서비 스로 인한 삶의 만족도, 자존감 및 심리학(인지행동치료) 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Cluster 10은 재택근무와 관련된 연구만이 분류 되어 군집화가 이루어졌다.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추출된 10개의 클러스터 중에서 Cluster 4 (건강과 외로움), Cluster 8 (코로나19 와 영향)이 가장 많은 출현 빈도를 보이며, 가장 최근에 등장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Cluster 6은 중앙에 위치하 며, 아동과 정신건강이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은 모든 연령대와 삶의 영역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양한 상 황과 상호작용을 한다(Zhou et al., 2021). 아동의 정신 건강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며, 가족, 교육 및 사회적 지지 등 여러 요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Rickwood et al., 2014). 그러므로 Cluster 6의 주요 키워드인 아 동과 정신건강, 사회적지지, 중재, 효과, 웰빙 등은 다른 Cluster과의 연관성이 높으며, 중앙에 위치하여 다른 Cluster간의 중심 네트워크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luster 1 (교육, 사회버시스, 기술)과의 연관성은 아동과 정신건강이 교육 환경 및 사회적 서비스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알 수 있다. Cluster 4 (건강과 외로움), Cluster 8 (코로나19와 영향)과도 연결되며, 이는 펜데 믹 상황에서 아동과 정신건강이 외로움, 건강 문제와 직 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Cluster 5 (우울과 유행), Cluster 7 (사망률과 위험요인)과도 아동기의 정 신건강 문제가 장기적으로 이어질 때 성인기의 정신질환 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고립은 인간이 타인과의 사회관계 저하, 사회적지지 부족과 정서 문제(우울, 불안, 스트레 스)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높은 위험성과 사망률을 동반 한다. 특히,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사회적 고립이 가속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정신건 강의 위험 요인이 증가하고 있으며(Chan et al., 2011), 고립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나타난 정서 문제(우울, 불 안, 스트레스)로 인해 대다수의 연구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했음을 보고했다(Ettman et al., 2020; Lee et al., 2020). 사회과학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이 사회적 지지 로부터의 배제를 의미한다고 설명하며, 타인과의 의미 있는 관계가 부족한 사람들은 삶의 질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Cloutier-fisher et al., 2011). 따라서, 본 계량서 지학적 분석을 통해 나타난 사회적 고립에 대한 예방적 관점에서 신체적, 정신적, 심리사회적 변화 등을 다루는 체계적인 중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고립 평가를 통해 문제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중재 및 다양한 사회서비스가 제공되기에 보다 체계적이 고 다각적인 평가도구의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Web of Science로 데이터베이스 를 한정하여 실시했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게재 된 문헌들의 배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수집한 연구 가 필요하다.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경향성 제시로 학 문 분야별 효과성과 연구 방법론적인 질적 수준에 대한 정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주요 키워드와 연구 동향 및 연결성을 파악함으로 시간적 흐름에 따른 연구변 화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사회적 고 립의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연구 분야에 지속적인 동향 파악을 위해 계량서지학적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통해 사회적 고립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2011년 이후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선언 이후 사 회적 거리두기와 자가격리 증가로 인해 사회적 고립 문제 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였다. 공공 환경 및 직업보건 분야 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외에 다양한 학 문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사회적 고립 문제 에 다각도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 19와 건강, 외로움,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주요 키워드 로 나타났으며,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심리적 문제가 증 가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군집화(클러스터) 분석 결과를 통해 사회적 고립에 대한 연구는 건강과 외 로움, 코로나19와 영향 군집화가 가장 많은 출현 빈도를 보이며, 정신건강 군집화가 중앙에 위치하여 다른 클러 스터와 연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회 적 고립 문제는 인간의 사회관계 저하와 정신적 문제로 이어지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 해 다양한 학문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며, 예방적 관점으 로 다양한 요인의 변화를 다루는 체계적인 중재가 고려되 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평가도구를 통해 문제 요인의 파악이 우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고립 평가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 였고, 사회적 고립의 예방적 관점에서 평가와 중재의 중 요성을 파악하고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 대한다.

References

1 

춘남 김 승민 박 승희 박 서인 김 사회적 고립의 유형분석 및 지원방안2018경기복지재단https://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1922544#none

2 

계청 통 사회조사2024https://zrr.kr/KvZa

3 

J. Beller A. Wagner Loneliness, social isolation, their synergistic interaction, and mortalityHealth Psychology2018379808813doi: http://dx.doi.org/10.1037/hea0000605

4 

K.W. Boyack R. Klavans Co-citation analysis, bibliographic coupling, and direct citation: Which citation approach represents the research front most accurately?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0611223892404doi: http://dx.doi.org/10.1002/asi.21419

5 

R. Calati C. Ferrari M. Brittner O. Oasi E. Olié A.F. Carvalho P. Courtet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nd social isolation: A nar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2019245653667doi: http://dx.doi.org/10.1016/j.jad.2018.11.022

6 

A. Chan C. Malhotra R. Malhotra T. Ostbye Living arrangements, social network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men and women in Singapore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2011266630639doi: http://dx.doi.org/10.1002/gps.2574

7 

D. Cloutier-Fisher K. Kobayashi A. Smith The subjective dimension of social isolation: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older adults’ experiences in small social support networksJournal of Aging Studies2011254407414doi: http://dx.doi.org/10.1016/j.jaging.2011.03.012

8 

C.K. Ettman S.M. Abdalla G.H. Cohen L. Sampson P.M. Vivier S. Galea Prevalence of depression symptoms in US adul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JAMA Network Open202039e2019686e2019686doi: http://dx.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0.19686

9 

S. Giorgi S.C. Guntuku J.C. Eichstaedt C. Pajot H.A. Schwartz L.H. Ungar Well-being depends on social comparison: Hierarchical models of Twitter language suggest that richer neighbors make you less happy202115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 and Social Media10691074doi: http://dx.doi.org/10.1609/icwsm.v15i1.18132

10 

J.F. Helliwell R. Layard J.D. Sachs J.E. De Neve L.B. Aknin S. Wang World happiness report 20222022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https://worldhappiness.report/ed/2022/

11 

A. Jensen-Doss K.M. Hawley Understanding barriers to evidence-based assessment: Clinician attitudes toward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2010396885896doi: http://dx.doi.org/10.1080/15374416.2010.517169

12 

S.K. Jeong Y.U. Ban Identification of global research trends of ecological industrial park researches through bibliographic analysisKIEAE Journal20202044146doi: http://dx.doi.org/10.12813/kieae.2020.20.4.041

13 

D.H. Kim K.L. Kim Y.J. Zhu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major Korean journals indexed in 2020 Google Scholar Metrics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KOSIM)20213815369doi: http://dx.doi.org/10.3743/KOSIM.2021.38.1.053

14 

H.J. Kim H.S. Ahn Critical appraisal of systematic review/Meta-analysis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20151527379doi: http://dx.doi.org/10.7704/kjhugr.2015.15.2.73

15 

H.J. Kim M. Song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by co-word analysis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201431199118doi: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1.099

16 

J.H. Kim The impact of perceived income inequality on depression among youth: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202141283100doi: http://dx.doi.org/10.15709/hswr.2021.41.2.83

17 

J.Y. Kim Living arrangements and the distribution of multiple resources among Korean older adults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2017401128

18 

K.W. Koh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social distancing during COVID-19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2020371109112doi: http://dx.doi.org/10.14367/kjhep.2020.37.1.109

19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2024Retrived from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ReList.do?seSubCode=BIZ017A001

20 

S.E. Lee H. Shin J.W. Hur mHealth for mental health in the COVID-19 era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2020394325354doi: http://dx.doi.org/10.15842/kjcp.2020.39.4.007

21 

Y.K. Lee S.J.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status on happiness: A focus o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2017551139

22 

L.L. Lim E.H. Kua Living alone,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ersons in singaporeCurrent Gerontology and Geriatrics Research20112011673181doi: http://dx.doi.org/10.1155/2011/673181

23 

Z. Liu W. Zhang Social change and family change in urban ChinaJournal of Family History20154014465doi: http://dx.doi.org/10.1177/0363199014566258

24 

P.V. Marsden Core discussion networks of AmericansAmerican Aociological Review1987521122131doi: http://dx.doi.org/10.2307/2095397

25 

T. Noguchi M. Saito J. Aida N. Cable T. Tsuji S. Koyama T. Ikeda K. Osaka K. Kondo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onset among older adults: A cross-national longitudinal study in England and JapanBMJ Open2021113e045834doi: http://dx.doi.org/10.1136/bmjopen-2020-045834

26 

E.C.M. Noyons H.F. Moed M. Luwel Combining mapping and citation analysis for evaluative bibliometric purposes: A bibliometric study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1999502115131doi: http://dx.doi.org/10.1002/(SICI)1097-4571(1999)50:2<115::AID-ASI3>3.0.CO;2-J

27 

C.U. Park N.E. Kim F.Y. Liu M.J. Yoon A study of social isolation and i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KoreaJournal of Social Research20192124173doi: http://dx.doi.org/10.22862/kjsr.2020.21.2.002

28 

K. Park A few thoughts on low birthrate, aging societiesJournal of Asian Sociology2019482123145doi: http://dx.doi.org/10.1234/jas.v48i2.26868272

29 

S.H. Park M.K. Kim H.Y. Park Bibliographic analysis of aging anxiety and lifestyle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2022112720doi: http://dx.doi.org/10.22683/tsnr.2022.11.2.025

30 

Population Reference Bureau (PRB)Countries with oldest populations in the world2022Retrived from https://zrr.kr/9sNE

31 

D.J. Rickwood N.R. Telford A.G. Parker S.M. Cott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in youth mental health: Is it time for a multidisciplinary and trans-diagnostic model for care?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Systems201481110doi: http://dx.doi.org/10.1186/1752-4458-8-22

32 

J. Sansoni N. Marosszeky E. Sansoni G. Fleming Final report: Effective assessment of social isolation2010University of Wollongong

33 

H.J. Smith D.A. Ryan A. Jaurique E. Duffau Personal relative depriv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videnceAnalysis of Social Issues and Public Policy2020201287314doi: http://dx.doi.org/10.1111/asap.12201

34 

B.S. Son H.S. Hwang S.J. Oh Fuel cell research trend analysis for major countries by keyword-network analysis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2022332130141doi: http://dx.doi.org/10.7316/KHNES.2022.33.2.130

35 

P. Townsend The social minority1973Allen Lane

36 

UCL Institute of Health EquityReducing social isolation across the lifecourse2015Public Health England

37 

N.K. Valtorta M. Kanaan S. Gilbody B. Hanratty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what are we measuring? A novel framework for classifying and comparing toolsBMJ Open201664e010799

38 

N.J. Van Eck L. Waltman Y. Ding R. Rousseau D. Wolfram Visualizing bibliometric networksMeasuring scholarly impact2014Springer285320doi: http://dx.doi.org/10.1007/978-3-319-10377-8_13

39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 -11 March 20202020March11https://www.who.int/director-general/speeches/detail/who-director-general-s-openingremarks-at-the-media-briefing-on-covid-19---11-march-2020

40 

World Health Organization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older people: Advocacy brief2021July29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0030749

41 

World Health OrganizationMental health and COVID-19: Early evidence of the pandemic’s impact: Scientific brief, 2 March 20222022March2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WHO-2019-nCoV-Sci_Brief-Mental_health-2022.1

42 

E.G. Yeo Impact of deprivation experience on social integration perceptions: Centered on differences by age group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20202115989doi: http://dx.doi.org/10.20997/SR.21.1.3

43 

Y. Youm K. Sung Self-rated health and global network position: Results from the older adult population of a Korean rural village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2016203149158doi: http://dx.doi.org/10.4235/agmr.2016.20.3.149

44 

D. Zavaleta K. Samuel C. Mills Measures of social isolationSocial Indicators Research2017311367391doi: http://dx.doi.org/10.1007/s11205-016-1252-2

45 

X. Zhou C.L. Snoswell L.E. Harding S. Pini Effects of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he mental health of different age groups during the COVID-19 pandemicBMC Psychiatry2021211112doi: http://dx.doi.org/10.1186/s12888-021-03333-z



This display is generated from NISO JATS XML with jats-html.xsl. The XSLT engine is libxslt.